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891B1 -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 Google Patents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891B1
KR101540891B1 KR1020140148925A KR20140148925A KR101540891B1 KR 101540891 B1 KR101540891 B1 KR 101540891B1 KR 1020140148925 A KR1020140148925 A KR 1020140148925A KR 20140148925 A KR20140148925 A KR 20140148925A KR 101540891 B1 KR101540891 B1 KR 10154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chamber
rectangular box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Priority to KR102014014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내의 악세스 플로어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이 개시된다.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은, 흡입 챔버(C1)와 취출 챔버(C2)를 갖되, 상기 흡입 챔버(C1)가 전방벽(11)에 형성된 공조 공기 흡입구(G1) 및 전방측 상부면에 형성된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연결되고, 상기 취출 챔버(C2)가 후방측 상부면에 형성된 공기 취출구(G3)와 연결되는, 사각 박스형 바디(10)와; 상기 흡입 챔버(C1)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챔버(C2)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취출 챔버(C2)를 거쳐 외부로 내보내도록 작동하는 팬유닛(20)와; 댐퍼 액추에이터(41)에 의해 상기 흡입 챔버(C1) 내에서 회동되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 또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개폐하거나,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댐퍼(40)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를 포함하는 후방측 공간과 상기 흡입 챔버(C1)을 포함하는 전방측 공간으로 분리 구획하도록, 공기 전달홀(132)이 형성된 격벽(13)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상기 공기 취출구(G3)는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 전후 양측으로 여분을 두고 결합된 상판(14)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FAN TERMINAL UNIT FOR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악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을 공조 공기의 통로로 이용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에 이용되는 팬 터미널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악세스 플로어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어, 공조 공기와 실내 공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빌딩들이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을 채택해 왔다.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천장의 공기 덕트를 통해 시원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 취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천장에서 나오는 시원한 공기가 1.7m 높이 이하의 사람 거주역, 더 나아가서는, 사람이 앉아 있는 1.2m 내지 1.5m 이하 위치까지 도달하려면, 위쪽의 더운 공기를 먼저 식히고 아래로 내려와야 되므로, 냉방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겨울철 실내 난방이 중요하게 고려되었고 실 칸막이와 가구 배치의 변경이 적었던 과거에는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이 적합하였지만, 인체 부하와 컴퓨터 등의 기기 부하에 대한 냉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실 칸막이와 가구 배치의 변경이 많은 현재에 있어서는, 기존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새롭게 제안된 공조 시스템이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이다.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실내 바닥측, 더 구체적으로는, 악세스 플로어(access floor) 하부에 바닥 취출유닛을 통해 시원한 공조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이러한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시원한 공기가 사람이 앉아 있는 위치와 가까운 바닥 측에서 공급되므로 거주역에 대한 냉방 효율이 높고, 실 칸막이나 가구 배치 변경시, 바닥 취출유닛의 위치 변경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국특허등록 제10-0483073호(2002. 11. 20.) 한국특허등록 제10-0363704호(2012. 11. 2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770호(2008. 12. 02.)
그러나 대부분의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실내 온도와 공조 공기의 온도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로 냉난방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또한 취출구에서의 토출 온도 제어가 잘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공조 공기와 실내 공기를 댐퍼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흡입한 후 취출하는 바닥 취출 유닛이 고려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바닥 취출 유닛은 원심 송풍기 구조로 인해 높이가 높고, 원심 송풍기가 있는 부분과 흡입구가 있는 부분과 취출구가 있는 부분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 바닥 취출유닛은 원심 송풍기는 흡입구와 취출구가 직각으로 흐름이 바뀌게 되어 있어 공기를 이송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고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바닥 취출유닛은, 적어도 전체 높이가 원심 송풍기의 높이와 제어유닛의 높이의 합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악세스 플로어 하부 공간을 넓히지 않는 이상 효율을 높이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된 센서와 공조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와 공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한편, 이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흡입구와 공조 공기 흡입구를 통한 공기 흡입량을 제어하여, 취출구에서의 신뢰성 있는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전체적으로 성능은 높이고 바람의 분포는 균일하면서도 그 높이가 최소화되어, 악세스 플로어 하부 공간 내 설치에 유리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율이 좋은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실내의 악세스 플로어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1)이 제공되며, 상기 팬 터미널 유닛은, 흡입 챔버(C1)와 취출 챔버(C2)를 갖되, 상기 흡입 챔버(C1)가 전방벽(11)에 형성된 공조 공기 흡입구(G1) 및 전방측 상부면에 형성된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연결되고, 상기 취출 챔버(C2)가 후방측 상부면에 형성된 공기 취출구(G3)와 연결되는, 사각 박스형 바디(10); 상기 흡입 챔버(C1)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챔버(C1)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취출 챔버(C2)를 거쳐 외부로 내보내도록 작동하는 팬유닛(20); 댐퍼 액추에이터(41)에 의해 상기 흡입 챔버(C1) 내에서 회동되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 또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개폐하거나,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댐퍼(40)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를 포함하는 후방측 공간과 상기 흡입 챔버(C1)을 포함하는 전방측 공간으로 분리 구획하도록, 공기 전달홀(132)이 형성된 격벽(13)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상기 공기 취출구(G3)는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 전후 양측으로 여분을 두고 결합된 상판(14)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 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S1)가 측정한 공조 공기 온도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 측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S2)가 측정한 실내 공기 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댐퍼(4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갖춘 PCB(P)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공간에는 상기 후방측 공간을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와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 직하에서 상기 PCB(P)를 수용하는 PCB 수용 챔버(C3)로 분리 구획하는 격리 커버(17)가 마련되며, 상기 격리 커버(17)는, 상기 격벽(13)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공기 전달홀(132)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공기 전달홀(132)은, 상기 팬유닛(20)의 토출구와 통해 있도록 상기 격벽(13)의 상측에 치우쳐져 길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 전방벽(15) 및 후방벽(16)의 상단과 상기 상판(14)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벽(15)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 아래로 경사지게 유도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흡입 공기 가이드(70)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흡입 챔버(C1) 내 상기 팬유닛(20)의 상류측에는 히터(30)가 더 설치되되, 상기 팬유닛(20), 상기 히터(30) 및 상기 격벽(13)은 상기 상판(14)의 직하에 위치한 채 상기 상판(14)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팬유닛(20)과 상기 히터(30)는 상기 격벽(13)과 평행하게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좌우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길게 배치된다.
일 실시에에 따라, 상기 팬유닛(20)은, 상기 공기 전달홀(132)에 접속되는 기다란 토출구를 후방에 구비하며 상부 일부 및 전방 일부가 개방된, 좌우로 기다란 팬 하우징(22)과, 베어링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다란 팬(24)을 포함하며, 상기 팬(24)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일측벽(12a)에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타측벽(12b)을 향해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된 채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팬 날개(242)들을 포함하되, 상기 팬 날개(242)들은 복수의 환형 보강 링(244)들에 의해 보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된 센서와 공조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와 공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한편, 이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흡입구와 공조 공기 흡입구를 통한 공기 흡입량을 제어하여, 취출구에서의 신뢰성 있는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전체적으로 높이고 균일하면서도 그 높이가 최소화되어, 악세스 플로어 하부 공간 내 설치에 유리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율이 좋은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이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의 주요 기능부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내부의 중요 요소들을 은선으로 표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의 주요 기능부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내부의 중요 요소들을 은선으로 표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1)은 흡입 챔버(C1)와 취출 챔버(C2)를 갖는 사각 박스형 바디(10)와, 상기 흡입 챔버(C1)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챔버(C2)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취출 챔버(C2)를 거쳐 외부로 내보내도록 작동되는 팬유닛(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는 전방벽(15)에 형성된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전방측 상부면에 형성된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후방측 상부면 형성된 공기 취출구(G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1)은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일측면에 배치된 댐퍼 액추에이터(41)에 의해 흡입 챔버(C1) 내측에서 회동되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개폐하거나 개방도를 조절하는 댐퍼(40)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40)가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차단하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통해 들어온 공조 공기만이 상기 공기 취출구(G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상기 댐퍼(40)가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차단하면,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통해 들어온 실내 공기만이 상기 공기 취출구(G2)를 통해 실내로 다시 공급될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40)가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는 회동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통한 공조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통한 실내 공기의 혼합량이 조절된다.
상기 댐퍼(40)의 제어는 공조 공기 흡입구(G1) 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S1)가 측정한 공조 공기 온도와 실내 공기 흡입구(G2) 측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S2)가 측정한 실내 공기 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는 PCB(P)에 구비된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1)은 상기 팬유닛(20)의 상류 측에서 상기 팬유닛(20)과 인접해 위치한 히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30)가 적용되는 팬 터미널 유닛(1)은 실내의 창가 등과 같이 실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단일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격벽(13)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 플레이트(11)에 세워져 설치되며, 이 격벽(13)은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를 포함하는 후방측 공간과 상기 흡입 챔버(C1)을 포함하는 전방측 공간으로 분리 구획한다.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팬유닛(20)의 송출구와 통해 있는 장방형의 공기 전달홀(132)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 전달홀(132)은 상기 격벽(1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격벽(13)의 상측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상기 공기 취출구(G3)는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 전후 양측으로 여분을 두고 결합된 상판(14)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는 전술한 공조 공기 흡입구(G1)을 전방벽(15)에 장방형으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후방벽(16)은 막혀 있다.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 전방벽(15) 및 후방벽(16)의 상단과 상기 상판(14)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격벽(13)은 그 동일 평면보다 낮게 위치하거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는 낮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특히, 전방벽(15)과 후방벽(16)의 상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들(154, 164)이 형성된다.
또한, 사각 박스형 바디(10)는 상기 후방측 공간을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와 공기 취출 챔버(C2) 직하의 PCB 수용 챔버(C3)로 분리 구획하는 격리 커버(17)가 형성된다. 상기 격리 커버(17)는, 전술한 격벽(13)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면 높이가 격벽(13)에 형성된 상기 공기 전달홀(132)보다 낮게 위치하여, 상기 공기 흡입 챔버(C1)로부터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상기 격리 커버(17)는 상기 공기 취출 챔버(C)의 공간을 크게 저감함과 동시에 공기 전달홀(132)로부터 상기 공기 취출구(G3)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 거리를 대폭 줄여 냉방 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게다가, 상기 격리 커버(17)는 상기 PCB 수용 챔버(C3) 내에 상기 PCB(P)가 격리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PCB 수용 챔버(C3)에는 PCB(P)를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바닥 플레이트(11)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 부재(M)가 더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는, 실내 바닥의 공기 취출측 그릴을 들어 올리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으로, 팬 터미널 유닛(1)을 작동시키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전원스위치(6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팬 터미널 유닛(1)은 상기 전방벽(15)의 내측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 아래로 경사지게 유도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흡입 공기 가이드(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공기 가이드(70)는 실내 공기 가이드 판부(72)와 공조 공기 가이드 판부(74)를 일체로 구비한다. 실내 공기 가이드 판부(72)에 유입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S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예서, 공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S1)는 상기 공조 공기 유입구(G1)과 인접하게 바닥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팬유닛(20)과 상기 히터(30)는 상기 흡입 챔버(C1) 내에서 전술한 상판(14) 직하에 위치한다. 따라서, 팬유닛(20)과 상기 상판(14)은 위에서 볼 때 상기 상판(14)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팬유닛(20)과 상기 히터(30)는 상기 격벽(13)과 평행하게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좌우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길게 배치된다. 흡입 챔버(C1) 내에서 상기 공기의 유동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폭 전체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팬유닛(20)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폭 전체에 걸쳐 길게 배치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히터(30)는 폭 전체에 걸쳐 배치되므로 거의 폭 전체에 걸쳐 공기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팬유닛(20)은 상기 공기 전달홀(132)에 접속되는 기다란 토출구(미도시)를 갖는 좌우로 기다란 팬 하우징(22)와, 베어링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다란 팬(24)을 포함한다. 상기 팬(24)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일측벽(12a)에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타측벽(12b)을 향해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팬(24)는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팬 날개(242)들을 포함하되, 상기 팬 날개(242)들 보강하는 복수의 환형 보강 링(244)들이 상기 팬 날개(242)들의 길이 중간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팬(24)의 회전에 의해, 공기는 상기 팬 하우징(22)의 토출구와 격벽(13)에 형성된 공기 전달홀(132)을 연속적으로 지나 상기 격리 커버(17)에 의해 후방 공간에 높게 그리고 좁게 위치한 취출 챔버(C2)로 흐른 후, 공기 취출구(G3)을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터미널 유닛(1)은 흡입 그릴(IG)과 공기 취출 그릴(OG)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 악세스 플로어(F)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악세스 플로어(F)와 베이스 바닥(B)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실내 공기 흡입구(G2)가 상기 흡입 그릴(IG) 직하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공기 취출구(G3)가 상기 공기 취출 그릴(OG) 직하에 있도록, 악세스 플로어(F) 하부에 팬 터미널(1)을 배치한다. 이때, 공조 공기 흡입구(G1)은 악세스 플로어(F) 하부에서 공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때, 상기 팬 터미널 유닛(1)은, 악세스 플로어(F) 하부 공간의 베이스 바닥(B)에 세워진 복수의 서포트(S)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특히, 전방벽(15)과 후방벽(16)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들(154, 164)들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 및 상기 공기 취출구(G3) 각각이 상기 흡입 그릴(IG)과 상기 취출 그릴(OG) 각각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서포트(S)는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30)로서 전기 히터를 채용하지만, 전기히터 대신, 냉온수 코일이 적용된 히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온수 코일이 적용된 팬 터미널 유닛은 하부에 드레인 팬이 추가되는 것이 좋고, 취출 챔버 측에는 보온재가 더 추가되는 것이 좋다. 보온재로는 접착식 보온재가 좋다.
10: 사각 박스형 바디 13: 격벽
14: 상판 17: 격리 커버
20: 팬유닛 30: 히터
40: 댐퍼 C1: 흡입 챔버
C2: 취출 챔버 G1: 공조 공기 흡입구
G2: 실내 공기 흡입구 G3: 공기 취출구
S1, S2: 온도 센서

Claims (5)

  1. 실내의 악세스 플로어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으로서,
    전방벽(11)에 공조 공기 흡입구(G1)가 형성되고 후방벽(16)은 막혀 있는 상부 개방형의 사각 박스형 바디(10);
    공기 전달홀(132)이 형성된 단일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공기 취출 챔버(C2)를 포함하는 후방측 공간과 공기 흡입 챔버(C1)을 포함하는 전방측 공간으로 분리 구획하도록,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설치된 격벽(13);
    상기 전방벽(11)과 상기 후방벽(16) 각각에 대해 전후 양측으로 여분을 두고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전후 양측으로 상기 공기 흡입 챔버(C1)와 연결되는 실내 공기 흡입구(G2)와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와 연결되는 공기 취출구(G3)를 각각 형성하는 상판(14);
    상기 흡입 챔버(C1)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챔버(C1)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취출 챔버(C2)를 거쳐 외부로 내보내도록 작동하되, 상기 상판(14)의 직하에 위치한 채 상기 상판(14)에 의해 가려지는 팬유닛(20);
    댐퍼 액추에이터(41)에 의해 상기 흡입 챔버(C1) 내에서 회동되어,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 또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개폐하거나,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댐퍼(40)를 포함하며,
    상기 팬유닛(20)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폭 전체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 시키도록 상기 격벽(13)과 평행하게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길게 배치되되, 좌우로 기다란 팬 하우징(22)과, 베어링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다란 팬(24)을 포함하며, 상기 팬(24)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일측벽(12a)에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타측벽(12b)을 향해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된 채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팬 날개(242)들을 포함하되, 상기 팬 하우징(22)은 상부 및 전방 일부가 오픈되어 있고 후방에 상기 공기 전달홀(132)에 접속되는 좌우로 기다란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측 공간에는 상측의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와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 직하에서 PCB(P)를 수용하는 PCB 수용 챔버(C3)로 분리 구획하는 격리 커버(17)가 마련되며, 상기 격리 커버(17)는, 상기 격벽(13)과 인접하여 상기 격벽(13)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기 전달홀(132)은, 상기 팬유닛(20)의 토출구와 접속되도록 그리고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와 전후로 인접해 있도록, 상기 격리 커버(17)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쳐진 채 상기 격벽(13)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는 상기 상판(14)의 전방 모서리와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 모서리들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PCB(P)는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 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S1)가 측정한 공조 공기 온도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 측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S2)가 측정한 실내 공기 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댐퍼(4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취출 챔버(C2)에는 팬 터미널 유닛(1)을 작동시키는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양 측벽(12a, 12b), 전방벽(15) 및 후방벽(16)의 상단과 상기 상판(14)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상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벽(15)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공조 공기 흡입구(G1)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 아래로 경사지게 유도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G2)를 통해 들어오는 공조 공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흡입 공기 가이드(70)가 결합되며, 상기 흡입 공기 가이드(70)는 실내 공기 가이드 판부(72)와 공조 공기 가이드 판부(74)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C1) 내 상기 팬유닛(20)의 상류측에는 히터(30)가 더 설치되되, 상기 히터(30)는, 상기 팬유닛(20)과 함께, 상기 상판(14)의 직하에 위치한 채 상기 상판(14)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격벽(13)과 평행하게 상기 사각 박스형 바디(10)의 좌우 양 측벽(12a, 12b)을 가로질러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유닛(20)은 상기 팬 날개(242)들을 보강하는 복수의 환형 보강 링(244)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KR1020140148925A 2014-10-30 2014-10-30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KR10154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25A KR101540891B1 (ko) 2014-10-30 2014-10-30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25A KR101540891B1 (ko) 2014-10-30 2014-10-30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891B1 true KR101540891B1 (ko) 2015-07-31

Family

ID=5387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25A KR101540891B1 (ko) 2014-10-30 2014-10-30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8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0800A (zh) * 2016-03-07 2016-06-08 杭州奥普卫厨科技有限公司 可切换进风方向的换气装置
CN112556099A (zh) * 2020-12-07 2021-03-26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风口部配网方法、控制方法和单元内机
KR20220135370A (ko)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공간 살균 기능을 갖는 바닥 공조용 팬터미널 유닛
CN115864182A (zh) * 2022-11-27 2023-03-28 湖北利亚达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温低压配电柜及控温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30B1 (ko) * 2006-02-15 2007-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혼합식 바닥공조시스템
KR100778081B1 (ko) * 2006-11-14 2007-11-21 삼성물산 주식회사 바닥매립형 페리미터 팬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배리어공조시스템
KR20100089711A (ko) * 2009-02-04 2010-08-12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바닥 공조방식의 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30B1 (ko) * 2006-02-15 2007-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혼합식 바닥공조시스템
KR100778081B1 (ko) * 2006-11-14 2007-11-21 삼성물산 주식회사 바닥매립형 페리미터 팬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배리어공조시스템
KR20100089711A (ko) * 2009-02-04 2010-08-12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바닥 공조방식의 냉난방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0800A (zh) * 2016-03-07 2016-06-08 杭州奥普卫厨科技有限公司 可切换进风方向的换气装置
CN105650800B (zh) * 2016-03-07 2018-08-28 奥普家居股份有限公司 可切换进风方向的换气装置
CN112556099A (zh) * 2020-12-07 2021-03-26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风口部配网方法、控制方法和单元内机
KR20220135370A (ko)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공간 살균 기능을 갖는 바닥 공조용 팬터미널 유닛
KR102484689B1 (ko) * 2021-03-30 2023-01-05 주식회사 케이프로텍 공간 살균 기능을 갖는 바닥 공조용 팬터미널 유닛
CN115864182A (zh) * 2022-11-27 2023-03-28 湖北利亚达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温低压配电柜及控温方法
CN115864182B (zh) * 2022-11-27 2024-01-05 湖北利亚达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温低压配电柜及控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3951B2 (ja)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KR101540891B1 (ko)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용 팬 터미널 유닛
KR101504077B1 (ko) 통합형 공조기를 갖는 바닥취출공조 시스템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CN109990387A (zh) 空调组件
JP2007192505A (ja) 空調システム
EP2660526B1 (en) A ventilation apparatus
JPS63306336A (ja) アンダ−フロア−空調システム
JP6960182B2 (ja) 空調ユニット
JPH01296031A (ja) 空気調和装置
KR20150122393A (ko) 실내공기를 이용한 실내바닥 매립형 패리미터 팬유니트장치
JP3043150U (ja) 床置式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JP4424532B2 (ja) 放射方式併用の対流型空調システム
JP7490242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8066490A (ja) 空調システム
JP6052959B2 (ja) 空調システム
JP2916115B2 (ja) 暖房換気構造
JPH07208754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方法
JP2002081730A (ja) 空調機構
KR20210073017A (ko) 공기관리장치
JP2020169813A5 (ko)
JP2015218923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S6138047Y2 (ko)
KR20210073009A (ko) 공기관리장치
JPH0452433A (ja) 床設置型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