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169A -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169A
KR20120083169A KR1020110004675A KR20110004675A KR20120083169A KR 20120083169 A KR20120083169 A KR 20120083169A KR 1020110004675 A KR1020110004675 A KR 1020110004675A KR 20110004675 A KR20110004675 A KR 20110004675A KR 20120083169 A KR20120083169 A KR 20120083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module
module
heat
ga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창우
Original Assignee
남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filed Critical 남창우
Priority to KR102011000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3169A/ko
Publication of KR2012008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의 부탄가스를 연소시켜 열기를 생성하고, 이 열기를 육류의 상부에 직접 가하여 육류의 가열 및 조리를 도모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는, 수용부에 부탄가스 용기를 수용하여 조절밸브와 연결된 가스관을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공급모듈과; 상기 가스관을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개방된 케이스의 하부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열기를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열원부와;
상기 히터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형성된 흡열구를 통해 히터모듈에서 하향 발산되는 열기를 수용공간 내로 유입하는 구이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모듈의 케이스의 하단에는 환형 소켓이 형성되어서, 설치공간에 배치된 구이로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환형 소켓에 의해 단차구조로 감싸져 히터모듈과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Portable roaster}
본 발명은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의 부탄가스를 연소시켜 열기를 생성하고, 이 열기를 육류의 상부에 직접 가하여 육류의 가열 및 조리를 도모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소나 가정에 육류를 굽는 과정은, 휴대용 가스렌지에 구이판을 안치시켜 가열한 다음, 이 가열한 구이판에 육류를 얹어 육류를 굽는 간접 가열방식과, 숯불 구이기에 착화된 숯불을 투입한 다음, 구이판이나 석쇠를 안치시켜 육류를 굽는 직접 가열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간접 가열방식은 육류에서 배출된 기름이 구이판에 다량 잔류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동물성 기름의 섭취가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데 비하여, 직접 가열방식은 육류의 조리과정에서 기름을 하부로 배출하므로 동물성 기름의 섭취가 감소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직접 가열방식은, 숯을 매번 착화시켜야 하므로 준비 과정이 번거롭고, 또 육류에서 배출된 기름이 하부에서 연소되는 숯에 낙하하면 유증기로 기화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화염에 의해 육류가 속속들이 구워지지 아니하고 표면이 국부적으로 타거나 그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육류가 타거나 그을리면, 육류 본래의 풍미와 맛이 훼손되는 한편, 포르말린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다량 발생 및 잔류하므로 이를 섭취하는 것은 건강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한편, 종래 간접 가열방식에 주로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렌지는, 부탄가스의 기화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판가스와 미량의 기타 탄화수소를 혼합하여 용기에 주입한 것으로, 휴대하기는 용이하나 액상의 부탄가스가 기화과정에 주위의 열기를 빼앗게 된다.
이로 인해, 부탄가스의 기화에 의해 용기 표면이 부탄가스의 비점보다 더 낮게 떨어지면, 용기 내에 잔류된 부탄가스가 기화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부탄가스의 낭비가 발생되고, 또 폭발성을 갖는 부탄가스를 잔류한 용기의 처리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가스를 연료원으로 사용하여 휴대와 조리가 간편하면서도, 육류의 가열과정에 생성된 기름에 의한 착화발생이 예방되는 한편, 조리 후 세척에 따른 편리성을 갖도록 한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는,
수용부에 부탄가스 용기를 수용하여 조절밸브와 연결된 가스관을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공급모듈과; 상기 가스관을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개방된 케이스의 하부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열기를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열원부와;
상기 히터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형성된 흡열구를 통해 히터모듈에서 하향 발산되는 열기를 수용공간 내로 유입하는 구이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모듈의 케이스의 하단에는 환형 소켓이 형성되어서, 설치공간에 배치된 구이로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환형 소켓에 의해 단차구조로 감싸져 히터모듈과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원부는 가스 공급모듈의 상부 일측에 히터모듈이 직교되게 배치되어, 히터모듈의 하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ㄱ자형의 절곡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구이로의 측벽은 가스 공급모듈의 측벽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 밀착 또는 근접되는 구이로의 측벽과 가스 공급모듈의 측벽에는 배열공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히터모듈에서 발산된 열기가 배열공을 통해 연료 공급모듈의 수용부에 진입하여 부탄가스 용기를 예열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로의 전방에는 진입구가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양편에는 진입구를 통해 진입된 거치부재의 양단을 견착하는 레일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각 레일에는 진입구를 통해 배출된 거치부재의 일지점을 견착하는 위치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는 연료원으로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를 채택한 휴대용으로, 구이로의 상부에 히터모듈이 배치되어 육류의 상부에서 열이 발산하므로, 가열된 육류에서 방출되는 기름에 의한 착화 및 히터모듈의 오염을 방지되어서, 가정이나 야외에서 직화방식으로 육류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열원부와 구이로로 분리 구성되어, 세척과정에서 기름에 의해 오염된 구이로의 분리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구이로의 세척에 따른 간편성이 확보되고, 또 세척과정에서 히터모듈의 훼손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이로와 가스 공급부가 배열공에 의해 연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탄가스의 기화과정에 냉각된 부탄가스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부탄가스 용기에 충입된 모든 부탄가스를 안정되게 배출하여 연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를 통한 육류의 가열 및 조리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있어, 거치부재를 통한 육류를 뒤집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를 통한 육류의 가열 및 조리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에 있어, 거치부재를 통한 육류를 뒤집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류가 안치된 거치부재(300)를 수용공간(201)에 수용하는 구이로(200)와;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10)에 충입된 부탄가스를 연소시켜 생성된 열기를 구이로(200)의 수용공간(201)으로 하향 발산하는 열원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정이나 야외에서 육류를 직화로 가열 및 조리하도록 한 소형의 휴대물품이다.
상기 열원부(100)는, 수용부(111)에 부탄가스 용기(10)를 수용하여 조절밸브(112)와 연결된 가스관(113)을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공급모듈(110)과; 상기 가스관(113)을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개방된 케이스(121)의 하부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열기를 하부로 발산하는 히터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121) 내에 복수의 배기공(12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세라믹 패널(122)을 수평으로 배치한 세라믹 히터모듈(120)을 채택하여, 가스관(113)을 통해 케이스(121) 내로 유입된 부탄가스를 각 배기공(122a)으로 균일하게 분출시켜, 저면에 전체적으로 고른 열기를 방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열원부(100)는 가스 공급모듈(110)의 상부에 히터모듈(120)이 직교하여 고정된 ㄱ자형의 절곡몸체로 구성되어 히터모듈(120)의 하부에 설치공간(S)을 확보하며, 상기 열원부(100)의 설치공간(S)에 배치되는 구이로(20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201)과 연통하는 흡열구(21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육류를 안치한 거치부재(300)의 진출입 경로인 진입구(211)가 형성된 사각의 함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이로(200)의 바닥면에는 가열된 육류에서 방출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집유조(220)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구이로(200)의 내측벽에는 수용공간(201)으로 진입되는 거치부재(300)의 양단을 견착하는 다단의 레일(213, 213')들이 상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도 1의 좌측 레일이나 도 2에서와 같이 구이로(200)의 측벽에 별도로 제작하여 고정되는 형태의 레일(213)이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의 우측 레일에서와 같이 구이로 측벽의 절개를 통해 레일(2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이로(200)의 레일(213, 213')에 진입하여 견착되는 거치부재(300)는, 사각의 중공 프레임(310) 내측에 평행하는 복수의 선형봉(311)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태로, 전방 또는 측방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3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이로(200)에 형성된 각 레일(213, 213')에는 진입구(211)를 통해 진출입되는 거치부재(300)의 후반부 일지점을 고정하는 위치 고정홈(213a)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12)를 통해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거치부재(300)를 전방으로 당겨 구이로(200)의 수용공간(201)에서 일부 배출시켜 육류를 뒤집는 과정에, 거치부재(300)의 후반부가 위치 고정홈(213a)을 통해 레일(213, 213')의 일지점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재(300)의 후반부를 레일(213, 213')에 고정시켜 육류를 뒤집게 되면, 육류가 안치된 거치부재(300)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거치부재(3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열구(210)가 형성된 구이로(20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육류의 가열과정에 생성되어 구이로(200)의 내벽을 따라 상향 이송되는 다량의 증기의 상승을 차단하는 차단편(212)이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판(212)을 원호형으로 구성하면 증기의 상승을 보다 안정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육류를 안치한 거치부재(300)를 진입구(211)를 통해 구이로(200)의 수용공간(201) 내로 진입시켜 레일(213, 213')에 거치하면, 구이로(200) 내에 거치된 육류는 히터모듈(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히터모듈(120)에서 하향 발산되어 흡열구(210)를 통해 하향 유입된 열기에 의해 가열 및 조리된다.
이때, 가열된 육류에서 방출된 다량의 기름은 자중에 의해 하향 낙하하여 구이로(200)의 하부에 배치된 집유조(220)로 수집되고, 또 육류의 가열과정에서 생성되어 구이로(200)의 내벽을 따라 상향 이송되는 증기는 차단편(212)에 의해 차단되어, 상부에 배치된 열원부(100)의 히터모듈(120) 내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하여, 구이로(200)의 상부에 배치된 히터모듈(120)에는 육류에서 다량 방출되는 기름이 직접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육류에서 방출된 다량의 기름에 의한 히터모듈(120)의 오염과 기름의 착화 발생이 예방될 수 있어서, 직화방식으로 육류를 안정되게 가열 및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212)에 의해 증기의 상향 이송이 차단되므로, 증기에 의해 히터모듈(120)에 의한 부탄가스의 연소가 불안정해지거나, 히터모듈(120) 자체가 오염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 공급모듈(110)과 히터모듈(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탄가스를 연소한 열기를 하부로 발산하는 열원부(100)와, 거치부재(300)를 통해 육류를 수용하는 구이로(200)를 분리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구이로(200)의 분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원부(100)를 구성하는 히터모듈(120)의 케이스(121) 하단에 하부에 배치되는 구이로(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단차구조로 감싸는 환형 소켓(121a)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이로(200)의 상부에 히터모듈(120)을 안치시키면, 히터모듈(120)은 환형 소켓(121a)을 통해 하부에 배치된 구이로(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단차구조로 감싼 형태로 고정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환형 소켓(121a)과 구이로(200)의 측벽 사이에는 후크(231)와 견착부재(231)를 포함하는 토클 클램프(230)가 형성되어, 환형 소켓(121a)을 통해 조립된 히터모듈(120)과 구이로(200)가 보다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육류의 조리를 마친 사용자는, 토클 클램프(230)의 고정상태를 해체한 다음 히터모듈(120)의 환형 소켓(121a)에서 구이로(200)를 빼면, 구이로(200)는 히터모듈(120)에서 분리되므로, 구이로(200)를 분리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을 통해 상호 밀착, 또는 근접되는 열원부(100)의 가스 공급모듈(110) 측벽과 구이로(200)의 측벽에 상호 연통하는 배열공(113, 214)을 각각 형성하여, 히터모듈(120)에서 하향 발산되어 구이로(200)로 유입된 일부의 열기가, 배열공(114, 214)을 통해 부탄가스 용기(10)가 수용된 가스 공급모듈(110)의 수용부(111)에 진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열공(114, 214)을 통해 수용부(211)에 유입된 열기에 의해 부탄가스의 기화과정에서 냉각된 부탄가스 용기(10)의 예열이 도모되므로. 부탄가스의 안정된 배출상태가 확보된다.
1.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10. 부탄가스 용기 11. 부탄가스
100. 열원부 110. 가스 공급모듈
111. 수용부 112. 조절밸브
113. 가스관 114. 배열공
120. 히터모듈 121. 케이스
121a. 환형 소켓 122. 세라믹 패널
122a. 배기공 S. 설치공간
200. 구이로 201. 수용공간
210. 흡열구 211. 진입구
212. 차단편 213, 213'. 레일
213a. 고정홈 214. 배열공
220. 집유조 230. 토클 클램프
231. 후크 232. 견착부재
300. 거치부재 310. 중공 프레임
311. 선형봉 312. 손잡이

Claims (3)

  1. 수용부에 부탄가스 용기를 수용하여 조절밸브와 연결된 가스관을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공급모듈과; 상기 가스관을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개방된 케이스의 하부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열기를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열원부와;
    상기 히터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형성된 흡열구를 통해 히터모듈에서 하향 발산되는 열기를 수용공간 내로 유입하는 구이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모듈의 케이스의 하단에는 환형 소켓이 형성되어서, 설치공간에 배치된 구이로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환형 소켓에 의해 단차구조로 감싸져 히터모듈과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가스 공급모듈의 상부 일측에 히터모듈이 직교되게 배치되어, 히터모듈의 하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ㄱ자형의 절곡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구이로의 측벽은 가스 공급모듈의 측벽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 밀착 또는 근접되는 구이로의 측벽과 가스 공급모듈의 측벽에는 배열공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히터모듈에서 발산된 열기가 배열공을 통해 연료 공급모듈의 수용부에 진입하여 부탄가스 용기를 예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로의 전방에는 진입구가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양편에는 진입구를 통해 진입된 거치부재의 양단을 견착하는 레일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각 레일에는 진입구를 통해 배출된 거치부재의 일지점을 견착하는 위치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KR1020110004675A 2011-01-17 2011-01-17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KR20120083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675A KR20120083169A (ko) 2011-01-17 2011-01-17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675A KR20120083169A (ko) 2011-01-17 2011-01-17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169A true KR20120083169A (ko) 2012-07-25

Family

ID=4671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675A KR20120083169A (ko) 2011-01-17 2011-01-17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31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524A (zh) * 2017-10-31 2018-03-20 千石家电(惠州)有限公司 一种便携型烧烤装置
WO2021230605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3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524A (zh) * 2017-10-31 2018-03-20 千石家电(惠州)有限公司 一种便携型烧烤装置
CN107811524B (zh) * 2017-10-31 2024-03-29 千石家电(惠州)有限公司 一种便携型烧烤装置
WO2021230605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3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963B2 (ja) 調理装置
US4321857A (en) Infrared gas grill
US5617778A (en) Gas Barbecue Assembly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EP1951057B1 (en) Smoke enhancer
WO2006012489A2 (en) Griddle top for portable field fedding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20170084989A (ko) 바비큐 그릴 및 바비큐 그릴을 이용한 조리방법
KR20120083169A (ko) 휴대용 직화 구이장치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1387843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036899B1 (ko) 구이기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0404452Y1 (ko) 측면 구이틀
KR20130033687A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2174895B1 (ko)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20120000415U (ko)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구이기
KR100308324B1 (ko)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
KR20140137959A (ko) 숯불 오븐
KR20120113483A (ko) 바비큐 장치
JP3173613U (ja) 無煙炭火焼き器具
JP4677576B2 (ja) ガス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