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814A -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814A
KR20120081814A KR1020110003158A KR20110003158A KR20120081814A KR 20120081814 A KR20120081814 A KR 20120081814A KR 1020110003158 A KR1020110003158 A KR 1020110003158A KR 20110003158 A KR20110003158 A KR 20110003158A KR 20120081814 A KR20120081814 A KR 2012008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cover
duct
outlet
ai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390B1 (ko
Inventor
이운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90B1/ko
Priority to US13/209,911 priority patent/US8511915B2/en
Publication of KR2012008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부의 촬상 방향에 구비되는 돔 커버와, 덕트의 내부를 향해 상기 돔 커버의 결로 방지를 위한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 및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내부를 이동한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폭이 가장 넓은 쪽에 형성된 덕트를 포함하며, 덕트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Housing assembly and monitoring camera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 장치는 사무실, 주택, 병원은 물론 은행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 건물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어 출입관리나 방범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범죄의 증가와 더불어 지하 주차장, 주택가 및 도로와 같이 실외에도 많이 설치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 장치는 특히 겨울철이나 냉동 창고와 같이 외부온도가 매우 낮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카메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돔 커버에 결로가 발생된다. 결로 현상은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정상적인 촬영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감시 카메라 장치는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촬상부를 보호하는 돔 커버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여 렌즈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내부를 일정 온도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회로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돔 커버; 일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타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폭이 넓은 쪽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동 통로를 포함하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기준 온도 이하에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끝단은 상기 돔 커버를 향해 상기 덕트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돔 커버는 반구형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배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돔 커버는 반구형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 ~ 0.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돔 커버의 결로 방지를 위한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 및 상기 바람을 상기 돔 커버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송풍기가 발생한 바람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의 내부를 향해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덕트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배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돔 커버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촬상부; 상기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돔 커버; 일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타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으로 하나만 구비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 둘레의 0.25배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덕트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제1덕트부; 및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며,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덕트부와 결합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돔 커버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를 향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덕트부의 끝단은, 상기 돔 커버를 향해 상기 제1 덕트부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돔 커버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를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된 공기가 돔 커버 전체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돔 커버에 결로 또는 성에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 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촬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모듈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된 공기가 배출구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덕트를 통해 배출되므로, 크기가 작은 감시 카메라 장치 뿐만 아니라 크기가 큰 감시 카메라 장치에도 덕트를 복수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포함된 구성 요소, 및 촬상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도2의 결로 방지 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돔 커버 및 결로 방지 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로 방지 수단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 케이스(40)와 내부 케이스(4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 및 촬상부(20)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감시 카메라 장치(1)는 하우징(10), 촬상부(20), 촬상부(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돔 커버(30), 돔 커버(30)에 결로 또는 성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 수단(5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돔 커버(30)와 결합하여, 촬상부(20) 및 촬상부(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 촬상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모듈(미도시) 등을 보호한다. 하우징(10)은 돔 커버(30)와 결합할 수 있는 내부 쉘(120)과, 내부 쉘(120)을 둘러싸는 외부 쉘(110)로 이루어지는 이중 쉘 구조일 수 있다.
촬상부(20)는 감시 대상인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부(20)는 줌-인/아웃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촬상부(20)는 틸팅과 패닝 동작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돔 커버(30)는 촬상부(20)를 수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촬상부(20)를 보호한다. 돔 커버(30)는 하우징(10)의 내부 쉘(12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돔 커버(30)는 촬상부(20)의 영상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소재나 투명도가 높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돔 커버는 라운드진 형상을 의미한다.
내부 케이스(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촬상부(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 촬상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모듈(미도시)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40)는 결로 방지 수단(50)에서 배출된 공기의 방향을 변경시켜 공기가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할 수 있게 안내한다.
결로 방지 수단(50)은 돔 커버(30)에 발생하는 결로나 성에 방지를 위하여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결로 방지 수단(50)은 내부 케이스(40)와 하우징(10) 사이에서,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결로 방지 수단(50)은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돔 커버(30)가 반구형이면, 결로 방지 수단(50)은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일 수 있다.
결로 방지 수단(50)은 일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한 공기를 타 방향으로 배출한다. 이 때, 배출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결로 방지 수단(50)은 -D2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D2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D2 방향으로 배출된 공기는 내부 케이스(40)에 의해 돔 커버(30)의 내주면과 접촉한 채로 진행하면서 돔 커버(30)를 전체적으로 데운다. 결로 방지 수단(50)에서 배출된 가열 공기가 방향을 바꾼 후 돔 커버(30)를 데우는 구성은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결로 방지 수단(50)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로 방지 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결로 방지 수단(50)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하는 송풍기(51),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 및 덕트(52)를 포함한다. 송풍기(51)는 블로워 타입일 수 있다.
송풍기(51)는 내부에 수용된 임펠러(513)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한다. 송풍기(51)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511)와, 임펠러(513)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51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풍기(51)는 흡입구(511)가 임펠러(513)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고 토출구(512)가 흡입구(511)와 대략 수직인 원심형 송풍기(51)가 사용될 수 있다. 토출구(51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덕트(52)의 유입구(52a)를 향해 진행한다.
덕트(52)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52a) 및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52b)를 구비한다. 덕트(52)의 유입구(52a)의 크기는 송풍기(51)의 토출구(512)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52)는 유입구(52a)에서 배출구(52b)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배출구(52b)는 폭이 가장 넓은 쪽에 형성된다. 덕트(52)는 제1 덕트부(521)와, 제1 덕트부(521)와 결합되는 제2 덕트부(5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덕트부(521)는 D2방향(전방) 및 -D1방향(상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이며, D1방향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이다. -D1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는 유입구(52a)가 된다.
제1 덕트부(52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서 히터(53)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덕트부(521)의 양측에는 제2 덕트부(522)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덕트부(521)와 제2 덕트부(522)는 나사(j2)를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덕트부(521)는 내부 쉘(120)과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부(C2)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로 방지 수단(50)은 제2 결합부(C2)를 통해 내부 쉘(120)에 고정된다.
제2 덕트부(522)는 D1방향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제1 덕트부(5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덕트부(521)와 결합한다. 이 때, 제2 덕트부의 끝단(522e)은 제1 덕트부의 끝단(521e) 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2 덕트부의 끝단(552e)과 제1 덕트부의 끝단(521e)은 소정의 간격 이격된 채 결합된다. 제2 덕트부의 끝단(552e)과 제1 덕트부의 끝단(521e) 사이의 공간은 D2 방향으로 개방되어 배출구(52b)를 형성한다.
제2 덕트부(522)의 상단은 제1 덕트부(521)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면에는 송풍기(51)가 결합될 수 있는 제3 결합부(C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송풍기(51)와 제2 덕트부(522)는 나사(j1)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는 제2 덕트부(522)의 연장된 면을 통과하여 송풍기(51)로 흡입되므로, 연장된 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s)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53)는 덕트(52)의 내부에 수용되어, 덕트(5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53)는 기준 온도 이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히터(53)는 감시 카메라 장치(1)의 내부 온도가 영하 10도 이하인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히터(53)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통로(5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히터(53) 자체에 유동 통로(531)가 구비되거나, 두개의 히터 유닛(미도시)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유동 통로(531)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유동 통로(531)를 지나면서 히터(53)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53)를 수용하고 있는 덕트(5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금속 소재의 덕트(52)는 히터(53)에서 발산되는 열의 일부를 외부로 전달하므로 감시 카메라 장치(1)의 내부는 일정 온도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겨울철 실외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장치(1)의 회로 모듈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저온 환경에 의해 고장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는 돔 커버(30)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진행한 가열된 공기의 잔열을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회로 모듈과 같은 구성 요소들의 미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히터(53)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시 카메라 장치(1)의 내부로 전달하도록 덕트(52)를 금속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결로 방지 수단(50)은 -D2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D2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D2 방향으로 배출된 공기는 D1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돔 커버(3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진행한다. 감시 카메라 장치(1)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감시 카메라 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감시카메라 장치 중 결로 방지 수단과 돔 커버의 배치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상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결로 방지 수단(50)은 내부 케이스(40)와 하우징(10) 사이에서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결로 방지 수단(50)과 내부 케이스(4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기(51)는 이 공간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D1방향으로 배출되어 덕트(52)의 내부로 이동한다.
덕트(52)의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구(5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52b)는 D2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가열된 공기는 D2 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5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내부 케이스(40)는 배출구(52b)와 소정의 간격 이격된 채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D2방향으로 배출된 가열 공기는 내부 케이스(40)에 의해 D1 방향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때, 내부 케이스(40)의 끝단은 D1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내부 케이스(40)의 끝단과 돔 커버(30) 사이에는 가열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국소적으로 형성되므로, 가열 공기는 누설없이 D1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덕트(52)가 배출구(52b)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배출구(52b)가 폭이 가장 넓은 쪽에 폭이 구비되므로, 배출구(52b)를 통해 배출된 가열 공기는 돔 커버(30)를 전체적으로 데울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공기는 돔 커버(30)의 반쪽을 데운 후 나머지 반쪽을 향해 진행하면서 돔 커버(30)를 데울 수 있다.
이 때, 돔 커버(30)의 내주면 중 가열 공기가 지나가지 않는 데드 영역(dead area)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덕트(52)는 반구형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일 수 있다. 덕트(52)가 원호의 형상이므로 배출구(52b)도 원호의 형상임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덕트(52)의 호의 길이(l), 즉 배출구(52b)의 호의 길이는 돔 커버(30)의 둘레(2πR)의 0.25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배출구(52b)의 호의 길이(l)은 돔 커버(30) 둘레의 0.25배 ~ 0.5배가 될 수 있다.
배출구(52b)의 호의 길이(l)가 돔 커버(30) 둘레의 0.25배 미만이면 데드 영역이 발생하여 돔 커버(30)에 발생하는 결로 또는 성에를 방지하기 어렵다. 한편, 배출구(52b)의 호의 길이(l)가 돔 커버(30) 둘레의 0.5배를 초과하면, 결로 방지 수단(50)의 크기가 커져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70)도 공기의 유동을 발생하는 송풍기(71),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3), 및 덕트(72)를 포함한다. 송풍기(71)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72)의 유입구를 향해 진행하고, 히터(73)에 의해 가열된 후 덕트(72)의 배출구(7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덕트(72)는 배출구(72b)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배출구(72b)는 덕트(72)의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되는 점, 및 덕트(72)는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이라는 점 등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70)은 배출구(72b)가 D1방향(하방)을 향해 형성된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송풍기(71)와 히터(73), 및 덕트(72)에 관한 동일한 구성 및 특징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덕트(72)는 송풍기(71)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히터(73)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72b)를 포함한다. 유입구는 상방(-D1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배출구(72b)는 하방(D1방향)을 향해 개방된다.
제1 덕트부(521)의 D2방향(전방) 및 -D1방향(상방)은 개방된 상태이며, D1방향(하방)의 일부도 개방된 상태이다. D1방향을 향해 개방된 개구는 배출구(72b)가 된다.
제2 덕트부(522)는 제1 덕트부(5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덕트부(521)와 결합한다. 이 때, 제2 덕트부(722)는 제1 덕트부의 끝단(521e)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채 결합되어, 배출구(72b)를 형성한다. 한편, 제2 덕트부의 끝단은(722e) 가열된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돔 커버(30)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제1 덕트부(521)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결로 방지 수단이 구비된 감시 카메라 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결로 방지 수단(70)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송풍기(71)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히터(73)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구(72b)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가열된 공기가 D1 방향을 향해 배출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8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제2 덕트부의 끝단(522e)은 D1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2 덕트부의 끝단(522)과 돔 커버(30) 사이에는 가열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국소적으로 형성된다. 이 통로를 통해 가열 공기는 누설없이 D1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덕트(72)가 배출구(72b)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배출구(72b)가 폭이 가장 넓은 쪽에 폭이 구비되므로, 배출구(72b)를 통해 배출된 가열 공기는 돔 커버(30)를 전체적으로 데울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공기는 돔 커버(30)의 반쪽을 데운 후 나머지 반쪽을 향해 진행하면서 돔 커버(30)를 데울 수 있다.
이 때, 돔 커버(30)의 내주면 중 가열 공기가 지나가지 않는 데드 영역(dead area)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덕트(72)는 반구형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배출구(72b)도 원호의 형상일 수 있다. 배출구(72b)의 호의 길이는 적어도 돔 커버(30)의 둘레의 둘레(2πR)의 0.2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90)도 공기의 유동을 발생하는 송풍기(91),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3), 및 덕트(92)를 포함한다. 송풍기(91)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92)의 유입구를 향해 진행하고, 히터(93)에 의해 가열된 후 덕트(92)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덕트(92)는 배출구 측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배출구는 덕트(92)의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되는 점, 및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이라는 점 등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90)은 송풍기(91) 및 히터(93)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1 덕트부(921)와 제2 덕트부(922)로 구성된 덕트(92)에 관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송풍기(91)는 팬 타입으로, 임펠러(913)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축류식 송풍기일 수 있다. 송풍기(91)는 덕트(92)의 내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92)의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덕트부(922)는 송풍기(91)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를 향해 연장될 필요가 없다.
히터(93)는 덕트(92)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기(91)가 토출한 공기를 가열한다. 이 때, 히터(93)도 배출구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으며, 공기가 지나가는 유동 통로(931)도 배출구를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1000)도 공기의 유동을 발생하는 송풍기(1010),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030), 및 덕트(1020)를 포함한다. 송풍기(1010)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1020)의 유입구를 향해 진행하고, 히터(1030)에 의해 가열된 후 덕트(1020)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덕트(1020)는 배출구 측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배출구는 덕트(1020)의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되는 점, 및 돔 커버(30)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이라는 점 등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수단(1000)은 히터(1030)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송풍기(1010) 및 제1 덕트부(1021)와 제2 덕트부(1022)로 구성된 덕트(1020)에 관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히터(1030)는 필름형 히터로서, 덕트(10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히터(1030)는 복수개로 덕트(1020)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1030)도 기준 온도 이하, 예컨대, 영하 10도 이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히터(53, 73, 93, 1030)가 덕트(52, 72, 92, 1020)의 내부에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송풍기가 흡입하는 공기는 히터에 의해서 이미 가열된 상태의 공기일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히터(1130)는 송풍기(1110)의 흡입구(111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송풍기(1110)가 흡입하는 공기는 가열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130)와 송풍기(1110) 제2 덕트부(112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1130)에는 흡입구(1111)로 진행하는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유동 통로(1131)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1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기(1110)에 의해 덕트(112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1120a)를 통해 배출되면서 돔 커버(30)에 열을 전달한다. 배출구(1120a)로 배출된 가열 공기의 이동은 앞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감시 카메라 장치
10: 하우징
20: 촬상부
30: 돔 커버
40: 내부 케이스
50. 70. 90. 1000: 결로 방지 수단
51, 71, 91, 1010, 1110: 송풍기
52, 72, 92, 1020, 1120: 덕트
110: 외부 쉘
120: 내부 쉘
521, 721, 921, 1021, 1121: 제1 덕트부
522, 722, 922, 1022, 1122: 제2 덕트부
53, 73, 93, 1030, 1130: 히터

Claims (20)

  1.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돔 커버;
    일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타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폭이 넓은 쪽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동 통로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기준 온도 이하에서 동작되는 하우징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끝단은 상기 돔 커버를 향해 상기 덕트보다 길게 연장된 하우징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커버는 반구형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배 이상인 하우징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커버는 반구형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 ~ 0.5배인 하우징 조립체.
  8.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돔 커버의 결로 방지를 위한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 및
    상기 바람을 상기 돔 커버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송풍기가 발생한 바람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의 내부를 향해 토출하는 하우징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금속을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인 하우징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돔 커버는 반구형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의 0.25배 이상인 하우징 조립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돔 커버를 향해 형성된 하우징 조립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돔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16. 촬상부;
    상기 촬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돔 커버;
    일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타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상으로 하나만 구비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돔 커버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의 호의 길이는 상기 돔 커버 둘레의 0.25배 이상인 감시 카메라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제1덕트부; 및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며,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쪽에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덕트부와 결합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돔 커버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를 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덕트부의 끝단은, 상기 돔 커버를 향해 상기 제1 덕트부보다 길게 연장된 감시 카메라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돔 커버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돔 커버를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돔 커버를 향하도록 상기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돔 커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0110003158A 2011-01-12 2011-01-12 하우징 조립체 KR10166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58A KR101665390B1 (ko) 2011-01-12 2011-01-12 하우징 조립체
US13/209,911 US8511915B2 (en) 2011-01-12 2011-08-15 Housing assembly and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58A KR101665390B1 (ko) 2011-01-12 2011-01-12 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14A true KR20120081814A (ko) 2012-07-20
KR101665390B1 KR101665390B1 (ko) 2016-10-12

Family

ID=4645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58A KR101665390B1 (ko) 2011-01-12 2011-01-12 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1915B2 (ko)
KR (1) KR101665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913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히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20160031277A (ko) 2014-09-12 2016-03-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의 히터 구동 장치
KR20180039478A (ko) * 2016-10-10 2018-04-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용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8150B (zh) * 2011-08-02 2014-08-01 Qisda Corp 具有散熱功能之影像監視模組
US9075288B2 (en) * 2012-09-06 2015-07-07 Sensormatic Electronics, LLC Pan, tilt, zoom camera system for cooling electronics
ITMI20121589A1 (it) * 2012-09-24 2014-03-25 Videotec Spa Custodia perfezionata per videocamera di sorveglianza e dispositivo di supporto per una custodia per videocamera di sorveglianza
JP5983398B2 (ja) * 2012-12-28 2016-08-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撮像装置
CN103237196B (zh) * 2013-04-08 2015-12-02 广州市澳视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报障高速球及其网络管理客户端系统
JP2016090844A (ja) * 2014-11-06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652305B2 (ja) * 2016-04-28 2020-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監視システム
JP2016224450A (ja) * 2016-07-29 2016-12-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回転装置
WO2018041109A1 (en) 2016-08-31 2018-03-08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Deiv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removing vapor
CN106851061B (zh) * 2017-01-23 2020-12-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图像采集设备
KR101872442B1 (ko) 2017-03-02 2018-06-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조립체
JP7153550B2 (ja) * 2018-12-17 2022-10-14 株式会社クボタ 浮遊物撮影装置
CN111897185B (zh) * 2020-07-22 2021-09-03 酷景传媒(上海)有限公司 一种全景相机防护罩
US11703743B2 (en) 2021-07-23 2023-07-18 Robert Bosch Gmbh Camera assembly with cooled internal illumin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6872A1 (en) * 2005-12-06 2007-06-07 Michael Bolotine Modular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90084383A (ko) * 2008-02-01 2009-08-05 (주)이로닉스 열전도방식의 결로방지용 히터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184A (en) * 1993-08-30 1995-02-28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Surveillance assembly having circumferential delivery of forced air to viewing bubble
JPH08205007A (ja) * 1995-01-24 1996-08-09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ハウジングの曇り防止装置
JP3599863B2 (ja) * 1995-11-17 2004-12-08 フジノン株式会社 換気手段を備えた雲台装置
US5689304A (en) 1996-03-04 1997-11-18 Philips Electronic North America Corporation Indoor/outdoor surveillance housing
US6061087A (en) * 1998-07-16 2000-05-09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Outdoor enclosure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US6850025B1 (en) * 2000-06-30 2005-02-01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enclosure and controller for video surveillance camera
JP2002040554A (ja) * 2000-07-25 2002-02-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ハウジングの空気調和装置
US6877551B2 (en) * 2002-07-11 2005-04-12 Avaya Technology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weatherproof cabinets with variably cooled compartments
JP4514525B2 (ja) * 2004-06-11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装置
US7699691B1 (en) * 2005-05-11 2010-04-20 L-3 Communications Sonoma Eo, Inc.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enclosed volume
JP2009135723A (ja) 2007-11-30 2009-06-18 Victor Co Of Japan Ltd 監視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6872A1 (en) * 2005-12-06 2007-06-07 Michael Bolotine Modular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90084383A (ko) * 2008-02-01 2009-08-05 (주)이로닉스 열전도방식의 결로방지용 히터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913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히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20160031277A (ko) 2014-09-12 2016-03-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의 히터 구동 장치
KR20180039478A (ko) * 2016-10-10 2018-04-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390B1 (ko) 2016-10-12
US8511915B2 (en) 2013-08-20
US20120177357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1814A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532472B1 (ko) 드라이어
CN110637197B (zh) 具有冷媒检测传感器的空气调节装置的室内单元
US9414516B2 (en) Digital sig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6091106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CN107110555B (zh) 空调装置的室内机
CN208862955U (zh) 一种防凝露图像采集装置
WO2021197080A1 (zh) 无叶冷风扇
KR101635162B1 (ko) 감시카메라용 냉각장치
WO2014073166A1 (ja) 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発熱体収納装置
KR20130068337A (ko)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고온 열풍기
WO2008010208A2 (en) Thin profile ceiling mounte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suite of rooms
KR101969054B1 (ko) 보안 카메라용 습기 제거 장치 및 습기 방지용 보안 카메라
CN107197613B (zh) 电器盒散热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外机
US10712552B2 (en) Bladeless dust removal system for compact devices
RU2672434C2 (ru) Конвекционный вентилятор, интегрируемый в подшивной потолок, и блок,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из двух конвекционных вентиляторов, принадлежащий к установке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CN104936394A (zh) 电源供应器
ES2337867A1 (es) Dispositivo para evacuacion rapida de fluidos gaseosos en un horno de conveccion.
RU167289U1 (ru) Приточ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6691664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KR101636344B1 (ko) 열효율을 향상한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KR20180125070A (ko) 노인 관리 냉난방기
KR20190071948A (ko) 돔 카메라
KR100319692B1 (ko) 온도센서 보호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93067B1 (ko) 옥외용 키오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