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779A - 덮개 설비 - Google Patents

덮개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779A
KR20120084779A KR1020127014770A KR20127014770A KR20120084779A KR 20120084779 A KR20120084779 A KR 20120084779A KR 1020127014770 A KR1020127014770 A KR 1020127014770A KR 20127014770 A KR20127014770 A KR 20127014770A KR 20120084779 A KR20120084779 A KR 2012008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ver
lid
passage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272B1 (ko
Inventor
이화 왕
에릭 엠 플레이트
니콜라스 더블유 패터슨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코울러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코울러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코울러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2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5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open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덮개 설비(120)는 접속 모듈(80)에 의해 기저체(60)에 접속되는 덮개(40)를 구비한다. 접속 모듈(80)은 덮개(40)가 개방 및 폐쇄되게 한다. 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 장치(30)는 접속 모듈(80)을 구동한다. 로킹 모듈은 구동 장치(30)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덮개(40)가 수동으로 조작되게 할 수 있다. 접속 구성요소들(82, 84)은 덮개(40)에 접속되고, 따라서 덮개(40)의 상면은 덮개(40)가 자동으로 개방될 때 사용자를 향하고, 반면 덮개(40)의 저면은 덮개(40)가 수동으로 개방될 때 사용자를 향한다.

Description

덮개 설비{Cover installa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일종의 덮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 설비는 기저체(basal body), 덮개 및 덮개를 기저체에 접속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변기 보울 또는 비데에 적용되는 덮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덮개 설비는 최대 범위까지 덮개의 유연한 개방 및 폐쇄를 실현하는 것을 돕고, 변기 보울 또는 비데의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하고, 덮개가 개방되었을 때 덮개의 상면 또는 덮개의 저면이 사용자와 마주하게 한다.
덮개 설비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덮개가 개방된 때 상기 덮개의 저면 또는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융통성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그렇지만 수동으로 작동되는 융통성에 특징이 있다. 비록 덮개 설비가 매력적이지만, 여전히 개선을 필요로 하는 많은 면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덮개는 로킹 구성요소 및 언로킹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선택적 방식으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로킹 구성요소는 덮개의 자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언로킹 구성요소는 덮개의 수동 동작을 실현하고 또한 구동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가지 종류의 접속 모듈이 또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접속 모듈은 덮개가 개방된 때 덮개의 상면 전체 또는 덮개의 저면 전체가 사용자와 마주하게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아, 덮개 설비를 개선하고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은 미국 특허 제1342505 호를 포함한다. '505 특허는, 힌지와 결합되어, 덮개가 피봇 운동에 의해 개방되고 덮개의 상면이 백 레스트로서 작용하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일종의 변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덮개는 핸들을 들어올림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핸들은 개방되었을 때 내내 덮개의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사용자의 체중이 시트로부터 제거될 때, 덮개는 폐쇄 위치로 떨어질 것이다. 미국 특허 제1398556 호는 프레스 바를 눌러 개방되는 일종의 변기 덮개를 기재한다. 프레스 바 위의 사용자의 체중은 덮개를 강제로 개방시킬 것이다. 사용자의 체중이 프레스 바로부터 제거되면, 덮개는 폐쇄 위치로 떨어질 것이다. 상기 '556 특허는, 덮개의 저면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실시예 및 덮개의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2219044 호는 바를 가압하고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작동되는 변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전기 모터는 덮개를 개방 위치로 구동하고 덮개의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게 한다. 리프팅 로드 및 제어 바는 모두 덮개 및 기저체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된다. '044 특허는 덮개가 완전히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기술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6/0005309 호는 핸들을 통해 수동으로 작동되고, 페달을 통해 수동으로 작동되고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일종의 변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덮개가 개방된 때, 덮개의 저면은 사용자와 마주한다. 상기 특허 출원은 2중 시스템이 옵션일 수 있는 것을 개시한다.
다른 종래 기술은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변기 덮개에 관한 국제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 WO/2008/029388 호를 포함한다. 클러치 시스템은 전기 모터의 회전이 없는 경우에 덮개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 기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덮개가 개방된 때, 덮개의 저면은 사용자와 마주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5-95502 호는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일종의 변기 덮개를 기술한다. 덮개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2개의 독립적인 부분들을 포함한다. 덮개가 상승할 때, 덮개의 전방 부분은 덮개의 전방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하향으로 구부러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상기한 특허들 및 특허 출원들의 종래 기술의 모든 특징들, 단점들, 및/또는 나쁜 특성들, 결과들 또는 효과들은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문제들을 식별하고 해결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요구들에 더 완전히 부합한다: 사용자는 자동 및 수동 모드들 모두를 이용하여 덮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덮개의 상면은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될 때 사용자와 마주하고; 덮개의 저면은 덮개가 수동으로 개방될 때 사용자와 마주하고; 본 발명은 덮개에 대한 수동 조작이 구동 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킹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저체와 덮개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속 구성요소들을 제공한다. 이들 접속 구성요소들에는 사용자가 쉬운 방법으로 덮개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피봇 지점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기저체, 덮개 및 덮개를 기저체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 모듈을 구비하는, 개선된 덮개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접속 구성요소들을 구비하고, 이들 구성요소들 각각에는 덮개의 회전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해 덮개 및 기저체에 결합 지점들이 제공된다. 이들 접속 구성요소들 중 하나는 피봇 구성요소에서 피봇 운동을 구현하고, 한편 다른 접속 구성요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통로 내에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의 상면은 사용자와 마주하거나 그것을 후면을 사용자에게 돌린다.
다른 양상 또는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구성요소에 접속된다. 구동 기구는 접속 구성요소를 구동하여 덮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축선들 주위를 피봇 운동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변기 덮개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통로 내에서의 접속 구성요소의 슬라이딩이 선택적으로 제한되어, 덮개가 다른 접속 구성요소의 피봇 지점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 또는 허용한다. 예를 들어, 덮개의 자동 동작에 있어서, 접속 구성요소는 통로 내에서 제한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덮개가 다른 접속 구성요소의 피봇 지점 주위를 회전하게 허용하고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의 상면이 사용자와 마주하게 한다. 또는, 예를 들어, 덮개의 수동 동작에 있어서, 접속 구성요소의 슬라이딩은 통로 내에서 제한되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덮개가 다른 접속 구성요소의 피봇 지점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의 저면이 사용자와 마주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 또는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 모듈은 커버의 자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접속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부분이 통로 내에 남아있는 것을 보장한다. 접속 구성요소는 커버의 구동 장치를 파손시키지 않고 덮개의 수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로킹 모듈로 멀어지는 것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접속 구성요소는 로킹 모듈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구동 장치가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덮개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목적은 기저체, 제1 표면 및 대향하는 제2 표면을 갖는 덮개, 및 제1 접속 구성요소 및 제2 접속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접속 모듈을 구비하는 덮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 모듈은 기저체를 덮개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제1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기저체에 접속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제2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덮개에 접속된다.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제3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기저체에 접속되고,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제4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덮개에 접속된다. 덮개 설비는 슬라이딩 통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통로는 덮개의 고유 부분이고, 제1 및 제2 피봇 구성요소들 중 하나는 통로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통로는 기저체의 고유 부분이고, 제3 및 제4 피봇 구성요소들 중 하나는 통로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통로는 제1 및 제2 접속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 부분이다. 상기 접속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가능한 결합 부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봇 구성요소는 힌지이다.
본 발명의 양상은 덮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립 구성요소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로킹 모듈을 더 구비한다. 통로 내의 제1 접속 구성요소의 부분은 그것이 통로 내에서 슬라이드할 수 없도록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은 제1 및 제2 접속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하나의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일종의 로드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있어서,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일종의 로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통로는 일종의 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제1 및 제2 단부가 제공되는 통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에는 폐쇄 위치가 제공된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덮개는 기저체의 장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기저체의 장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덮개의 제1 표면은 기저체로부터 벗어나고, 덮개에는 교호하는 제1 및 제2 개방 위치들이 제공된다. 상기 교호하는 제1 및 제2 개방 위치들에서, 덮개는 기저체의 장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설치된다.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통로 내에 위치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에 속하는 부분은 통로의 제1 단부 가까이에 설치된다. 덮개의 제1 개방 위치에서, 통로 내에 위치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에 속하는 부분은 통로의 제1 단부 가까이에 설치되고 덮개의 제1 표면은 전방을 향하고 기저체로부터 벗어난다. 덮개의 제2 개방 위치에서, 통로 내에 위치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에 속하는 부분은, 통로의 제2 단부 가까이에 설치되고 덮개의 제2 표면은 전방을 향하고 기저체로부터 벗어난다.
도 1은 덮개 설비를 갖는 변기 보울의 사시도.
도 2는 변기 보울의 시트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보울의 측면도.
도 3은 변기 보울의 시트 덮개가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보울의 측면도.
도 4는 변기 보울의 시트 덮개가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보울의 측면도.
도 5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덮개 설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접속 구성요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접속 요소를 갖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접속 구성요소를 갖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덮개가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접속 구성요소를 갖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덮개가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덮개가 폐쇄 위치에 도시되고 로킹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덮개가 부분적으로 제1 개방 위치에 도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덮개 설비의 측단면도.
도 13은 덮개가 제1 개방 위치에 도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덮개 설비의 측단면도.
도 14는 덮개가 부분적으로 제2 개방 위치에 도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덮개 설비의 측단면도.
도 15는 덮개가 부분적으로 제2 개방 위치에 도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덮개 설비의 측단면도.
도 16은 덮개가 제2 개방 위치에 도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덮개 설비의 측단면도.
도 17은 접속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8은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7에 도시된 접속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덮개 설비의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
도 19는 접속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요구조건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예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예는 복수의 형태들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 개시된 특정 상세들은 제한의 종류로서 설명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기초로서, 그리고 이와 같은 분야에서 이들 기술자들이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시사되는 전형적인 기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덮개 설비(20)를 갖는 변기 보울(25)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변기 보울(25)을 사용할 때 덮개(40)의 상이한 위치들의 예들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다.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제1 표면(42)이 변기 보울(25)로부터 벗어나고 외측을 향하는 방식으로 덮개(40)는 변기 보울(25)을 덮는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40)가 제1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표면(42)은 공간(28)과 실질적으로 마주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40)가 제2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표면(42)은 실질적으로 그것의 후면을 공간(28)으로 돌린다.
도 5는 전체로서 덮개 설비(2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덮개 설비(20)는 덮개(40), 기저체(60) 및 접속 모듈(80)을 포함한다. 덮개 설비(20)는 개방 가능한 덮개로서, 변기 보울들, 비데들 또는 컨테이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전체로서 덮개 설비(1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덮개 설비(120)는 덮개(40), 기저체(60) 및 접속 모듈(80)을 구비하고, 구동 장치(30)를 더 구비한다. 덮개 설비(120)의 덮개(40)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또는 이와 같은 2개의 모드들의 조합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시된 덮개 설비(120)의 실시예는 자동으로 및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설비(120)는 덮개(40)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고, 덮개(40)를 수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고, 덮개(40)를 수동으로 개방하고 덮개(40)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또는 덮개(4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덮개(40)를 수동으로 폐쇄할 수 있다.
덮개(40)는 변기 보울의 변기 덮개와 같은, 개구를 갖는 덮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덮개(40)는 플라스틱들, 세라믹스 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표준 산업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재료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 설명된 것과 같이, 덮개(40)는 제1 표면(42) 및 제2 표면(44)을 포함한다.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2), 제1 표면(42)은 그것의 후방을 덮인 장비로 돌려 외측을 향하고, 공간(28)과 마주한다. 예를 들어, 제1 표면(42)은 덮개(40)의 상면일 수 있다.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면은 그것의 후방을 변기 보울(25)로 돌리고 위쪽을 향한다.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2), 제2 표면(44)은 안쪽을 향하고 덮힌 장비와 마주한다. 예를 들어, 제2 표면(44)은 덮개(40)의 저면일 수 있다.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저면은 변기 보울(25) 아래를 향한다. 도 3에 설명된 것과 같이, 덮개(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그립 구성요소들(52)을 소유할 수 있다. 그립 구성요소(52)는 예를 들어 핸드, 양각 무늬 또는 노치일 수 있다. 그립 구성요소(52)는 필요에 따라 덮개(40) 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립 구성요소(52)는 일체로 성형된 덮개(40)의 고유 부분 또는 독립 구성요소일 수 있다.
기저체(60)는 덮개 설비(20) 및 덮개(120)를 변기 보울 또는 비데(도 2)와 같은 장비 또는 컨테이너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체(60)는 임의 표준 산업 재료들, 예컨대 플라스틱들, 세라믹스 및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이러한 재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부착 구성요소(62)는 기저체(60)를 장비에 접속한다. 부착 구성요소(62)는 예를 들어, 죔쇠, 필러, 스크류,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일 수 있다. 또는, 부착 구성요소(62)는 접착제들일 수 있다. 부착 구성요소(62)는 일체로 성형된 기저체(60)의 고유 부분 또는 독립 구성요소일 수 있다. 기저체(60)의 크기 및 형상은 구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관련 산업 표준에 부합하는 임의의 장비, 예컨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구동 장치(30)는 기저체(60)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것은 기저체(60) 아래 또는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덮개(40)를 기저체(60)에 접속하는 접속 모듈(80)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 모듈(80)은 복수의 접속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를 포함한다. 또는, 접속 모듈(80)은 2개 이상의 접속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는 임의의 표준 산업 재료들, 예컨대 금속, 플라스틱들 및 복합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피봇 구성요소(64)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의 제1 베이스(86)를 기저체(6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덮개(40)의 통로(46)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의 제1 덮개 부분(88)(도 8)을 피봇 및 슬라이드 가능 방식으로 수용한다. 통로(46)는 임의의 유형의 수용 통로, 예컨대 채널, 공동, 홈 또는 슬롯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통로(46)는 홈이다. 통로(46)는 제1 스톱 구성요소(47) 및 제2 스톱 구성요소(49)(도 8)를 포함한다. 제1 스톱 구성요소(47)는 제1 덮개 부분(88)이 통로(46)(도 9) 내의 제1 위치(51)를 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스톱 구성요소(49)는 제1 덮개 부분(88)이 통로(46)(도 10) 내의 제2 위치(53)를 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스톱 구성요소(47) 및 제2 스톱 구성요소(49)는 예들 들어 덮개(40)의 복수의 부분들에 형성되고 통로에 임베딩된 구성요소들의 말단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끝벽일 수 있다. 제2 피봇 구성요소(66)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제2 베이스(90)를 기저체(6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덮개(40)의 제3 피봇 구성요소(48)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제2 덮개 부분(92)을 덮개(4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제1 피봇 구성요소(64), 제2 피봇 구성요소(66) 및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각각의 덮개는 덮개(40)의 일부 또는 기저체(60)의 일부이다. 통로(46)는 덮개(40)의 일부, 또는 기저체(60)의 일부 또는 접속 모듈(80)의 일부이다. 위에서 언급한 구조의 "부분"은 구조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구조의 부속물로서 규정된다. 예를 들어, 제1 피봇 구성요소(64), 제2 피봇 구성요소(66), 제3 피봇 구성요소(48) 및 통로(46)에 관해, 이들 각각은 덮개(40) 또는 기저체(6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또는 덮개(40) 또는 기저체(60)에 부가되는 독립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봇 구성요소(64), 제2 피봇 구성요소(66) 및 제3 피봇 구성요소(48)에 대해, 이들 각각은 덮개(40) 또는 기저체(60)에 부가되거나 설치되는 독립 힌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46)는 덮개(40) 또는 기저체(60)에 부가되는 독립 구성요소에 형성되는 통로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통로(46)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 또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고유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부분은 제1 접속 구성요소(82) 또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다른 부분과 후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한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 둘다는 후퇴 가능한 결합을 위한 접속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제1 피봇 구성요소(64), 제2 피봇 구성요소(66) 및 제3 피봇 구성요소(48)(도 6)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30)는 단지 제1 피봇 구성요소(64)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단지 제2 피봇 구성요소(66)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제1 피봇 구성요소(64) 및 제2 피봇 구성요소(66) 모두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30)는 단지 제3 피봇 구성요소(48)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단지 통로(46)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제3 피봇 구성요소(48) 및 통로(46)에 접속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동 장치(30)는 회전력을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접속 구성요소(84) 중 하나에만 작용시킬 수 있고, 또는 회전력을 동시에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접속 구성요소(84) 모두에 작용시킬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장치들(30)은 제1 피봇 구성요소(64), 제2 피봇 구성요소(66), 제3 피봇 구성요소(48) 및 통로(46)의 임의의 조합에 접속될 수 있다.
전체로서의 덮개 설비(22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다. 덮개 설비(220)는 제1 덮개(88)와 결합하는 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성요소(56)를 소유하는 로킹 모듈(50)을 더 구비한다. 로킹 모듈(50)은 금속, 플라스틱들 및 고무와 같은 임의의 표준 산업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구성요소(55)는 금속 또는 강성 플라스틱들과 같은 강성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는 연성 고무 또는 연성 플라스틱과 같은 자기 또는 가요성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구성요소(55)는 일체로 성형된 로킹 모듈(50)의 고유 부분일 수 있고, 및 결합 구성요소(55)는 또한 로킹(57)의 기저체에 부가된 독립 구성요소일 수 있다. 덮개(40)의 로킹 모듈(50)은 제1 덮개(88)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된 위치에서, 로킹 모듈(50)은 제1 덮개(88)가 통로(46) 내의 스톱 구성요소(49)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덮개(88)를 제한한다. 로킹되지 않은 위치에서, 로킹 모듈(50)은 제1 덮개(88)가 통로(46)의 스톱 구성요소(49)를 향해 슬라이드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덮개(88)를 제한하지 않는다.
전체로서의 덮개 설비(32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다. 덮개 설비(320)는 제1 접속 구성요소(1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184)와 같은 복수의 접속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접속 모듈(180)을 구비한다. 제1 접속 구성요소(1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184)는 금속, 플라스틱들 및 합성물들과 같은 임의의 표준 산업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피봇 구성요소(64)는 제1 접속 구성요소(182)의 제1 기저체 부분(186)을 기저체(6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덮개(140)의 제3 피봇 구성요소(148)는 제1 접속 구성요소(182)의 제1 덮개(192)를 덮개(14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제2 피봇 구성요소(66)는 제2 접속 구성요소(184)의 제2 기저체 부분(190)을 기저체(60)에 피봇 접속에 의해 접속한다. 덮개(140)의 통로(146)는 제2 접속 구성요소(184)의 제2 덮개(188)를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포함한다. 제1 스톱 구성요소(147)는 제2 덮개(188)가 통로(146)의 제1 위치(151)를 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한다. 로킹 모듈(50)은 선택적으로 제2 덮개(188)가 통로(146)의 제2 위치(153)에 위치된 제2 스톱 구성요소(149)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19는 전체로서 접속 모듈(28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접속 모듈(280)은 제1 피봇 구성요소(64) 및 제4 피봇 구성요소(68)에 접속되는 제1 접속 구성요소(282)를 구비하고, 또 제2 피봇 구성요소(66) 및 제3 피봇 구성요소(48)에 접속되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를 구비한다. 제1 접속 구성요소(282)는 후퇴 가능한 방식으로 제1 덮개 부분(288)에 접속되는 통로(246)에 제1 베이스(290)를 소유한다. 또는, 제2 접속 구성요소(84)는 통로(246)를 구비하는 후퇴 가능한 구성요소일 수 있고 또는 제1 접속 구성요소(2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는 모두 통로(246)를 포함하는 후퇴 가능한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통로(246)는 선택적으로 로킹 모듈(50)을 구비할 수 있다.
덮개 설비(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덮개(4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허용한다. 그립 구성요소(52)를 밖으로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제1 표면(42)이 공간(28)을 향하게 하는 제1 개방 위치로 덮개(40)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립 구성요소(52)에 작용하는 견인력(pulling force)은 덮개(40)가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축선 주위로 상승 및 회전하게 한다. 제1 덮개 부분(88)은 제1 스톱 구성요소(47)로 눌리고 따라서, 제2 스톱 구성요소(49)로부터 더 멀리 슬라이딩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40)의 부분을 밖으로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덮개(40)를 제2 개방 위치까지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표면(42)을 공간(28)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제2 표면(44)을 공간(28)과 마주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덮개(40)를 기저체(60)로부터 최대 범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기저체는 일반적으로 변기 보울의 전방부분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덮개(40)의 부분에 작용하는 견인력은 덮개(40)를 상승시키고 덮개(40)를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게 하지 않는다. 덮개(40)가 제2 개방 위치로 개방되면, 제1 덮개 부분(88)은 통로(46) 내에서 제2 위치(53)에 위치된 제2 스톱 구성요소(49)를 향해 슬라이드하고; 제1 덮개 부분(88)이 제2 스톱 구성요소(49)에 의해 제1 위치(51)로부터 더 멀리 슬라이딩하는 것이 제한되면, 덮개(40)는 더 개방 또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덮개(40)의 동작은 구동 장치(30)를 포함하는 덮개 설비(120)를 통해 자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 덮개 설비(120)의 자동 동작 과정 중, 버튼, 스위치, 제어 레버 또는 센서(표시되지 않음)와 같은 스타팅 장치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 장치(30)는 작동된다. 구동 장치(30)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가 제1 피봇 구성요소(64)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고 제2 접속 구성요소(84)가 제2 피봇 구성요소(66)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게 하기 위해 접속 모듈(80)을 구동한다. 제1 덮개 부분(88)은 제1 스톱 구성요소(47)에 의해 제2 스톱 구성요소(49)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통로(46)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 제한된다. 덮개(40)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축선 주위를 회전한다. 제1 개방 위치에서, 덮개(40)의 제1 표면(42)은 덮개 설비의 개구 밖에 있는 공간(28)과 마주하고, 예를 들어, 그것은 변기 보울(25)의 사용자와 마주한다. 예를 들어 덮개(40)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면, 사용자는 변기 보울(25) 위에 착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더 깨끗한 제1 표면(42) 위로 후방으로 기댈 수 있다.
덮개(40)를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해, 구동 장치(30)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가 이들이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작동된다. 덮개(40)는 그것이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한다. 덮개(40)는 그것의 원래의 폐쇄 위치로 복귀하고, 그와 같은 위치에서, 제1 표면(42)은 변기 보울(25) 위에 위치된 공간(28)과 같은 덮인 장비의 외부에 위치된 공간(28)과 마주한다.
덮개(40)는 또한 수동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덮개(40)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덮개(40)의 부분을 터치하고 힘을 덮개(40)에 가한다. 이와 같은 힘은 장비를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덮개(40)의 앞부분을 파지하고 덮개(40)를 변기 보울(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위로 들어올린다. 제1 접속 구성요소(82)는 제1 피봇 구성요소(64)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고 제2 접속 구성요소(84)는 제2 피봇 구성요소(66)의 축선 주위를 회전한다. 제1 덮개 부분(88)은 제1 덮개 부분(88)이 제2 스톱 구성요소(49)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제2 위치(53)를 향해 슬라이드한다. 덮개(40)는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축선에 대해 기본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덮개(40)의 제2 표면(44)은 상기 장비의 개구의 외부의 공간(28)과 마주하고; 예를 들어, 그것은 변기 보울(25)의 사용자와 마주한다. 예를 들어, 변기 보울(25)의 서비스 과정 중, 사용자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스플래쉬들(splashes) 또는 방향 없는 물체들(directionless objects)은 제2 표면(44) 위에 모두 떨어질 것이고, 그 결과 제1 표면(42)은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유지될 것이다. 또는, 덮개(40)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방법에 대해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덮개(40)의 후방 부분에 위치된 그립 구성요소(52)를 파지할 수 있고, 덮개(40)를 접속 모듈(80) 주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그것을 변기 보울(25)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따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그 결과 덮개(40)는 변기 보울(25)의 사용자와 마주한다.
덮개(40)를 수동으로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덮개(40)의 부분을 터치하고 장비를 향해 힘을 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덮개(40)의 전방 부분으로서 간주되는 부분을 잡을 수 있고, 그것을 변기 보울(25)을 향해 아래쪽으로 당긴다. 제1 덮개 부분(88)은 제1 덮개 부분(88)이 제1 스톱 구성요소(47)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통로(46) 내의 제1 위치(51)를 향해 슬라이드한다. 사용자는 덮개(40)를 폐쇄 위치로 다시 가져갈 수 있고 또는 중력에 의해 폐쇄 위치로 다시 덮개가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덮개 부분(40)이 부분적으로 폐쇄된 후 덮개(40)를 해제한다. 또는, 사용자는 덮개(40)의 후방 부분으로서 간주되는 부분을 잡을 수 있고 이후 덮개(40)를 접속 모듈(80)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해 그것을 변기 보울(25)을 향해 아래쪽으로 밀거나 당긴다(예컨대, 덮개(40)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이전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덮개 설비들(20, 120)은 선택적으로 로킹 구성요소(5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40)가 제1 개방 위치까지 개방된 경우, 결합 구성요소(55)는 제1 덮개(88)가 제2 위치(53)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덮개(88)를 제한할 수 있다. 덮개(40)는 덮개(40)가 제1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표면(42)이 공간(28)과 마주하도록 하기 위해 제3 피봇 구성요소(48)의 축선 주위를 회전한다. 덮개(40)를 제2 개방 위치로 개방하기 위해, 결합 구성요소(55)는 특정 위치에서 정지하고 그 결과 제1 덮개(88)가 제2 위치(53)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결합 구성요소(55)는 제1 덮개(88)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통로(46)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실질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또는, 결합 구성요소(55)는 약간 가요성이 있을 수 있고, 그 결과 제1 덮개(88)로부터의 힘은 결합 구성요소(55)의 충분한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제1 덮개(88)는 결합 구성요소(55)를 통해 제2 위치(53)를 향해 슬라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구성요소(55)는 자성체일 수 있다. 수동 동작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덮개(40)에 원래 작용하는 힘은 제1 덮개 부분(88)이 접속 구성요소(55)가 멀어지는 것을 중지시키고 통로(46) 내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접속 구성요소(55)에 의해 제1 덮개 부분(88)에 작용하는 속박력(constraint force)을 극복한다. 자동 동작의 과정에서, 구동 장치(30)에 의해 작용되는 제1 덮개(88)로 전달되는 힘은 제1 덮개(88)가 결합 구성요소(55)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중단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되지 않고, 상기 힘의 강도는 제1 덮개(88)가 결합 구성요소(55)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않다.
통로(46)가 덮개(40)의 고유 부분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46)는 덮개(40)의 표면 위에 또는 덮개(40) 내에 있도록 설치된다. 로킹 구성요소(50)의 크기는 제한된다. 이와 같은 로킹 구성요소(50)는 자동 동작 과정에서 통로(46) 내의 제1 덮개(88)의 슬라이딩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속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만약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무게 중심이 통로(46)의 정면에 놓이도록 덮개(40) 및 통로(46)가 구성되면, 이때 로킹 구성요소(50)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다.
덮개(40)가 수동으로 개방된 후, 덮개(40)는 또한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또는, 덮개(40)가 자동으로 개방된 후, 덮개(40)는 또한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수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저체(60), 제1 표면(42), 제2 표면(44), 통로(46), 제3 피봇 구성요소(48), 로킹 구성요소(50)의 덮개(40),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를 포함하는 덮개 설비(20)이다. 제1 접속 구성요소(82)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82)의 제1 기저체(86)는 기저체(60)에 제1 피봇 구성요소(64)에 의해 접속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82)의 제1 덮개(88)는 통로(46)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접속 구성요소(82)의 제1 덮개(88)는 로킹 구성요소(50)에 의해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한된다. 제2 접속 구성요소(84)에 있어서,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제2 기저체(90)는 기저체(60)에 제2 피봇 구성요소(66)에 의해 접속되고, 제2 접속 구성요소(84)의 제2 덮개(92)는 제3 피봇 구성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구동 장치(30)는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82)가 로킹 구성요소(50)에 의해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한된다. 구동 장치(30)가 제1 접속 구성요소(82)에 접속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1 접속 구성요소(82)가 덮개(4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동 장치(30)로부터의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덮개(4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제1 표면(42)이 공간(28)과 마주한다. 이와 같은 공간(28)은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영역 위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82)가 로킹 구성요소(50)에 의해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한되고; 구동 장치(30)가 제2 접속 구성요소(84)에 접속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2 접속 구성요소(84)가 덮개(4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동 장치(30)로부터의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덮개(4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제1 표면(42)이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영역 위에 있는 공간(28)과 마주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82)가 로킹 구성요소(50)에 의해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한되고; 구동 장치(30)가 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에 접속되고, 그렇게 함으로써제1 접속 구성요소(82) 및 제2 접속 구성요소(84)가 덮개(4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동 장치(30)로부터의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덮개(4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제1 표면(42)이 덮개(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40)의 영역 위에 있는 공간(28)과 마주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속 구성요소(82)는 원드(wand)인 덮개 설비(20)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접속 구성요소(84)는 원드인 덮개 설비(20)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46)는 홈인 덮개 설비(20)이다.
상기 실시예는 다양한 방식들로 변형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변형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덮개 설비 및/또는 그것의 요소들에 대한 변경들 및 변형들은 여기에 독립적으로 개시된 또는 청구항들에 청구된 특징들의 조합들을 포함하고, 또 덮개 설비의 이와 같은 특징들 또는 다른 선택적 유형들의 다른 조합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덮개 설비에는 2개 이상의 접속 구성요소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구성 및 구조의 양상에서 복수의 가능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덮개의 외면은 줄무늬들(veins)일 수 있고, 직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또는 천과 같은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재료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변경들 및/또는 조합들은 모두 상기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의 범위에 속하고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의해 보호될 것이다.

Claims (12)

  1. 덮개 설비에 있어서,
    기저체;
    제1 표면 및 제2 대향 표면이 제공되는 덮개;
    제1 접속 구성요소 및 제2 접속 구성요소가 제공되어, 상기 기저체를 상기 덮개에 접속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제1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기저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제2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덮개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제3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기저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제4 피봇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덮개에 접속되며,
    상기 덮개 설비는 슬라이딩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통로는 상기 덮개의 부분이고, 상기 제1 피봇 구성요소 및 상기 제2 피봇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기 통로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통로는 상기 기저체의 부분이고, 상기 제3 피봇 구성요소 및 상기 제4 피봇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기 통로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통로는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 및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고,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 및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구성요소는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에 위치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의 부분은 상기 통로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 상기 로킹 구성요소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제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 및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하나의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는 원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구성요소는 원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폐쇄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기저체의 장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그리고 상기 기저체의 상기 장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기저체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덮개에는 교호하는 제1 및 제2 개방 위치들이 제공되고, 상기 교호하는 제1 및 제2 개방 위치들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기저체의 상기 장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통로에 위치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의 상기 부분은 상기 통로의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상기 제1 개방 위치에서, 상기 통로에 위치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의 상기 부분은 상기 통로의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제1 표면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기저체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덮개의 상기 제2 개방 위치에서, 상기 통로에 위치된 상기 제1 접속 구성요소의 상기 부분은 상기 통로의 상기 제2 단부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제2 표면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기저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설비.
KR1020127014770A 2009-11-17 2010-11-16 덮개 설비 KR101493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1000211.0A CN102058343B (zh) 2009-11-17 2009-11-17 盖装置
CN200911000211.0 2009-11-17
PCT/CN2010/078801 WO2011060710A1 (zh) 2009-11-17 2010-11-16 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779A true KR20120084779A (ko) 2012-07-30
KR101493272B1 KR101493272B1 (ko) 2015-02-16

Family

ID=4399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770A KR101493272B1 (ko) 2009-11-17 2010-11-16 덮개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39156B2 (ko)
EP (1) EP2502533B1 (ko)
JP (1) JP2013510599A (ko)
KR (1) KR101493272B1 (ko)
CN (1) CN102058343B (ko)
BR (1) BR112012011716A2 (ko)
WO (1) WO2011060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978B (zh) * 2013-05-28 2017-10-31 李飞宇 一种马桶盖运动装置
CN104799753B (zh) * 2014-01-23 2017-10-31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盖板铰链翻盖机构
US9845593B2 (en) * 2015-11-03 2017-12-19 David R. Hall Modular toilet system and components
DE102016125563B4 (de) * 2016-12-23 2020-12-24 Villeroy & Boch Ag Deckellagerung für eine Sanitäreinrichtung und Sanitär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CN109907682A (zh) * 2019-04-17 2019-06-21 南京洁畅康电器有限公司 一种识别当事人使用意图的马桶智能掀盖系统
KR102532014B1 (ko) * 2021-08-30 2023-05-12 최지영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양변기용 시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8556A (en) 1917-04-13 1921-11-29 Kinch George Edward Automatic opening mechanism for closet-seat lids
US1342505A (en) 1917-04-13 1920-06-08 Kinch George Edward Lid for closet-seats
US1506459A (en) * 1923-12-28 1924-08-26 William H Street Seat and cover operating mechanism
US2219044A (en) * 1940-03-16 1940-10-22 Arthur F Horr Toilet seat and the like
US3392411A (en) * 1965-11-24 1968-07-16 Andrew J Leon Auxiliary toilet seat
US3670441A (en) * 1971-01-22 1972-06-20 New Century Products Inc Hinged cover construction for a water closet
US6263517B1 (en) * 1999-11-12 2001-07-24 Thomas K. Brooks Toilet seat and cover lifter
US6226804B1 (en) * 2000-09-22 2001-05-08 Calvin Ballard Automatic toilet cover and se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CN2620524Y (zh) * 2003-04-16 2004-06-16 程献华 坐便器翻盖装置
JP2005095502A (ja) * 2003-09-26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蓋の自動開閉装置
US20060005309A1 (en) 2004-07-06 2006-01-12 Aurora Satnam S Gears assisted-mechanized toilet seat lifting/lowering system
JP4516465B2 (ja) * 2005-03-29 2010-08-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装置
US20070017014A1 (en) * 2005-07-21 2007-01-25 Dismuke Billy C Cover lifting device
WO2008029388A2 (en) 2006-09-03 2008-03-13 Smart Seat Industries Ltd. Toilet seat assembly with motorized deployment mechanism
US8083304B2 (en) * 2007-07-18 2011-12-27 Accuride International, Inc. Self closing mechanism for drawer slides
KR100987229B1 (ko) * 2008-07-10 2010-10-12 정규선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JP3152430U (ja) * 2009-05-20 2009-07-30 黄 新景 自動的に方向転換を行う便蓋を備える便座
KR101413881B1 (ko) 2013-05-24 2014-06-30 박정현 변기용 냄새제거 변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2533A1 (en) 2012-09-26
WO2011060710A1 (zh) 2011-05-26
KR101493272B1 (ko) 2015-02-16
BR112012011716A2 (pt) 2018-03-27
CN102058343A (zh) 2011-05-18
CN102058343B (zh) 2014-10-22
US20130007951A1 (en) 2013-01-10
EP2502533B1 (en) 2017-04-05
JP2013510599A (ja) 2013-03-28
EP2502533A4 (en) 2016-01-13
US9339156B2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779A (ko) 덮개 설비
JP2014094261A (ja) 臀部拭き取り装置
US9347252B2 (en) Foot-operated door opener, door and use
FR2873423A1 (fr) Organe de commande d'un mecanisme d'actionnement de portes ou d'accessoires et ses utilisations
CN110741129A (zh) 用于机动车的门把手设备
KR100984959B1 (ko) 후드래치에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자동차의 잠금해제장치.
JP4116569B2 (ja) 折りたたみ屋根付のコンバーチブル自動車フードを開閉するための装置
JPH09328959A (ja) 電気式窓開閉装置と動作要素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ならびに該連結装置と併用される電気式操作装置
JP2005514263A5 (ko)
US10226155B2 (en) Toilet seat and toilet lid lifter and remote toilet flusher
JP6314093B2 (ja) 臀部拭き取り装置
JP2014233309A (ja) 臀部拭き取り装置
TW201218994A (en) Lid assembly
RU2452360C2 (ru)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 поворотной крышкой для закрывания участка сочленения
KR101158359B1 (ko)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SE1001178A1 (sv) Låsanordning för svängarmsbeslag
JP7253137B2 (ja) 便座装置
EP2849624B1 (en) Roboti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ntainer
JP5180488B2 (ja) 扉体開閉装置
JP4709182B2 (ja) 墜落防止用安全器
AU2007100747A4 (en) Door operator mechanism
ITMI20090695A1 (it) Valigia per motocicli con aggancio laterale di sicurezza
FR2668377A1 (fr) Poignee notamment de baton de ski reliable a un gant et munie d'un organe de securite.
DE19915324A1 (de) Toilettensitzbrille mit Kontaktschutzauflage
JP2022067675A (ja) 調理器具用取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