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410A -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410A
KR20120082410A KR1020127007713A KR20127007713A KR20120082410A KR 20120082410 A KR20120082410 A KR 20120082410A KR 1020127007713 A KR1020127007713 A KR 1020127007713A KR 20127007713 A KR20127007713 A KR 20127007713A KR 20120082410 A KR20120082410 A KR 2012008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ug
front wall
belt
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170B1 (ko
Inventor
씨랴끄 푸퀘레
아드리엥 사씨에
크리스토페 라쉐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12008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2Ratchet and tool tighten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칼라는 제1 단부(10A)의 부근에서 돌출하는 러그(18)와, 제2 단부(10B)의 부근에서 후크(14)를 갖는 금속 벨트(1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후크는 러그(18)의 후방 벽(19)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한편 후크(14)는 조임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기 위해서 러그(18)에 걸린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러그(18)의 후방 벽(19)은 선단(19A)이 후크(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S)으로 집중하는 V-형상부를 가지며, 후크(14)의 전방 벽(15)은 V-형상부의 분기부들(19B)의 경사와 합치하도록 벨트의 횡단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다.

Description

클램핑 칼라 {CLAMPING COLLAR}
본 발명은 제1 단부의 부근에서 돌출하는 러그와, 제2 단부의 부근에서 후크를 가지는 금속 벨트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후크는 러그의 후방 벽에 대항하여 유지되도록 설계된 전방 벽을 가지는 한편 후크는 칼라를 조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러그에 걸린다.
이러한 방식의 클램핑 칼라들은, 예컨대 유럽 특허출원 EP 0 003 192 호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종래기술에서, 러그는 반경방향 이중 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중 접힘부의 각각의 층은 금속 벨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 즉 칼라의 축선 방향을 따라 향한다.
그러한 종래기술의 칼라들 중 개선된 형태, 예컨대 프랑스 특허출원 FR 2 705 411 호 및 유럽 특허출원 EP 0 724 106 호에서, 이중 접힘부의 후방 층은 러그의 후방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심 돌기를 갖는다. 그 다음 전방 벽이 상기 돌기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고정(wedged)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적절한 구성을 갖는다. 특히, 종래기술에 있어서, 러그의 전방 벽은 돌기가 삽입되는 노치를 구비한다. 이것은,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러그 및 후크가 정렬됨으로써, 이 러그 및 후크가 서로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불명료함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칼라의 축선" 이라는 용어는 벨트의 그리고 칼라의 중심을 통과하는, 그리고 벨트의 폭을 넘어 연장하는 축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 이라는 용어는, 벨트가 둥글게 말리기 전 평평한 상태일 때,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벨트가 일단 둥글게 말리면,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벨트의 폭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는 원을 형성한다.
그러한 종래기술의 칼라들은 후크 및 러드가 서로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칼라를 꽉 조이기 위해서, 후크는 러그를 넘어 지나가고, 후크의 전방 벽은 러그의 후방 벽에 걸린다. 따라서, 러그의 전방 벽은 일종의 경사로(ramp)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는 후크가 상기 러그를 넘어 지나갈 수 있도록 슬라이딩된다.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기술의 칼라들에 있어서, 후크 및 러그가 서로에 대해 중심이 맞춰질 수 있도록 개선되기는 했지만, 그러한 경사로는 중심을 맞춘다는 관점에서 후크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는 없다. 따라서,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가 중심 돌기에 대하여 상당히 중심에서 벗어나게 러그의 상단에 도달한다면, 후크의 걸림은 적절하게 위치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분야] 란에서 언급한, 개선된 러그를 가지는 타입의 클램핑 칼라를 제안함으로써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러그의 후방 벽이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집중하는 선단을 가지는 V-형상부를 가지며, 후크의 전방 벽은 V-형상부의 분기부들의 경사에 합치하도록 벨트의 횡단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걸림 측면들을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러그의 후방 벽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부의 선단은, 실제로 뾰족한 선단을 형성하지 않고, 오히려 둥근 선단을 형성하는 상태로,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러그는, 이 선단의 양측면에서, 러그가 V형 외형을 형성하는 2개의 경사진 분기부들을 갖는다. 따라서, 러그의 상단을 넘어 지나갈 때,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가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장자리는, 경사져 있음으로써 러그에 대해 다시 중심이 맞춰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를 자연스럽게 다시 방향을 맞춰주는 V-형상부의 분기부들 중 하나와 바람직하게 협력한다. 더욱이, 조임력의 분포가 개선된다. 칼라가 일단 조여지면, 상기 조임력은 특히 후크의 전방 벽의 걸림 측면에 가해지며, 이 벽은 러그의 후방 벽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부의 분기부들과 협력한다. 상기 걸림 측면들 및 상기 분기부들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조임력은 벨트의 길이방향 축선에 중심이 맞춰지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본질적으로 감소된다. 이것은 조임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후크 및 러그가 서로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우발적으로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어떠한 위험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러그는 이중 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며, 위쪽에서 보았을 때,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분, 즉 러그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부분은,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집중하는 선단을 갖는 V-형상부를 가진다.
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접힘부의 전방 벽도 V형을 이룬다는 사실은, 후크 및 러그의 상대적인 중심 맞춤에 있어서 더 나은 개선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의 조임시, 이 전방 벽은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와 협력하는 경사로로서 기능한다. 그 V-형상부에 의해서, 후크가 상기 경사로를 오르는 동안에 러그에 대해 후크가 적절하게 중심이 맞춰지도록, 러그의 전방 벽은 후크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와, 특히 상기 전방 벽의 경사진 걸림 측면들의 가장자리들과 협력하는 가이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후크는 완전히 중심이 맞춰지면서 러그의 상단에 도달하며, 완전히 안전한 방식으로 후크의 걸림이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러그의 전방 벽은 스티프너 리브들(stiffener ribs)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들은, 전술한 안내에 불리하게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방 벽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부의 선단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V-형상부의 오목부 내에서, 러그를 형성하는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분의 베이스부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전방 부분의 아래에서, 벨트의 평면에서 밀어젖혀진다.
러그의 후방 벽이 중심 돌기(a centering projection)를 가지는 종래기술의 칼라에 있어서, 클램핑은 상기 돌기 아래에서 국부적으로 결함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료는 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분의 아래에서 밀어젖혀지며(pushed away), 그에 따라 러그의 후방 벽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부의 선단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 돌기의 영역에서조차, 칼라에 의해서 클램핑되는 물품에 대하여 금속 재료의 연속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후크의 전방 벽은 중심 함몰부를 구비한다.
이 중심 함몰부는, 특히, 후크의 전방 벽 내에 형성된 노치(notch)에 의해 형성되며, 이 노치는 칼라의 걸림 및 조임 상태에서 러그의 후방 벽의 V-형상부의 선단을 수용한다.
그렇지만, 바람직하게, 후크의 전방 벽은 중심 부분 및 2개의 측면 부분을 가지며,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의 앞쪽으로 나서는 가장자리를 향하여 후크의 머리부로부터 앞쪽으로 나서고, 상기 측면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에 비해 뒤쪽으로 쳐진다. 따라서, 후크의 전방 벽에 제공되는 노치 없이도, 앞쪽으로 나서는 중심 부분은 러그의 후방 벽의 V-형상부의 선단과 협력하는 한편, 상기 선단을 지나 끼워짐으로써 칼라가 걸림 및 조임 상태에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조임력은 후크의 전방 벽의 전체 폭에 걸쳐 작용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전방 벽이 노치를 구비할 때보다 조임력이 더욱 양호하게 분포된다.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기 위한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은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장점들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의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화살표 IIA를 따라 본, 러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화살표 IIB를 따라 본, 후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화살표 IV를 따라 위쪽에서 본, 도 3의 칼라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선 IVB를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a의 화살표 V를 따라 본, 칼라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을 따라 본, 후크 및 러그의 내측면들을 나타내는, 칼라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아래쪽에서 본, 러그의 하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칼라(collar)는 2개의 스트립 부분들, 즉 후크(14)를 갖는 제1 스트립 부분(12)과, 러그(18)를 갖는 제2 스트립 부분(16)으로 만들어지는 금속 벨트(10)를 포함한다. 러그(18)는 벨트의 제1 단부(10A)를 형성하는 제2 스트립 부분(16)의 자유단 부근에 형성된다. 후크(14)는 벨트의 제2 단부(10B)를 형성하는 제1 스트립 부분(12)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제1 단부(10A)로부터 대향되는 제2 스트립 부분(16)의 단부(16A)는 후크(14)의 아래에 있게 되고, 후크(14)의 아래에서 연속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혀부(tongue)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스트립 부분(16)은 360°이상 둥글게 연장된다.
후크(14)로부터 반대되는 제1 스트립 부분(12)의 단부(12A)는, 예컨대 리벳(20)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2 스트립 부분(16)에 고정된다. 상기 단부(12A)와 후크(14) 사이에서, 제1 스트립 부분(12)은 탄성부(22)를 구비하며, 제1 스트립 부분(16)에 형성되는 스터드(26)가 관통하여 돌출하는 개구부(24)(도 2b 참조)를 구비한다.
칼라를 꽉 조이기 위해서, 후크(14)의 전방 벽(15)은 러그(18)를 넘어 지나가며, 상기 전방 벽은 러그(18)의 후방 벽(19)을 넘어 걸리는 한편, 상기 후방 벽에 대항하여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이한 몇몇 부위의 "전방"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후크의 부위는, 이 전방 부위의 "후방" 또는 "뒤쪽"과 같은 다른 부위보다 러그에 가까운 부위를 말한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몇몇 부위의 "전방"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러그의 부위는, 이 다른 부위보다 후크에 가까운 부위를 말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보았을 때, 후방 벽(19)은 V-형상부를 가지며, 그 선단(19A)은 화살표 S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후크(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집중된다. 또한 이 화살표 S는, 러그(18) 뒤에 후크의 전방 벽(15)이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 러그에 대해 후크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후크의 후방 벽이 형성되는 V-형상부의 선단(19A)은 뭉툭한 형상,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라운드 되거나 평평한 형성을 가져, 상기 선단은 스트립 부분의 전체 폭 LB의 대략 1/4의 범위를 나타내는 폭 LP에 걸쳐 연장하며, 여기에서 러그(18)는 상기 전체 폭 LB의 1/3 까지 형성된다. 상기 선단의 양측면에서, 러그(18)의 V형 후방 벽은, 해당 스트립 부분의 길이방향 축선 L에 대해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2개의 측면 분기부(19B 및 19C)들을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의 전방 벽(15)은 걸림 측면(15B 및 15C)들을 가지며, 이 걸림 측면들은 벨트의 횡단방향 T(이 방향은 칼라의 축선방향에 상응함)에 대하여 경사져서, 상기 횡단방향 T에 대하여, 러그의 후방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V형 측면 분기부(19B, 19C)들의 경사와 합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벽(15)은, 앞쪽으로 나서는 중심 부분(15A)과, 상기 중심 부분에 비해 뒤쳐지는 측면 부분, 즉 걸림 측면(15B 및 15C)들을 갖는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전방 벽(15)의 상기 중심 부분(15A)은 후크의 머리부(head) (15')로부터 상기 후크의 가장자리(15")를 향하여 앞쪽으로 돌출한다. 중심 부분(15A)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15")는 앞쪽으로 나선다. 후크(14)의 머리부(15')는 상단 벽(14')의 전방 끝에 상응하며, 여기에서 전방 벽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여 러그(18)의 뒤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후크의 전방 벽이 형성되도록 접힘(folding)이 일어난다. 걸림 상태에서, 앞쪽으로 나서는 중심 부분(15A)은 러그(18)의 후방 벽(19)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부의 선단(19A) 상에 끼워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8)는 2개의 접힘 층들, 즉 후방 접힘부(18A) 및 전방 접힘부(18B)를 갖는 이중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다. 러그의 전방 벽(17)은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보았을 때, 전방 벽(17)은 V-형상부를 가지며, 그 선단(17A)은 화살표 S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집중된다. 이 선단의 양 측면에서, 상기 전방 벽은 2개의 경사 분기부(17B 및 17C)들을 갖는다. 후방 벽의 V-형상부(즉, 후방 벽의 선단(19A)과 측면 분기부(19B, 19C)들) 및 전방 벽의 선단(17A)과 경사 분기부(17B, 17C)들은 평행하다. 칼라가 조여졌을 때, 후크(14)의 전방 벽(15)의 가장자리(15")는 러그의 전방 벽(17)과 협력하게 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앞쪽으로 나서는 중심 부분(15A)은 러그의 전방 벽의 V-형상부의 오목부, 즉 선단(17A)과 협력하며, 걸림 측면(15B 및 15C)들은 경사 분기부(17B 및 17C)들과 협력한다. 이것은, 후크가 상기 러그를 넘어 지나가기 전이라도, 조임시 후크가 러그에 대해 중심이 맞춰지도록 후크를 안내할 수 있게 한다.
후방 벽의 V-형상부(즉, 후방 벽의 선단(19A)과 측면 분기부(19B, 19C)들) 및 전방 벽의 V-형상부(즉, 전방 벽의 선단(17A)과 경사 분기부(17B, 17C)들)는 뭉툭한 선단, 즉 선단(19A) 및 선단(17A)을 각각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단들은 횡단방향(T)으로 연장하는 평편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V형부들의 형상은 U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분기부들, 즉 측면 분기부(19B 및 19C)들 및 경사 분기부(17B 및 17C)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 축선 L과 일치하는 중심선 주위에서 베이스부, 즉 선단(19A) 및 선단(17A)으로부터 대칭적으로 분기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8)의 전방 측면에서, V-형상부의 분기부들은 벨트의 제1 단부(10A)에 상응하는 전방 스트립 부분(16B)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경사진 리브(21B 및 21C)들은 이 연결부 상에 위치된다. 이 리브들은 러그가 형성되는 스트립 부분의 길이방향 축선(L) 주위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리브들은, 후크(14)의 전방 벽(15)의 가장자리(15')가 용이하게 러그(18) 위쪽으로 솟아오르도록 하기 위한 경사로(ramp)들로서 기능한다. 이것들은 V-형상부의 분기부들(17B 및 19B, 그리고 17C 및 19C)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간부위에 위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의 후방 벽(19)의 V-형상부 혹은 전방 벽(17)의 V-형상부인, V-형상부의 분기부들은, 벨트의 횡방방향 T에 대해 각도(α)를 가지면서 경사지며, 이 각도는 대략 1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30°의 범위 내에 놓인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V-형상부의 선단(19A, 17A)은 평평하거나 둥글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3이 설명된다. 이 칼라는 단일의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금속 벨트(110)를 포함한다. 러그(118)는 벨트의 제1 단부(110A)에 형성되는 한편 후크(114)는 벨트의 제2 단부(110B)에 형성된다. 벨트는, 후크의 뒤쪽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굴곡부(undulation)(122)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후크는 도 1, 2a 및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후크(18)와 동일하다. 반면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14)는 이전 도면들의 러그(14)와 약간 상이하다. 전방 벽은 중심 함몰부(115A)를 가지며, 그 양측면에서 2개의 측면부분(115B 및 115C)들은 후퇴되지 않고 남아있는다. 측면부분들은 러그가 형성하는 V-형상부의 분기부들(19B 및 19C, 그리고 17B 및 17C)의 형상과 합치하는 방식으로 경사지게 된다. 또한 리브(21B 및 21C)들을 도 4a에서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후크(114)가 러그(118)를 넘어가 걸릴 때, 측면부분(115B 및 115C)의 가장자리들은 러그의 전방 벽(17)의 V-형상부의 분기부(17B 및 17C)들에 대항하여 슬라이딩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가 형성되는 스트립의 길이방향 축선 L 상에서, 러그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후크를 안내하도록 리브(21B 및 21C)들과 협력한다. 걸림 이후에, 측면부분(115B 및 115C)들은 러그(118)의 후방 벽에 형성된 V-형상부의 분기부(19B 및 19C)들 상에 각각 끼워진다. 동시에, 러그(118)의 후방 벽의 V-형상부의 선단(19A)은 러그의 전방 벽에서의 함몰부(115A) 내에 수용되게 된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면, 도시된 칼라는 넓은 폭 LG를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후크에 의해 형성되는 그리고 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부재들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은 폭 LB까지 감소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18)의 후방 벽의 V-형상부의 선단(19A)은 상기 스트립 부분의 폭 LB의 대략 1/4에서 상기 폭 LB의 1/3 범위 내에 있는 폭 LT까지 연장한다. 상기 폭(LB)은 벨트의 폭 LG보다 국부적으로 작아 상기 폭의 대략 1/3을 커버하는 한편, 벨트가 형성되는 스트립의 길이방향 축선 L 상에서 중심이 맞춰진다.
도 3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가장자리들은 세워진 마진부(margins)(110C 및 110C')들을 갖는다. 이들 세워진 마진부들에는 칼라의 조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본 실시예의 넓은 칼라가 충격-보호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이들 세워진 마진부들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들이 날카로운 가장자리들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특히 칼라에 의해 클램핑되는 물품이 고무 등으로 만들어지거나, 일반적으로 금속이 아닌 다른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졌을 때, 상기 길이방향 가장자리들이 상기 물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이하, 러그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도 4b,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러그(118)의 아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오목부(19'A)는, 러그의 외측면 상에서의 V-형상부의 선단(19A)에 상응한다. 도 4b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8)를 형성하는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위의 베이스부의 중심 부분(17'A)은, 상기 전방 부위의 아래에서, 오목부(19'A) 내에서의 벨트의 평면 내에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의 전방 벽의 V-형상부의 오목부(17A)의 베이스부는, 리브(21B)와 리브(21C) 사이에서, 러그(18)의 상단 아래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17"A에서 밀어젖혀짐(pushed away)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젖혀진 중심 부분(17'A)의 폭 LR은 러그의 폭의 1/4에서 러그의 상기 폭의 1/3까지의 범위 내에 놓이며, 본 실시예에서 이 폭은 러그가 형성되는 스트립 부분의 폭 LB에 상응한다.
10, 110 : 벨트 12 : 제1 스트립 부분
14, 114 : 후크 15 : 전방 벽
16 : 제2 스트립 부분 17 : 전방 벽
18, 118 : 러그 19 : 후방 벽
22 : 탄성부 24 : 개구부
26 : 스터드

Claims (9)

  1. 제1 단부(10A; 110A)의 부근에서 돌출하는 러그(18; 118)와, 제2 단부(10B; 110B)의 부근에서 후크(14; 114)를 갖는 금속 벨트(10; 110)를 포함하며, 후크는 러그(18; 118)의 후방 벽(19)에 대항하여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전방 벽(15)을 가지는 한편 후크(14; 114)는 조임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기 위해서 러그(18; 118)에 걸리는 클램핑 칼라로서,
    상기 클램핑 칼라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러그(18; 118)의 후방 벽(19)이 후크(14; 1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S)으로 집중하는 선단(19A)을 가지는 V-형상부를 가지며, 후크(14; 114)의 전방 벽(15)은 V-형상부의 분기부(19B; 19C)들의 경사에 합치하도록 벨트의 횡단방향(T)에 대해 경사지는 걸림 측면(15B; 15C; 115B; 115C)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그(18; 118)는 이중 접힘부(18A; 18B)에 의해 형성되며, 위쪽에서 보았을 때, 이중 접힘부의 전방 부분은 러그(18)의 전방 벽(17)을 형성하는 동시에,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S)으로 집중하는 선단을 갖는 V-형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V-형상부의 분기부(19B; 19C; 17B; 17C)들은, 벨트의 횡방방향(T)에 대해 1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30°의 범위 내에 놓이는 각도(α)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형상부의 선단(19A; 17A)은 평평하거나 둥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5. 청구항 2 및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형상부의 오목부(19'A) 내에서, 러그(18; 118)를 형성하는 이중 접힘부(18A; 18B)의 전방 부분의 베이스부의 중심 부분(17'A)은, 상기 전방 부분의 아래에서, 벨트(10; 110)의 평면에서 밀어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밀어젖혀진 중심 부분(17'A)의 폭(LR)은 러그의 폭(LB)의 1/4에서 러그의 상기 폭의 1/3의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7. 청구항 2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러그(18; 118)의 전방면에서 V-형상부의 분기부들은, 경사진 리브(21B, 21C)들을 경유하여, 벨트의 평면 내에 위치되는 전방 스트립 부분(16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114)의 전방 벽은 중심 함몰부(11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14)의 전방 벽(15)은 중심 부분(15A) 및 2개의 측면 부분(15B; 15C)을 가지며,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의 앞쪽으로 나서는 가장자리(15")를 향하여 후크의 머리부(15')로부터 앞쪽으로 나서고, 상기 측면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15A)에 비해 뒤쪽으로 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KR1020127007713A 2009-09-24 2010-08-30 클램핑 칼라 KR101768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6601 2009-09-24
FR0956601A FR2950402B1 (fr) 2009-09-24 2009-09-24 Collier de serrage.
PCT/FR2010/051798 WO2011036364A2 (fr) 2009-09-24 2010-08-30 Collier de ser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410A true KR20120082410A (ko) 2012-07-23
KR101768170B1 KR101768170B1 (ko) 2017-08-16

Family

ID=4216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713A KR101768170B1 (ko) 2009-09-24 2010-08-30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95173B2 (ko)
EP (1) EP2480795B1 (ko)
JP (1) JP5618279B2 (ko)
KR (1) KR101768170B1 (ko)
CN (1) CN102597539B (ko)
BR (1) BR112012006603B1 (ko)
FR (1) FR2950402B1 (ko)
IN (1) IN2012DN02140A (ko)
MX (1) MX2012003562A (ko)
RU (1) RU2557525C2 (ko)
WO (1) WO20110363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856B1 (fr) * 2008-06-18 2010-08-13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ergot d'accrochage embouti
CN102507164B (zh) * 2011-10-11 2014-07-30 湖北航达科技有限公司 快卸卡箍综合试验系统
CN103621428A (zh) * 2012-08-20 2014-03-12 敖志辉 一种卡扣式舵轮形定位环
CN103621430A (zh) * 2012-08-20 2014-03-12 敖志辉 一种定位环
FR3017167B1 (fr) 2014-01-31 2016-08-26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reserve de capacite dissymetrique
JP6503839B2 (ja) * 2015-03-31 2019-04-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170344913A1 (en) * 2016-05-29 2017-11-30 Confirm Ticket Online Solutions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ffective travel option and tickets between a source and destination with different modes of transports
DE102017002885A1 (de) * 2017-03-25 2018-09-27 Man Truck & Bus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Spannband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109A (en) * 1965-02-04 1966-08-16 Jurid Werke Gmbh Coupling-clamp
FR2415223A1 (fr) 1978-01-18 1979-08-1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du type " ouvert "
JPS61270506A (ja) * 1985-05-23 1986-11-29 日本発条株式会社 ホ−スバンド
JPS6384485U (ko) * 1986-11-20 1988-06-02
FR2632049B1 (fr) * 1988-05-25 1990-10-0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SU1557374A1 (ru) * 1988-09-12 1990-04-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60 Крепежный хомут
FR2705410B1 (fr) * 1993-05-19 1995-08-1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705411B1 (fr) * 1993-05-19 1995-08-18 Caillau Ets Structure de collier de serrage.
JPH0735278A (ja) * 1993-07-16 1995-02-07 Takagi Seiko:Kk クランプ
FR2729733B1 (fr) * 1995-01-25 1997-04-2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818352B1 (fr) 2000-12-19 2003-04-18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JP3917501B2 (ja) * 2002-10-30 2007-05-23 澤久工業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170B1 (ko) 2017-08-16
RU2557525C2 (ru) 2015-07-20
WO2011036364A2 (fr) 2011-03-31
IN2012DN02140A (ko) 2015-08-07
BR112012006603B1 (pt) 2019-07-30
JP2013506093A (ja) 2013-02-21
EP2480795B1 (fr) 2013-08-14
US20120174343A1 (en) 2012-07-12
CN102597539A (zh) 2012-07-18
EP2480795A2 (fr) 2012-08-01
CN102597539B (zh) 2014-07-09
MX2012003562A (es) 2012-05-08
FR2950402A1 (fr) 2011-03-25
JP5618279B2 (ja) 2014-11-05
FR2950402B1 (fr) 2011-10-21
BR112012006603A2 (pt) 2017-07-25
US8695173B2 (en) 2014-04-15
WO2011036364A3 (fr) 2011-08-18
RU2012116241A (ru) 201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410A (ko) 클램핑 칼라
CN107288965B (zh) 包括夹紧套环和套筒的夹紧装置
US7441311B2 (en) T-bolt clamp quick attach latch
KR101570669B1 (ko) 클램핑 칼라 및 위치 결정편을 갖는 클램핑 장치
US20180180083A1 (en) Fastening device with high pull-out strength
KR20170104406A (ko)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KR102412564B1 (ko)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JP2005124395A (ja) 細長い物体、特にケーブルのための取付装置
KR20170024010A (ko)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US20110173779A1 (en) Hose clamps
KR101811942B1 (ko)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JP2017518831A5 (ko)
KR20190039711A (ko) 리벳 파스너 조립체
KR100238779B1 (ko) 밴드 클램프 체결구
FR2729733A1 (fr) Collier de serrage
SK312089A3 (en) The clamp
US9062800B2 (en) Clamp for an elongated member
US9730496B1 (en) Lanyard end connector
US9751473B2 (en) Carpet with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pet with wire harness
US6415838B1 (en) Anti-skid device
JP3851420B2 (ja) ブーツバンド
US4799322A (en) Tangle resistant lock pin
GB2471809A (en) Anchor clamp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JP6610097B2 (ja) カバー部材の脱落防止構造
FR3060490A1 (fr) Sous ensemble d'habillage interieu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