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071B1 -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071B1
KR102354071B1 KR1020200130447A KR20200130447A KR102354071B1 KR 102354071 B1 KR102354071 B1 KR 102354071B1 KR 1020200130447 A KR1020200130447 A KR 1020200130447A KR 20200130447 A KR20200130447 A KR 20200130447A KR 102354071 B1 KR102354071 B1 KR 10235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xtension
carrying
ba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완수
Original Assignee
유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수 filed Critical 유완수
Priority to KR102020013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0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3Straps; Bands with strap loop for carrying an object by passing the hand through the loop, the loop resting partially around the wris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l-purpose bag for carrying items, the general-purpose bag for carrying items comprising: a body that has a storage space portion accommodating items therein and in which the top thereof is open; and first handles that are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so as to allow a user to lift the body. An elongate second handle formed to cross the open top of the storage spac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body, wherein both ends of the second handle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arry the bag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t his/her discretion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and the like of the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ortion.

Description

운반용 다용도 가방{multi-purpose bag for carrying}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본 발명은 운반용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 구조를 가지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having a multi-handle structure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carry the bag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etc. of the item accommodated therein will be.

일반적으로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사용자가 물품을 담아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도구로서,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multi-purpose bag for transport is a tool used when a user puts an item and moves it to a necessary place. It consists of a body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tem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a handl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s done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을 가방의 공간부에 넣은 후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파지함으로써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move the item by holding the handl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fter putting the item in the space of the bag.

이러한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합성수지, 종이, 천, 가죽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Such a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is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paper, cloth, and leather.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게 되면 상기 몸체의 개구부가 좁아지게 되고 이때 몸체의 상측 공간부가 줄어드는 만큼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발생하며, 운반할 물품이 많을 경우 다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추가적으로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multipurpose bag for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sists of a pair of componen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the opening of the body becomes narrower, and at this time, the upper space of the body decreases as much as the artic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ace that can be stored is reduced, and if there are many items to be carrie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of additionally carrying and carrying another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또한, 상기 몸체의 상측 공간부까지 물품을 가득채우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손잡이가 멀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움켜쥐지 못하고 엄지 손가락과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이 서로 벌어지는 상태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손에 불편함과 피로감이 쉽게 전달되어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ticle is filled up to the upper space of the body, the pair of handles moves away from each other, so the user cannot easily grasp it and has to hold the thumb and the remaining four fingers apart from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fatigue is easily transmitted and dropped.

아울러,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물품이 크고 무거운 것이면 사용자의 팔힘만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body is large and heav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a long distance using only the user's arm.

선행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4459호(2005.08.25)Prior literature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94459 (Aug. 25, 20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 구조를 가지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multi-handle structure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carry a bag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etc. of the article It provides a multi-purpose ba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들 수 있도록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rry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n article therein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first handles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lift the body, wherein both end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oss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handle connected to this is installed.

상기 제1 손잡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handle has a first extension tha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bound to the body to perform a vertical hinge movement, a second extension that extends in parallel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third extension that connects between the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상기 제3 연장부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of the bent structure.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 고리에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가 진입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의 안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inge ring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extension, which are rolled out in the form of a ring, and then continue to ext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and both ends of the second handle are rolled once in the form of a ring for fastening Each of the hooking rings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ring for fastening enters the hinge ring and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cking ring for fastening.

상기 제2 손잡이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handl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handle.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연결고리와 제1 손잡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를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An auxiliary connecting r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where the first handle of the body is formed, and a shoulder strap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ring and the first handle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body, and the body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hand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andle so that the body can be turned over to easily pour the article accommodated therei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손잡이와 제1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 손잡이를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방을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a pair of first handles and a second handle connecting the first handle, the user can selectively select the bag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etc. of the item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t provides the effect of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transport.

또한, 상기 제1 손잡이에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고 제2 손잡이에는 힌지 고리에 연결되는 체결용 걸림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제2 손잡이를 제1 손잡이에 대한 손쉬운 착탈결합은 물론 별도의 스토퍼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hinge ring on the first handle and a fastening hook connected to the hinge ring on the second handle, it is necessary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econd handle to the first handle as well as to configure a separate stopper. It has a very convenient and practical effect.

또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는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어께에 메고 다니는 가방으로 활용할 때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어 장거리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constitutes an auxiliary plate that hin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long-distance walking by comfortably supporting the user's back when using the body as a shoulder bag.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착탈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납공간부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 및 어깨끈의 구성을 나타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andl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handle of Figure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chab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first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of FIG. 1 .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or plate and a shoulder strap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101)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들 수 있도록 몸체(100)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200) 및 상기 제1 손잡이(200)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101 for accommodating items therein, and a body 100 with an ope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handle 200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100 and a second handle 300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200 to be lifted.

먼저,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 수납공간부(101)가 형성된 함체로써,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사각형의 특정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또는 다양한 각형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body 100 has an open top so that an item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storage space 101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overall shape is preferably made in a rectangular shape, but must b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 and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rcle, an oval, or various squar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0)는 PVC 원료와 고강력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PVC 타포린(tarpaulin), 또는 PE 타포린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다.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a PVC tarpaulin (tarpaulin) or PE tarpaulin fabric produced using a PVC raw material and high-strength polyester fabric.

이러한 몸체(100)는 사각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4개의 수직면을 서로 재봉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일반 합성수지나 직물지와는 달리 타포린 소재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외력(外力)이 작용하게 되면 적절한 반발응력을 가지고 어느 정도의 기본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특성을 발휘하게 된다.The body 100 is manufactured in an open state by sewing four vertical surfaces to each other based on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Here, the body 100 exhibits a deformable characteristic while maintaining a certain basic shape with an appropriate rebound stres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paulin material, unlike general synthetic resin or fabric paper. do.

또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의 테두리에는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보강대(110)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soft elastic reinforcing bar 110 is configured so that the inle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when no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en upper rim of the body 100 .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상기 몸체(100)의 끝단에 말리거나 감싸는 상태로 재봉되어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볼륨감을 가지게 된다.The elastic reinforcing bar 110 is sewn in a state of being rolled or wrapped around the end of the body 100 so that the finish can be achieved. At this time, the open upper rim of the body 100 has a sense of volume protruding inward.

여기서,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스펀지,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외력(外力)이 작용하게 되면 자체적으로 적절한 탄성 반발응력을 가지고 있어 어느 정도의 기본형상을 유지하면서 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100)의 상부 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elastic reinforcing bar 1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a sponge or rubber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has an appropriate elastic repulsive stress by itself. Since deformation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the upper inlet of the body 100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따라서, 상기 탄성보강대(11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로 물품을 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put an article into or out of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body 100 by the elastic reinforcing bar 110 .

다시 말해,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이 작용하는 부위는 일시적으로 신축 변형된 후 다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입구가 개방된 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물품을 넣고 꺼내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side to the inside, the part o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temporarily stretched and deformed, and then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again to maintain a wide state with the entrance open, thereby making it easy to put in and take out the articl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보강대(110)는 상기 몸체(100)의 폭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할되는 제1 보강대(110a) 및 제2 보강대(110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reinforcing ba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bar 110a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110b that are respectively di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

이는 상기 몸체(10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몸체(100)를 완전히 접은 상태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body 100 to be rolled up and stored in a fully folded state when the body 10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후술할 제1 손잡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1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andle fixing part 120 for fixing the first hand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100 facing each other.

상기 손잡이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100)에 재봉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손잡이 결합부(122)로 구성된다.The handle fixing part 120 includes a fixing plate 121 sewn to the body 100 and a handle coupling part 122 formed on the fixing plate 121 and having a hollow therein.

아울러, 상기 몸체(100)의 제1 손잡이(200)가 형성되는 전면측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13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고리(130)와 제1 손잡이(2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100)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140)이 설치된다(도 6참조).In addition, an auxiliary connecting ring 13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ont side where the first handle 200 of the body 100 is formed,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ring 130 and the first handle 200 are attached to the first handle 200 . The shoulder strap 140 is connected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body 100 on the shoulder is installed (refer to FIG. 6).

즉,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어깨끈(140)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무거운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거리 이동할 때, 제1 손잡이(200) 또는 제2 손잡이(300)를 파지하는 팔힘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100)를 어깨에 끼워서 메고다닐 수 있도록 하여 장거리 이동을 한층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at is, when the user moves a long distance in a state in which a heavy article is accommodated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shoulder strap 140 on the body 100, the arm force of gripping the first handle 200 or the second handle 300 is used. It provides the effect of further facilitating long-distance movement by allowing the body 100 to be carried by putting it on the shoulder without doing so.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제1 손잡이(200)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100)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쉽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1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third handle 15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body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andle 200 to easily pour out the article accommodated therein by turning the body 100 over.

즉, 상기 제3 손잡이(150)는 상기 몸체(100)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third handle 150 serves to enable the body 100 to be easily turned over.

또한,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 바닥에는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에 의해 몸체(100)의 바닥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플레이트(16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bottom plate 16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1 of the body 100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from protruding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stored articl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플레이트(160)는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는 보조 플레이트(162)를 더 포함한다.The bottom plat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late 162 that hin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60)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메인 플레이트(161)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61)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16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61)와 서브 플레이트(162)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구(163)로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bottom plate 160 includes a main plate 16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 and a sub-plate disposed on the main plate 161 . It is composed of a 162 and a hinge member 163 for hinge-connecting the main plate 161 and the sub-plate 162 .

즉, 상기 서브 플레이트(162)는 힌지구(16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전면쪽 내측면에 면밀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세워져 사용자가 상기 몸체(100)를 어깨에 메고 다니는 가방으로 활용할 경우 사용자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등받이판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sub-plate 16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hinge member 163 and is erected in a state in which surface contact is ma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ser carries the body 100 on the shoulder. When used as a carrying bag, it serves as a backrest plate that stably supports the user's back.

한편, 상기 제1 손잡이(200)는 상기 몸체(10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를 들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제1 손잡이(200)를 한데 모아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두 손을 이용하여 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handle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0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body 100, the user collects the first handle 200 together and holds it with one hand or It plays the role of being able to lift using both hand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손잡이(2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100)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21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22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23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rst handle 200 has a first extension 210 that extends to a certain length and is bound to the body 100 and hin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210 . It consists of a second extension part 220 extending in parallel from the position, and a third extension part 230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 .

상기 제1 연장부(210)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120)의 손잡이 결합부(122)를 통과하는 구조로 끼워져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tension part 210 is inserted into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handle coupling part 122 of the handle fixing part 120 to be connected to the body 100 .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 지지대(24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at least one or more reinforcing supports 24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 .

상기 보강 지지대(240)는 상기 제1 손잡이(200)의 외형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inforcing support 240 serves to increase durability to prevent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handle 200 from being easily deformed.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손잡이(200)의 제3 연장부(230)는 측면에서 바라 볼 때, 대략 "ㄴ"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third extension part 230 of the first handle 200 may be manufactur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즉, 상기 제3 연장부(230)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231)와 수직부(232)를 가지는 형태로써, 상기 수평부(231)는 제1 연장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232)는 제2 연장부(220)와 연결된다.That is, the third extension 230 has a bent horizontal portion 231 and a vertical portion 232 , and the horizontal portion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210 and the vertical portion 231 . The part 2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 .

이러한 상기 제3 연장부(230)는 상기 제2 연장부(220)를 상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손잡이(200)를 손으로 움켜쥐기 위한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움켜쥔 손이 상기 몸체(100)에 불필요하게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third extension 230 separates the second extension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100 to easily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grip the first handle 200 by hand. It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friction caused by unnecessary contact of the user's gripping hand with the body 100 .

또한, 상기 제2 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220)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22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hinge ring 221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being rolled out in a ring shape.

한편, 상기 제2 손잡이(300)는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200)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수납공간부(101)에 수용된 물품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손잡이(200) 또는 제2 손잡이(3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 하여 한층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멀티 손잡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andle 300 has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oss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01 of the body 10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200 . As a result, the user selectively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handle 200 or the second handle 300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etc. of the ite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01 of the body 100, which is more convenient and It serves to provide a multi-handle for efficient carrying.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손잡이(300)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31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 고리(221)에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가 진입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의 안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and 5, locking rings 310 for fastening that are rolled once in a ring shap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handle 300, respectively, and the hinge ring 221 is attached to the hinge ring 221. The locking ring 310 for fastening enters and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cking ring 310 for fastening.

그리고,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의 안쪽으로 힌지 고리(221)를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손잡이(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힌지 고리(221)가 서로 마찰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통과 공간을 좁게 형성하여 상기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힌지 고리(221)가 상호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And, when the second handle 300 is moved upward in order to enter the hinge ring 221 to the inside of the locking ring 310 for fastening, the locking ring 310 and the hinge ring 221 for fastening. Prevents the fastening ring 310 and the hinge ring 221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each other by securing a free space so that they can pass naturally without causing frictional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or by narrowing the passage spac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이러한 상기 제2 손잡이(300)의 체결용 걸림고리(310)와 제1 손잡이(200)의 힌지 고리(221)를 이용한 연결구조는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상기 제1 손잡이(200)와 제2 손잡이(300)를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기구적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locking ring 310 for fastening of the second handle 300 and the hinge ring 221 of the first handle 20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opper configuration. ) and the second handle 300 has a very convenient and practical effect to provide a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etached.

또한, 상기 제2 손잡이(300)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3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gripping handle portion 32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handle 300 .

즉,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320)는 상기 제2 손잡이(300)를 한층 용이하게 움켜 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gripping handle portion 320 serves to grip the second handle 300 more easily.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320)는 제2 손잡이(300)의 직경보다 큰 형태로 제작하며 그 형상 및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The gripping handle portion 320 is manufactured in a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handle 300 , and the shape and configuration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몸체
110... 탄성보강대
120... 손잡이 고정부
160... 바닥플레이트
200... 제1 손잡이
221... 힌지 고리
300... 제2 손잡이
310... 체결용 걸림고리
100... body
110... elastic reinforcement
120... handle fixture
160... floor plate
200... first handle
221... hinge rings
300... 2nd handle
310... fastening hook

Claims (6)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들 수 있도록 몸체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에 대해 착탈결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에 결속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된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고리 형태로 외측으로 말린 후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힌지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양측 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1회 말려지는 체결용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의 테두리에는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 입구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n article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handle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lift the body;
A second handle is installed on the body in whic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oss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The first handle ha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bound to the body to perform a vertical hinge movement,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parallel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irst Consists of a third extension connecting the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A hinge r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which is rolled out in the form of a ring and continues to ext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At both ends of the second handle, locking rings for fastening that are rolled once in a ring form are respectively formed,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reinforcing bar for always maintaining the inlet in an open state when no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rim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장부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a multipurpose carry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of the bent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handl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handle.
제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연결고리와 제1 손잡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몸체를 메고 다닐 수 있는 어깨끈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손잡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 하부에는 몸체를 뒤집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제3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운반용 다용도 가방.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An auxiliary connecting r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where the first handle of the body is formed,
A shoulder strap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linkage and the first handle to allow the user to carry the body,
A multi-purpose carry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hand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handle to easily pour out the article accommodated therein by turning the body over.
KR1020200130447A 2020-10-08 2020-10-08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KR102354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en) 2020-10-08 2020-10-08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en) 2020-10-08 2020-10-08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071B1 true KR102354071B1 (en) 2022-01-24

Family

ID=8004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47A KR102354071B1 (en) 2020-10-08 2020-10-08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07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783U (en) * 1994-01-19 1994-11-01 菊恵 山崎 Shoulder bag
KR100394459B1 (en) 2000-07-19 2003-08-09 김유철 Method of servicing combined on-line spaces for closed small community and its individual user by way of dual ID system
JP2003339418A (en) * 2002-05-24 2003-12-02 Norio Shimoda Bag
KR20060089140A (en) * 2005-02-03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Bag for fishing
KR200427679Y1 (en) * 2006-03-31 2006-09-29 신은경 Bags with waterproof and dehydration features
JP3179312U (en) * 2012-08-13 2012-10-25 和子 ▲芦▼澤 Shoulder strap for holding shopping bag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783U (en) * 1994-01-19 1994-11-01 菊恵 山崎 Shoulder bag
KR100394459B1 (en) 2000-07-19 2003-08-09 김유철 Method of servicing combined on-line spaces for closed small community and its individual user by way of dual ID system
JP2003339418A (en) * 2002-05-24 2003-12-02 Norio Shimoda Bag
KR20060089140A (en) * 2005-02-03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Bag for fishing
KR200427679Y1 (en) * 2006-03-31 2006-09-29 신은경 Bags with waterproof and dehydration features
JP3179312U (en) * 2012-08-13 2012-10-25 和子 ▲芦▼澤 Shoulder strap for holding shopping ba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978A (en) Towel bag combination apparatus
US6499781B1 (en) Device for carrying a load
US5908093A (en) Bag mounted with casters
US20100284631A1 (en) Bag, tote, and backpack with channel-anchored drawstrings
KR20090108663A (en) System for cinching a resilient luggage case
US6901635B1 (en) Shopping bag carrier
WO2007019379A2 (en) Combination hook and handle assembly for luggage
US5558383A (en) Carrying device
KR102354071B1 (en) multi-purpose bag for carrying
US20100314425A1 (en) Carrying strap
JP6265633B2 (en) Strap assembly for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g having strap assembly
JP2009165598A (en) Bag, method for manufacturing bag, and method for using bag
US7243667B2 (en) Crutch bag
JP4941857B2 (en) Bag with both shoulder and backpack functions
US6553619B2 (en) Handle having a comfortable grasping structure
US20100260441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445766Y1 (en) Shopping bag with variable size
KR101345495B1 (en) Multi-folding bag
JP3223787U (en) bag
JP3039795U (en) Calligraphy equipment carrying bag
JP3202121U (en) Multifunctional bag
GB1561977A (en) Folding stool and bag
JP3745683B2 (en) Fishing rod case
KR20210133475A (en) Folding bag with melbang structure
KR101860225B1 (en) Shopp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