KR102354071B1 - 운반용 다용도 가방 - Google Patents

운반용 다용도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071B1
KR102354071B1 KR1020200130447A KR20200130447A KR102354071B1 KR 102354071 B1 KR102354071 B1 KR 102354071B1 KR 1020200130447 A KR1020200130447 A KR 1020200130447A KR 20200130447 A KR20200130447 A KR 20200130447A KR 102354071 B1 KR102354071 B1 KR 10235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xtension
carrying
ba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완수
Original Assignee
유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수 filed Critical 유완수
Priority to KR102020013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3Straps; Bands with strap loop for carrying an object by passing the hand through the loop, the loop resting partially around the wris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용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들 수 있도록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반용 다용도 가방{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본 발명은 운반용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 구조를 가지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사용자가 물품을 담아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도구로서,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을 가방의 공간부에 넣은 후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파지함으로써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합성수지, 종이, 천, 가죽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게 되면 상기 몸체의 개구부가 좁아지게 되고 이때 몸체의 상측 공간부가 줄어드는 만큼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발생하며, 운반할 물품이 많을 경우 다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추가적으로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측 공간부까지 물품을 가득채우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손잡이가 멀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움켜쥐지 못하고 엄지 손가락과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이 서로 벌어지는 상태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손에 불편함과 피로감이 쉽게 전달되어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물품이 크고 무거운 것이면 사용자의 팔힘만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4459호(2005.08.2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 구조를 가지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들 수 있도록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손잡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연장부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 고리에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가 진입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의 안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손잡이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연결고리와 제1 손잡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를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손잡이와 제1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 손잡이를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손잡이에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고 제2 손잡이에는 힌지 고리에 연결되는 체결용 걸림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제2 손잡이를 제1 손잡이에 대한 손쉬운 착탈결합은 물론 별도의 스토퍼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는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어께에 메고 다니는 가방으로 활용할 때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어 장거리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착탈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납공간부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 및 어깨끈의 구성을 나타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101)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들 수 있도록 몸체(100)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200) 및 상기 제1 손잡이(200)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 수납공간부(101)가 형성된 함체로써,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사각형의 특정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또는 다양한 각형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0)는 PVC 원료와 고강력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PVC 타포린(tarpaulin), 또는 PE 타포린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사각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4개의 수직면을 서로 재봉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일반 합성수지나 직물지와는 달리 타포린 소재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외력(外力)이 작용하게 되면 적절한 반발응력을 가지고 어느 정도의 기본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특성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의 테두리에는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보강대(110)를 구성한다.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상기 몸체(100)의 끝단에 말리거나 감싸는 상태로 재봉되어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볼륨감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스펀지,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외력(外力)이 작용하게 되면 자체적으로 적절한 탄성 반발응력을 가지고 있어 어느 정도의 기본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100)의 상부 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보강대(11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로 물품을 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이 작용하는 부위는 일시적으로 신축 변형된 후 다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입구가 개방된 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물품을 넣고 꺼내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상기 몸체(100)의 폭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할되는 제1 보강대(110a) 및 제2 보강대(110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몸체(10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몸체(100)를 완전히 접은 상태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후술할 제1 손잡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100)에 재봉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손잡이 결합부(122)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0)의 제1 손잡이(200)가 형성되는 전면측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13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고리(130)와 제1 손잡이(2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100)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140)이 설치된다(도 6참조).
즉,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어깨끈(140)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무거운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거리 이동할 때, 제1 손잡이(200) 또는 제2 손잡이(300)를 파지하는 팔힘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100)를 어깨에 끼워서 메고다닐 수 있도록 하여 장거리 이동을 한층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제1 손잡이(200)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100)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쉽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손잡이(150)는 상기 몸체(100)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 바닥에는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에 의해 몸체(100)의 바닥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플레이트(16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플레이트(160)는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는 보조 플레이트(16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60)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메인 플레이트(161)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61)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16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61)와 서브 플레이트(162)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구(16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서브 플레이트(162)는 힌지구(16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전면쪽 내측면에 면밀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세워져 사용자가 상기 몸체(100)를 어깨에 메고 다니는 가방으로 활용할 경우 사용자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등받이판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 손잡이(200)는 상기 몸체(10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를 들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제1 손잡이(200)를 한데 모아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두 손을 이용하여 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손잡이(2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100)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21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22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210)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120)의 손잡이 결합부(122)를 통과하는 구조로 끼워져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 지지대(24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지지대(240)는 상기 제1 손잡이(200)의 외형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손잡이(200)의 제3 연장부(230)는 측면에서 바라 볼 때, 대략 "ㄴ"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장부(230)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231)와 수직부(232)를 가지는 형태로써, 상기 수평부(231)는 제1 연장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232)는 제2 연장부(2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3 연장부(230)는 상기 제2 연장부(220)를 상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손잡이(200)를 손으로 움켜쥐기 위한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움켜쥔 손이 상기 몸체(100)에 불필요하게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220)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2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손잡이(300)는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200)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에 수용된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손잡이(200) 또는 제2 손잡이(3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 하여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손잡이(300)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31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 고리(221)에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가 진입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의 안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의 안쪽으로 힌지 고리(221)를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손잡이(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힌지 고리(221)가 서로 마찰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통과 공간을 좁게 형성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힌지 고리(221)가 상호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손잡이(300)의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제1 손잡이(200)의 힌지 고리(221)를 이용한 연결구조는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상기 제1 손잡이(200)와 제2 손잡이(300)를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기구적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300)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3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320)는 상기 제2 손잡이(300)를 한층 용이하게 움켜 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320)는 제2 손잡이(300)의 직경보다 큰 형태로 제작하며 그 형상 및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몸체
110... 탄성보강대
120... 손잡이 고정부
160... 바닥플레이트
200... 제1 손잡이
221... 힌지 고리
300... 제2 손잡이
310... 체결용 걸림고리

Claims (6)

  1.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들 수 있도록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의 테두리에는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 입구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장부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6. 제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연결고리와 제1 손잡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를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KR1020200130447A 2020-10-08 2020-10-08 운반용 다용도 가방 KR10235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ko) 2020-10-08 2020-10-08 운반용 다용도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ko) 2020-10-08 2020-10-08 운반용 다용도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071B1 true KR102354071B1 (ko) 2022-01-24

Family

ID=8004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ko) 2020-10-08 2020-10-08 운반용 다용도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0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783U (ja) * 1994-01-19 1994-11-01 菊恵 山崎 ショルダー兼用手提袋
KR100394459B1 (ko) 2000-07-19 2003-08-09 김유철 복수 아이디를 활용한 온라인상의 폐쇄 소그룹과 개인공간의 결합 서비스방법
JP2003339418A (ja) * 2002-05-24 2003-12-02 Norio Shimoda バッグ
KR20060089140A (ko) * 2005-02-03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가방
KR200427679Y1 (ko) * 2006-03-31 2006-09-29 신은경 방수와 탈수를 선택할 수 있는 가방
JP3179312U (ja) * 2012-08-13 2012-10-25 和子 ▲芦▼澤 買い物袋保持用肩掛け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783U (ja) * 1994-01-19 1994-11-01 菊恵 山崎 ショルダー兼用手提袋
KR100394459B1 (ko) 2000-07-19 2003-08-09 김유철 복수 아이디를 활용한 온라인상의 폐쇄 소그룹과 개인공간의 결합 서비스방법
JP2003339418A (ja) * 2002-05-24 2003-12-02 Norio Shimoda バッグ
KR20060089140A (ko) * 2005-02-03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가방
KR200427679Y1 (ko) * 2006-03-31 2006-09-29 신은경 방수와 탈수를 선택할 수 있는 가방
JP3179312U (ja) * 2012-08-13 2012-10-25 和子 ▲芦▼澤 買い物袋保持用肩掛け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978A (en) Towel bag combination apparatus
US6499781B1 (en) Device for carrying a load
US5908093A (en) Bag mounted with casters
US20100284631A1 (en) Bag, tote, and backpack with channel-anchored drawstrings
KR20090108663A (ko) 탄력을 갖춘 가방의 조임 시스템
US6901635B1 (en) Shopping bag carrier
WO2007019379A2 (en) Combination hook and handle assembly for luggage
US5558383A (en) Carrying device
KR102354071B1 (ko) 운반용 다용도 가방
US20100314425A1 (en) Carrying strap
JP6265633B2 (ja) バッグ用ストラップアッセンブリおよびストラップ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バッグの製造方法
JP2009165598A (ja) バッグ、バッグの製造方法及びバッグの使用方法
US7243667B2 (en) Crutch bag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US6553619B2 (en) Handle having a comfortable grasping structure
US20100260441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445766Y1 (ko) 크기가 조절되는 장바구니
KR101345495B1 (ko) 절첩식 가방
JP3223787U (ja) バッグ
JP3039795U (ja) 書道用具携帯用バッグ
JP3202121U (ja) 多機能バッグ
GB1561977A (en) Folding stool and bag
JP3745683B2 (ja) 釣竿ケ−ス
KR20210133475A (ko) 멜방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KR101860225B1 (ko) 쇼핑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