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19U -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19U
KR19980066119U KR2019970010485U KR19970010485U KR19980066119U KR 19980066119 U KR19980066119 U KR 19980066119U KR 2019970010485 U KR2019970010485 U KR 2019970010485U KR 19970010485 U KR19970010485 U KR 19970010485U KR 19980066119 U KR19980066119 U KR 19980066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ght
jig
clamping
clamping ban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70010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119U/ko
Publication of KR19980066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19U/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밴드의 구조 개선을 통해 충격에 의한 클램핑 밴드의 풀림 현상 및 고무부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폭이 길이에 비해 좁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체결부(1)부에 피걸림부(2)와 가이드홈(3)이 형성되고, 체결부(4)인 타단부에 클램핑치구(5)의 팁(6)이 삽입되는 치구홈(7)과 가걸림부(8) 및, 완전체결시 상기 피걸림부가 걸리는 걸림부(9)가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부와 체결부 사이에 몸체부(10)가 형성되어; 상기 피걸림부가 가걸림부에 걸린 가체결 상태에서 치구를 써서 피걸림부가 걸림부에 걸리게 함에 실린더형인 피클램핑부재를 압착하게 되는 클램핑 밴드(11)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의 가이드홈에 이웃하는 체결부쪽으로는 치구걸림돌기(12)와, 하방으로 절곡된 단차해소턱(1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가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피걸림부와 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된 보조피걸림부(14)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홈 외측에는 가이드돌기(16)가 형성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본 고안은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밴드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조인트는 앞바퀴 구동차나 전륜(全輪) 구동차에서 종감속장치에 연결된 구동차축에 설치되어 구동차축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항상 구동축과 피동축의 접점을 축의 교차각의 이등분선상에 있게하여 조향각에 관계없이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을 한다.
이와 같은 등속조인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19)와 외륜(18) 사이에 설치된 고무부츠(20)의 외주면 양단에 클램핑 밴드(11a)를 설치하여 고무부츠(20) 내부에 주입된 윤활유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밴드(11a)는 폭이 길이에 비해 좁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피체결부(1)인 일단부에 피걸림편(2a)를 가지는 피걸림부(2)와 가이드홈(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4)인 타단부에 상기 피걸림편(2a)이 걸리는 걸림편(9a)을 가지는 걸림부(9)가 타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의 타단에는 가체결시 클램핑치구(5a)의 팁(6)이 삽입되는 치구홈(7)과, 피걸림편(2a)이 걸리는 가걸림편(8a)을 가지는 가걸림부(8) 및, 클램핑 밴드(11a)의 체결 완료시 상기 피걸림편(2a)이 걸리는 걸림부(9)가 상기 체결부(4)의 일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램핑 밴드(11a)는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를 위해 고무부츠(20)와 외륜(18) 및 드라이브 샤프트(19)를 감싸도록 고무부츠(20) 외주면에 설치되는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걸림부(8)의 가걸림편(8a)에 피걸림부(2)의 피걸림편(2a)이 걸려 가체결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클램핑치구(5a)를 이용하여 완전히 클램핑 시키게 된다.
즉, 클램핑 밴드(11a)가 가체결된 후, 클램핑치구(5a)의 팁(6)을 가이드홈(3)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램핑치구(5a)의 손잡이(17)를 눌러 양팁(6)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면 피체결부(1)의 피걸림편(2a)이 체결부(4)에 형성된 걸림편(9a)에 걸려 고정되므로써 클램핑 밴드(11a)의 체결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램핑 밴드(11a)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체결 상태가 해제되기 쉬웠으며, 클램핑 밴드(11a)의 체결부(4) 끝단이 피체결부(1)와 겹침에 따라 상기 체결부(4) 끝단이 고무부츠(20)를 가압하여 고무부츠(20)를 파손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윤활유의 누출이 발생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밴드의 구조 개선을 통해 충격에 의한 클램핑 밴드의 풀림 현상 및 고무부츠의 손상을 방지하여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핑 밴드가 등속조인트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클램핑 밴드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클램핑 밴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가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b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클램핑치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클램핑 밴드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클램핑 밴드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클램핑치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피체결부2:피걸림부
3:가이드홈4:체결부
5:클램핑 치구6:팁
7:치구홈8:가걸림부
9:걸림부10:몸체부
11:클램핑 밴드12:치구걸림돌기
13:단차해소턱14:보조피걸림부
15:보조걸림부 16:가이드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폭이 길이에 비해 좁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체결부인 일단부에 피걸림부와 가이드홈이 타단부쪽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인 타단부에는 클램핑치구의 팁이 삽입되는 치구홈과 가걸림부 및, 완전체결시 상기 피걸림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일단부쪽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부와 체결부 사이에 몸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걸림부가 가걸림부에 걸려 가체결된 상태에서 클램핑치구를 써서 피걸림부가 걸림부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실린더형인 피클램핑부재를 압착하게 되는 클램핑 밴드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의 가이드홈에 이웃하는 체결부쪽으로는 치구걸림돌기와, 하방으로 절곡된 단차해소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가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피걸림부와 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된 보조피걸림부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홈 내의 타단부측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클램핑 밴드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클램핑 밴드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클램핑치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폭이 길이에 비해 좁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체결부(1)인 일단부에 피걸림부(2)와 가이드홈(3)이 타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4)인 타단부에는 클램핑치구(5)의 팁(6)이 삽입되는 치구홈(7)과 가걸림부(8) 및, 완전체결시 상기 피걸림부(2)가 걸리는 걸림부(9)가 일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부(1)와 체결부(4) 사이에 몸체부(10)가 형성되어; 상기 피걸림부(2)가 가걸림부(8)에 걸려 가체결된 상태에서 클램핑치구(5)를 써서 피걸림부(2)가 걸림부(9)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실린더형인 피클램핑부재를 압착하게 되는 클램핑 밴드(11)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1)의 가이드홈(3)에 이웃하는 체결부(4)쪽으로는 치구걸림돌기(12)와, 하방으로 절곡된 단차해소턱(13)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4)의 가걸림부(8)와 걸림부(9) 사이에는 상기 피걸림부(2)와 가이드홈(3) 사이에 형성된 보조피걸림부(14)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치구홈(7) 내의 타단부측에는 가이드돌기(16)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걸림부(9)의 걸림편(9a) 반대편에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피걸림부(2) 유동을 방지하여 클램핑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한 클램핑해제방지돌기(9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걸림부(8)의 가걸림편(8a)에 피걸림부(2)가 걸려 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걸림부(2)를 걸림부(9)의 걸림편(9a)에 걸리도록 이동시키는 클램핑치구(5)는, 상기 치구걸림돌기(12)와 가이드돌기(16) 외측면에 치구의 양쪽 팁(6)이 닿은 상태에서 상기 팁(6) 사이가 좁아지도록 치구의 손잡이(17)를 가압함에 따라 치구걸림돌기(12)와 가이드돌기(1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반경이 좁아지게 되는 플라이어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클램핑 밴드(11)를 이용하여 등속조인트의 외륜(18) 및 드라이브 샤프트(19) 외주면에 설치되는 고무부츠(20)를 클램핑할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핑 밴드(11)를 원형으로 말아서, 가걸림부(8)의 가걸림편(8a)과 피걸림부(2)가 서로 걸려 고정되도록 가체결한다.
이 때, 상기 치구홈(7)의 가이드돌기(16)는 가이드홈(3) 내에 위치하게 되며, 피체결부(1)는 체결부(4)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 밴드(11)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클램핑치구(5)를 이용하여 완전히 클램핑시키게 된다.
즉, 밴드의 가걸림부(8)에 형성된 가걸림편(8a)에 피걸림부(2)가 걸려 클램핑 밴드(11)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플라이어 구조를 가진 클램핑치구(5)의 양 팁(6)을 치구홈(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의 외측면 및 치구걸림돌기(12) 외측면에 각각 맞닿게 한 후, 상기 클램핑치구(5)의 손잡이(17)를 가압하여 가이드돌기(16)와 치구걸림돌기(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6)와 치구걸림돌기(1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램핑 밴드(11)의 반경이 작아지게 되며, 일정 반경이하가 됨에 따라 상기 피걸림부(2)가 걸림부(9)의 걸림편(9a)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피걸림부(2)와 가이드홈(3) 사이에 형성된 보조피걸림부(14)가 보조걸림부(15)의 보조걸림편(15a)에 걸려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즉, 본 고안의 클램핑 밴드(11)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걸림부(9)와 피걸림부(2) 뿐만 아니라, 보조걸림부(15)와 보조피걸림부(14)에 의해서도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등속조인트에 적용시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클램핑이 완료될 때,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피체결부(1)와 겹치는 체결부(4)는 상기 피체결부(1)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타단은 밴드 일측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단차해소턱(13)의 수직면에 닿게 된다.
즉, 상기 클램핑 밴드(11)는 스톱퍼 역할을 하는 단차해소턱(13)의 수직면에 닿아 유동이 방지되므로써 쉽게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클램핑 밴드(11)의 체결부(4)가 피체결부(1) 내측면에 겹쳐 위치하더라도 미리 단차해소턱(13)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에서 체결부(4)와 피체결부(1)는 요철이 없이 매끄럽게 이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고무부츠(20)가 클램핑 밴드(11)의 체결부(4)와 피체결부(1)가 포개지는 부분의 는 지점의 단차에 의해 찍혀 파손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윤활유의 누출 또한 빌가 누유되는 현상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밴드(11)의 구조 개선을 통해 충격에 의한 클램핑 밴드(11)의 풀림 현상 및 고무부츠(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클램핑 밴드(11)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클램핑 밴드(11)의 체결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 밴드(1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매끄럽게 이어져 고무부츠(20)의 손상 또한 방지하여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2)

  1. 폭이 길이에 비해 좁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체결부인 일단부에 피걸림부와 가이드홈이 타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인 타단부에는 클램핑치구의 팁이 삽입되는 치구홈과 가걸림부 및, 완전체결시 상기 피걸림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일단부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부와 체결부 사이에 몸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걸림부가 가걸림부에 걸려 가체결된 상태에서 클램핑치구를 써서 피걸림부가 걸림부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실린더형인 피클램핑부재를 압착하게 되는 클램핑 밴드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의 가이드홈에 이웃하는 체결부쪽으로는 치구걸림돌기와, 하방으로 절곡된 단차해소턱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의 가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피걸림부와 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된 보조피걸림부와 결합되는 보조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치구홈 내의 타단부측에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걸림부에 피걸림부가 결합되어 클램핑 밴드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걸림부를 걸림부의 주걸림편에 걸리도록 이동시키는 치구가, 상기 치구걸림돌기와 가이드돌기 외측면에 치구의 양쪽 팁이 닿은 상태에서 상기 팁 사이가 좁아지도록 치구의 손잡이를 가압함에 따라 치구걸림돌기와 가이드돌기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램핑 밴드의 반경이 좁아지게 되는 플라이어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KR2019970010485U 1997-05-12 1997-05-12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KR199800661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85U KR19980066119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85U KR19980066119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19U true KR19980066119U (ko) 1998-12-05

Family

ID=6968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485U KR19980066119U (ko) 1997-05-12 1997-05-12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1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58B1 (ko) * 2010-08-12 2011-02-14 엔디케이테크(주) 등속조인트의 부트용 체결밴드
KR200486842Y1 (ko) * 2017-08-09 2018-08-02 엔디케이테크(주)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58B1 (ko) * 2010-08-12 2011-02-14 엔디케이테크(주) 등속조인트의 부트용 체결밴드
KR200486842Y1 (ko) * 2017-08-09 2018-08-02 엔디케이테크(주)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385B2 (en) Non-detachable press fit arrangement between a fitting and an end portion of a metal pipe
US6435992B2 (en) Tensioner with plunger stopper pin
JPS586109B2 (ja) ホ−スクランプ
US5542155A (en) Spread diameter locking mechanism for a spring biased hose clip
JP3466347B2 (ja) 弾性部材固定用クリップ
CA2247793A1 (en) Hose clamp
KR960002986B1 (ko) 귀없는 클램프 구조물
KR20190034099A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JP3415642B2 (ja) クランプ構造体
CZ291444B6 (cs) Svorka
CA2260658C (en) Pivot pin and retention clip assembly for a railroad car coupler
KR100386390B1 (ko) 클램핑밴드
HU206915B (en) Clamp
US4914788A (en) Clamp structure
JP3513237B2 (ja) 自動引き締めクランプ構造体
JPH06507465A (ja) ホースクリップ
KR19980066119U (ko)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AU580763B2 (en) Buckle fastener
CN108779886A (zh) 软管夹
KR19980066120U (ko)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JPS5981210A (ja) 車両のタイヤ保護兼滑り防止ネツト及びその製法
GB2331550A (en) A hose clip with integral clamping jaws to assist fitting
KR101854293B1 (ko) 유도고정가이드가 구비된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체결용 밴드 클램프
JP3927690B2 (ja) ブーツバンド
EP0771251B1 (en) A pair of pl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