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18A -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18A
KR20120075718A KR1020100137509A KR20100137509A KR20120075718A KR 20120075718 A KR20120075718 A KR 20120075718A KR 1020100137509 A KR1020100137509 A KR 1020100137509A KR 20100137509 A KR20100137509 A KR 20100137509A KR 20120075718 A KR20120075718 A KR 2012007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m
milk
derived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석
정원욱
이의정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13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718A/ko
Publication of KR2012007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 유래 크림을 고 함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탈당된 우유 크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유익한 여러 효과를 가지는 우유 유래 크림을 고 함량 포함하면서도 사용감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External Skin Preparation Containing Cream Derived From Milk}
본 발명은 우유로부터 유래한 발효크림, 생크림 등의 크림을 함유하는, 특히 고 함량으로 함유하는 피부에 유용한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진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우유가 화장학적으로 유용한 여러 효과를 가짐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왔으며, 우유 또는 우유 성분을 화장품에 이용하려는 여러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우유는 기존 피부외용제 베이스 성분들과의 상용성, 혼합성 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성상 안정성 등을 고려한 상태에서는 극히 제한된 소량만이 사용되어 왔으며, 또는 사용 직전에 화장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유 등으로부터 요구되는 효능을 발휘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일부 화합물들을 분리, 정제하여 피부외용제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분리 비용이 높기도 하지만 우유의 다른 유용한 생리활성성분들이 버려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우유 유래 크림을 화장료 성분으로 사용하려 하였으나,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개선된 우유 유래 크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유 유래 크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함유하되, 상기 크림은 탈당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유 유래 크림을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다량 사용할 경우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문제되며, 이 경우 탈당 크림을 사용함으로써 우유 크림의 피부에 유용한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사용감은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명을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우유 유래 크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또는 60 중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이고, 사용되는 우유 유래 크림의 종류, 우유 크림 이외의 다른 화장료 성분의 종류, 피부외용제의 구체적 용도 등에 따라 99.9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99 중량%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우유 유래 크림은 생크림, 발효크림, 휘핑크림 등 우유로부터 유래한 모든 크림을 포함하며, 당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유 크림으로부터 유래한 해당 성분들을 혼합하여 우유 크림과 유사한 구성성분이 되도록 각각의 성분을 혼합한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우유 유래 크림이 다량 포함되면서도 피부에 적용 시 좋은 사용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탈당된 우유 크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서 상기 탈당된 우유 유래 크림은 탈당 처리 전의 우유 유래 크림 대비 당의 총 함량이 50% 이상 또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또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탈당 우유 크림은 다공성 비드를 사용한 분리 정제 등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효소를 활용한 당 제거 기술, 원심분리를 활용한 당 제거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분획 후 당이 없는 분획들의 재조합 등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및 팩 등의,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제형일 수 있으며, 특히 탈당 우유 유래 크림을 고 함량으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크림, 로션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왁스, 오일, 세정제, 계면활성제, 착색제, 착향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에 유익한 여러 효과를 가진 우유 유래 크림을 고 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개선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사용된 크림 종류에 따른 사용감 평가
하기 표 1의 처방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탈당 여부가 사용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말 유크림70을 원심분리(5000rpm, 10min 중 상층액을 취함)하여 얻었다.
끈적임 관능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0대에서 40대까지의 45명의 판넬들을 항온항습실(27℃, 70% 상대습도 조건)에 약 15분 있게 한 후, 상기 제조된 수용성 투명 화장수 조성물을 일정량 1g, 즉 펌프 용기로 5회 펌핑하여 양쪽 볼에 골고루 펴 바른 다음 끈적임의 정도를 관능평가로 실시하였다. 끈적임 정도의 평가방법은 하기의 점수를 참조하여 기입하는 형식을 취하여 평균을 내었다.
[판정기준]
0: 끈적임 아주 많음
1: 끈적임 많음
2: 끈적임 보통임
3: 끈적임이 미약함
4: 끈적임이 없음
시료명 비교예1 실시예1
정제수 80 80
당 함유 유크림 20 -
탈당 유크림 - 20
끈적임 정도 2.14 4.13
상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당을 제거한 우유 크림을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우유 유래 크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유 유래 크림은 탈당된 우유 유래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당된 우유 유래 크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당된 우유 유래 크림은 당의 총 함량이 50% 이상 줄어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00137509A 2010-12-29 2010-12-29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20120075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9A KR20120075718A (ko) 2010-12-29 2010-12-29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9A KR20120075718A (ko) 2010-12-29 2010-12-29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18A true KR20120075718A (ko) 2012-07-09

Family

ID=4670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09A KR20120075718A (ko) 2010-12-29 2010-12-29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7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30A (ko) *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효에 의한 커드 형성을 적용한 제형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80129086A (ko)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균일한 입자의 커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30A (ko) *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효에 의한 커드 형성을 적용한 제형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80129086A (ko)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균일한 입자의 커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30610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207664B2 (ja) 化粧品
CN107095807B (zh) 一种双层沐浴液及其制备方法
TWI733764B (zh) 雙相化妝品組成物及其局部施用之用途
KR100904552B1 (ko) 피부처짐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US7223423B2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2009079018A (ja) 頭皮用化粧料
KR101803274B1 (ko)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0482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20120075718A (ko) 우유 유래 크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EP387843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deodorante comprenant du zinc ricinoleate
KR20180092599A (ko)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66940B1 (ko)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CN104473850A (zh) 一种植物天然护唇膏
JPH04321615A (ja) 皮膚外用剤
KR101877179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897267B1 (ko) 식물 유래 유체를 다량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CN102821746B (zh) 乳化组合物
JP6396739B2 (ja) 歯周病菌由来の酵素活性阻害剤
KR20190074023A (ko) 타투 스티커의 제거제
JP2009221127A (ja) 化粧料
KR20130053958A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643692B1 (ko)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JPH09175947A (ja) 育毛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