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410A -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 Google Patents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410A
KR20120061410A KR1020100122725A KR20100122725A KR20120061410A KR 20120061410 A KR20120061410 A KR 20120061410A KR 1020100122725 A KR1020100122725 A KR 1020100122725A KR 20100122725 A KR20100122725 A KR 20100122725A KR 20120061410 A KR20120061410 A KR 2012006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r
movable block
vertical roller
edge
edg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34B1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0012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7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바에 결합된 수직롤러의 미세한 높이 조정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가동블럭 또는 슬라이드바와 조정나사 간의 가공 공차로 인한 나사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여 조정나사의 공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가동블럭, 수직롤러, 수직롤러 조정부 및 가이드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수직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블럭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가동블럭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정나사와, 상기 조정나사와 커플링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기 가동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개재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조정나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APPARATUS FOR TRIMMING EDGE-BAND OF EDGE-BANDING MACHINE}
본 발명은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에지밴드를 이송한 후 부착하고, 절단 및 트리밍하는 에지밴딩기의 각 장치 중에서도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부착되는 에지밴드를 목재패널의 두께에 맞추어 테두리를 절단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패널은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목재패널을 재단, 조립하여 벽체, 칸막이로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를 갖는 가구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목재패널은 최근의 경향을 살펴볼 때, 원가절감, 가공기술의 향상 등으로 인하여, 인조성형목재, 예컨대 MDF(Medium-density fibreboard), PB(Particle board) 등이 재료로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인조성형목재는 전후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가 형성되도록 표면 처리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목재패널의 에지면, 즉 측면은 특별히 표면처리되지 않고 원소재가 노출되므로, 에지밴딩기를 통하여 상기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에지밴드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목재패널의 테두리를 마감 장식하기 위해 목재패널의 에지면에는 마감처리용 밴드, 예컨대 PP, PVC, 무늬목, 무늬지 등의 에지밴드를 접착제로 부착한다. 이와 같이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에지밴드를 부착하고, 목재패널의 길이 및 두께에 맞추어 에지밴드를 절단하는 장비를 통상 에지밴딩기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에지밴딩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에지밴딩기용 트리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다.
종래의 에지밴딩기(1)는 도 1을 참조할 때, 무한궤도식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12)와 상기 컨베이어(12)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이송롤러(14)에 의해 목재패널(미도시)이 이송되는 패널 이송장치(10)와,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에지밴드(B)를 이송시켜 상기 에지밴드(B)를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가압부착하는 에지밴드 부착장치(20)와, 상기 목재패널의 에지면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양단을 상기 목재패널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는 에지밴드 절단장치(30)와, 상기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를 목재패널의 두께에 맞추어 상하 돌출된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에지밴드 트리밍장치(40)와, 상기 에지밴드 트리밍장치(40)를 통과한 목재패널의 에지 주변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에지밴딩기(1)를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종래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밴드(B)가 부착된 목재패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2)의 일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프레임(4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블럭(42)과, 상기 승강블럭(42)에 설치되고, 일면이 상기 컨베이어를 바라보도록 편향된 가동블럭(43)과, 외주면이 상기 컨베이어(12)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목재패널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가동블럭(43)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롤러(44)와, 상기 가동블럭(43)의 하단에 부착설치되고, 칩배출홈(46)이 형성됨과 동시에 트리밍커터(47)가 설치된 가이드블럭(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직롤러(44)를 상기 가동블럭(43)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직롤러 조정부(4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49)에 의해 상기 수직롤러(44)가 상하로 슬라이드 조정되면서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절단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49)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롤러(44)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블럭(43)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43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바(49a)와, 상기 가동블럭(43)의 일단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9a)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49a)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동블럭(4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정나사(49b)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블럭(43) 및 슬라이드바(49a)와 조정나사(49b)는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나사 결합된 양자간의 나사산의 가공을 세밀하게 하면 할수록 가공 공차에 의한 유격은 줄어들지만 가공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나사 결합시 나사산의 형태에 따라 가공 공차에 의한 최소한의 유격이 있어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이러한 유격을 배제할 수 없다. 그에 따라, 상기 가동블럭(43) 및 슬라이드바(49a)와 조정나사(49b) 간의 유격에 의해 조정나사(49b)가 공회전을 하거나 조정나사(49b)를 회전시키더라도 슬라이드바(49a)가 상하로 슬라이드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49)는 상기 슬라이드바(49a)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49c)와, 상기 슬라이드바(49a)와 상기 고정나사(49c)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나사(49c)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블럭(43)을 압박하여 상기 슬라이드바(49a)를 고정시키는 와셔(49d)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와셔(49d)는 단순히 고정나사(49c)의 회전에 의해 가동블럭(43)을 압박할 정도의 크기에 불과하므로 에지밴드(B)의 칩이 수직롤러 조정부(49)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각종 이물질 등이 침범하여 조정나사(49b)의 조정을 방해함으로써, 수직롤러(44)의 미세한 높이 조정에 방해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으로 상기 프레임(41)에 설치됨으로써,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돌출된 가장자리를 상하 양방향에서 절단하게 된다. 또한, 목재패널의 두께에 따라 에지밴드(B)의 트리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는, 가동블럭 또는 슬라이드바와 조정나사 간의 가공 공차로 인한 나사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여 조정나사의 공회전이 일어나 수직롤러의 높이가 미세하게 틀어짐으로써,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의 폭이 덜 잘리거나 더 잘리는 등 목재패널 제품의 불량 발생율을 높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는, 슬라이드바의 상하 슬라이딩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및 와셔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지밴드의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수직롤러 조정부의 내부로 침투하여 조정나사의 조정을 방해함으로써 수직롤러의 미세한 높이 조정에 방해를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정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바에 결합된 수직롤러의 미세한 높이 조정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가동블럭 또는 슬라이드바와 조정나사 간의 가공 공차로 인한 나사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여 조정나사의 공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에지밴드의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수직롤러 조정부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나사의 결합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한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는, 에지밴드가 부착된 목재패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블럭과, 상기 승강블럭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이 상기 목재패널을 바라보도록 편향된 가동블럭과, 이송된 상기 목재패널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가동블럭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롤러와, 상기 수직롤러를 상기 가동블럭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직롤러 조정부와, 칩배출홈 및 트리밍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블럭의 하단에 부착 설치된 가이드블럭을 포함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수직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블럭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가동블럭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정나사와, 상기 조정나사와 커플링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기 가동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개재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조정나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바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 및 회전모터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가동블럭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드바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바의 타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가동블럭의 슬라이드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고정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차단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판 및 회전모터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고정나사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는, 회전모터에 회전에 따라 조정나사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바에 결합된 수직롤러의 미세한 높이 조정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 및 조정나사를 가동블럭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제1 스프링을 설치하여 가공 공차로 인한 나사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여 조정나사의 공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목재패널 제품의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동블럭의 슬라이드홈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차단판에 의해 에지밴드의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수직롤러 조정부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스프링에 의해 고정나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의 제1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는,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승강블럭(200), 가동블럭(300), 수직롤러(400), 수직롤러 조정부(500) 및 가이드 블럭(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500)는 슬라이드바(510), 조정나사(520), 제1 스프링(530), 고정나사(540), 차단판(550), 제2 스프링(560), 회전모터(570) 및 브라켓(5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블럭(300)은 슬라이드홈(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럭(600)은 칩배출홈(620) 및 트리밍커터(6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에지밴드(B)가 부착된 목재패널(미도시)을 이송하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12)의 일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다. 프레임(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되므로 견고하게 제작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목재패널은 에지밴드 부착장치에 의해 에지면에 에지밴드(B)가 부착되어 컨베이어(12)에 의해 프레임(100)으로 이송되고, 후술할 가이드블럭(600)에 설치된 트리밍커터(640)에 의해서 상기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상하 돌출된 가장자리가 절단된다. 프레임(100)이 상하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후술할 승강블럭(200)이 상기 프레임(10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에지밴드(B)의 상하 돌출된 가장자리를 양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트리밍장치가 상하 대칭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00)의 설치 위치 및 기능은 종래 기술과 대동소이하다.
승강블럭(2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된 상기 목재패널을 향해 압축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즉, 상하 대칭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트리밍장치 중에서 상방에 설치된 트리밍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럭(200)의 상부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 승강블럭(200)을 하방으로 목재패널을 향해 일방적으로 압박시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승강블럭(200)은 압축스프링에 의해 스프링력에 따라 언제나 하방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하방에 설치된 트리밍장치의 경우에는 상방에 설치된 트리밍장치와 반대로 상방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블럭(200) 역시 종래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블럭(300)은 상기 승강블럭(2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이 상기 목재패널을 바라보도록 편향된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럭(300)은 승강블럭(200)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이송된 목재패널을 향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가동블럭(300) 역시 압축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목재패널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가동블럭(300)은 목재패널 쪽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되어 이송되는 목재패널의 에지밴드(B)가 부착된 에지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트리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블럭(300)의 일면은 이송된 상기 목재패널을 바라보도록 편향되어 형성된다. 즉,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럭(2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되는 부분에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목재패널을 바라보도록 편향된다. 그에 따라, 후술할 수직롤러(400)가 상기 수평블럭(3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수직롤러(400)는 이송된 상기 목재패널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가동블럭(30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 설치된 트리밍장치의 경우에는 수직롤러(400)가 목재패널의 상부를 눌러서 회전한다. 수직롤러(400)는 가동블럭(300)의 일면에 설치되고, 가동블럭(300)은 승강블럭(200)에 설치되므로 결국 이송되는 목재패널의 두께 변화에 따라 수직롤러(400)가 목재패널의 두께만큼 승강블럭(200)을 밀어 올리게 되고, 승강블럭(200)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롤러(400)는 가동블럭(300)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수직롤러(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후술할 가이드블럭(500)에 구비된 트리밍커터(540)가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절단폭을 결정하게 된다. 즉, 목재패널의 두께 및 형상 등에 의하여 에지밴드(B)의 절단폭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수직롤러(400)를 상하 이동시켜 트리밍 커터(540)에 의해서 에지밴드(B)를 트리밍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직롤러 조정부(5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수직롤러 조정부(500)는 상기 수직롤러(400)를 상기 가동블럭(300)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510), 조정나사(520), 회전모터(570) 및 제1 스프링(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고정나사(540), 차단판(550), 제2 스프링(560) 및 브라켓(5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바(510)는 상기 수직롤러(400)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블럭(300)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35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바(510)에 결합된 수직롤러(400)는 상기 슬라이드바(51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510)는 상기 가동블럭(300) 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50)을 따라 상기 가동블럭(3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바(510)를 상하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하여 조정나사(520)가 설치된다.
조정나사(520)는 상기 가동블럭(300)의 일단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51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51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조정나사(52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51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결국 슬라이드바(5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직롤러(400) 역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조정나사(520)와 가동블럭(300)은 나사 결합되어 있어, 가공 공차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격에 의해 조정나사(520)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수직롤러(400)의 미세한 조정에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조정나사(520)와 슬라이드바(510)는 접촉되어 있어 슬라이드바(510)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스프링(530)이 필요하다.
제1 스프링(530)은 상기 슬라이드바(510)를 상기 가동블럭(300)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개재된다. 즉,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프링(530)은 상기 가동블럭(300)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드바(510)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530)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럭(300)의 하단과 슬라이드바(510)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인 경우 제1 스프링이(530)이 슬라이드바(510)를 가동블럭(300)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조정나사(520)와 가동블럭(300)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한 유격을 스프링력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조정나사(520)의 미세조정시 공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회전모터(570)는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나사(520)와 커플링(575)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조정나사(520)를 정역회전시킨다. 회전모터(570)에 의해 회전하는 조정나사(520)는 슬라이드바(510)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회전모터(570)의 회전은 결국 슬라이드바(5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회전모터(570)는 정역회전 모터로서, 회전모터(570)의 회전축은 커플링(575)을 매개로 상기 조정나사(520)와 결합된다. 이송되는 목재패널의 두께에 따라 조정나사(520)를 미세하게 조정해야 하므로 회전모터(570)는 산업용 로봇 제어나 정밀 위치제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일 수 있다.
스테핑모터는 스텝모터라고도 하며, 일정한 스텝을 움직인다고 할 수 있는데, 펄스 신호를 받아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모터이다. 입력 펄스 수와 모터의 회전각도가 완전히 비례하므로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테핑모터는 고유의 분할각도가 존재하는데 이 분할 각도를 이용하여 제어를 하게 된다. 예컨대, 고유각이 최소로 분할하고, 1펄스당 0.72도로 움직이는 모터가 있다면 그 분할 각도를 계산해서 펄스신호를 주고 원하는 각도만큼 움직이게 한다. 다만, 스테핑모터의 단점은 탈선현상이 일어나더라도 알 수 없다는 점과 누적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상당히 크다는 것이다. 반면, 정밀위치제어에 있어 가장 많이 쓰이며 만능이라 할 수 있는 서보모터는 스테핑모터와 달리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는 되먹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움직인 위치값을 정확하게 읽어들여 그 오차값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보모터는 위치값을 잃어버린다면 즉각 그 데이터 값을 읽어 들일 수 있어 정밀한 위치제어가 필요한 본 발명에 안성맞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라켓(58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바(5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57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5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510) 및 회전모터(57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브라켓(580)은 회전모터(570)를 지지하고, 회전모터(57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드바(510)와 회전모터(570)를 연결하여 함께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회전모터(570)의 회전에 따라 가동블럭(300)을 기준으로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요소는 슬라이드바(510), 수직롤러(400), 조정나사(520), 브라켓(580) 및 회전모터(570)이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540)는 상기 슬라이드바(510)에 나사 결합되고, 차단판(550)은 상기 가동블럭(300)의 슬라이드홈(350)을 폐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바(510)와 상기 고정 나사(54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조정나사(520)에 의해 슬라이드바(510)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드바(510)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고정나사(540) 및 차단판(55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550)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럭(300)의 슬라이드홈(350)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데, 슬라이드홈(350)의 길이 이상의 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홈(350)의 내부로 에지밴드(B)의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아 조정나사(520)에 의한 슬라이드바(510)의 미세조정이 용이해진다.
이때, 회전모터(570)를 지지하는 브라켓(580)은, 일단이 상기 차단판(550)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57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5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판(550) 및 회전모터(57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즉, 회전모터(570)의 회전에 따라 가동블럭(300)을 기준으로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요소는 슬라이드바(510), 수직롤러(400), 조정나사(520), 차단판(550), 고정나사(540), 브라켓(580) 및 회전모터(570)이다.
고정나사(540)와 차단판(550)의 과도한 억지 조임 및 압박에 의해 슬라이드바(510)와 함께 차단판(550)이 상하 이동하기 힘들거나 고정나사(540)를 후퇴시키기 위한 회전시 고정나사(540)를 풀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2 스프링(560)을 설치하는 것이다. 제2 스프링(560)은 상기 고정나사(540)와 상기 차단판(550)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스프링(560)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판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제2 스프링(560)에 의해 고정나사(540) 및 차단판(550)을 용이하게 조임 및 압박시킬 수 있고, 제2 스프링(560)의 스프링력만큼 차단판(550)과 슬라이드바(510)의 결합력이 느슨해지므로 슬라이드바(510) 및 차단판(550)이 함께 상하 이동시 보다 자유로울 수 있으며, 고정나사(540) 및 차단판(550)을 풀어내는 경우에도 제2 스프링(560)의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풀어낼 수 있다.
한편, 가이드블럭(600)은 칩배출홈(620) 및 트리밍커터(640)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블럭(300)의 하단에 부착설치된다. 가이드블럭(600)은 목재패널에 부착된 에지밴드(B)의 에지면에 접촉하여 트리밍커터(640)에 의해 에지밴드(B)의 상하 돌출된 가장자리가 절단되면 상기 칩배출홈(620)을 통해 절단된 에지밴드(B)의 칩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블럭(600)에 구비된 칩배출홈(620) 및 트리밍커터(640)는 종래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B : 에지밴드
100 : 프레임
200 : 승강블럭
300 : 가동블럭 350 : 슬라이드홈
400 : 수직롤러
500 : 수직롤러 조정부
510 : 슬라이드바 520 : 조정나사
530 : 제1 스프링 540 : 고정나사
550 : 차단판 560 : 제2 스프링
570 : 회전모터 575 : 커플링
580 : 브라켓
600 : 가이드블럭
620 : 칩배출홈 640 : 트리밍커터

Claims (7)

  1. 에지밴드가 부착된 목재패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블럭과, 상기 승강블럭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이 상기 목재패널을 바라보도록 편향된 가동블럭과, 이송된 상기 목재패널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상기 가동블럭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롤러와, 상기 수직롤러를 상기 가동블럭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직롤러 조정부와, 칩배출홈 및 트리밍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블럭의 하단에 부착 설치된 가이드블럭을 포함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수직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블럭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가동블럭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정나사와,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기 가동블럭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개재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조정나사와 커플링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조정나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바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 및 회전모터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가동블럭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드바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바의 타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가동블럭의 슬라이드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고정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차단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판 및 회전모터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 조정부는,
    상기 고정나사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20100122725A 2010-12-03 2010-12-03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24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25A KR101240734B1 (ko) 2010-12-03 2010-12-03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25A KR101240734B1 (ko) 2010-12-03 2010-12-03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10A true KR20120061410A (ko) 2012-06-13
KR101240734B1 KR101240734B1 (ko) 2013-03-07

Family

ID=4661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725A KR101240734B1 (ko) 2010-12-03 2010-12-03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7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35B1 (ko) * 2012-07-16 2014-06-13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423426B1 (ko) * 2013-05-16 2014-07-24 (주)세아테크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이송장치
KR101505365B1 (ko) * 2014-02-18 2015-03-23 주홍식 웨이브 패널의 엣지밴드 가공 장치
CN113580282A (zh) * 2021-08-16 2021-11-02 江苏伟森家居有限公司 一种组合式板材加工用减震压紧设备
CN117681075A (zh) * 2024-02-02 2024-03-12 四川优机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应用于航空发动机叶片加工的金属包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68Y1 (ko) * 2000-07-25 2000-12-01 김진수 에지밴딩기
KR200211852Y1 (ko) * 2000-09-01 2001-01-15 박성수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KR200373782Y1 (ko) * 2004-10-25 2005-01-27 이용석 에지밴딩기의 트리밍장치
KR20090029871A (ko) * 2007-09-19 2009-03-24 김진수 에지밴딩기용 트리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35B1 (ko) * 2012-07-16 2014-06-13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423426B1 (ko) * 2013-05-16 2014-07-24 (주)세아테크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이송장치
KR101505365B1 (ko) * 2014-02-18 2015-03-23 주홍식 웨이브 패널의 엣지밴드 가공 장치
CN113580282A (zh) * 2021-08-16 2021-11-02 江苏伟森家居有限公司 一种组合式板材加工用减震压紧设备
CN117681075A (zh) * 2024-02-02 2024-03-12 四川优机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应用于航空发动机叶片加工的金属包边装置
CN117681075B (zh) * 2024-02-02 2024-04-09 四川优机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应用于航空发动机叶片加工的金属包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734B1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734B1 (ko)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20130049299A (ko) 에지밴딩기용 뒤판홈 가공장치
CN1024643C (zh) 切厚胶合板材的木工切片机
US3838722A (en) Trimming apparatus
CN107160533A (zh) 自动对刀刮边装置及封边机
CA2401303C (en) Automated manufacturing line for boxgoods
KR101407135B1 (ko)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140693B1 (ko)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20110084574A (ko) 코너 트리밍장치
CN211389144U (zh) 一种竹木小家具加工用刨边机
KR200451251Y1 (ko) 에지밴딩기용 트리밍장치
CN209503814U (zh) 四边角工件自动倒角机床
KR20190124577A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US3901295A (en) Trimming apparatus
KR20090029871A (ko) 에지밴딩기용 트리밍장치
CN201931514U (zh) 自动封边机的开槽装置
KR20130041439A (ko) 양면 가공용 더블 에지밴딩기
KR200302073Y1 (ko) 에지밴딩기의 트리밍장치
KR200419522Y1 (ko) 가구용 패널의 에지몰딩 코너 트리밍장치
EP1767319B1 (en) Machine for creating grout lines on boards and/or for cutting tiles from board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211681328U (zh) 一种磨边机
US10814520B2 (en) Pressure roller system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planer snipe and configured for quick change
US7997310B2 (en) Combination planer/moulder with adjustable vertical support and method of adjustment
KR101301423B1 (ko) 에지밴딩기용 패널 절삭장치
CN209812536U (zh) 板材圆弧锯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