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67B1 - 옥외용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옥외용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67B1
KR102393067B1 KR1020210132553A KR20210132553A KR102393067B1 KR 102393067 B1 KR102393067 B1 KR 102393067B1 KR 1020210132553 A KR1020210132553 A KR 1020210132553A KR 20210132553 A KR20210132553 A KR 20210132553A KR 102393067 B1 KR102393067 B1 KR 10239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kiosk
inner spa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호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진
Priority to KR102021013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67B1/ko
Priority to PCT/KR2021/014724 priority patent/WO20230588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곡선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는 상호 간섭을 회피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덕트 내부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키오스크 내부에 중앙 및 하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덕트와 상기 덕트 끝단에 배기팬이 마련되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키오스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배기되도록 유도되는 배출공기유로가 복수 개가 형성되더라도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의 일단에 완충챔버를 마련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완화하여 사용자 또는 행인에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용 키오스크 { OUTDOOR KIOSK }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용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본래 옥외에 설치된 대형 천막이나 현관을 뜻하는 말로서 간이 판매대나 소형 매점을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해 설치되는 무인단말기를 주로 지칭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무인단말기로서의 키오스크는 일반적으로 공공장소, 식당, 버스터미널, 지하철, 관공서, 쇼핑몰 등 유동인구가 많고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상품 정보나 시설물의 이용 안내, 장소 및 관광 정보 안내 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예로는 식당이나 영화관 등의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무인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푸시기능을 지녀서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 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병원 및 항공사 체크인, 자동 정산 및 결제, 티켓 발매용 기기나 및 현금자동입출금기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키오스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은 주문 업무에 투여되는 인력의 인건비를 절감하고 주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경제적인 목적과 현대의 사람들이 대인 접촉을 기피하면서 무인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을 심리적으로 더욱 편안하게 여기는 추세와도 관련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키오스크는, 대부분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 발권, 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가능하며, 이는 등산로, 문화유적지, 교통지역, 관광지역 등에 설치되는 옥외용 키오스크와 은행, 숙박업소, 공기관 등에 설치되는 실내용 키오스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옥외용 키오스크 단말기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실내용 키오스크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예컨대, 여름철에는 높은 온도의 태양열에 의해 키오스크 자체는 물론, 모니터까지 과열됨으로써, 모니터의 화면 감도 저하 또는 불량 화소 발생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과열로 인한 기계의 오작동 및 수명 단축 문제를 야기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1622호(2014.11.04.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자연 급배기 방열구조를 갖는 스탠드 타입 키오스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키오스크의 외곽에 치우쳐진 상방에 방열팬(23)이 구비되고 방열팬(23)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착탈식 프레임(14)이 가로막으므로, 배기되는 공기유로는 착탈식 프레임(14)의 측부로 꺾여야만 가능하며, 배기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 공기가 배출되는 개구부분이 작아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강해지므로 사용자 또는 행인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상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방열팬 외에는 키오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단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온도의 영역을 갖는 키오스크 내부의 공기를 보다 적극적으로 흡입하여 배기함으로써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하는 당위적인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16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오스크 내부에 중앙 및 하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덕트와 상기 덕트 끝단에 배기팬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키오스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배기되도록 유도되는 배출공기유로가 복수 개가 형성되더라도 상호 간섭이 방지되는 옥외용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의 일단에 완충챔버를 마련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완화하여 사용자 또는 행인에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옥외용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곡선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는 상호 간섭을 회피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덕트 내부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키오스크 본체의 내측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일단은 상기 배출구와 이어져 외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하방으로 1°이상 구부러져 상기 키오스크 내부 또는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배기팬이 설치가능한 덕트유입구가 형성된 제1덕트 및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단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어도 일부 완충하는 완충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키오스크 본체의 양측면 사이의 중앙 하방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부유입구; 및 상기 상부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유입구보다 배출구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하부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가상의 영역을 나누고 각 영역별로 해당하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각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온도값과 사용자가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의 값을 비교 및 판단하며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의하면, 키오스크 내부에 중앙 및 하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덕트와 상기 덕트 끝단에 배기팬이 마련되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키오스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배기되도록 유도되는 배출공기유로가 복수 개가 형성되더라도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에 의하면, 덕트의 일단에 완충챔버를 마련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완화하여 사용자 또는 행인에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는 키오스크 본체(100)와 덕트(200) 및 배기팬(230)을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본체(1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키오스크 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키오스크 본체(100)는 유입구(120)와 배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20)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것으로 키오스크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구(120)는 유입팬(미부호)이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공간(110)으로 흡입가능하다. 유입구(120)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그물망과 같은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30)는 내부공간(11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키오스크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뜨거운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므로, 배출구(130)는 키오스크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는 완충챔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챔버(140)는 후술하는 덕트(200)의 일단과 배출구(1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챔버(140)는 덕트(20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어도 일부 완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오스크 본체(100)의 하측에 유입구(120)가 마련되고 상측에 배출구(130)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행인들에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닿지 않도록 하여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덕트(200)는 내부공간(110)에 마련되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200)는 내부공간(110)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30)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덕트(200)의 일단은 완충챔버(140)와 이어질 수 있다. 즉, 덕트(200) 내부의 공기는 완충챔버(140)와 배출구(1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덕트(20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공기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유로는 상호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서로 대칭되는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는 각각 일단이 키오스크 본체(100)의 내측, 즉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에서 언급했다시피 덕트(200)는 배출구(130)와 이어질 수 있다. 즉,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의 일단은 각각 배출구(130)와 이어져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의 타단은 하방으로 1°이상 비스듬하게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키오스크 본체(100) 내부 또는 하방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의 타단에는 내부공간(110)의 공기를 제1덕트(210)와 제2덕트(220)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각각 배기팬(230)이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의 타단에 마련되는 유입구(120)는 상부유입구(211, 221)와 하부유입구(212,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덕트(210)의 타단에는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1덕트하부유입구(212)가 마련되고, 제2덕트(220)의 타단에는 제2덕트상부유입구(212)와 제2덕트하부유입구(2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는 키오스크 본체(100)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사이의 중앙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하부유입구(212)와 제2덕트하부유입구(222)는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덕트하부유입구(212)와 제2덕트하부유입구(222)는 각각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보다 배출구(130)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덕트상부유입구(211, 221)와 제1 및 제2덕트하부유입구(212, 222)를 통해 내부공간(110)의 공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는 내부공간(110)의 중앙과 하측을 향하므로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시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덕트하부유입구(212)와 제2덕트하부유입구(222)는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가 흡입하기 어려운 부분의 공기가 흡입되기 용이하다. 덧붙여서 제1덕트하부유입구(212)와 제2덕트하부유입구(222)는 제1덕트상부유입구(211)와 제2덕트상부유입구(212)와 그 위치가 상이하므로, 내부공간(110)에서 덕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서로 방해되지 않는다. 즉,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는 서로 간섭되지 않아,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기배출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다.
덕트(200) 내부, 즉 배출구(130) 쪽에 가까운 덕트(200)의 일측 내부에는 판체 형상의 가이드(23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230)는 덕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완충챔버(140) 또는 배출구(130)로 안내할 수 있다. 덕트(200)는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므로, 덕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200)의 상면에 압력을 가하여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2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위치에 따라 그 분포 또는 압력이 다를 수 있는데, 상측부분은 배출압력이 하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상기 상측부분에 대응하는 완충챔버(140)의 일부분은 보다 강한 압력을 받아 파손의 염려가 있다.
도면에는 가이드(230)를 설명을 위해 제1덕트(210) 쪽에만 도시하였으나 제2덕트(220)에도 가이드(230)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팬(230)은 덕트(200)의 타단 즉, 제1 및 제2덕트상부유입구(211, 221)와 제1 및 제2덕트하부유입구(212, 222)에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의 공기를 덕트(200) 내부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는 온도센서(400)와, 디스플레이수단(500) 및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400)는 내부공간(110)에 복수 개가 마련되되, 내부공간을 수직방향을 따라 가상의 영역을 나누고 각 영역별로 온도센서(400)가 배치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온도센서(400)가 3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으로 온도센서(400)의 개수는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온도센서(400)의 개수 또는 위치는 제작자가 제작하는 키오스크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컨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키오스크일 수록 많은 수의 온도센서(400)가 배치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온도센서(400)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사용자가 옥외용 키오스크를 직접 점검하지 않은 채 원격으로 상기 온도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상기에서 언급한 전자기기들 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나타난 키오스크 본체(100)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도 온도센서(400)가 감지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다.
제어부(6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온도센서(400)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디스플레이수단(500)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온도센서(400)가 감지한 온도값과 사용자가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의 값을 비교 및 판단할 수 있고, 그 결과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키오스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키오스크 본체 110 : 내부공간
120 : 유입구 130 : 배출구
140 : 완충챔버 200 : 덕트
210 : 제1덕트 211 : 제1덕트상부유입구
212 : 제1덕트하부유입구 220 : 제2덕트
221 : 제2덕트상부유입구 222 : 제2덕트하부유입구
230 : 가이드 300 : 팬
400 : 온도센서 500 : 디스플레이수단
600 : 제어부

Claims (6)

  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곡선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유로는 상호 간섭을 회피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덕트 내부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
    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키오스크 본체의 내측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일단은 상기 배출구와 이어져 외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하방으로 1°이상 구부러져 상기 키오스크 내부 또는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배기팬이 설치가능한 덕트유입구가 형성된 제1덕트 및 제2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키오스크 본체의 양측면 사이의 중앙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상부유입구; 및
    상기 상부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유입구보다 배출구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하부유입구;
    를 포함하는 옥외용 키오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단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어도 일부 완충하는 완충챔버;
    를 더 포함하는 옥외용 키오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옥외용 키오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가상의 영역을 나누고 각 영역별로 해당하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각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온도값과 사용자가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의 값을 비교 및 판단하며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옥외용 키오스크.
KR1020210132553A 2021-10-06 2021-10-06 옥외용 키오스크 KR10239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53A KR102393067B1 (ko) 2021-10-06 2021-10-06 옥외용 키오스크
PCT/KR2021/014724 WO2023058808A1 (ko) 2021-10-06 2021-10-20 옥외용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53A KR102393067B1 (ko) 2021-10-06 2021-10-06 옥외용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067B1 true KR102393067B1 (ko) 2022-05-03

Family

ID=8159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553A KR102393067B1 (ko) 2021-10-06 2021-10-06 옥외용 키오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067B1 (ko)
WO (1) WO20230588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076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屋外用表示装置の筺体
KR101441622B1 (ko) 2014-05-15 2014-11-04 (주) 에이앤에이컴퍼니 자연 급배기 방열구조를 갖는 스탠드 타입 키오스크
KR20210015469A (ko) * 2019-08-02 2021-02-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캐비닛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359Y2 (ja) * 1989-10-20 1995-08-2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の冷却構造
JP2011150034A (ja) * 2010-01-20 2011-08-04 Tecnart:Kk 液晶ディスプレイ
JP6685141B2 (ja) * 2016-02-02 2020-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案内表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076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屋外用表示装置の筺体
KR101441622B1 (ko) 2014-05-15 2014-11-04 (주) 에이앤에이컴퍼니 자연 급배기 방열구조를 갖는 스탠드 타입 키오스크
KR20210015469A (ko) * 2019-08-02 2021-02-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캐비닛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08A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7197B (zh) 具有冷媒检测传感器的空气调节装置的室内单元
US2008016090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ing
US2010004132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using fans located under flooring
CN107110555B (zh) 空调装置的室内机
EP1361398A4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US68213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ir filtration
KR102393067B1 (ko) 옥외용 키오스크
US6963488B1 (en) Device to convey the cool air from an air-conditioner into a computer
JP2005172309A (ja) 送風装置および室用空調システム
JP5795407B2 (ja) 空調システム
CN102467199A (zh) 电子装置
KR101540891B1 (ko)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JP2012222043A (ja) 空調システム
JP202008540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210088939A (ko) 환기장치
CN207924859U (zh) 一种带烟雾报警温度报警功能的户外一体机
KR2004011041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공기감지장치
JP4997888B2 (ja) 換気装置
CN1329695C (zh) 室外机的安全运行装置及其方法
KR201000485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306624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JP2020094498A (ja) 送風機
JP701896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647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032246A (ja) 送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送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