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546A -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의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의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546A
KR20120083546A KR20127006934A KR20127006934A KR20120083546A KR 20120083546 A KR20120083546 A KR 20120083546A KR 20127006934 A KR20127006934 A KR 20127006934A KR 20127006934 A KR20127006934 A KR 20127006934A KR 20120083546 A KR20120083546 A KR 2012008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spacer
switchgear
blocking unit
termin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078B1 (ko
Inventor
장-삐에르 네로
크리스또쁘 그뤼멜
마르끄 리발
에르베 앙그라드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8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8Rotating bridge being assembled in a cassette, which can be placed as a complete unit into a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01H2071/0285Provisions for an intermediate device between two adjacent circuit breakers having the same general contour but an auxiliary function, e.g. cooling, isolation, wire guiding, magnetic isolation or scre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35Contacts and the arc extinguishing space inside individual separate cases, which ar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Abstract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회로 차단기 (100) 에 의해 제공되는 모듈화의 최대 장점을 얻기 위해, 새로운 구조물이 제안되었다. 개폐 장치의 외부 케이스 (48) 는, 단극 차단 유닛 (10), 스페이서 (46), 측벽 (50), 트립 장치 (7) 및 덮개 (64) 사이에서 병렬 및 고정시킴으로써 차단 장치 (600) 의 조립을 실시할 때, 바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스페이서 (46) 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개폐 장치 (100) 의 외부 양태 또는 지연 방식으로 트립 장치 (7) 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의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ASSEMBLY OF DOUBLE-CASING MULTIPOLAR CUTOFF DEVICE, AND CIRCUIT BREAKER INCLUDING SAME}
본원은 모듈라 저전압 다극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트립 장치는 별개의 차단 카트리지를 각각 포함하는 극 모두에 공통이다. 본원은, 회로 차단기에서 파라미터화될 상이한 기능 및/또는 크기에 대한 모듈화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종래의 이중 인클로저를 변형한 상기 유형의 회로 차단기에 대한 새로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EP 0 542 636 에 개시되어 있고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전압 다극 개폐 장치 (1),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이중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차단기 (1) 의 외부 케이스 (2) 는, 보호할 라인에 연결되는 라인측 단자 스트립 (4) 과 부하측 단자 스트립 (5) 사이의 다수의 단극 전류 차단 유닛 (3) 을 수용한다. 이러한 케이스 (2) 내의 차단 유닛 (3) 세트는 부하측 단자 스트립 (5) 의 높이에서 단일 트립 장치 (7) 에 연결되는 차단 장치 (6) 를 형성한다. 또한 카트리지라고 하는 차단 유닛 (3) 각각은, 아크 소멸 챔버와 연관되는, 차단 기구, 특히 개방 이격 위치와 폐쇄 전류 흐름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접촉자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단 유닛 (3) 중 하나는 작동 기구 (8) 와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물은 차단 유닛 (3) 의 모듈화로 인해 제조 및 저장 비용을 저감시키는 주목할만한 장점을 가진다. 회로 차단기 (1) 의 조립은 더 간단하다.
특히 차단 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이한 기술적 대안이 개발되었지만, 각각의 대안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연결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일부 회로 차단기에서는 트립 장치 (7) 와 단일 차단 장치 (6) 사이에 다이렉트 리어 플러그 인을 사용한다 (EP 1 126 487). 하지만, 단일 차단은 어떠한 전기적 성능에 대한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일부 회로 차단기 (1) 에서는, 상당한 용량의 카트리지 (3) 및 그로 인해 극 사이의 피치가 더 긴 큰 폭의 회로 차단기 (1) 를 얹은 병렬식 이중 차단을 사용한다 (WO 01/39231). 다른 회로 차단기 (1) (EP 0 542 636) 는 회전식 이중 차단을 사용하여 폭을 고려하여 크기를 제한하지만, 이는 장치 (1) 의 노즈 (9) 위치의 수직 오프셋을 유도하게 되고, 덮개의 일부로부터 작동 기구 (8) 의 트리핑 핸들이 형성되어, 캐비넷에 비대칭 전방 플레이트를 사용하게 한다. 게다가, 가스의 배출구는 회로 차단기 (7) 및 단자에 매우 근접하고, 그리하여 방해 아크 섬락 (nuisance arc flashovers) 을 방지하도록 어떠한 수단, 안전 주변부 및/또는 액세서리에 의해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종래의 회전식 이중 차단 장치는, 트립 장치 (7) 의 전방을 통하여, 즉 회로 차단기 (1) 의 노즈 (9) 및 핸들을 포함하는 정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에 기초로 하여, 연결 및 복잡한 조립체에 있어서 곤란하게 된다.
다른 장점 중에서, 본원의 목적은 이중 인클로저를 갖춘 종래의 다극 개폐 장치의 단점을 완화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의 목적은 단극 차단 카트리지의 사용 및 트립 장치의 표준화에 의해 제공되는 모듈화의 최대 장점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목적 중 하나는, 한정된 개수의 부재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사용 기준, 특히 패널 (레일상에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음) 에서의 조립체의 종류 및 극사이의 피치 (메트릭 (metric) 또는 임페리얼 (imperial)) 를 만족할 수 있는 연속 단계에 의해 달성되는 개폐 장치를 얻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원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용 트립 장치의 상호교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원의 다른 목적은, 개폐 장치의 변동성 (ruggedness) 이 630 A 까지, 또는 심지어 800 A 까지의 저전압 범위에 걸치면서, 동시에 패널에 장착할 시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치의 높이 치수를 이용가능한 값내에 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60 A 회로 차단에 대해서, 개폐 장치의 "전체" 높이, 즉 액세서리없는 높이는 약 130 ㎜ 이다.
본원의 다른 목적은, 패널에서의 장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전체 높이에 대하여 개폐 장치의 덮개의 노즈를 중심맞추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160 A 회로 차단기에 대하여, 45 ㎜ 노즈는 유닛의 상부로부터 42.5 ㎜ 에 위치된다.
본원에 의해 제공되는 방안은 이후의 청구항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일 특징에 따라서, 본원은 큰 패널을 따라서 단극 차단 유닛을 병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극 개폐 장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단극 차단 유닛 사이에는 서로 동일한 것이 유리한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차단 유닛을 고정시키고 또한 이 단극 차단 유닛은, 평행한 측벽과 함께, 이중 인클로저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이중 인클로저는 하부면 및 상부면에 직각인 2 개의 실질적으로 솔리드인 측방향 표면으로 구성되고, 2 개의 표면은 서로 인접하고 직각이다.
특히, 단극 차단 유닛 각각은, 차단 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바 또는 브리지를 구비하여, 이중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이 차단 유닛의 연결 단자는 2 개의 반대편 작은 패널상에서 케이스로부터 각각 개방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바의 회전 방향은 역전되고, 즉 트립 장치 쪽의 연결 단자 스트립 또는 부하측 단자 스트립은 유닛의 후방에, 즉 하부면 반대편의 표면보다는 하부면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고, 단극 유닛의 경우에는 가스 배출 채널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 외측의 케이스를 따라서 일방의 개구에서부터 타방의 개구까지 상기 가스를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급랭 가스용 2 개의 측방향 유출구가 또한 제공된다.
회로 차단기의 극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극 유닛은, 이러한 단극 유닛을 이격하는 다수, 1 개 더 적은 스페이서와 연관되어 있다. 스페이서 각각은 큰 패널을 따라서 유닛을 이격하는 중앙 격벽을 포함한다. 중앙 격벽에는 개폐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특히 단극 차단 유닛의 동시 구동 로드를 통과시키는 수단 및 유닛 사이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중앙 격벽은 추가의 기능적 수단, 예를 들어 차단 유닛의 측방향 통로와 함께 작동하는 가스의 측방향 안내 채널, 차단 유닛을 고정시키는 안내 수단, 카트리지 및/또는 전력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돌출부, 구동 로드에 작용하는 작동 보조 수단, 예를 들어 개방 및/또는 폐쇄시 로드의 운동을 가속화시키는 스프링, 센서 등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및 카트리지는, 적합한 수단에 의해 고정 및 클램핑되자마자, 기밀 밀봉된 컴팩트한 차단 조립체를 형성하고, 즉 가스는 카트리지 사이에서 흐르지 않고 상기 목적으로 제공된 통로내에서만 흐른다. 그리하여, 스페이서에는 개폐 장치를 벽 또는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 및 고정시키는 수단, 특히 리벳을 고정시키는 안내부가 제공된다. 이 안내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격벽을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이는 기계 현가력을 지지하는 스페이서이다.
스페이서 각각의 일측은 개폐 장치의 이중 인클로저의 하부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가장자리는 중앙 격벽에 수직하게 되어, 2 개의 스페이서의 병렬로 인해 2 개의 가장자리를 나란히 배치하여, 조립체의 고정이 실시될 때 상기 하부벽의 솔리드부를 형성한다. 이 가장자리에는 래칭 수단, 예를 들어 DIN 레일용 절취부가 제공될 수 있고, 래칭 노즈가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가장자리는 중앙 격벽의 길이를 따라서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만을 통과시키도록 연장할 수 있다.
스페이서 각각의 타측은 차단 장치의 상부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스페이서는 중앙 격벽 및 하부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상부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하여 2 개의 스페이서의 병렬로 인해 2 개의 상부 가장자리를 나란히 배치하게 되어, 상기 상부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단극 차단 유닛의 연결 단자 스트립 및 어떠한 다른 장치로의 통과 개구, 특히 관통 구멍은 단극 유닛의 가스 유출 채널과 대면한다. 상부 가장자리는 기능적 돌출부, 예를 들어 중앙 격벽에 수직하고 또한 연결 단자 터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부 가장자리에 평행한 돌출부, 또는 하부벽에 평행하고 또한 개폐 장치의 덮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지체의 돌출부의 두께에서의 단면까지 제한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형태이든지, 상부 가장자리 또는 중앙 격벽에는 연면 간격으로서 작용하는 직각 부재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중앙 격벽은 상부 가장자리의 중심에서 그 두께가 도려내어져 슬롯을 형성한다.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격벽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단극 유닛용으로 의도되는 공동 각각은 2 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측에 의해 한정된다. 중앙 격벽의 두께 및 가장자리의 폭에 의해 한정되는 2 개의 공동 사이의 간격은 장치의 통상적인 피치로 조절될 수 있다.
하나가 작동 기구와 결합되는 스페이서 및 단극 유닛은 서로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차단 유닛은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응력을 직접 흡수하도록 스페이서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안내된다. 단극 유닛 및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유닛은 동시 구동 수단, 특히 관통 로드와 연관되고, 적합한 연결 단자는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과 연관될 수 있다. 전체 조립체는 각 단부에서 측벽에 의해 폐쇄되고, 측벽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가장자리와 유사한 2 개의 가장자리 및 하나의 정면 중 하나상의 대응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이중 인클로저를 가진 회로 차단기 유형의 개폐 장치를 형성하도록 트립 장치 및/또는 폐쇄 덮개와 연관될 수 있는 다극 개폐 장치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트립 장치는 장착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폐 장치의 스페이서 또는 카트리지 상에서의 슬라이딩시 안내된다. 다극 개폐 장치상의 트립 장치의 고정 수단은,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스페이서의 안내 구멍 유형의 적합한 수단으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은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개폐 장치 및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비한정적인 방식으로만 설명하는 이하 본원의 특정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이미 설명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인클로저를 가진 저전압 다극 회로 차단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 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 장치용 단극 차단 유닛 및 이 단극 차단 유닛의 케이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및 도 3b 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 장치의 장착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단 장치용 스페이서 및 그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 는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폐 장치 (1) 로 구성되는 부재, 특히 차단 장치 (6) 를 형성하는 단극 카트리지 (3) 는 사용 위치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고, 이 사용 위치에서 회로 차단기 (1) 는, 도 1 의 반대편에서, 패널내에 위치 장착되고, 노즈 (9) 는 벽 또는 장착 플레이트에 평행한 수직 핸들, 상부에 위치한 전기 라인상의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및 하부에 있는 트립 장치 (7) 를 포함한다. "측방", "상부", "하부" 등의 상대 위치 용어의 사용은 한정 요인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본원에 따른 다극 개폐 장치 (100),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다수의 카트리지 (10) 또는 단극 차단 유닛을 포함하는 차단 장치 (600) 와 연관된 트립 장치 (7) 를 포함하고, 유닛 (10) 각각은 단극의 차단을 실시하고 또한 카트리지 (10) 의 두께 (e) 에 의해 이격되는 2 개의 평행한 큰 패널 (14) 을 가진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평평한 케이스 (12)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도 2b). 케이스 (12) 는 어떠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또한 큰 패널 (14) 을 가각 포함하는 2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이 부분은 거울 대칭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 (tenon) 및 모르타르 (mortar) 유형의 상보적인 시스템에 의해 케이스 (12) 의 부분들이 서로 끼워지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2 개의 부분 중 하나는 다른 부분의 리세스에 진입하도록 적합한 뾰족부를 포함한다. 단극 유닛 (10) 의 케이스 (12) 의 병치 및 다극 회로 차단기 (100) 를 위해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장치 (18) 가 더 제공된다.
단극 유닛 (10) 의 케이스 (12) 는 차단 부재를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차단 기구 (20) 는 이중 회전식 차단 기구이다. 본원에 따른 회로 차단기 (100) 는, 실제로, 단일 차단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800 A 에 도달할 수 있는 적용을 위해서 특히 구성된다. 더욱이, 기술적 대안을 고려하여, 이중 회전식 차단은 전기 성능과 공간 점유간의 최고의 교환을 제공해준다. 특히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두께 (e) 는 160 A 정격에 대하여 약 22 ㎜ 이다.
그리하여, 차단 기구 (20) 는 라인측 단자 스트립 (4) 에 의해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또한 부하측 단자 스트립 (5) 에 의해 트립 장치 (7) 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2 개의 정지 전도체 사이에서 케이스 (12) 내에 수용된다. 케이스의 각 부분은 대응하는 통로 리세스를 포함한다. 단부 각각에서 접촉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동 전도체 (22) 는, 접촉 스트립이 고정 전도체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접촉 스트립이 고정 전도체 각각과 접촉하게 되는 전류 흐름 위치사이에서 선회하도록 장착된다. 아크 소멸 챔버 (24) 는 전기 아크를 제한하도록 접촉 영역 각각과 연관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스 (12) 의 각 부분은, 차단 기구 (20) 로 구성되는 상이한 부재의 비교적 안정적인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장치, 특히 소멸 챔버 (24) 각각에 대한 2 개의 대칭 하우징, 및 가동 전도체 (22) 와 결합되는 회전식 바 (26) 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의 중앙 하우징과 함께 성형된다. 특히 베어링으로서 작용하는 2 개의 플랜지 플레이트에 의해 회전식 바 (26) 를 둘러싸는 것이 유리하다 ("회전식 접촉 브리지를 포함하는 단극 차단 유닛, 상기 하나의 차단 유닛을 포함하는 차단 장치, 및 상기 하나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라는 명칭의 프랑스 특허출원 FR 09 04456 참조). 그리하여, 케이스 (12) 의 중앙 하우징은 플랜지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협력하는 구멍 (28) 을 통하여 바 (26) 의 회전 축선의 높이에서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단극 카트리지 (10) 는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바 (26) 의 높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드 (30) (도 3a 참조) 에 의해, 예를 들어 구멍 (32) 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단일 구동 로드 (30) 가 사용되고, 케이스 (12) 의 각 부분은 전류 흐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를 관통하는 로드 (30) 의 적어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호 형태인 구멍 (34) 을 포함한다. 플랜지 플레이트를 구비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랜지 플레이트 각각은 또한 동시에 구동 로드 (30) 를 조절 통과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가진 구멍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단극 차단 유닛 (10) 에 회전 브리지 (22, 26) 를 장착하는 것은 "역전 (reversed)" 된다. 회로 차단기 (100) (접촉 작동 기구 (8) 의 핸들을 이동시키는 통로를 포함) 의 덮개 노즈 (9) 를, 표준화된 45 ㎜ 버젼으로, 설치 시스템의 미리 제조된 연결부의 기준 개수, 또한 특히 전방 패널의 개수를 한정하도록, 작동시 상기 회로 차단기 (100) 상에 중심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 (26) 의 회전 방향의 역전이 선택되는데, 즉 트립 장치 (7) 쪽 연결 단자 스트립 (5) 은 회로 차단기 (100) 의 후방 쪽으로 위치되고,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은 상부에서 전방 쪽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단 유닛 (10) 의 케이스 (12) 는, 특히 "접촉 브리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을 구비한 차단 장치 및 이러한 하나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라는 명칭의 프랑스 특허출원 FR 09 04457 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차단시마다, 오염 입자로 채워질 수 있는 가스는, 특히 아크 소멸 챔버 (24) 내에서 접촉 단자 스트립으로부터 발생한다. 상기 단자 스트립 근방에 배열된 장치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특히 전자적일 수 있고 또한 그럼으로써 매우 민감한 트립 장치 (7) 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회전 방향이 역전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배기 가스의 유출은 장착 레일 (후방 벽) 쪽으로 및/또는 트립 장치 (7) 의 연결 단자 스트립 (5) 아래에서 실시된다. 회로 차단기 (100) 의 하부의 오염 및 이와 연관된 가능한 전기 아크 섬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를 차단 유닛 (10) 의 상부 쪽으로, 가능하다면 정면 쪽으로 유도하는 것이 추천된다. 특히, 차단 기구 (20) 의 인클로저의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은, 부하측 단자 스트립 (5) 쪽 가스를 개방 구멍 (40) 을 가진 개폐 장치 (100) 의 상부 쪽으로 배향시키도록, 전방측에서 가스 배기 채널 (38) 에 의해 연장된다.
더욱이, 라인측 단자 스트립 (4) 에 연결되는 접촉자로부터의 가스는, 개폐 장치 (100) 의 장착 수단, 특히 DIN 레일 및/또는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또한 전력 연결부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상기 배기 채널 (38) 쪽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단 기구 (20) 의 외측에는 측방 배기 채널 (42) 이 배열되고, 특히 2 개의 구멍 (44A, 44B) 은 케이스 (12) 의 부분 각각에서 카트리지 (10) 로의 배기 채널 (42) 쪽으로 개방되며, 이 구멍은 케이스 (12) 의 벽을 도려내거나 카트리지 (10)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라서, 단극 유닛 (10) 은 스페이서 (46) 에 의해 조립되어 이중 인클로저 (48) 를 형성하여, 이 스페이서 (46) 측방에 배기 채널 (42) 을 통합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물의 장점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차단 장치 (600) 의 외부 인클로저 (48) 는, 실제로, 기능적인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트리지 (10) 가 장착되는 성형된 케이스 (2) 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 (100) 의 극 개수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에 대응하는 다수 (n) 의 유사한 단극 유닛 (10) 은, 극을 이격하는 다수 (n-1) 의 스페이서 (46) 와 병치되고 또한 통상적으로 트립 장치 (7) 와 연관될 수 있는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차단 장치 (600) 를 형성하도록 2 개의 외부 측벽에 의해 폐쇄되며, 이러한 단극 유닛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중앙의 단극 유닛에는 종래의 작동 기구 (8) 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적 대안은 시스템 모듈화의 최대 장점을 이용하고, 동시에 기능적 양태를 유지하고: 다양한 옵션, 예를 들어 극의 개수 (n), 장치 (100, 600) 의 폭 (l), 트립 장치 (7) 의 선택은 한정된 개수의 기준 부재로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46, 146) 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또한 카트리지 (10) 의 큰 패널 (14) 에 평행하게 구성된 중앙 격벽 (52, 152) 과, 후방측에서 이 중앙 격벽 (52, 152)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베이스 (54, 154) 를 주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스페이서 (46) 의 베이스 (54) 는 격벽 (52) 의 각 측에서 2 개의 대칭 가장자리 (54A, 54B) 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하여, 2 개의 스페이서 (46) 의 병치는 단극 차단 유닛 (10) 이 수용되는 공동 (56) 을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2 개의 스페이서 (46) 의 맞은편 하부 가장자리 (54) 는, 스페이서 (46) 가 서로 클램핑될 때 공동의 후방에서 이 공동 (56) 을 폐쇄하지만, 힘 표준 및 조립 조건에 따라서 다른 옵션도 가능하다. 하부 가장자리 (54) 의 병치는, 상이한 종류의 조립체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회로 차단기 (100) 의 차단 장치 (600) 의 하부를 형성한다. 특히,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장자리 (54) 는 상기 방식으로 숄더 (58) 및 가능하다면 래칭 노즈 (60) 등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DIN 레일에 직접 래칭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용도로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154) 는 솔리드 및 평평할 수 있다.
스페이서 (46, 146) 의 중앙 격벽 (52, 152) 은 메인 이격부를 포함하고, 이 메인 이격부의 형상은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포함된다. 이 메인 이격부의 두께 (d) 는, 2 개의 하부 가장자리 (54A, 54B) 의 후방측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기능적인 장치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카트리지 (10) 의 부하측 표면은 단자 스트립 (5) 의 높이에서 트립 장치 (7) 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트립 장치는 단단함을 보장해주어, 인클로저 (48) 는 이 위치에서 벽없이 남아 있을 수 있고, 스페이서 (146) 의 하부측은 어떠한 돌출부없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5 참조). 트립 장치 (7) 의 조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측에는 고정 수단, 예를 들어 카트리지 (10) 와 트립 장치 (7) 사이에 고정 나사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가이드 (62) 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단극 유닛 (10) 또는 심지어 트립 장치 (7) 의 용이하고, 안정적이며 정확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장자리상의 중앙 격벽 (52) 의 표면상에는 가이드 홈 (64) 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4 참조).
스페이서 (46) 의 중앙 격벽 (52) 은 차단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공동 (56) 을 한정한다. 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수단, 특히 리벳을 통과시키는 구멍 (66, 166) 이 제공된다. 고정 수단은 또한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하여, 스페이서 (46, 146)/카트리지 (10) 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는 컴팩트하고 또한 단일의 기계 조립체를 형성하여, 충분한 표면상에서 고정은 안정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46) 는 측방 가스 배기 채널 (42) 을 한정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채널 (42) 은 2 개의 유출 구멍 (44) 사이에서 카트리지 (10) 의 케이스의 외부 큰 패널 (14) 에서 부분적으로 에칭되는 것이 유리하고, 중앙 격벽 (52, 152) 상의 외형을 에칭 및/또는 돌출시킴으로써, 카트리지 (10) 상에 스페이서 (46) 를 병치 및 고정을 실시할 때, 가스는 배기 출구 (44A) 로부터 격벽 (52) 을 따라서 배기 채널 (38) 쪽으로 상부 구멍 (44B) 까지 정확하게 배향될 수 있게 된다.
중앙 격벽 (52, 152) 에는 특히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기능적 부분을 위한 통로 (70, 170) 가 더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이한 단일 유닛 (10) 의 구동 로드 (30) 의 통로를 위한 리세스 (70, 170) 가 제공된다. 이 리세스 (70, 170) 는 안정성 및 강화의 이유로, 특히 상부의 높이에서 부분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바 (26) 의 구동 로드 (30) 의 통로는 기계식 보조 수단 (72, 172) 과 연관되어 있다. 특히,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계식 보조 수단은 스프링, 특히 비틀림 스프링 (72) 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어서, 차단 장치 (600) 를 개방시키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특히 트리핑의 경우에 있어서, 접촉자의 개방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차단 장치 (600) 는 조금 느릴 수 있고, 고전압 (690 V) 에서의 섬락 위험 및 과부하로 인한 연관된 낮은 성능 및/또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문제를 완화하고 또한 동시에 추천되는 치수적인 구속을 고려하기 위해서, 개방 초기에 가속 수단 (FR 2 762 768), 특히 에너지 저장 수단을 장착할 수 있고, 이는 본원의 경우에 스페이서 (46) 에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스프링 (72) 은 중앙 격벽 (52) 에 통합되고 또한 로드가 전류 흐름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이 로드 (30) 상에 직접 작용한다. 차단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에너지 저장 수단 (72) 이 압축되고, 즉 개방될 때, 가동 조립체 (바 (26), 가동 전도체 (22), 작동 수단 (8)) 는 작동 기구 (8) 의 스프링에 의해 추진되지만 보조 수단 (72) 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서도 추진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계식 보조 수단 (172) 은 폐쇄시 작용한다. 접촉자의 폐쇄 이동을 종료할 시, 작동 기구 (8) 의 과잉의 에너지는 에너지 저장 수단 (172) 에 부분적으로 저장되고, 회로 차단기 (100) 의 인클로저 (48) 의 다른 부분상의 응력을 저감시키도록 이 에너지 저장 수단은 또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 충격시 방해 트리핑 또는 바운싱 현상에 대한 어떠한 위험없이 작동 기구 (8) 의 스프링을 과치수로 할 수 있도 있다.
2 개의 기계식 보조 수단은 단일의 스페이서상에서 연관될 수 있다. 작동 기구 (8) 가 장착된 차단 카트리지 (10) 를 둘러싸는 단지 2 개의 스페이서 (46), 및/또는 4 극 회로 차단기의 경우에 변위되는 단부 차단 카트리지와 연관되는 오직 스페이서, 및/또는 기계식 보조 수단 (72, 172) 을 가진 어떠한 전력 범위에 사용되는 오직 스페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논리적인 관점에서 유리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모든 스페이서 (46) 는 기계 보조 부재 (72) 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46) 의 중앙 격벽 (52) 의 상부는, 카트리지 (10) 의 라인측 단자 스트립 (4) 에 대면하여 장착되고 또한 차단 장치 (100) 의 상부면 (74) 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중앙 격벽 (52, 152) 은, 차단 카트리지 (10) 에 병치되도록 구성되지 않고 라인측 단자 스트립 (4) 상의 전력 공급 라인의 연결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상부면에 인접한 부분 (76, 176) 을 포함한다. 격벽의 단부 (76, 176) 는 상기 단자 스트립 (4) 의 돌출 길이 크기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중앙 격벽 (52, 152) 은 상기 단부 (76, 176) 상에서 연결 단자 (80) 의 고정 수단 (78, 178)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격벽 (52, 152) 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또한 하부 가장자리 (54, 154) 에 평행한 돌출부 (78, 178) 는 단자 스트립 (4) 주변에 배치되는 터널 단자 (80) 의 하우징을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돌출부 (78) 는 하우징을 둘러싸고, 상부 돌출부 (78A) 에는 단자 (80) 의 나사를 통과시키는 리세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 (82, 182) 중 하나는, 맞은편 가장자리의 높이에서 또한 하부 가장자리 (54, 154) 에 평행하게 중앙 격벽 (52, 152) 상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후, 돌출부 (82, 182) 는 폐쇄 덮개용 지지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지지체 (82, 182) 에는 단자 (80) 의 나사를 통과시키는 리세스가 형성된다. 상부 돌출부 (78A) 와 일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 (82) 와 상부 돌출부 (78A) 사이의 공간은 카트리지 (10) 로부터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통로 (40) 에 대응하는 통로를 한정한다.
실시형태 및/또는 힘 표준에 따라서, 격벽 (152) 의 단부 (176) 에는 돌출부 (178) 에 의해 한정되는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상부 가장자리 (184) 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참조). 이러한 경우에, 스페이서 (146) 및 카트리지 (10) 사이를 고정할 때, 연결 단자 스트립 (4) 에 접근하고 또한 가스를 제거하는 통로를 제외하고, 솔리드 벽을 형성하도록 하부 가장자리 (154) 처럼 상부 가장자리 (184) 를 상보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본원에 따른 차단 장치 (100) 와의 광범위한 연결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과 연관되는 것이 유리하다면, 상부 가장자리 (84) 를 그 두께에 있어서 지지체 (82) 및 돌출부 (78) 의 단면으로 한정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단자 스트립 (4) 으로의 접근은 자유롭고, 예를 들어 문서 FR 2 687 248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듈라 연결을 사용하여, 설치시 연결 종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스페이서 (46) 의 중앙 격벽 (52) 의 상부측 (84) 은 차단 장치 (100) 의 상부면 (74) 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표준화에 의해 요구되면, 차단 유닛 (10) 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서 연면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부재가 제공된다. 특히, 중앙 격벽 (52, 152) 의 두께에는 슬롯 (86) 이 존재한다. 이 슬롯 (86) 은 일정한 깊이 및 폭에 걸쳐서 하부에 직각으로 연장하고, 그리하여 스페이서 (46) 의 형상이 무엇이든지, 차단 장치 (100) 의 상부벽은, 차단 장치 (600) 의 표면 하부 사이의 각각의 극 사이에, 하부 관통 슬롯 (86) 을 포함하고, 이의 치수는 연면 간격 값에 대하여 한정된 표준에 맞게 채택되고 또한 중앙 격벽 (52, 84) 및 존재한다면 이와 연관된 가장자리 (54, 82) 의 나머지 두께를 포함하는 2 개의 절연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된다. 돌출 부재 (186) 는 슬롯 (86),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홈에 상보적인 형상의 돌출부를 교체할 수 있다. 도 5 에 개략화한 바와 같이, 부재 (186) 는 중앙 격벽 (152) 의 두께내에서 상부측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부재는, 두께가 작은 격벽 (152) 의 평면에 평행하게, 하부 가장자리 (154) 로부터 차단 장치 (600) 의 표면까지 바로 관통한다.
개폐 장치 (100) 가 장착 플레이트 또는 다른 지지체와 결합될 수 있는 격벽 (52, 152) 에는, 연면 간격 (86, 186) 에 평행하게 관통 구멍 (88, 188) 이 드릴링된다. 회로 차단기 (100) 의 수직벽상에 래칭함으로써 유발되는 기계적 응력은, 실제로, 인클로저 (48) 에 의해 또한 본원에 따라서 장치 (100) 의 강화부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46, 146) 에 의해 직접 흡수된다. 상부 단부 (76, 176) 의 높이에 있는 중앙 격벽 (52, 152) 에는 적합한 수단 (88, 188) 이 형성된다.
차단 장치 (600) 의 조립을 완성하는 측벽 (50) 은 기능적으로 다소 스페이서 (46) 의 절반에 대응한다. 하지만, 벽 (50) 은, 중앙 격벽 (52) 과는 상이하게, 어떠한 유형의 트립 장치 (7) 가 장착될 수 있는 종래의 형상으로 된 차단 장치의 인클로저 (48) 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된다. 특히, 측벽 (50) 은, 구동 로드 (30) (또한 연관 에너지 저장 수단 (72)) 를 통과시키는 절취부 (70) 를 제외하고, 스페이서 (46) 의 중앙 격벽 (52) 으로서 동일한 장치 (측방 채널 (68'), 고정 돌출부 (78'), 지지체 (82')) 가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부면 및 내부면을 포함한다. 하부 가장자리 (54') 및 지지체 (82') 는 스페이서 (46)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본래 측벽 (50) 의 일측에만 위치된다.
그리하여, 회로 차단기 (100) 의 인클로저 (48) 의 일반적인 크기는 중앙 격벽 (52) 및 측벽 (50) 의 두께 (d) 및 카트리지 (10) 의 두께 (e)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동일한 단극 차단 유닛 (10) 에 의해서, 회로 차단기 (100) 의 폭 (l) 및 그 높이 (h) 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회로 차단기 (100) 의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및 트립 장치 (7) 의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사이에는 높이 치수가 최소인 것이 항상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옵션에 있어서, 160 A 범위의 장치 (100) 의 높이는 표준 트립 장치 (7) 와 함께 약 130 ㎜ 이고, 차단 장치 (600) 는 적어도 90 ㎜ 의 높이 (h) 를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회로 차단기 (100) 의 폭 (l) 은 본원에 따른 구조를 고려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는 기준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카트리지 (10) 의 중간 사이의 거리는 회로 차단기 (100) 의 피치 (p) 를 결정하고, 이 피치는 사용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다.
실제로, 스페이서 (46) 의 격벽 (52) 및 측벽 (50) 은, 가스 흐름 통로의 기밀함을 보장하고 또한 카트리지 (10) 의 기계적 지지를 수행하도록 카트리지 (10) 에 기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리하여, 카트리지 (10) 의 동일한 동일한 두께 (e) 에 대하여, 메트릭 또는 임페리얼 극 피치 (p) 의 기준을 충족하도록 격벽 (52) 의 두께 (d) 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160 A 범위의 장치에 대하여, 단일의 차단 유닛 (10) 은 힘에 있어서 시스템에 따라서 극 피치 (p) 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e = 22 ㎜ 이며, 하나는 임페리얼 극 피치 (1 인치, 즉 25.4 ㎜) 에 대하여 제공되고 또한 다른 하나는 9 ㎜ 의 배수인 종래의 메트릭 피치에 대하여 제공되는 2 세트의 스페이서 (46) 가 제공되며, 특히 중앙 격벽 (52), 즉 각각의 평균 두께 (평균 두께 d 는, 예를 들어 측방 채널 (68) 의 높이에서 또는 카트리지 (10) 에 고정시키는 상보적인 장치 (66) 의 높이에서, 기능적 돌출부를 제외하고, 이격부에 걸쳐서 격벽 (52) 의 두께에 대응) d = 3.4 및 d = 5 ㎜ 의 중앙 격벽 (52)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취한 공동 (56) 의 전체 폭에 대하여 p = 27 ㎜ 이다. 변형된 두께를 갖도록 측벽 (50) 에 대하여, 중앙 격벽 (52) 의 평균 두께 (d) 의 절반에 대응하는 장착 캐비넷의 글로벌 피치 (p) 와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옵션에 따라서, 격벽 (52) 의 두께는 2 세트의 스페이서에 대하여 동일하지만, 카트리지의 단단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는 다소 넓다.
회로 차단기 (100) 의 조립 모드에 적합하고 또한 래칭 수단 (58, 60) 을 가진 하부 가장자리 (54) 상에서 DIN 레일에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는 스페이서 (46) 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모듈화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기능은 스페이서 (46), 예를 들어 센서 등 내에 또는 그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극 회로 차단기 (100) 의 조립 방법은, 동일한 차단 유닛 (10) 의 개수 (n) 의 병치, 가능한 한 슬라이딩 결합을 포함하고, 이러한 차단 유닛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중앙 유닛에는 작동 기구 (8) 가 형성되고, 유닛 (10) 각각은 스페이서 (46) 에 의해 인접한 유닛으로부터 이격된다. 선택된 옵션에 따라서, 단자 (80) 는 상기 단계에서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근방에 장착될 수 있다. 가능한 한 n 단자 (80) 와 연관되어 있는 이러한 2n-1 부재 (10, 46) 는, 적합한 수단, 특히 제공된 구멍 (66) 에 리벳팅함으로써 단단한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고정되고 또한 차단 유닛 (10) 의 바 (26) 에 삽입되는 동시 구동 로드 (30) 와 연관되어 있다. 그 후, 개폐 유닛은 측벽 (50) 에 의해 폐쇄되고, 이러한 조립체의 마무리 및 고정은 예를 들어 관통 리벳에 의해 실시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조립체는 단자 (80) 의 나사 통과 구멍 주변에서 강화 수단 (90) 에 의해 스페이서 (46) 의 지지체 (82) 를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완료된다. 특히, 강화 수단 (90) (도 5 참조) 은 통로 (40) 를 통하여 배기 가스 출구에 대하여 나사를 보호하고 또한 사용자가 나사에 직접 접근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관형의 인클로저 (92)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클로저 (92) 는 일 단부에서 2 개의 스페이서 (46) 또는 스페이서 (46) 및 측벽 (50) 의 지지체 (82) 에 결합될 수 있는 직각 플레이트 (94) 와 연관되어 있다. 플레이트 (94) 및 지지체 (82) 에는 구멍 및/또는 상보적인 뾰족부 등의 안내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클립 체결도 상정할 수 있다.
조립체는 차단 장치를 형성하도록 어떠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덮개 (96) 로 덮여진 후, 이 덮개는 그 하부면을 통하여 동일한 폭 (l) 으로 되어 있고 또한 동일한 개수의 극을 가진 어떠한 트립 장치 (7) 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트립 장치 (7) 는 조립체의 개선된 스테이지에서 한정될 수 있다. 더욱이, 바 (26) 의 회전 방향이 역전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립 장치 (7) 의 장착 및 차단 장치 (600) 와 트립 장치의 결합은, 차단 장치의 하부으로부터의 접근에 의해 또한 카트리지 (10) 상의 (도 2b 참조) 또는 스페이서 (46) 상의 홈에 의한 안내 및/또는 스페이서 (46) 의 뾰족부 (62) 의 고정에 의해 향상된다. 대안에 따르면, 덮개 (96) 는, 스페이서 (46) 로부터의 "오버스필링 (overspilling)" 및 개폐 장치 (100) 의 전방 패널 전체를 덮음으로써, 트립 장치 (7) 와 이미 연관된 차단 유닛상에 단지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지는 회로 차단기 (100) 는 처음 보기에 대립적인 이하의 산업적인 요건을 따를 수 있다:
- 회전식 브리지를 가진 비한정적인 이중 차단을 사용함으로써 800 A 까지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동일한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 차단 기구 (20) 의 신뢰성 및 이러한 차단 기구의 최적화는 잘 증명된 대책을 사용하여 보장된다.
- 트립 장치 (7) 는 하부를 통하여 차단 장치 (600) 에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차단 브리지 (26) 의 회전 방향의 역전으로 인해 연결 나사에 보다 양호하게 접근가능하게 된다.
- 트립 장치 (7) 의 상호교환성은 완전히 매우 지연되는 (delayed) 장치 (100) 의 분화 (differentiation) 를 가능하게 한다.
- 개폐 장치 (100) 의 치수는 최적환된 성능 및 모듈화에도 불구하고 작고, 특히 높이 (h) 가 낮고, 상이한 기능은, 특히 변경된 가스 제거로 인해, 160 A 에 대한 130 ㎜ 인클로저일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인클로저내에 통합된다.
- 2 개의 극 피치 (p), 특히 160 A 에 대하여 25.4 및 27 ㎜ 인 극 피치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하기 더 간단한 최소 개수의 구성품 (스페이서 (46), 측벽 (50), 덮개 (96)) 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단일부 (46, 50) 를 변경함으로써, 전기 장비, 특히 DIN 레일상의 상이한 장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 개폐 장치 (100) 의 덮개 (96) 의 45 ㎜ 노즈 (9) 는, 대칭적인 전방 덮개 플레이트를 캐비넷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 유닛 (10) 에서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중심맞춤, 특히 42.5 ㎜ 에 있게 된다.
- 트립 장치 (7) 다음에 급랭 가스가 제거되지 않고, 이는 특히 전자 버젼에서 민감할 수 있는 부재에 대한 오염을 제한하고 또한 공간이 자유롭게 된다.
- 배기 가스의 출구는 회로 차단기 (100) 의 연결부 (4, 5) 아래에서 더이상 실행되지 않고, 이는 전류 차단시 섬락 위험을 제한한다.
- 전력 연결부 (80) 는 스페이서 (46, 146) 의 선택에 따라 모듈라될 수 있다.
- 매우 지연된 스테이지에서 변경할 수 있는 스페이서 (46) 의 변경에 의해, 다양한 기능이 제조시 변경되거나 그리고/또는 지연되어 추가될 수 있다.
본원은 모든 바람직한 기능을 포함하는 3 극 개폐 장치 (100) 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옵션이 다른 구성에 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스페이서 (46, 146) 의 실시형태의 일방 또는 타방과 관련하여 기재된 옵션은 다른 방식으로 조합되고 그리고/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46) 는 2 가지 종류의 상이한 측벽 (50) 을 구비하고 T 형상 대신에 L 형상일 수 있다. 기재된 실시형태는, 연관된 형상 및 두께의 변경으로, 어떠한 종류의 차단, 특히 변환시 이중 차단을 구비한 단극 유닛 (10) 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250 A 의 장치, 각각 630 A 장치 범위가 예정되면, 예정된 피치 (p) (예를 들어 35 ㎜ 및 1.5 인치, 각각 45 ㎜) 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15)

  1.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평행육면체인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 (600) 로서, 상기 개폐 장치는 2 개의 실질적으로 솔리드인 측면 패널, 상기 2 개의 측면 패널에 직각인 하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과 하부 패널에 인접하여 직각이고 개폐 장치 (600) 의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으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패널 (74) 을 가지며, 상기 개폐 장치 (600) 는,
    - 상기 개폐 장치 (600) 의 극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 (n) 의 단극 차단 유닛 (10) 으로서, 차단 유닛 (10) 의 두께 (e) 에 의해 이격되는 2 개의 평행한 큰 패널 (14) 을 가진 케이스 (12) 및 2 개의 반대편 작은 패널상에서 케이스 (12) 로부터 각각 개방하는 제 1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과 제 2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5) 사이의 차단 기구 (20) 를 각각 구비하는 차단 유닛,
    - 2 개의 단극 차단 유닛 (10) 을 이격하는 다수 (n-1) 의 스페이서 (46) 로서, 상기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에 평행한 중앙 격벽 (52) 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격벽 (52) 각각은 그 두께 (d) 에 있어서 상부면 (74) 의 높이에서 연면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면 (74) 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부재 (86) 가 형성되는 스페이서,
    - 단부의 차단 유닛 (10) 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 장치 (600) 의 2 개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2 개의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측벽 (50) 을 병렬로 포함하는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면 간격을 형성하는 부재는 중앙 격벽 (52) 의 두께 (d) 에서 도려내진 슬롯 (86) 이고, 상기 중앙 격벽 (52) 각각에는 그 두께 (d) 에 있어서 상기 슬롯 (86) 에 평행한 관통 구멍 (88) 이 형성되는 개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유닛 (10) 은, 개폐 장치 (600) 의 반대편 평행면보다 하부면에 더 근접한, 상부면 (74) 반대편에서, 연결 단자 스트립 (4) 및 부하측 단자 스트립 (5) 사이를 이중 차단하는 회전식 브리지 (26) 를 포함하는 개폐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유닛 (10) 은 관류 가스 유출 채널 (38)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 (74) 은 대응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개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단극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각각을 따른 측방향 가스 유출 채널 (42) 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 패널 (42) 은 단극 차단 유닛 (10) 의 케이스 (12) 와 함께 스페이서 (46) 에 의해 형성되는 개폐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46) 는 이의 중앙 격벽 (52) 에 대하여 대칭이고 또한 서로 동일한 개폐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극 차단 유닛 (10) 은 이를 관통하는 로드 (30) 에 의해 동시 구동되고, 스페이서 (46) 는 상기 로드 (30) 와 함께 작동하는 기계식 보조 수단 (72) 을 적어도 포함하는 개폐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주변에 또한 스페이서 (46) 및 측벽 (50) 에 의해 형성되는 인클로저 (48) 내측에 있는 단자 (80) 를 더 포함하는 개폐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극 개폐 장치 (600) 와,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5) 의 높이에 있는 연관된 트립 장치 (7) 를 포함하는 개폐 장치 (100).
  10.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 (100) 의 조립 방법으로서,
    - 상기 개폐 장치 (100) 의 극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 (n) 의 단극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을 따라서 병렬시키는 단계로서, 차단 유닛 (10) 각각은 이 차단 유닛 (10) 의 두께 (e) 에 의해 이격되는 2 개의 평행한 큰 패널 (14) 을 가진 케이스 (12) 및 2 개의 반대편 작은 패널상에서 케이스 (12) 로부터 개방하는 라인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과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5) 사이의 차단 기구 (20) 를 구비하고, 중앙 격벽 (52) 을 구비하는 다수 (n-1) 의 스페이서 (46) 를 상기 2 개의 차단 유닛 (10)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중앙 격벽 (52) 은 상기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에 평행하며 또한 단극 차단 유닛 (10) 사이의 연면 간격을 형성하는 부재 (86) 를 포함하는 병렬 단계,
    - 상기 병렬을 클램핑하고 또한 상기 단극 차단 유닛 (10) 의 동시 구동 로드 (30) 를 장착함으로서 고정하는 단계.
    - 기밀 밀봉된 차단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2 개의 측벽 (50) 의 외부 단극 차단 유닛 (10) 의 큰 패널 (14) 을 클램핑함으로써 고정하는 단계,
    - 다극 트립 장치 (7) 를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6) 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개폐 장치 (100) 의 하부벽에 평행한 표면상에서 덮개 (96) 에 의해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단계는, 이중 차단하는 회전식 브리지 (26) 와, 개폐 장치 (100) 의 반대편 평행면보다 하부벽에 더 근접한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5) 을 포함하는 단극 차단 유닛 (10) 을 병렬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46) 및 단극 차단 유닛 (10) 의 클램핑에 의해 고정하기 전에 부하측 연결 단자 스트립 (4) 주변에 단자 (80) 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연면 간격을 형성하는 부재 (186) 주변에 중앙 격벽 (152) 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장자리 (184) 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단자 (80) 상에 강화 장치 (90) 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46) 및 차단 유닛 (10) 의 병렬은, 스페이서상에서 차단 유닛의 슬라이딩을 안내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46) 는 적합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극 트립 장치 (7) 의 연결은, 스페이서 (46) 의 적합한 수단 (64) 에 트립 장치의 고정 수단을 삽입함으로써 실행되는 조립 방법.
KR1020127006934A 2009-09-18 2010-08-30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1740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4459A FR2950476B1 (fr) 2009-09-18 2009-09-18 Assemblage d'un dispositif de coupure multipolaire a double enveloppe et disjoncteur le comprenant
FR09/04459 2009-09-18
PCT/FR2010/000593 WO2011033183A1 (fr) 2009-09-18 2010-08-30 Assemblage d'un dispositif de coupure multipolaire a double enveloppe et disjoncteur le compren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46A true KR20120083546A (ko) 2012-07-25
KR101740078B1 KR101740078B1 (ko) 2017-05-25

Family

ID=421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934A KR101740078B1 (ko) 2009-09-18 2010-08-30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064645B2 (ko)
EP (1) EP2478536B1 (ko)
JP (1) JP5575904B2 (ko)
KR (1) KR101740078B1 (ko)
CN (1) CN102576614B (ko)
AU (1) AU2010297165B2 (ko)
BR (1) BR112012006111B1 (ko)
CA (1) CA2772694C (ko)
DK (1) DK2478536T3 (ko)
EA (1) EA023980B1 (ko)
EG (1) EG26483A (ko)
ES (1) ES2434794T3 (ko)
FR (1) FR2950476B1 (ko)
MX (1) MX2012003064A (ko)
MY (1) MY152470A (ko)
PL (1) PL2478536T3 (ko)
UA (1) UA104903C2 (ko)
WO (1) WO2011033183A1 (ko)
ZA (1) ZA201201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9787B1 (fr) * 2012-12-14 2014-11-28 Schneider Electric Ind Sas Appareil de coupure de courant electrique, en particulier un disjoncteur de branchement.
FR2999790B1 (fr) * 2012-12-18 2019-06-07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Bloc de coupure unipolaire et dispositif de coupure comportant un tel bloc
CN207441642U (zh) * 2017-08-09 2018-06-01 施耐德电气工业公司 漏电断路器
CN114023605A (zh) * 2021-11-04 2022-02-08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n极结构及紧凑型电能表外置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55753A (ko) 1943-05-11
DE7044973U (de) * 1970-12-05 1971-04-08 Geyer C Abstandshalter fur Selbstschalter
US4563557A (en) 1984-09-28 1986-0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a movable contact arm shock absorbing member
US4951019A (en) * 1989-03-30 1990-08-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ircuit breaker operating handle block
FR2682530B1 (fr) * 1991-10-15 1993-11-26 Merlin Gerin Gamme de disjoncteurs basse tension a boitier moule.
FR2682531B1 (fr) 1991-10-15 1993-11-26 Merlin Gerin Disjoncteur multipolaire a blocs unipolaires.
FR2687248B1 (fr) 1992-02-07 1994-04-01 Merlin Gerin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disjoncteur basse tension a boitier moule.
DE4426816A1 (de) * 1994-07-28 1996-02-01 Kopp Heinrich Ag Vorrichtung zur thermischen Isolierung und kinematischen Verbindung von einpoligen Leitungsschutzschaltern
FR2762768B1 (fr) 1997-04-30 1999-07-16 Tournadre Sa Standard Gum Systeme de suspension de lattes
IT1314086B1 (it) 1999-11-23 2002-12-04 Abb Ricerca Spa Interruttore di potenza di bassa tensione.
JP3955702B2 (ja) * 1999-12-03 2007-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US6274833B1 (en) 2000-02-18 2001-08-1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Plug-in trip unit joint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4232370B2 (ja) * 2000-03-17 2009-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ITMI20012586A1 (it) * 2001-12-10 2003-06-10 Abb Service Srl Polo elettrico per un interruttore di potenza di bassa tensione, e relativo interruttore
CN2596537Y (zh) * 2002-09-12 2003-12-31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快速跳闸功能的低压断路器
ITBG20050025A1 (it) * 2005-05-13 2006-11-14 Abb Service Srl Interruttore con migliorate caratteristiche di intercambiabilita' del comando.
ITBG20050024A1 (it) * 2005-05-13 2006-11-14 Abb Service Srl Interruttore installabile secondo diverse configurazioni operative
KR100689324B1 (ko) 2005-10-05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극 배선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50476A1 (fr) 2011-03-25
CA2772694C (fr) 2016-10-11
US9064645B2 (en) 2015-06-23
AU2010297165B2 (en) 2014-04-03
JP2013505527A (ja) 2013-02-14
CN102576614A (zh) 2012-07-11
BR112012006111B1 (pt) 2021-02-09
CA2772694A1 (fr) 2011-03-24
BR112012006111A2 (pt) 2016-06-07
EP2478536A1 (fr) 2012-07-25
EG26483A (en) 2013-12-03
EA023980B1 (ru) 2016-08-31
FR2950476B1 (fr) 2011-09-16
KR101740078B1 (ko) 2017-05-25
EP2478536B1 (fr) 2013-09-11
UA104903C2 (uk) 2014-03-25
CN102576614B (zh) 2016-08-03
DK2478536T3 (da) 2013-10-14
ZA201201431B (en) 2012-12-27
MX2012003064A (es) 2012-04-10
US20120160654A1 (en) 2012-06-28
EA201270434A1 (ru) 2012-08-30
MY152470A (en) 2014-10-15
JP5575904B2 (ja) 2014-08-20
PL2478536T3 (pl) 2014-03-31
AU2010297165A1 (en) 2012-04-12
ES2434794T3 (es) 2013-12-17
WO2011033183A1 (fr)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8874A (en) Range of molded case low voltage circuit breakers
RU229457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олюс для низковольт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0807425B1 (ko) 회로 차단기
KR20120083342A (ko) 다극 차단 장치의 밸브를 이격하는 기능적 스페이서 및 회로 차단기
CN108428603B (zh) 用于直流的模制壳体断路器
EP1975966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terlocking phase barrier therefor
KR20120083546A (ko)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의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US7439469B2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n arc-quenching unit
RU2320046C2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ый корпус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а-выключателя
EP3031065B1 (en) Hidden/sliding door system for field-installed accessory access
KR20140002193U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상부 커버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US20050264388A1 (en) Housing including strengthening member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5093150A (ja) 多極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