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325A -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325A
KR20120082325A KR1020110104451A KR20110104451A KR20120082325A KR 20120082325 A KR20120082325 A KR 20120082325A KR 1020110104451 A KR1020110104451 A KR 1020110104451A KR 20110104451 A KR20110104451 A KR 20110104451A KR 20120082325 A KR20120082325 A KR 20120082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seat belt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부착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우수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제공한다.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을 갖는 본체 케이스(23)와, 본체 케이스(23)에 지지되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와, 시트 벨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벨트 로크부재(25)와, 벨트 로크부재(25)를 가세하는 가세 수단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한 때에, 벨트 로크부재(25)를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누르는 조작부(26)와, 조작부(26)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LOCK APPARATUS OF SEAT BELT FOR CHILD SEAT AND CHILD SEA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사용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소아를 자동차에 태우고 이동할 때에, 유소아를 착좌시켜서 이용하는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차일드 시트에서는, 착좌하는 유소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차일드 시트가 시트 벨트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시트 벨트가, 차일드 시트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팽팽히 걸쳐질 것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시트 벨트를 차일드 시트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가, 여러가지 개발되고 왔다. 이와 같은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347860호 공보(특허 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347860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의 하단 개구의 시트 벨트 삽통구멍이 마련된 본체 케이스와, 시트 벨트 삽통구멍을 덮도록 본체 케이스에 추지(樞支)된 벨트 누름부를 구비한다. 벨트 누름부는, 시트 벨트 로크시에 벨트 삽통구멍을 폐쇄하여 시트 벨트를 끼워 넣는 판형상의 레버부와, 당해 레버부의 하단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시트 벨트 로크시에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으로부터 하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하단 개구를 폐색하는 벨트 스토퍼부를 갖는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음에 나타내는 과제가 있다.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하는 경우에, 시트 벨트를 차일드 시트에 느슨함 없이 강하게 팽팽히 건네지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로크 장치에 삽통시켜서, 차일드 시트에 장가(張架)한 후,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을 향하여 끌어당기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한 자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에서는, 레버부와 벨트 스토퍼부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벨트를 인출하도록 끌어당긴 때에, 레버부가 시트 벨트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열림방향으로 회동하여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면, 벨트 스토퍼부도 마찬가지로여 열림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하단 개구를 개방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탈락하여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 좌석에의 부착 작업시에,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부터 탈락하여 버리는 일이 때때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에 관해 결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충돌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레버부와 벨트 스토퍼부가 일체적으로 열려 버림에 의해,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부터 탈락하여 버리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부착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트 벨트를 안정하게 로크할 수 있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착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우수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팽팽히 건네져서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마련된다. 이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개구단으로부터 한쪽을 향하여 연재되고, 시트 벨트를 개구단으로부터 내부에 받아들임 가능한 시트 벨트 삽통구멍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내부에 삽입된 시트 벨트가 바깥쪽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단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에 출입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 개구단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와, 시트 벨트 삽통구멍에 삽입된 시트 벨트의 한쪽 면 측부터 시트 벨트를 가압하고, 시트 벨트 삽통구멍을 구획하는 벽면에 시트 벨트를 꽉눌러서 시트 벨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벨트 로크 위치와, 시트 벨트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시트 벨트의 이동을 허용하는 벨트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벨트 로크부재와, 벨트 로크부재를 벨트 로크 위치를 향하여 가세하는 가세 수단과,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고,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된 때에, 벨트 로크부재와 맞닿고, 벨트 로크부재를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누르는 조작부와, 조작부가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폐쇄 위치에 배치시키고, 조작부가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개방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조작부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조작하면, 벨트 빠짐 방지부재가 개방 위치로 이동함과 함께, 벨트 로크부재가 조작부에 의해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눌려져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시트 벨트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에서 손을 떼면, 상기 가세 수단에 의해, 벨트 로크부재가 벨트 로크 위치로 이동하고, 조작부가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 되밀음과 함께, 벨트 빠짐 방지부재가 폐쇄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삽입된 시트 벨트는, 벨트 로크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로크되고, 또한, 벨트 빠짐 방지부재에 의해 시트 벨트 삽통구멍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시트 벨트 로크시에, 벨트 로크부재 단체(單體)에 대해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한 힘이 가하여진 경우, 벨트 로크부재와 조작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고, 벨트 로크부재만이 벨트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할 때, 시트 벨트 로크 장치에 시트 벨트를 삽통시킨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끌어당긴 경우에, 가령 벨트 로크부재가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켜졌다고 하여도, 조작부 및 벨트 빠짐 방지부재는, 벨트 로크부재와의 기계적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빠짐 방지부재에 의해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개구단이 확실하게 폐쇄되기 때문에,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부착 작업시에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작업에 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 등에 의해 차일드 시트에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누르는 시트 벨트의 누름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시트 벨트를 통하여 보다 안정하게 체결 장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할 뿐으로, 시트 벨트의 출입과, 시트 벨트의 로크/로크 해제라는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로크부재는, 축을 통하여 본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한쪽 단부가 벨트 로크시에 시트 벨트를 맞물리는 돌조(突條)의 클러치부를 구성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조작부와 맞닿는 당접부를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 로크부재는, 벨트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구성을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 로크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시트 벨트를 맞물려서 로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시트 벨트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에 마련된 제 1 관통구멍 및 제 2 관통구멍과, 조작부에 마련되고, 제 2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조작부 축부와, 본체 케이스에 마련되고, 제 2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본체 케이스 축부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보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는, 본체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조작 버튼을 가지며, 당해 조작 버튼이 본체 케이스측을 향하여 압입되면, 조작부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가세 수단은,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저렴한 부재인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가세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팽팽히 건네져서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유소아가 착좌하는 좌부와, 착좌한 유소아의 등을 배후로부터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의 배면측 상방부에 마련되고, 본원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부착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우수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할 때, 시트 벨트 로크 장치에 시트 벨트를 삽통시킨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끌어당긴 경우에, 가령 벨트 로크부재가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켜졌다고 하여도, 조작부 및 벨트 빠짐 방지부재는, 벨트 로크부재와의 기계적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빠짐 방지부재에 의해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개구단이 확실하게 폐쇄되기 때문에,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부착 작업시에 시트 벨트가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작업에 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 등에 의해 차일드 시트에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시트 벨트 로크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누르는 시트 벨트의 누름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 좌석에 시트 벨트를 통하여 보다 안정하게 체결 장착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의 외관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삽통구멍 부근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도 3중의 화살표(V)로 본 외관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도 5중의 화살표(Ⅵ)로 본 외관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도 3중의 Ⅶ-Ⅶ로 절단하고, 하방 측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벨트 로크부재의 외관도로서, (a)는 도 6의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b)는 (a)에 도시하는 벨트 로크부재를 하방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c)는 (a)에 도시하는 벨트 로크부재를 도 8중의 화살표(C)로 본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조작부의 외관도로서, (a)는 도 9(b)중의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b)는 도 7의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의 외관도.
도 11은 도 7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로크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에 대응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의 전체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좌우방향은, 차일드 시트(11)에 착좌한 유소아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설명중의 전후 방향은, 도 2의 지면(紙面) 좌우방향에 상당하고, 설명중의 좌우방향은, 도 2의 지면 표리 방향에 상당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자동차에 구비된 시트 벨트(12)를 이용하여 자동차 좌석(도시 생략)에 체결 장착 고정되고, 그 위에 유소아를 착좌시켜서 이용하는 장치로서, 자동차 이동중의 유소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차일드 시트(11)는, 유소아가 착좌하는 좌부(13)과, 착좌하는 유소아의 등을 배후로부터 지지하는 등받이부(14)와, 등받이부(14)의 배면 상단부로부터 좌우로 나누어져서 하방으로 늘어나, 등받이부(14)의 하단 근처에서 전방으로 굴곡하여 좌부(13)의 하단부에 접속하는 좌우 1쌍의 셸 프레임(15)을 갖는 좌석부(16)와, 좌석부(16)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좌석부(16)의 리클라이닝 이동을 허용하는 베이스부(17)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7)의 후단부에는, 시트 벨트(12)의 허리 벨트(121)가 팽팽히 건네지는 벨트 장가부(張架部)(18)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장가부(18)에는, 팽팽히 건네진 허리 벨트(121)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벨트 계지부(18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11)는, 등받이부(14)와 좌우의 셸 프레임(15)과의 교차 영역에 부착된 좌우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를 구비한다. 이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시트 벨트(12)의 어깨 벨트(122)를 그 내부로 유지하고, 어깨 벨트(122)가 차일드 시트(11)를 누르는 누름 위치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사용 형태에서는, 좌측에 마련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에, 어깨 벨트(122)가 삽통되어 있다. 즉, 차일드 시트(11)는, 벨트 장가부(18)에 장가된 허리 벨트(121)와,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를 통하여 셸 프레임(15)에 장가된 어깨 벨트(122)에 의해,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 즉 차일드 시트(11)의 좌측에 마련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이해하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에 삽통시켜진 시트 벨트(12)를 제외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방향은, 도 2의 차일드 시트(11)에 착좌한 유소아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설명중의 전후 방향은 도 3의 지면 좌우방향에 상당하고, 설명중의 좌우방향은 도 3의 지면 표리 방향에 상당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의 외형을 구획하는 본체 케이스(23)와, 본체 케이스(23)의 내부에 지지되는 부재로서, 시트 벨트 로크시에 시트 벨트(12)가 하방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와, 시트 벨트 로크시에 시트 벨트(12)의 이동을 규제하는 벨트 로크부재(25)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 및 벨트 로크부재(25)를 연동하여 조작 가능한 조작부(26)를 구비한다.
본체 케이스(23)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의 반타원형상의 판형상 부재인 표벽부(表壁部)(28)와, 표벽부(28)의 이면(30)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테두리 프레임(29)을 갖는다.
표벽부(28)의 중앙부에는, 시트 벨트(12)를 삽통시키게 하기 위한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이 마련되어 있다.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은, 하단의 개구단(27)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재되는 오목구멍(凹穴)이고, 상하 방향으로 개략 직선형상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표벽부(28)의 전방 하방 영역에는, 후술하는 조작 버튼을 바깥쪽에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8h)이 마련되어 있다.
테두리 프레임(29)은,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의 후벽면(22s)를 구획하는 후벽부(291)와, 후벽부(29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재되는 상벽부(292)와, 상벽부(292)의 전단부터 하방으로 연재되는 전벽부(293)와, 전벽부(293)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재되는 하벽부(29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벨트 빠짐 방지부재(24), 벨트 로크부재(25) 및 조작부(26)는, 테두리 프레임(29)을 구성하는 벽부(291 내지 294)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의 공간에 지지되어 있다.
후벽부(291)와 하벽부(294)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간극에 의해 개구단(27)이 구획되어 있다. 시트 벨트(12)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이 개구단(27)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미끄러져 들어가게 함으로서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벽부(294) 윗면의 좌측 단부 중앙(도 7중의 지면 상방측)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형의 본체 케이스 축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본체 케이스 축부(33)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23)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가 계합된다. 또한, 테두리 프레임(29)의 우측 중앙부(도 7중의 지면 하방측)에는, 상벽부(292)로부터 하벽부(294)에 관통하는 샤프트(3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샤프트(34)는, 상벽부(292)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하벽부(294)에 천공된 오목구멍(모두 도시 생략)에 삽통되어, 상벽부(292)와 하벽부(294)의 사이에 걸쳐서,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의 연재방향에 따라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샤프트(34)를 통하여, 벨트 로크부재(25)가, 본체 케이스(23)에 회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또한, 이들 부재끼리의 계합 구조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평탄한 판형상 부재이다.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그 후단부에 위치하고, 시트 벨트 로크시에 개구단(27)을 폐쇄하는 빠짐 방지부(241)와, 빠짐 방지부(241)의 전단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 늘어나는 계합부(242)를 포함한다. 또한, 빠짐 방지부(241)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는 제 1 관통구멍(243)이 마련되어 있고, 계합부(242)에는, 원형의 제 2 관통구멍(244)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하벽부(294)에 마련된 상기 본체 케이스 축부(33)를 제 2 관통구멍(244)에 삽통시켜서, 하벽부(294)상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본체 케이스(23)에 대해, 본체 케이스 축부(33)를 중심으로 하고 회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의 상방에는, 조작부(26)가 설치된다. 조작부(26)는, 상기 표벽부(28)에 마련된 관통구멍(28h)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조작 버튼(261)과, 조작 버튼(261)과 접속하고, 본체 케이스(2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조작부 본체(262)를 갖는다. 조작부 본체(262)는, 하면 후방측(도 9중의 지면 우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된 원형의 조작부 축부(263)와, 하면 전방측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장척으로 연재되는 다리부(264)와, 조작부 본체(262)의 우측면의 전단부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판형상의 돌출부(265)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 본체(262)의 우후단(右後端)의 모서리부에는, 경사면(267)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6)는, 조작부 본체(262)의 하면에 마련된 상기 조작부 축부(263)를,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에 마련된 제 1 관통구멍(243)에 삽통시켜서,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상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26)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제 1 관통구멍(243) 및 제 1 관통구멍(243)에 삽입되는 조작부 축부(263)에 의해 계합되게 된다. 또한, 이 때에 조작부 본체(262)의 하면에 마련된 다리부(264)가, 테두리 프레임(29)의 하벽부(294)와 맞닿아, 조작부(26)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6)를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6)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조작부(26)를 안정하게 조작할 수 있다.
벨트 로크부재(25)는, 본체 케이스(23)에 마련된 상기 샤프트(34)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23)의 우측 영역에 추지되어 있다. 벨트 로크부재(25)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원통부(251)와, 원통부(251)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상하 방향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당접부(252)와, 원통부(25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늘어나고, 그 선단부에 돌조의 클러치부(253)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로크부(254)를 갖는다. 원통부(251)는, 그 중심에 관통구멍(255)을 포함하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의 원통상부재이다. 당접부(25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시에 조작부(26)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265)의 선단과 맞닿는 부재로서, 돌출부(265)의 선단을 받아들이기 쉬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부(254)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선단에 마련된 클러치부(253)에 의해, 시트 벨트 로크시에, 시트 벨트(12)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벨트 로크부재(25)는, 상기 샤프트(34)를 관통구멍(255)에 삽통시킴에 의해, 본체 케이스(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로크부재(25)는, 본체 케이스(23)에 마련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아 시계회전 방향으로 항상 가세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 로크부재(25)는, 시트 벨트(12)를 로크한다.
이와 같이, 벨트 로크부재(25)는,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후술하는 시트 벨트 로크 위치로부터 시트 벨트 로크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로크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 로크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253)에 의해 시트 벨트(12)를 맞물려서 로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시트 벨트(1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시트 벨트 로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시트 벨트 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시트 벨트(12)를 로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 로크부재(25)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고,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을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에 시트 벨트(12)가 삽입되어 있으면, 시트 벨트(12)의 앞면측(지면 좌측)부터 벽면(22s)에 대해 시트 벨트(12)를 가압한다. 이 때, 로크부(254)의 선단에 마련된 클러치부(253)가, 시트 벨트(12)를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12)의 이동이 규제되고, 시트 벨트(12)는 로크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시트 벨트 로크 상태에서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에 마련된 빠짐 방지부(241)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의 개구단(27)을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12)는, 빠짐 방지부(241)의 상방의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의 개구단(27)으로부터 하방으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시트 벨트 로크 상태에서의 조작부(2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261)이 본체 케이스(23)의 바깥쪽에 최대한 돌출한 제 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 벨트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의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261)을, 본체 케이스(23)측에 향하여 압입하여, 조작부(26)를 도 11에 도시하는 제 2의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의 제 1 관통구멍(243)과 계합하는 조작부 축부(263)가, 계합하는 제 1 관통구멍(243)의 벽면을 도 7의 지면 하방을 향하여 누른다. 그러면, 조작부 축부(263)가 제 1 관통구멍(243) 내를 상대 이동함과 함께, 벨트 빠짐 방지부재(24)가 본체 케이스 축부(33)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 결과,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는, 도 7에 도시하는 개구단(27)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단(27)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회동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조작부(26)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부를,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에 마련된 제 1 관통구멍(243) 및 제 2 관통구멍(244)과, 제 1 관통구멍(243)에 삽입되는 조작부 축부(263)와, 제 2 관통구멍(244)에 삽입되는 본체 케이스 축부(33)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26)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24)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상기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조작부(26)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면, 그에 수반하여, 조작부(26)에 마련된 돌출부(265)가, 벨트 로크부재(25)에 마련된 당접부(252)와 맞닿고, 이것을 도 7의 지면 하방을 향하여 누른다. 그러면, 벨트 로크부재(25)는,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거스러서 회동한다. 그리고, 조작부 본체(262)의 우후단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67)과, 로크부(254)의 측면(256)이 맞닿고, 조작부(26), 벨트 로크부재(25) 및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벨트 로크부재(25)는, 도 7에 도시하는 벨트 로크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을 개방하는 벨트 로크 해제 위치까지 회동에 의해 이동한다. 이 상태가 되면, 벨트 로크부재(25)에 의한 시트 벨트(1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시트 벨트(12)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를 이동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 버튼(261)을 압입함에 의해, 벨트 빠짐 방지부재(24) 및 벨트 로크부재(25)를, 로크 해제의 위치에 연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시트 벨트(12)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에 출입 가능한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부(26)를 떼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 로크부재(25)가, 도 11에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벨트 로크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벨트 로크부재(25)가, 재차 시트 벨트(12)를 벽면(22s)에 대해 가압하고, 클러치부(253)가 시트 벨트(12)를 맞물려서 로크한다.
벨트 로크부재(25)가 벨트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벨트 로크 위치로 회동하는데 수반하여, 당접부(252)가 돌출부(265)를 도 11의 지면 상방을 향하여 누른다. 그러면, 조작부(26)가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 줄려 되돌려진다. 이와 함께, 벨트 빠짐 방지부재(24)가, 도 11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복귀하여,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의 개구단(27)을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로크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11)를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할 때에, 시트 벨트(12)를 로크한 상태에서 시트 벨트(12)를 끌어당기는 작업을 행한 경우나, 차일드 시트(11)에 충돌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에 있어서, 시트 벨트(12)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시트 벨트 로크 상태에서 시트 벨트(12)를 끌어당긴 경우나, 차일드 시트(11)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시트 벨트(12)로부터, 당해 시트 벨트를 맞물리는 벨트 로크부재(25)에 대해, 상대적인 힘이 전달되게 된다. 그 결과, 벨트 로크부재(25)를 벨트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버리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 로크부재(25)는, 벨트 로크 위치로부터 벨트 로크 해제 위치까지,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하고 회동한다.
이와 같이 벨트 로크부재(25)가 단체로서 회동하면, 조작부(26)의 돌출부(265)와, 벨트 로크부재(25)의 당접부(252) 사이의 접합이 해제된다. 즉, 벨트 로크부재(25)가, 외부에서의 힘에 의해 단체로서 회동한 경우, 벨트 로크부재(25)와 조작부(26) 사이의 기계적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26)는, 벨트 로크부재(25)의 단체로서의 회동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 로크부재(25) 단체가 회동한 경우에도, 조작부(26)의 위치는 확실하게 유지된다. 즉, 벨트 빠짐 방지부재(24)의 위치도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개구단(27)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시트 벨트(12)가 시트 벨트 삽통구멍(22)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11)를 자동차 좌석에 체결 장착 고정할 때에 시트 벨트(12)를 끌어당기는 작업을 행한 경우에, 가령 벨트 로크부재(25)가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켜졌다고 하여도, 시트 벨트(12)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부착 작업시에 시트 벨트(12)가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작업에 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 등에 의해 차일드 시트(11)에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시트 벨트 로크 장치(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벨트(12)를 시트 벨트 삽통구멍(22)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11)를 누르는 시트 벨트(12)의 누름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1)를 자동차 좌석에 시트 벨트(12)를 통하여 보다 안정하게 체결 장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조작 버튼(261)을 압입하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시트 벨트(12)의 출입과, 시트 벨트(12)의 로크/로크 해제라는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1)를 자동차 좌석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로크부재가 본체 케이스에 추지되고, 벨트 로크 위치와 벨트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동에 의해 이동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벨트 로크부재가, 벨트 로크 위치와 벨트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활주하도록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와 벨트 로크부재와의 기계적인 결합을, 조작부에 마련된 돌출부와 벨트 로크부재에 마련된 당접부와의 맞닿음에 의해 실현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조작부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벨트 로크부재에 힘을 전달하고, 또한 벨트 로크부재 단체가 벨트 로크 위치로부터 벨트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조작부에는 힘이 전달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와 벨트 로크부재와의 연결을, 한쪽 방향으로의 힘만을 전달 가능한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 1 관통구멍 및 제 2 관통구멍과, 이것과 계합하는 본체 케이스 축부 및 조작부 축부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조작부와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연결 구조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로크부재를 벨트 로크 위치를 향하여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비용성에 우수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고무 재료나 자석 등, 벨트 로크부재를 벨트 로크 위치를 향하여 가세 가능하면, 어떤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부착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우수한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차일드 시트 제조업에 유리하게 이용된다.
11 : 차일드 시트 12 : 시트 벨트
121 : 허리 벨트 122 : 어깨 벨트
13 : 좌부 14 : 등받이부
15 : 셸 프레임 16 : 좌석부
17 : 베이스부 18 : 벨트 장가부
18a : 벨트 계지부 21 : 시트 벨트 로크 장치
22 : 시트 벨트 삽통구멍 23 : 본체 케이스
24 : 벨트 빠짐 방지부재 241 : 빠짐 방지부
242 : 계합부 25 : 벨트 로크부재
251 : 원통부 252 : 당접부
253 : 클러치부 254 : 로크부
26 : 조작부 261 : 조작 버튼
262 : 조작부 본체 264 : 다리부
265 : 돌출부 27 : 개구단
28 : 표벽부 29 : 테두리 프레임
291, 292, 293, 294 : 벽부 22s, 30, 256, 267 : 면
28h, 243, 244, 255 : 관통구멍
33, 263 : 축부 34 : 샤프트

Claims (6)

  1.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팽팽히 건네져서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마련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로서,
    개구단으로부터 한쪽을 향하여 연재되고, 상기 시트 벨트를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내부에 받아들임 가능한 시트 벨트 삽통구멍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시트 벨트 삽통구멍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시트 벨트가 바깥쪽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단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시트 벨트가 상기 시트 벨트 삽통구멍에 출입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개구단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벨트 빠짐 방지부재와,
    상기 시트 벨트 삽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시트 벨트의 한쪽 면 측부터 상기 시트 벨트를 가압하고, 상기 시트 벨트 삽통구멍을 구획하는 벽면에 상기 시트 벨트를 꽉눌러서 상기 시트 벨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벨트 로크 위치와, 상기 시트 벨트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시트 벨트의 이동을 허용하는 벨트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벨트 로크부재와,
    상기 벨트 로크부재를 상기 벨트 로크 위치를 향하여 가세하는 가세 수단과,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 1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된 때에, 상기 벨트 로크부재와 맞닿고, 상기 벨트 로크부재를 상기 벨트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누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조작부와 상기 벨트 빠짐 방지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로크부재는,
    축을 통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한쪽 단부가 벨트 로크시에 상기 시트 벨트를 맞물리는 돌조의 클러치부를 구성하고,
    그 다른쪽 단부가 상기 조작부와 맞닿는 당접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벨트 빠짐 방지부재에 마련된 제 1 관통구멍 및 제 2 관통구멍과,
    상기 조작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조작부 축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본체 케이스 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조작 버튼을 가지며,
    당해 조작 버튼이 상기 본체 케이스측을 향하여 압입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 수단은,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
  6.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팽팽히 건네져서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유소아가 착좌하는 좌부와,
    착좌하는 유소아의 등을 배후로부터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측 상방부에 마련되고, 제 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시트 벨트 로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110104451A 2011-01-13 2011-10-13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 KR20120082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4746A JP5680975B2 (ja) 2011-01-13 2011-01-13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ロック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11-004746 2011-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325A true KR20120082325A (ko) 2012-07-23

Family

ID=4549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451A KR20120082325A (ko) 2011-01-13 2011-10-13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76582A1 (ko)
JP (1) JP5680975B2 (ko)
KR (1) KR20120082325A (ko)
CN (1) CN102602359A (ko)
TW (1) TW2012288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5840B1 (fr) * 2012-09-27 2014-10-10 Sas Bb Design Siege automobile pour enfant
KR101523833B1 (ko) * 2013-01-14 2015-06-01 이지영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락 장치
CN103622214A (zh) * 2013-10-29 2014-03-12 张振兴 汽车安全带公扣
CN103622215A (zh) * 2013-10-29 2014-03-12 方樱儒 汽车安全带母扣
JP6338910B2 (ja) * 2014-03-27 2018-06-06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6293549B2 (ja) * 2014-03-27 2018-03-14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ITUB20159182A1 (it) * 2015-12-21 2017-06-21 Artsana Spa Rialzo sedia per bambini.
CN107826001B (zh) * 2016-09-16 2020-05-2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支撑脚以及其儿童安全座椅总成
DE102018120869B4 (de) * 2017-08-28 2021-06-10 Wonderland Switzerland Ag Kindersicherheitssitz
US11155187B2 (en) * 2018-09-12 2021-10-26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base and child restraint system
CN109910697B (zh) * 2018-12-29 2021-08-27 深圳市南山区月亮湾小学 一种用于汽车上的便携式儿童安全座椅
CN110843619A (zh) * 2019-12-10 2020-02-28 东莞贯新幼童用品有限公司 安全座椅
KR102360599B1 (ko) * 2020-06-30 2022-02-09 주식회사 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 장치
KR102453066B1 (ko) * 2020-11-20 2022-10-11 주식회사 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860A (ja) 2000-06-07 2001-12-18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固定装置
JP4472150B2 (ja) * 2000-10-16 2010-06-02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2642600Y (zh) * 2003-07-24 2004-09-22 赵纯立 一种儿童专用汽车座椅安全带锁扣装置
NL1029417C2 (nl) * 2005-07-04 2007-01-08 Maxi Miliaan Bv Kindervoertuigstoel.
CN201065082Y (zh) * 2006-11-14 2008-05-28 长春旭阳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汽车儿童座椅
JP5157260B2 (ja) * 2007-05-30 2013-03-06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用シートベルトクランプ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5326294B2 (ja) * 2008-02-15 2013-10-30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0975B2 (ja) 2015-03-04
TW201228864A (en) 2012-07-16
JP2012144174A (ja) 2012-08-02
CN102602359A (zh) 2012-07-25
EP2476582A1 (en)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325A (ko) 차일드 시트의 시트 벨트 로크 장치 및 차일드 시트
US10023079B2 (en) Child safety seat
US10449881B2 (en) Head rest
US9050910B2 (en) Cup holder tray for armrest of automobile
JP4637864B2 (ja) 車両用シートの格納構造
US11529891B2 (en) Vehicle seat
KR20120035880A (ko) 차일드 시트
US10124700B2 (en) Locking device for foldable structure
EP2902256A1 (en) Head rest
WO2015194238A1 (ja) ヘッドレスト
JP6761175B2 (ja) 車両用シート
JP5728281B2 (ja) ロック装置
WO2011030734A1 (ja) 車両用シートの収納装置
KR10187034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101982B2 (ja) バックル装置
CN111328311B (zh) 头枕控制装置
JP2013095272A (ja) 跳ね上げシートロック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JP5108441B2 (ja) リッド開閉機構
WO2012053166A1 (ja) 連結装置
JP2018114931A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
JP5952722B2 (ja) 乗物用シート
JP691731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5580088B2 (ja) 横跳ね上げシートのロック機構
JP5335119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5450721B2 (ja) リッド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