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583A -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583A
KR20120075583A KR1020100129123A KR20100129123A KR20120075583A KR 20120075583 A KR20120075583 A KR 20120075583A KR 1020100129123 A KR1020100129123 A KR 1020100129123A KR 20100129123 A KR20100129123 A KR 20100129123A KR 20120075583 A KR20120075583 A KR 2012007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department
capability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099B1 (ko
Inventor
김학곤
조정욱
이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2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은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표준화하여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생산 물량 변화에 따라 최적의 물량 처리를 위해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조정함으로써, 선박 건조시의 생산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modifying workshop capacity}
본 발명은 조선소 선박 건조에 있어서 작업장의 능력을 평가 및 조정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 건조의 내업 공정에 있어서 각 내업 공장별 또는 작업장별(정반별) 능력을 평가하고 최적의 물량 처리를 위해 그 능력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사업에 있어서 국제 경기 및 외부 변화에 따라 조선 물량은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BAY별/정반별)의 능력에 따라 물량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조선사업 분야에서 각 내업 공장별 또는 작업장별 능력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것은 수작업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내업 공장의 능력을 표준화하여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평가 및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그 평가 및 조정에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작업장의 작업능력 평가 및 조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내업 공장의 작업장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생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다. 생산 정보는 각 공장 BAY별 정반면적(여기서 정반은 선박 블록의 조립 작업을 위한 작업대를 의미한다), 부서별 생산실적, 인원현황, 실투입 공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생산 정보는 방대하고 복잡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내업 공장의 작업장 운영 변경에 따른 장비 운영비, 전력비, 각종 가스비, 노무비 등의 비용 분석 작업도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용 역시 종류가 다양하고 비용 간 항목이 중첩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그 분석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수작업 기반의 정보 수집 및 분석은 작업장 조정을 위한 의사 결정에 지연을 일으키며 그 의사 결정의 신뢰성 역시 보장될 수 없다. 이것은 결국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생산 효율을 저해하고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표준화하여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생산 물량 변화에 따라 최적의 물량 처리를 위해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은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 정보가 입력되는 작업능력 입력모듈;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상기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하는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처리하도록 요구되는 물량이 입력되는 요구물량 입력모듈; 상기 작업능력 기준 및 상기 요구 물량을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부하 분석 모듈;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 및 상기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분석결과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정보가 입력되는 관리목록 입력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비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능력 정보 및 상기 비용 정보는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작업능력 정보는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 정보, 인원 수 정보, 실적 공수 정보, 또는 생산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비용 정보는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전력비, 가스비, 노무비, 장비 사용료, 설비 보전 정비비, 또는 운송장비 유지비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능력 기준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당 생산량,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량,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량, 또는 공수당 생산량을 포함한다.
상기 부하 분석 모듈은 상기 요구 물량에 대한 상기 작업능력 기준치를 계산하여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부하 분석 모듈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 별 및 기간 별로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은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가 100%가 되도록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 출력 모듈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조정된 작업능력 정보, 인원 변경 정보, 부하 정보, 또는 비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된 상기 요구 물량은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경우,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은,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처리하도록 요구되는 물량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업능력 기준 및 상기 요구 물량을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업능력 정보 및 상기 비용 정보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과 조정방법에 의하면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표준화하여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생산 물량 변화에 따라 최적의 물량 처리를 위해 내업 공장 또는 작업장의 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건조시의 생산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작업장의 작업능력 평가 및 조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조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100)은 입력장치(101), 분석장치(201), 출력장치(301), 및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를 포함한다.
입력장치(101)는 작업능력 입력모듈(102), 관리목록 입력모듈(103), 및 요구물량 입력모듈(104)을 포함한다.
분석장치(201)는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 부하 분석 모듈(203), 및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204)을 포함한다.
츨력장치(301)는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을 포함한다.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은 내업 공장의 작업장별(부서별) 작업능력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작업능력 정보는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 정보, 인원 수 정보, 실적 공수 정보, 또는 생산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목록 입력모듈(103)은 관리목록의 정보 즉, 작업 대상 부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비용 정보는 작업 대상 부서별 전력비, 가스비, 노무비, 장비 사용료, 설비 보전 정비비, 또는 운송장비 유지비를 포함할 수 있다.
요구물량 입력모듈(104)은 작업 대상 부서에서 처리하도록 요구되는 물량이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입력되는 요구 물량은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당 생산 요구량,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 요구량,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 요구량, 또는 공수당 생산 요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요구 물량은 변동될 수 있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는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를 저장한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는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미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가 입력된 작업 대상 부서에 대해서는 작업 대상 부서명을 입력하는 것 만으로 쉽게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입력된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요구 물량 정보 또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와 마찬가지로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하다.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작업 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한다. 작업능력 기준은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당 생산량,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량,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량, 또는 공수당 생산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작업능력 정보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작업능력 정보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는 작업능력 입력모듈(102)로부터 입력되는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작업 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할 수 있다.
부하 분석 모듈(203)은 작업능력 기준과 요구 물량을 통해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한다. 상세하게는, 부하 분석 모듈(203)은 요구 물량에 대한 작업 능력 기준치를 계산하여 부하를 분석한다(즉, 요구 물량/작업능력 기준). 부하 분석 모듈(203)은 작업 대상 부서별 또는 기간 별로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204)은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한다.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 능력이 조정되는 정도는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나,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204)은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해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가 바람직하게는 100%가 되도록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한다.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은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204)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한다.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은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204)로부터 분석된 결과뿐만 아니라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과 부하 분석 모듈(203)에서 분석한 여러 가지 결과들 또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은 분석 결과를 부하율, 비용 등의 기준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가 작업능력 정보와 비용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는 작업능력 정보나 비용 정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내의 다른 모듈들과도 데이터 주고 받을 수 있고(즉, 데이터 통신이 가능), 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의 구성을 갖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은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부서별 작업능력(CAPACITY), 정반 면적, 인원, 실투입 공수, 공수당 생산량 등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운송장비 보유 현황, 전력비, 가스비 등의 각종 비용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체 부서의 작업능력과 관련된 기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에 의해 표시된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수정(추가, 삭제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은 수정된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전송 및 저장시킬 수 있다.
관리목록 입력모듈(103)은 비용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리목록 입력모듈(103)은 크레인(C/R), 포크리프트(F/L), 트레일러(T/R), 트랜스포터(T/P) 등의 운송 수단의 사용시간 및 사용비용과 관련된 목록과; 월평균 직영 인건비, 월평균 근무일수, 일평균 임금, 일평균 연장근로와 같이 인건비와 관련된 목록을 표시하고 이러한 목록들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관리목록 입력모듈(103)은 수정된 관리목록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1)에 전송 및 저장시킬 수 있다.
요구물량 입력모듈(104)은 작업 대상 부서에 요구되는 물량을 표시하고 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요구물량 입력모듈(104)은 해당 부서의 정반별 요구물량, 정반 면적, 인원, 계획 공수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은 작업능력 입력모듈(102)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부서별로 일정 기준의 생산량을 산정한다. 예를 들어, 작업능력 기준 산정모듈(202)은 면적당 생산량, 인원당 생산량, 공수당 생산량을 각 부서별로 산정할 수 있다. 인원당 생산량은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량과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량으로 나눌 수 있다. 인원은 외주와 직영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는데 산술 합계 인원이라 함은 외주와 직영 인원을 합친 인원을 의미하며, 가중 합계 인원이라 함은 외주에 능률을 반영하여 더한 인원을 말한다.
부하 분석 모듈(203)은 요구물량 입력모듈(104)로부터 입력되는 요구 물량 정보와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202)에서 산정한 기준 생산량을 이용하여 기준당 생산 부하율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부하 분석모듈(203)은 면적당 생산 부하율, 인원당 생산 부하율, 공수당 생산 부하율을 분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원당 생산 부하율은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 부하율과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 부하율로 나눌 수 있다.
작업능력 조정 분석모듈(204)은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과 요구물량 간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작업능력 조정 분석모듈(204)은 사용자가 작업 대상 부서의 레이아웃 정보와 정반 사용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정반의 사용 여부에 따라 면적, 인원, 공수당 생산량 및 생산 부하율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은 분석된 결과들을 부하율과 비용 등의 일정 기준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분석결과 출력모듈(302)은 작업장의 요구 물량에 맞춰 월별 작업장 사용 계획안에 따른 월별 생산 부하율과 작업장별 생산 부하율을 면적, 인원, 공수 기준으로 분석된 결과 및 그에 따른 비용 분석의 결과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은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401).
그 다음, 작업 대상 부서의 비용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단계402), 작업 대상 부서에 대한 요구 물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403).
다음으로,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기준의 생산량을 산정한다(단계404).
그 후, 요구 물량과 관련된 정보 및 일정 기준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기준당 생산 부하율을 분석한다(단계405).
그리고, 요구 물량에 변동이 있을 경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조정된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한다(단계406).
추가적으로, 분석된 결과를 출력될 수 있으며, 작업능력과 관련된 정보 및 비용과 관련된 정보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기술한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 변화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 정보가 입력되는 작업능력 입력모듈;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상기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하는 작업능력 기준 산정 모듈;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처리하도록 요구되는 물량이 입력되는 요구물량 입력모듈;
    상기 작업능력 기준 및 상기 요구 물량을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부하 분석 모듈;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 및
    상기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분석결과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정보가 입력되는 관리목록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비용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능력 정보 및 상기 비용 정보는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한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능력 정보는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 정보, 인원 수 정보, 실적 공수 정보, 또는 생산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정보는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전력비, 가스비, 노무비, 장비 사용료, 설비 보전 정비비, 또는 운송장비 유지비를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능력 기준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면적당 생산량, 산술합계 인원당 생산량, 가중합계 인원당 생산량, 또는 공수당 생산량을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석 모듈은
    상기 요구 물량에 대한 상기 작업능력 기준치를 계산하여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석 모듈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 별 또는 기간 별로 부하를 분석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능력 조정 분석 모듈은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가 100%가 되도록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출력 모듈은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조정된 작업능력 정보, 인원 변경 정보, 부하 정보, 또는 비용 정보를 출력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요구 물량은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경우,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한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13.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업능력 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별 작업능력 기준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처리하도록 요구되는 물량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업능력 기준 및 상기 요구 물량을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물량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작업능력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의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대상 부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능력 정보 및 상기 비용 정보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시스템.
KR20100129123A 2010-12-16 2010-12-16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KR10148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9123A KR101486099B1 (ko) 2010-12-16 2010-12-16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9123A KR101486099B1 (ko) 2010-12-16 2010-12-16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583A true KR20120075583A (ko) 2012-07-09
KR101486099B1 KR101486099B1 (ko) 2015-01-26

Family

ID=4670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9123A KR101486099B1 (ko) 2010-12-16 2010-12-16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955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제조공정 설계 및 검증 향상 시스템
KR20180064954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제조공정 관리 향상 시스템
CN110689288A (zh) * 2019-12-10 2020-01-14 南昌掘策数据服务有限公司 能耗数据处理方法、系统及车间节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93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JP4982088B2 (ja) * 2006-02-09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計画立案システム
KR20080004243A (ko) * 2006-07-05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조선소 운영을 위한 경영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955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제조공정 설계 및 검증 향상 시스템
KR20180064954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제조공정 관리 향상 시스템
CN110689288A (zh) * 2019-12-10 2020-01-14 南昌掘策数据服务有限公司 能耗数据处理方法、系统及车间节能方法
CN110689288B (zh) * 2019-12-10 2020-04-21 南昌掘策数据服务有限公司 能耗数据处理方法、系统及车间节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099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66528A (zh) 一种客户信用自评估工厂实时智能分析管理系统
US20100114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worksite
KR1013586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05701598A (zh) 一种经济管理成本控制系统
Kim et al. Cost analysis of information technology‐assisted quality inspection using activity‐based costing
Huynh et al. Integration of activity-based budgeting and activity-based management
KR101230008B1 (ko) 경영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KR20120075583A (ko)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CN114677044A (zh) 一种面向智慧建筑监理工程项目的管理系统及方法
KR101330519B1 (ko)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Nimr et al. Improving performance of project through utilizing statistical control chart based on adaptive management and scientific engineering
US201402973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ro level strategic planning
Marrugo et 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OHSAS 18001: 2007 and ISO 28000: 2006 Standards for a Logistic Services Company
de Souza Le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ustainability improvement: An integrated system of tools and metrics for sustainability management
Parida et al. Integrating maintenance performance with corporate balanced scorecard
Revathi et al. Enhancing Operational Excellence Through Quality Management
Salleh et al. Green lean TQM practices in Malaysian automotive companies
CN113642873A (zh) 网点考核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Hrabovenko et al. Formation of diversifying substrategies for the enterprise business activities
Olesen et al. Joint effect of forecasting and lot-sizing method on cost minimization objective of a manufacturer: a case study
RU2503015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отреблением промышл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и производств
Knights et al. Best-in-class maintenance benchmarks in Chilean open pit mines
CN110556181A (zh) 一种大型医疗设备预算申报方法
KR101352026B1 (ko) 표준 업무량 산정시스템과 산정방법
Domazetovska et al. MODULE BASED DIGITAL STRUCTURE OF ENER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