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442B1 - 감시 카메라 조립체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442B1
KR101872442B1 KR1020170027328A KR20170027328A KR101872442B1 KR 101872442 B1 KR101872442 B1 KR 101872442B1 KR 1020170027328 A KR1020170027328 A KR 1020170027328A KR 20170027328 A KR20170027328 A KR 20170027328A KR 101872442 B1 KR101872442 B1 KR 10187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g
surveillance camera
guid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현
김지석
홍세라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감시 카메라와, 감시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일부를 덮는 차단판과, 차단판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단판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사이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조립체{Surveillance camera assembly}
실시예들은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냉각성능을 보유하여 극고온의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를 건물의 외부에 설치할 때에는 감시 카메라가 주변 기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감시 카메라를 보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중동 지역과 같은 극고온 환경에서는 감시 카메라가 태양열과 지열 등의 영향으로 인한 고온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인 보증한계온도를 초과한 환경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감시 카메라를 냉각하기 위하여 감시 카메라에 냉각장치를 장착하기도 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189288호에는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용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팬을 설치한 기술이 나타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044300호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카메라 케이스의 후방에 팬을 설치함으로써 냉각용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기술이 나타난다. 이러한 기술들은 실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기술로서 실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의 외부에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으나, 공기의 흐름이 감시 카메라의 일부 영역에만 집중이 되기 때문에 감시 카메라의 전체를 냉각하기가 어렵다.
일본 등록특허 제4257317호에는 카메라의 부품들을 내장하는 구형 상의 케이스에 냉각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각 덕트와 냉각팬을 설치한 기술이 설명된다. 이러한 기술은 카메라의 부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외부의 공기를 카메라의 케이스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해 냉각 덕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와 바람의 영향이 심한 옥외 환경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49262호에는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2겹의 구조로 제작하고,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사이의 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방식의 냉각 기술이 설명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카메라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전체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냉각팬을 설치해야 하므로, 감시 카메라의 부피와 무게가 늘어나며 제작비용도 상승한다. 또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팬을 설치하더라도, 밀폐된 공간의 일부 영역에서는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정체함으로써 정체된 공기가 일부 영역에서 오히려 열을 집중시키기도 한다.
미국 등록특허 4,320,949에는 감시 카메라의 하우징에 팬을 설치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술이 설명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5390호에는 냉각팬에 의해 돔 커버의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기술이 설명된다. 이러한 기술들도 감시 카메라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일부 영역을 냉각시키거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지만, 옥외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 감시 카메라의 외부 하우징에 조사되는 강력한 태양광에 의한 온도 상승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189288호(1999.01.15.)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044300호(2012.03.01.) 일본 등록특허 제4257317호(2009.02.06.) 한국 등록특허 제10-1149262호(2012.05.16.) 미국 등록특허 4,320,949(1982.03.23.) 한국 등록특허 제10-1665390호(2016.10.06)
실시예들의 목적은 고온 환경에서도 감시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우수한 냉각성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냉각풍으로 직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감시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이나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감시 카메라와, 감시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일부를 덮는 차단판과, 차단판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단판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사이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다.
차단판이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덮는 위치가 조정되도록 차단판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감시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축을 구비할 수 있고, 차단판은 배선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단판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차단판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의 조정에 대응하도록 가이드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는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며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는 차단판에 접촉하여 차단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로부터 일방향으로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날개와, 지지대로부터 타방향으로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의 지지대로부터 제1 날개와 제2 날개로 이어지는 형상이 유선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의 제1 날개와 제2 날개의 각각은 지지대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공기가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여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날개의 단부와 제2 날개의 단부 중 하나는 하우징의 중심축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날개의 단부와 제2 날개의 단부는 하우징의 중심축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수평면에 대해 서로 멀어지도록 반대 방향을 향하여 경사를 이룰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차단판에 배치되어 태양열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하여 송풍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송풍팬이 배치되는 차단판의 입구에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의하면 송풍팬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므로 감시 카메라를 둘러싼 외부 하우징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차단판이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열이나 태양광을 반사하므로 극고온의 환경에서도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차단판이 하우징의 외측 표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의 전체 공간이 폐쇄되지 않고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하우징에 의한 직접적인 방열 효과에 의해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송풍팬이 작동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차단판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추가적인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냉각용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므로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설치되는 지역과 위치를 고려하여 차단판과 가이드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단판과 가이드에 의한 하우징의 냉각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제1 날개와 제2 날개의 구성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난류 현상을 최소화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설치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감시 카메라(10)와, 감시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단판(30)과, 차단판(30)에 배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40)과, 공기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50)를 구비한다.
감시 카메라(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감시 영역을 변경함과 아울러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시 카메라(10)는 예를 들어, 영상광을 받아들이는 렌즈 조립체와,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기와, 감시 영역을 변경하도록 좌우 및 상하방향의 회전 운동을 발생하는 구동기와,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감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감시 카메라(10)를 둘러싸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20)은 특히 감시 카메라(10)의 열을 발생하는 부품들을 둘러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0)은 감시 카메라(10)를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회로기판(9)과 전원공급장치(8) 등의 부품들을 둘러싸 부품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하우징(20)은 감시 카메라(10)와 회로기판 등의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열을 전도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하우징(20)의 전체가 열을 신속히 전도할 수 있는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이러한 하우징(20)의 재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0)의 일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하우징(20)의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의 다른 일부분은 열전도성 금속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일부분은 플라스틱이고 다른 일부분은 금속소재로 제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종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소재의 부분이 일체가 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를 변형하여 하우징(20)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부분을 별도로 제작한 후에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부분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하우징(20)을 제작할 수도 있다.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은 하우징(20)의 중심축(S)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되며 연장한다. 그러므로 중심축(S)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하우징(20)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하우징(20)의 중심축(S)은 하우징(20)의 기하학적인 중심을 관통하는 축으로서 하우징(20)에 수용되는 감시 카메라(10)를 통과한다. 하우징(20)의 단면의 형상은 중심축(S)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20)을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28)를 구비한다. 헤드(28)는 감시 카메라(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과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 등을 포함하는 배선(70)을 통과시키는 통로의 역할도 수행하는 배선축(29)을 구비한다. 배선축(29)은 외측에 나사면을 구비하며, 배선축(29)의 나사면에 대응하는 나사면(30s)을 갖는 너트(30a)가 배선축(29)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감시 카메라(10)를 보호하고 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투광소재의 돔커버(26)를 구비한다.
차단판(30)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차단판(30)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에는 송풍팬(40)이 송풍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차단판(30)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외부의 강력한 태양광이나, 태양열이나, 지면이나 건물의 복사열이 하우징(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단판(30)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덮는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즉 차단판(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차단판(30)이 덮는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에 대한 차단판(30)의 위치 조정 기능이 중요하다. 이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설치되는 지역과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태양광이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입사하는 방향에 맞추어 차단판(3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차단판(30)은 배선축(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단판(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차단판(30)은 배선축(29)의 지름에 대응하는 결합공(39)을 구비한다. 차단판(30)의 결합공(39)에 배선축(29)을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판(30)을 배선축(2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차단판(30)이 하우징(20)을 덮는 위치가 태양광이 입사하는 방향인 남쪽을 향하도록 차단판(3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차단판(30)의 위치가 정해지면, 너트(30a)를 배선축(29)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차단판(30)의 위치를 하우징(2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차단판(3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광이나 열을 반사시키거나 광과 열을 모두 반사할 수 있는 코팅층이 차단판(3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광이나 열을 반사시킨다는 것은 광이나 열을 반사하는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광을 반사시키는 코팅층은 특히 광을 반사하는 데 우수한 성능을 갖지만 열도 함께 반사할 수 있다.
차단판(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은 금속염이나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상 분사 방법이나 증착 방법에 의해 은막과 같은 금속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금속 소재의 입자가 혼합된 고분자 바인더를 차단판(30)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코팅층은 차단판(30)의 표면에 태양광의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30)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로 공기를 송풍하는 기능을 하는 송풍팬(40)이 배치된다. 차단판(30)은 송풍팬(4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차단판(30)의 외부와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도록 개방된 입구(30i)를 구비한다.
차단판(30)의 입구(30i)의 내측에는 송풍팬(40)이 배치되고 입구(30i)의 도입부에 필터(47)가 배치된다. 필터(47)는 송풍팬(40)이 작동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할 때에, 외부의 이물질이 송풍팬(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차단판(30)의 외측에는 태양열을 수광하여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60)가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60)는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배치된 축전지(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태양전지(60)가 생성된 전기가 축전지(72)에 축전되고, 축전지(72)의 전기가 송풍팬(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는 송풍팬(40)을 구동함과 아울러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설치된 주변 환경의 온도나, 풍속이나,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하우징(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의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어기판(71)이 설치된다. 축전지(72)와 제어기판(71)은 반드시 하우징(20)의 외측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축전지(72)와 제어기판(71)을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과 차단판(30)의 사이에서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50)가 배치된다. 가이드(50)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50)는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이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금속성 소재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도 5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설치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가이드(50)는 하우징(20)의 중심축(S)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며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5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도록 제작되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 끼워질 수 있다. 하우징(20)은 외측 표면(21)에 가이드(50)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50)는 지지대(55)와 제1 날개(51)와 제2 날개(52)를 구비하며, 가이드(50)의 전체 형상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가이드(50)가 삽입되는 홈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가로대(101)와 세로대(102)를 갖는 기둥(100)에 설치할 때에는 하우징(20)의 헤드(28)의 배선축(29)과 가로대(101)의 배선(70)을 연결한 후에,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서의 가이드(50)의 위치를 먼저 조정한다. 가이드(5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 후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판(30)을 하우징(20)의 외측 표면에 결합하면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가 완료된다.
송풍팬(40)이 작동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송풍팬(40)에 의해 흡입된 이후에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하우징(20)과 차단판(30)이 결합된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20)의 외부의 전체 공간이 폐쇄되지 않고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송풍팬(40)에 의해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판(30)의 하부 가장자리 및 송풍팬(40)의 하방의 공간에서도 송풍팬(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유입되는 추가적인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냉각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므로 냉각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차단판(30)은 외부의 태양열과 태양광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송풍팬(40)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즉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의 공간이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므로, 송풍팬(40)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차단판(30)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빠른 흐름을 형성하며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른다.
차단판(30)과 마찬가지로 가이드(50)도 하우징(20)에 대한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50)가 하우징(20)의 중심축(S)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가이드(50)의 하우징(20)의 중심축(S)에 대한 원주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이드(50)의 지지대(55)가 남쪽을 향하도록 가이드(5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가 조정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서 가이드(50)의 지지대(55)가 위치하는 영역을 전면(20f)이라고 부르고, 가이드(50)의 지지대(55)가 위치하는 영역의 반대되는 영역, 즉 제1 날개(51)의 단부(51e)와 제2 날개(52)의 단부(52e)의 각각이 향하는 영역을 후면(20r)이라 부른다. 하우징(20)의 전면(20f)과 후면(20r)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서 고정된 영역이 아니며, 가이드(50)의 하우징(20)에 대한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서의 전면(20f)과 후면(20r)의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50)는 차단판(30)의 후면에 접촉하며 차단판(30)을 지지하는 지지대(55)와, 지지대(55)로부터 일방향(도 4에서 반시계 방향, 즉 동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날개(51)와, 지지대(55)로부터 타방향(도 4에서 시계방향, 즉 서쪽 방향)으로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날개(52)를 구비한다.
가이드(50)는 지지대(55)로부터 제1 날개(51)와 제2 날개(52)의 각각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날개(51)와 제2 날개(52)의 각각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서 지지대(55)가 위치하는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하우징(20)의 후면(20r)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송풍팬(40)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후면(20r)을 향하여 흐르도록 안내한다.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르면서,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냉각시키는 냉각풍의 작용을 한다. 송풍팬(40)에 의해 강한 공기의 흐름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에 공급되더라도, 공기의 흐름이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르지 않고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산이 된다면 냉각 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가이드(50)는 송풍팬(40)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이어지며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의 단부(51e)와 제2 날개(52)의 단부(52e)의 각각은 비행기의 날개끝(airplane wing tip)과 같이 약간 구부러지는 형상(윙팁 형상; wing tip shape)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윙팁 형상을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와 제2 날개(52)의 각각의 단부에 적용함으로써 윙팁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wing tip vortex)의 발생을 억제하여 냉각풍의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의 단부(51e)와 제2 날개(52)의 단부(52e)의 하나는 하우징(20)의 중심축(S)을 수평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수평면(P)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날개(51)의 단부(51e)가 수평면(P)에 대해 각도(A)를 형성하며 경사를 이룬다. 이와 달리 제2 날개(52)의 단부(52e)는 수평면(P)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날개(51)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하우징(20)의 후면(20r)에 도달하면, 공기의 흐름은 제1 날개(51)의 단부(51e)에 의해 수평면(P)에 대해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2 날개(52)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하우징(20)의 후면(20r)에 도달하면 제2 날개(52)의 단부(52e)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와 제2 날개(52)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하우징(20)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의 제1 날개에 의해 안내되는 일방향 공기류(A1)는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후면(20r)을 향해 하우징(20)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의 제2 날개에 의해 안내되는 타방향 공기류(A2)는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후면(20r)을 향해 하우징(20)을 시계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날개에 의한 일방향 공기류(A1)와 제2 날개에 의한 타방향 공기류(A2)는 하우징(20)의 후면(20r)에서 만나게 되어 난류영역(wake)을 형성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방향 공기류(A1)는 하측 방향을 향하고 타방향 공기류(A2)는 수평한 방향을 향하므로 일방향 공기류(A1)와 타방향 공기류(A2)가 서로 간섭함으로써 형성하는 난류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가 하우징(20)의 외측 표면(21)을 따라 흐르는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하우징(20)의 냉각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의 단부(51e)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평면(P)에 대해 경사를 이루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가이드(50)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의 단부(51e)는 수평한 방향으로 유지하고 제2 날개(52)의 단부(52e)를 수평면(P)에 대해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를 이루게 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50)의 제1 날개(51)의 단부(51e)는 하측 방향을 향하게 하고 제2 날개(52)의 단부(52e)가 상측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제1 날개(51)의 단부(51e)와 제2 날개(52)의 단부(52e)가 서로 멀어지도록 반대 방향을 향하여 수평면(P)에 대해 경사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구성에서 가이드의 구성이 변형되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서는 가이드의 제1 날개의 단부와 제2 날개의 단부가 모두 하우징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는 수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의 제1 날개에 의해 안내되는 일방향 공기류(A3)는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후면(20r)을 향해 하우징(20)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의 제2 날개에 의해 안내되는 타방향 공기류(A2)는 하우징(20)의 전면(20f)으로부터 후면(20r)을 향해 하우징(20)을 시계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날개에 의한 일방향 공기류(A3)와 제2 날개에 의한 타방향 공기류(A2)는 하우징(20)의 후면(20r)에서 만나게 되어 난류영역(V)을 형성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방향 공기류(A3)와 타방향 공기류(A2)가 모두 수평한 방향을 향하므로 일방향 공기류(A3)와 타방향 공기류(A2)가 서로 간섭함으로써 형성하는 난류영역(V)의 크기가 도 10에 도시된 난류영역의 크기보다 증가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8: 전원공급장치 40: 송풍팬
9: 회로기판 47: 필터
10: 감시 카메라 50: 가이드
20f: 전면 51: 제1 날개
20: 하우징 52: 제2 날개
20r: 후면 51e, 52e: 단부
21: 외측 표면 55: 지지대
26: 돔커버 60: 태양전지
28: 헤드 70: 배선
29: 배선축 71: 제어기판
30s: 나사면 72: 축전지
30a: 너트 100: 기둥
30i: 입구 101: 가로대
30: 차단판 102: 세로대
39: 결합공

Claims (12)

  1.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의 일부를 덮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단판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의 사이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을 덮는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차단판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시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축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배선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단판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의 조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차단판에 접촉하여 상기 차단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일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날개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타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날개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로 이어지는 형상이 유선형상인, 감시 카메라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의 각각은 상기 지지대가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을 향하여 흐르도록 안내하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의 단부와 상기 제2 날개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중심축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의 단부와 상기 제2 날개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중심축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수평면에 대해 서로 멀어지도록 반대 방향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 배치되어 태양열을 수광하여 전기를 발생하여 상기 송풍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상기 차단판의 입구에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조립체.
KR1020170027328A 2017-03-02 2017-03-02 감시 카메라 조립체 KR10187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28A KR101872442B1 (ko) 2017-03-02 2017-03-02 감시 카메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28A KR101872442B1 (ko) 2017-03-02 2017-03-02 감시 카메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442B1 true KR101872442B1 (ko) 2018-06-28

Family

ID=6278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28A KR101872442B1 (ko) 2017-03-02 2017-03-02 감시 카메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4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63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토브넷 무선 태양광 cctv
CN116734209A (zh) * 2023-04-20 2023-09-12 浙江福锐特电力科技有限公司 照明灯旋转云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0949A (en) 1976-03-03 1982-03-23 Pagano Raymond V Weatherized housing assembly for camera
KR100189288B1 (ko)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JP2000171878A (ja) * 1998-12-07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防護筐体および監視カメラの防護方法
KR20060064133A (ko) * 2004-12-08 2006-06-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엔진 냉각장치
JP4257317B2 (ja) 2005-06-27 2009-04-22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
JP3161388U (ja) * 2010-05-18 2010-07-29 株式会社アシストユウ 筺体及び監視カメラ
JP2012044300A (ja) 2010-08-16 2012-03-0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カメラケース
KR101149262B1 (ko) 2005-08-11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냉각구조
KR101665390B1 (ko) 2011-01-12 2016-10-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하우징 조립체
JP6080025B2 (ja) * 2014-10-15 2017-02-15 アクシス アーベー 監視カメラ装置の配置構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0949A (en) 1976-03-03 1982-03-23 Pagano Raymond V Weatherized housing assembly for camera
KR100189288B1 (ko)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JP2000171878A (ja) * 1998-12-07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防護筐体および監視カメラの防護方法
KR20060064133A (ko) * 2004-12-08 2006-06-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엔진 냉각장치
JP4257317B2 (ja) 2005-06-27 2009-04-22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149262B1 (ko) 2005-08-11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냉각구조
JP3161388U (ja) * 2010-05-18 2010-07-29 株式会社アシストユウ 筺体及び監視カメラ
JP2012044300A (ja) 2010-08-16 2012-03-0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カメラケース
KR101665390B1 (ko) 2011-01-12 2016-10-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하우징 조립체
JP6080025B2 (ja) * 2014-10-15 2017-02-15 アクシス アーベー 監視カメラ装置の配置構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63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토브넷 무선 태양광 cctv
CN116734209A (zh) * 2023-04-20 2023-09-12 浙江福锐特电力科技有限公司 照明灯旋转云台
CN116734209B (zh) * 2023-04-20 2024-04-12 浙江福锐特电力科技有限公司 照明灯旋转云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042B2 (en) Cooling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
EP1110193B1 (en) Environmental shroud
US8885016B2 (en) Omnidirectional camera and lens hood
JP6504487B1 (ja) 監視カメラ
EP2983352B1 (en) Optical device, lidar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ES2833930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LED con una sola cavidad de presión
EP3480513A1 (en) Efficient heat-dissipating waterproof stage lamp
KR101872442B1 (ko) 감시 카메라 조립체
JP6833447B2 (ja) 屋外制御盤
WO2008017857A1 (en) Surveillance apparatus
JP4869427B1 (ja) 結露防止機構
US6643456B1 (en) Environmental shroud
JP5787577B2 (ja) 全周カメラ及びレンズフード
JP2019186915A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の結露抑制方法
CN108897006A (zh) 一种一体式激光测风雷达
US20180199453A1 (en) Electronics enclosure
TWI578082B (zh) 影像監控裝置
KR101792212B1 (ko) 전방향 감지가 용이한 적외선 카메라 장치
JP2020122885A (ja) カメラハウジング
KR102236270B1 (ko) 감시 카메라 조립체
JP2000349485A (ja) 通信機器の放熱構造
JP5117362B2 (ja) カメラ旋回装置の熱冷却構造
CN220817190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环境监控设备安装架
JP2013142838A (ja) 撮像装置
JP2006351645A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