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219A - 흑옥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옥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219A
KR20120085219A KR1020120063250A KR20120063250A KR20120085219A KR 20120085219 A KR20120085219 A KR 20120085219A KR 1020120063250 A KR1020120063250 A KR 1020120063250A KR 20120063250 A KR20120063250 A KR 20120063250A KR 20120085219 A KR20120085219 A KR 20120085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porridge
hours
fermentation brot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수
Original Assignee
장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수 filed Critical 장성수
Priority to KR102012006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5219A/ko
Publication of KR2012008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7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dipping in a ba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옥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옥죽을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시킨 발효액에 함침시키고,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발효시킨 뒤에 증숙하고 건조시킴에 따라 옥죽이 발효되면서 흑화(黑化)되어 옥죽에 포함된 유익한 약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당도가 증대되어 현대인의 구미에 맞는 흑옥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택된 옥죽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에 채반에 받쳐두어 옥죽의 외부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빼내는 옥죽 세척단계(101)와, 물을 끓인 후 식힌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 제조단계(102)와,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한 발효액에 옥죽 세척단계(101)를 거친 옥죽을 3~4시간동안 담가두어 발효액이 옥죽에 스며들게 하는 옥죽 함침단계(103)와, 옥죽 함침단계(103)를 거친 옥죽을 35~4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발효시키는 옥죽 발효단계(104)와, 옥죽 발효단계(104)를 거친 옥죽을 증숙기에 넣고 80~85℃의 온도로 24~26시간동안 가열하면서 증숙시키는 옥죽 증숙단계(105)와, 옥죽 증숙단계(105)를 거친 흑옥죽을 증숙기에서 꺼내어 그늘에서 24~25시간동안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증숙옥죽 건조단계(1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흑옥죽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the black Polygonatum Officinale}
본 발명은 흑옥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옥죽을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시킨 발효액에 함침시키고,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발효시킨 뒤에 증숙하고 건조시킴에 따라 옥죽이 발효되면서 흑화(黑化)되어 옥죽에 포함된 유익한 약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당도가 증대되어 현대인의 구미에 맞는 흑옥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 생약 중 보음(補陰)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 것 중의 하나인 옥죽(Polygonatum Officinale)은 둥글레의 근경(根莖)을 약용하며, 생약의 이명(異名)은 지절(地節), 황지(黃地), 여위(女委) 등으로 불리운다. 옥죽의 기원식물인 둥글레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이 식물의 근경인 옥죽은 가을 또는 이른 봄에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응달에서 말리거나 아니면 수증기로 쪄서 햇볕에 말려서 약용한다.
그리고, 이 옥죽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는 콘발라마린(convallamarin), 콘발라린(convallarin)등의 스테로이성 사포닌(steroidal saponin)과 다수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하여 강심작용,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 갈증완화작용, 항산화작용, 피부노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양의학에서 이 약의 성질은 평(平)하고 감(甘)하며, 자양, 윤폐, 지갈(止渴) 등을 효능으로 하며, 허약체질, 번갈(煩渴), 당뇨병, 협심통 등에 탕제, 환제(丸劑) 또는 산제(散劑)로 하여 복용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옥죽은 응달에서 말리거나 아니면 수증기로 쪄서 햇볕에 말린 뒤에 약용하고 있음에 따라 옥죽에 포함된 유익한 약성을 최대로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아타까운 문제가 있다.
즉, 인삼을 홍삼화하거나 마늘을 흑마늘화하게 되면 각기 인삼과 마늘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그 들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약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데, 옥죽은 단순히 건조시킨 상태로만 약용함으로서, 유익한 약성을 최대로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아쉬움과, 맛이 좋지 않아서 널리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4-0023856(발명의 명칭 :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한 옥죽을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시킨 발효액에 함침시키고,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증숙한 뒤에 건조시킴에 따라 옥죽이 발효되면서 흑화(黑化)되어 옥죽에 포함된 유익한 약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당도가 증대되어 현대인의 구미에 맞는 흑옥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택된 옥죽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에 채반에 받쳐두어 옥죽의 외부면에 물기를 빼내는 옥죽 세척단계와, 물을 끓인 후 식힌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 제조단계와,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한 발효액에 옥죽 세척단계를 거친 옥죽을 3~4시간동안 담가두어 발효액이 옥죽에 스며들게 하는 옥죽 함침단계와, 옥죽 함침단계를 거친 옥죽을 35~4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발효시키는 옥죽 발효단계와, 옥죽 발효단계를 거친 옥죽을 증숙기에 넣고 80~85℃의 온도로 24~26시간동안 가열하여 증숙시키는 옥죽 증숙단계와, 옥죽 증숙단계를 거친 흑옥죽을 증숙기에서 꺼내어 그늘에서 24~25시간동안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증숙옥죽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흑옥죽 제조방법은, 세척한 옥죽을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시킨 발효액에 함침시키고,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발효시킨 뒤에 증숙하고 건조시킴으로서, 옥죽이 발효되고 증숙 숙성되면서 흑화(黑化)되는 과정에서 옥죽에 포함된 약성(콘발라마린, 콘발라린등의 스테로이성 사포닌과 다수의 플라보노이드)이 증대됨과 아울러 당도가 증대되어 현대인의 구미에 맞는 흑옥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흑옥죽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흑옥죽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된 옥죽을 세척하는 옥죽 세척단계(101)와,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는 발효액 제조단계(102)와, 발효액에 옥죽을 함침하는 옥죽 함침단계(103)와,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발효하는 옥죽 발효단계(104)와, 발효가 일어난 옥죽을 증숙하는 옥죽 증숙단계(105)와, 증숙된 옥죽을 건조시키는 증숙옥죽 건조단계(106)로 이루어진다.
상기 옥죽 세척단계(101)는 깨끗한 물로 세척한 옥죽을 채반에 받쳐두어 옥죽의 외부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빼내는 과정이다.
다음의 발효액 제조단계(102)는 물을 끓인 후 식힌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물을 끓임에 따라 살균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살균수를 얻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온도는 5~10분을 끓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을 5~10분간 끓이게 되면 물속에 포함된 대장균 및 일반세균이 멸균되게 되고, 물을 20~30분을 끓이면 물속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물질과 페놀이 휘발되어 제거되게 되며, 농약성분의 경우에도 20~30분을 끓이면 제거되게 된다.
위에서 살균수를 얻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온도는 5~10분을 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 것은, 살균수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물을 정수 처리된 수돗물을 사용하기 경우에는 휘발성 유기물질과 페놀, 농약성분은 물론이고 대장균과 세균들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물이기 때문에 5~10분만 끓여도 만약에 있을지도 모르는 세균을 살균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효액 제조단계(102)에서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은, 막걸리와 살균수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발효액 중에 막걸리의 함유량이 60중량% 이상이 되면, 최종적으로 제조 완료된 흑옥죽에서 막걸리냄새가 나므로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옥죽 함침단계(103)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한 발효액에 옥죽 세척단계(101)에서 세척하고 물기를 뺀 옥죽을 담가두는데, 이때 발효액에 옥죽이 잠길 정도로 담가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발효액 2리터에 옥죽 600그램을 3~4시간동안 담가두어서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한 발효액이 옥죽에 스며들게 된다.
위와 같이 옥죽 함침단계(103)를 마친 뒤에는 옥죽 발효단계(104)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옥죽 발효단계(104)는 옥죽 함침단계(103)를 마쳐서 발효액이 스며든 옥죽을 발효액이 담겨진 통에서 꺼내어 35~40℃의 온도로 가열하고 있는 발효실에 넣은 뒤에 24시간동안 발효시키는데, 막걸리에 포함되어 있던 발효성분이 발효하는 과정에서 옥죽의 약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는 인삼을 홍삼으로 제조하면 사포닌을 비롯한 유익한 약성이 증대되는 것, 그리고 마늘을 흑마늘화했을 때 알리신 성분이 증대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인 것이다.
위와 같이 옥죽 발효단계(104)를 거친 뒤에는 옥죽 증숙단계(105)를 실행하게 되며, 이 옥죽 증숙단계(105)는 발효된 옥죽을 증숙기에 넣고 80~85℃의 온도로 24~26시간동안 가열하면서 증숙시키게 되면, 옥죽이 물렁해지면서 색상이 흑색을 변하게 된다.
이때, 증숙온도를 80℃에서 24시간 이내로 증숙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흑옥죽을 제조 완료하였을 때, 그 흑옥죽이 설겅설겅하며 무맛과 같이 별 맛이 없게 되고, 증숙온도를 85℃에서 26시간 이내로 증숙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완성된 흑옥죽이 물컹물컹해지게 된다.
따라서, 증숙온도를 80~85℃에서 24~26시간 동안 증숙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완성된 흑옥죽이 젤리와 같이 쫄깃쫄깃하며 단맛이 나게 된다.
위와 같이 옥죽 증숙단계(105)를 거친 흑옥죽은 증숙기에서 꺼낸 뒤에 그늘에서 24~25시간동안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증숙옥죽 건조단계(106)를 실행한다.
위와 같이 옥죽 증숙단계(105)를 거친 흑옥죽은 증숙기에서 꺼내어 자연 건조하는 대신에 건조기를 이용하여 35~45℃의 온도로 10~12시간동안 건조하여 흑옥죽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헤 제조된 흑옥죽은 홍삼 또는 흑마늘과 같이 이 발효 및 증숙에 의한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색상이 변하면서 옥죽에 포함된 인체에 유익한 약성이 증대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그와 더불어 흑옥죽이 쫄깃쫄깃하면서 단맛을 내게 되어 흑옥죽을 맛있게 즐길 수 있게 된다.
101 : 옥죽 세척단계 102 : 발효액 제조단계
103 : 옥죽 함침단계 104 : 옥죽 발효단계
105 : 옥죽 증숙단계 106 : 증숙옥죽 건조단계

Claims (1)

  1. 선택된 옥죽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에 채반에 받쳐두어 옥죽의 외부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빼내는 옥죽 세척단계(101)와,
    물을 끓인 후 식힌 살균수와 막걸리를 4 : 6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 제조단계(102)와,
    살균수와 막걸리를 혼합한 발효액에 옥죽 세척단계(101)를 거친 옥죽을 3~4시간동안 담가두어 발효액이 옥죽에 스며들게 하는 옥죽 함침단계(103)와,
    옥죽 함침단계(103)를 거친 옥죽을 35~4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발효시키는 옥죽 발효단계(104)와,
    옥죽 발효단계(104)를 거친 옥죽을 증숙기에 넣고 80~85℃의 온도로 24~26시간동안 가열하면서 증숙시키는 옥죽 증숙단계(105)와,
    옥죽 증숙단계(105)를 거친 흑옥죽을 증숙기에서 꺼내어 그늘에서 24~25시간동안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증숙옥죽 건조단계(1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옥죽 제조방법.
KR1020120063250A 2012-06-13 2012-06-13 흑옥죽 제조방법 KR20120085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50A KR20120085219A (ko) 2012-06-13 2012-06-13 흑옥죽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50A KR20120085219A (ko) 2012-06-13 2012-06-13 흑옥죽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19A true KR20120085219A (ko) 2012-07-31

Family

ID=4671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250A KR20120085219A (ko) 2012-06-13 2012-06-13 흑옥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2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803A (zh) * 2018-03-28 2018-09-28 贵州坤健源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生食黄精片的加工方法
CN112167620A (zh) * 2020-09-22 2021-01-05 普洱学院 一种酵素黄精及其制备方法
CN113876887A (zh) * 2021-10-01 2022-01-04 浙江禾田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黄精炮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803A (zh) * 2018-03-28 2018-09-28 贵州坤健源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生食黄精片的加工方法
CN112167620A (zh) * 2020-09-22 2021-01-05 普洱学院 一种酵素黄精及其制备方法
CN113876887A (zh) * 2021-10-01 2022-01-04 浙江禾田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黄精炮制方法
CN113876887B (zh) * 2021-10-01 2023-01-03 浙江禾田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黄精炮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9748A (zh) 炭焙红茶的加工方法
JP2007236319A (ja) 紅茶葉の製造方法
CN103666913A (zh) 一种天然养生竹米酒及其制备方法
CN103535703A (zh) 一种脱水金针菇及其制备方法
KR20120099603A (ko) 흑대추 제조방법
CN110051783A (zh) 一种黄精的炮制方法
KR101127734B1 (ko) 대추 추출물을 이용한 대추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1731395A (zh) 罗布麻茶的生产方法
CN105707362A (zh) 银杏保健茶
CN108142622A (zh) 一种青柑菊花茶及其加工工艺
KR20120085219A (ko) 흑옥죽 제조방법
CN104798939A (zh) 一种具有消除色斑功效的六堡茶及其制备方法
KR102289865B1 (ko) 홍도라지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홍도라지 조청
CN106343091A (zh) 一种减肥瘦身茶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12500970A (zh) 一种山茱萸酒的制备方法
CN106942453A (zh) 滇黄精果脯的制备方法
CN106234714A (zh) 一种无花果叶茶的炮制方法
KR101080940B1 (ko) 야관문차 제조방법
CN108576325A (zh) 一种治疗肠炎的功能茶
CN104798924B (zh) 一种金线莲半发酵茶的制备方法
CN104413206A (zh) 一种薄荷茶的制作方法
CN106509112A (zh) 一种保健奶茶及其制备方法
CN105462789A (zh) 一种牛大力保健酒
CN111494262A (zh) 牡丹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4286260A (zh) 一种降血压玉米须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