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893A -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893A
KR20050082893A KR1020040011501A KR20040011501A KR20050082893A KR 20050082893 A KR20050082893 A KR 20050082893A KR 1020040011501 A KR1020040011501 A KR 1020040011501A KR 20040011501 A KR20040011501 A KR 20040011501A KR 20050082893 A KR20050082893 A KR 2005008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rver computer
available
inputting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구
이병모
임영섭
박익진
조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893A/ko
Publication of KR2005008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생산에서 인력, 설비, 작업장등 다양한 가용자원의 부하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일정 계획의 신뢰도 및 실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 건조시의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인력 부하 뿐만 아니라 설비, 작업장등의 부하를 서버 컴퓨터에 다양한 변수로 입력 및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력이 높은 일정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일정 계획 수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의 각 공장별/부서별/공종별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각각의 인력/설비에 대한 일일 가용시간을 입력하여 공장별, 공종별로 일일 가용 생산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일일 가용시간의 입력 후 다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공장별/공종별 물량 작업소요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작업소요시간을 공장별 일일 가용시간으로 나눈 후 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서버 컴퓨터에서 작업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선박 건조시의 각 조립 공장에서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면적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 생산 능력을 구하는 단계와,
작업장별로 배치된 블록의 형상 정보 및 블록의 점유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상기한 블록의 점유시간과 형상을 곱해서 부하요구량을 구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일일 가용 시간인 가용 생산 능력을 클라인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각 블록별 탑재 작업 시간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서버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가용 생산 능력과 블록별 탑재시간을 곱해서 작업 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한 각각의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작업부하율을 통해 선박의 생산 일정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Establishment method of producting plan through load analysis when vessel is constructed}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일정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생산에서 인력, 설비, 작업장등의 일정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일정 계획의 신뢰도 및 실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등), 크기별(배수량)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함과 아울러 구매 자재가 입고됨과 아울러 생산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선박을 수주하게 되면 견적-설계-생산의 계획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는 바, 생산 단계에서는 중장기 계획인 선표(대일정)를 수립하고 각 부서별, 공종별로 6개월 정도의 계획인 중일정 계획을 세우며, 다시 각 생산단계별로 소일정 계획을 세우게 된다.
상기한 생산의 일정계획은 대략 1년 정도의 중일정 계획을 세울 때 부서별, 공종별로 시수에 따른 일정을 수립하게 된다.
즉, 중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 조립, 도장, 의장, 탑재등의 부서별 및 선행, 후행, 선실, 특도, 기장, 선장, 전장등과 같은 공종별로 각자가 시수에 따른 일정을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중일정 계획 수립 시 가장 중요하게 인력의 부하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바, 부서별, 공종별 인력 배치 및 인력의 부하에 대한 것을 컴퓨터 또는 수작업으로 조정하게 된다.
또한, 작업장에서의 조립 시 작업장으로 블록이 투입되면 수작업으로 이를 배치하면서 블록별 시수에 따라 작업 계획을 세우게 되고, 골리앗 크레인 및 타워 크레인등과 같은 주요 설비는 별도의 작업 계획을 세우지 않고 그때 그때 상황을 조율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1년의 계획인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면서 인력 부하에 대한 계획만을 시수에 따라 수립하고, 작업장의 사용 부하 및 주요 설비 부하를 계획 수립의 변수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산 계획의 부하 분석을 위한 기준 정보가 각각의 부서별로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통합관리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일정 계획의 실행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생산의 일정 계획을 단순히 인력 부하의 시수에만 의존하여 수립하게 되고, 설비부하, 작업장별 부하는 수작업으로 그때 그때 계획을 수정해가면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전체적인 일정 계획의 수립이 정확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계획을 자주 수정해야 함과 아울러 계획 실행율의 저하 때문에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반 건조시의 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 인력 부하 뿐만 아니라 설비, 작업장등의 부하를 서버 컴퓨터에 다양한 변수로 입력 및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력이 높은 일정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일정 계획 수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의 각 공장별/부서별/공종별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각각의 인력/설비에 대한 일일 가용시간을 입력하여 공장별, 공종별로 일일 가용 생산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일일 가용시간의 입력 후 다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공장별/공종별 물량 작업소요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작업소요시간을 공장별 일일 가용시간으로 나눈 후 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서버 컴퓨터에서 작업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선박 건조시의 각 조립 공장에서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면적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 생산 능력을 구하는 단계와,
작업장별로 배치된 블록의 형상 정보 및 블록의 점유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상기한 블록의 점유시간과 형상을 곱해서 부하요구량을 구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일일 가용 시간인 가용 생산 능력을 클라인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각 블록별 탑재 작업 시간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서버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가용 생산 능력과 블록별 탑재시간을 곱해서 작업 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한 각각의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작업부하율을 통해 선박의 생산 일정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일정 계획 수립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와 부하 분석의 일예를 도시한 표로서, 조립, 도장, 의장, 탑재 부서별로 인력/설비, 면적(작업장), 장비(크레인)의 현재 사용 부하 및 가용 부하를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각 부서별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사용 현황을 입력함과 아울러 앞으로 가용한 인력/설비, 면적, 장비를 입력하면, 상기한 서버 컴퓨터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이를 취합하게 된다.
상기한 각 부서별, 공종별 입력 부하값의 예를 도2에 따라 조립부서에서의 인력/설비, 면적에 대한 부하 분석을 설명하면, 조립 공정에서 공장별, 공종별로 인력과 각종 설비의 일일 가용시간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서버 컴퓨터에 각 공장별 일일 가용시간이 입력되면 이는 곧 공장별, 공종별로 일일 가용 생산 능력이 되는 것인 바, 일일 가용시간의 입력 후 다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공장별, 공종별 물량 작업소요시간을 입력하게 된다.
물량별 작업 소요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되면, 작업소요시간을 공장별 일일 가용시간으로 나눈 후 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작업부하율을 구하게 되는 바, 이는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분석됨으로써 각 공장별, 공종별 인력 및 설비 부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조립을 하는 장소인 면적(정반)에 대한 부하 분석은 조립 공장(조립1, 2, 3부, 해양1, 2, 3부...)에서 각 도크별 P-E 작업장의 가용면적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 생산 능력을 구하게 된다.
서버 컴퓨터에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 시간이 입력되면, 부하 요구량인 작업장별로 배치된 블록의 형상 정보 및 블록의 점유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되는 바, 상기한 블록의 점유시간과 형상을 곱해서 부하요구량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력/설비와 면적의 부하 요구량이 구해지면, 장비(골리앗 크레인, 타워 크레인, 해상 크레인, 크롤러 크레인)의 가용 생산 능력(가용 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골리앗 크레인의 각 도크별 일일 가용 시간이 입력되면 블록별 또는 P-E 작업장별 탑재 작업 시간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서버 컴퓨터로 입력하게 되는 바, 상기한 입력값으로 서버 컴퓨터에서 탑재작업시간과 일일 가용시간을 곱해서 작업 부하율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각각의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작업부하율을 구하게 되면, 부하 분석이 세분화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인력/설비, 면적(작업장), 장비의 일정 조절이 매우 효율적이고 실행력이 높아지게 작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일정 조절을 각각의 부하 분석에 따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변수중 하나가 일정을 맞추지 못하게 되어도 쉽게 일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비효율적인 운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요소들인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부하별 통합 관리가 가능하게 되면, 선박 건조시의 일정 계획이 보다 효율적이 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선박 건조시의 건조기간 단축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 기준 계획인 일정계획 수립 시 인력/설비, 작업장 정반 면적, 장비의 부하 분석을 통해 생산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계획에 대한 신뢰도 향상 및 선박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시 다양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2는 도1에서 부하 분석의 일예를 도시한 표.

Claims (1)

  1. 선박 건조시의 각 공장별/부서별/공종별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각각의 인력/설비에 대한 일일 가용시간을 입력하여 공장별, 공종별로 일일 가용 생산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일일 가용시간의 입력 후 다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공장별/공종별 물량 작업소요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작업소요시간을 공장별 일일 가용시간으로 나눈 후 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서버 컴퓨터에서 작업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선박 건조시의 각 조립 공장에서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면적을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 도크별 작업장의 가용 생산 능력을 구하는 단계와,
    작업장별로 배치된 블록의 형상 정보 및 블록의 점유시간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상기한 블록의 점유시간과 형상을 곱해서 부하요구량을 구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일일 가용 시간인 가용 생산 능력을 클라인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각각의 장비의 각 블록별 탑재 작업 시간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서버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가용 생산 능력과 블록별 탑재시간을 곱해서 작업 부하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한 각각의 인력/설비, 면적, 장비의 작업부하율을 통해 선박의 생산 일정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KR1020040011501A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KR20050082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01A KR20050082893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01A KR20050082893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93A true KR20050082893A (ko) 2005-08-24

Family

ID=3726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501A KR20050082893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8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823B1 (ko) * 2006-06-12 2008-06-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요소작업 원단위 산식을 이용한 시수 계산 시스템
KR101011639B1 (ko) * 2007-10-12 2011-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약이론을 이용한 선박/해양 제품 조합의 평가 시스템 및수주 전략 프로세스 방법
KR101486099B1 (ko) * 2010-12-16 2015-0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823B1 (ko) * 2006-06-12 2008-06-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요소작업 원단위 산식을 이용한 시수 계산 시스템
KR101011639B1 (ko) * 2007-10-12 2011-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약이론을 이용한 선박/해양 제품 조합의 평가 시스템 및수주 전략 프로세스 방법
KR101486099B1 (ko) * 2010-12-16 2015-0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장 능력 평가 및 조정 시스템, 및 조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za‐Reyes et al. The development of a lean park homes production process using process flow and simulation methods
Matt Adaptation of the value stream mapping approach to the design of lean engineer-to-order production systems: A case study
Spath et al. Cyber-physical system for self-organised and flexible labour utilisation
Ghanem et al. A framework for real-time construction project progress tracking
Lyakhomskii et al. Conceptual design and engineering strategies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t enterprises: Research, technologies and personnel
US20180253085A1 (en) Integrated solution for simulation-based production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Tuan et al. Improvement of workflow and productivity through application of Maynard operation sequence technique (MOST)
Subramani et al. Time overrun and cost effectiven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p et al. Scope management and change control process study for project-based companies in the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industries
Dunlop et al. Planning, estimation and productivity in the lean concrete pour
CN105447613A (zh) 一种企业智能化信息系统
Singholi et al. Towards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 case study
KR20050082893A (ko)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
CN110956360B (zh) 一种面向对象的船体分段车间计划排产发布方法及系统
Soh et al. A new framework for dynamical resources planning system in shipbuilding industry
Shah et al. A review on lean tools & techniques: continuous improvement in industry
Florez et al. Maximizing labor stability as a sustainability performance indicator in project scheduling
Serpell et al. A general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cess
SHANG The toyota way model: an implementation framework for large chinese construction firms
Niemi Worker allocation in make-to-order assembly cells
Slavina et al. Preparation of the procedure of virtual organization development in construction
Manrique et al.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ower crane in tall buildings
Teufl et al. Optimised–developing a state of the art system for production planning for industry 4.0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imulation-based optimisation
Moghadam et al. Post-simulation visualization application for production improvement of modular construction manufacturing
Bauer et al. Rule base for operative planning and control of flexible labour hou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1001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