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852Y1 -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 Google Patents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52Y1
KR200211852Y1 KR2020000024927U KR20000024927U KR200211852Y1 KR 200211852 Y1 KR200211852 Y1 KR 200211852Y1 KR 2020000024927 U KR2020000024927 U KR 2020000024927U KR 20000024927 U KR20000024927 U KR 20000024927U KR 200211852 Y1 KR200211852 Y1 KR 200211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ood panel
cutter
trimming device
finish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2020000024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5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목재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절삭함과 동시에 그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처리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는,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된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목재패널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는 커터가 장착되는 지지부와; 목재패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상하운동을 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커터와 가이드부재 사이의 초기상대변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Trimming device for automatic edge bender}
본 고안은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edge)의 상하 잉여부분을 절삭함과 동시에 그 절삭면의 모서리부분을 곡면형태로 라운딩처리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의 상기 목재패널에 대한 초기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는 커터의 최종 위치(절삭위치)가 변하게 만들어, 상기 커터에 의해 절삭되는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양이 조절되게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커터를 입출시킴으로써,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패널은 다른 소재에 비해 가공성이 우수하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도어나 가구제작에 많이 이용된다.
상기의 목재패널은, 성판(成板)하는 방법에 따라 통상 칩보드, 단판적층재, 집성목 등으로 분류하는데, 성판방법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표면이 거칠고 미감이 좋지 않아 상기 목재패널의 표면에 소정의 표면가공을 실시한 후 사용하게 된다.
주지하다시피 목재패널의 표면가공방법으로는 평면가공법과 측면가공법이 있으며, 이 중에서 측면가공법은 다시 에지전사방법과 에지밴딩방법으로 나뉘어진다.
상기의 에지밴딩방법은,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PB합판)와 같이 측면이 거친 목재 패널에 주로 이용되지만,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에도 이용될 수는 있다.
첨부도면중 도1은, 상술한 에지밴딩방법의 실시를 위해 제공된 종래의 자동에지밴딩기(국내 등록실용신안 제167500호의 도4 참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의 자동에지밴딩기는 측면마감재의 두께가 0.5mm(또는, 1㎜ 이내)정도로 얇은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한 번의 트리밍 작업으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목재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완전히 절삭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마감재의 절삭된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처리 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서, 베이스(52)의 상단부에는, 투입된 목재 패널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판(5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판(56) 사이에 캐터필러 트레드 형태의 이송 컨베이어(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60)의 직상방에는 핸들(68)에 의해서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분리대(70)와, 각 구성요소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6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분리대(70)의 하단부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60)에 실려서 이송되는 목재패널(미도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가압롤러(72)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2)의 상단 일측으로, 밴드 형태의 측면마감재가 감겨 있는 공급피더(74)와, 상기 공급피더(74)로부터 공급되는 측면마감재를 핫멜트를 개재하여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하는 접착기(76)와, 목재패널의 측면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도포기(미도시)와, 상기 목재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전·후단을 절단하는 수직커터(78,80)와, 상기 목재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목재 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절삭함과 동시에 라운딩처리 하는 트리밍 장치(82)와, 소정의 기계적인 가공이 가해진 상기 목재 패널의 측면모서리 부위를 천으로 깨끗하게 마무리하는 버핑 휠(8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구성요소 중 목재 패널의 측면모서리 부위를 최종 연마 처리하는 버핑 휠(84)과 트리밍장치(82)는, 상기 자동에지밴딩기로부터 독립하여 각각 별개의 장치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자동에지벤딩기를 이용하여, 목재패널의 측면을 가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가공물인 목재패널을 가이드판(56)에 얹어서 수평상태를 유지한 다음, 상기 목재패널의 선단을 이송 컨베이어(60)와 가압롤러(72) 사이로 밀어 넣어 이송시킨다.
상기 목재패널이 이송 컨베이어(60)에 실려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공급피더(74)에서 풀려져 나온 측면마감재가 핫멜트를 개재하여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되고, 부착 직후 접착기(76)에 의해서 압착된다. 이때, 측면마감재는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보다 넓은 크기로 부착된다.
즉, 밴드형태의 측면마감재를 사용하는 에지밴딩방법에서는, 피가공물인 목재패널의 측면보다 넓은 크기의 측면마감재를 부착한 후,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서 벗어난 측면마감재의 잉여부분을 커터로 절삭해 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공방법을 채택하는 것은, 상기 측면마감재가 목재패널의 측면에 정확한 사이즈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에지밴딩방법에서는, 목재패널의 측면 크기에 맞춰,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나온 측면마감재의 잉여부분을 정확하게 절단(트리밍)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마감재의 전단을 베이스의 후방(입구측)에 설치한 수직커터(78)로 절단한 후, 상기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트리밍장치에서 절삭하고, 이어 상기 베이스의 전방(출구측)에 설치한 수직커터(80)로 측면마감재의 후단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동에지밴딩기의 트리밍장치는, 도2c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중앙의 라운딩절삭부(5C)를 중심으로 평면절삭부(5A)와 측면(절삭)부(5B)가 둔각을 이루고 있는 커터(5)와, 상기 커터를 목재패널(W)의 두께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커터의 라운딩절삭부가 목재패널의 측면높이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커터의 라운딩절삭부를 목재패널의 측면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로 목재패널을 이송하면, 상기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E)의 상하 잉여부분이 측면높이까지 절삭되면서 상기 커터의 라운딩절삭부에 의해 절삭면의 모서리부분이 라운딩처리 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후, 트리밍작업이 실시된 목재패널의 측면모서리 부분을 버핑 휠(84)로 연마해 줌으로써, 상기 목재패널의 사방 측면에 대한 에지밴딩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의 자동에지밴딩기는, 예컨대 측면마감재의 두께가 1㎜ 이내로 얇은 경우(도2c의 실선부분)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이보다 두께가 두꺼운 측면마감재를 트리밍하게 되면 예를 들어 1.5∼3㎜ 두께의 측면마감재(도2c의 점선부분)를 트리밍하게 되면 상기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의 일부가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평면절삭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라운딩절삭부의 곡률반경보다 두꺼운 측면마감재를 트리밍 하면, 상기 측면마감재의 폭방향으로 완전히 트리밍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마감재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트리밍작업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부분을 다시 트리밍하여, 상기 잉여부분을 목재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절삭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마감재의 두께방향으로 라운딩처리하는 2차 트리밍작업이 요구된다.
상기의 자동에지밴딩기는, 또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트리밍할 때 절삭되어 나온 칩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 칩이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끼이거나 모터에 감겨서 장치를 고장내는 일이 많았다.
첨부된 도면중 도2a는, 이상과 같이 측면마감재의 두께가 두꺼워 트리밍 작업을 2회로 나누어서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종래의 자동에지밴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1차 트리밍장치만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2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베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2차 트리밍장치는, 상기 1차 트리밍장치와 실질적으로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단지 커터의 형상(특히, 라운딩절삭부의 곡률)만 상이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에지밴딩기의 베이스(100) 일측에는 사각판체 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0)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지지프레임(120)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가이드바(13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외주에 스프링(170)이 끼워지는데, 목재 패널과 대향하는 면쪽에 커터(140)와 가이드롤러(150)가 설치된 고정블록단(160)이 상기 가이드바를 통해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자동에지밴딩기의 1차 트리밍장치는, 이송 컨베이어(180)에 실려서 이송되는 목재패널(W)의 상면보다 상기 고정블록단(16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롤러의 최저점(P)이 항상 낮은 위치에 놓여 있어서(도2b 참조), 목재 패널의 선단이 가이드 롤러에 진입되면 상기 가이드 롤러가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함께 고정블록단에 고정되어 있는 커터도 가이드롤러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상기 커터가 목재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이동하여 측면마감재를 트리밍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자동에지밴딩기는,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측면높이까지 절삭하는 1차 트리밍 작업시에, 상기 커터가 측면마감재의 선단부분을 뜯어내듯이 절삭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백테가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백테현상(또는 백화현상)은 플라스틱 제품을 절단하거나 파괴하였을 때 그 절단면이나 파단면에 하얗게 보이는 줄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상기 백화 현상이 나타난 부위를 2차 트리밍장치에서 다시 깎아내면 백테가 없어지게 되지만, 측면마감재의 선단부분이 1차 트리밍 작업시에 너무 많이 뜯겨 나간 경우에는 상기 백테 부분이 2차 트리밍장치에서도 제거되지 않게 된다.
즉, 트리밍작업이 2회 실시되는 자동에지밴딩기에서는, 1차 트리밍작업에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목재패널의 측면높이까지 완전히 절삭하면서 작은 곡률로 라운딩처리 한 다음, 상기 라운딩처리 된 부분을 2차 트리밍작업에서 다시 더 큰 곡률로 라운딩처리 하여 백테부위를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측면마감재의 두 께가 두꺼워 선단부분이 많이 뜯겨져 나가면 이 부분을 도저히 라운딩처리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1차 트리밍 작업후 남아 있는 잉여부분이 적을 경우 2차 트리밍 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가늘어지게 되는데, 상기 절삭 칩이 절삭저항에 의한 마찰열로 커터의 절삭날 부위에 달라 붙어버리는 단점이 있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절삭된 칩이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끼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양을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트리밍양을 한번 설정한 후에는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각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에 대하여 그 설정된 양만큼만 계속해서 트리밍하게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측면마감재를 트리밍할 때 발생되는 절삭칩이 이송 컨베이어 등에 끼이지 않도록 상기 절삭칩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자동에지밴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는 종래 다른 예의 자동에지밴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측면마감재를 수평방향으로 절삭하는 트리밍장치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b는 이송 컨베이어에 실려서 이송되는 목재패널과, 상기 목재패널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종동 회전하는 가이드롤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c는 커터와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트리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트리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고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고정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이드부재가 장착된 슬라이드판과 고정블록이 승강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이송 컨베이어, 2...베이스,
3...가압롤러, 4...가이드부재,
5...커터, 6...고정플레이트,
7...고정블록, 8...가이드바,
9...승강부재, 10...지지프레임,
11...승강안내홈, 12...완충부재,
13...칩배출홈, 18...고정단,
21...가이드공, 22...브라켓.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된 베이스에 고정되고 목재패널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는 커터가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목재패널의 두께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커터와 가이드부재 사이의 초기상대변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리밍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목재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커터 사이의 초기상대변위(간격)가 간격조절부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목재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상하부 트리밍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고정블록을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예컨대 제1블록과 제2블록으로 분할하여 이들을 슬라이드축 등으로 관통·결합시키고, 커터와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기 제2블록에 입출부재의 일측단을 고정한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입출부재의 입출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2블록이 슬라이드축을 따라 목재패널의 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입출될 수 있고,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상기 커터의 절삭날(평면절삭부)에 의하여 측면마감재의 상하 트리밍양이 조절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리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중 '후방'이란 목재패널이 투입되는 쪽을 의미하며, '전방'이란 목재패널이 방출되는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대향면이란 목재패널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인 것으로 정의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트리밍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베이스(2)의 상단부에 캐터필러 트레드 형태의 이송 컨베이어(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의 직상방에는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대의 상하 이동은, 도1에 도시된 핸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에 실려서 이송되는 목재패널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다수의 가압롤러(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와 그 밖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베이스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6)에는, 완충부재(12)를 끼우기 위한 가이드바(8)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서 승강하는 고정블록(7)과 상기 고정블록에 장착된 커터(5)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를 목재패널의 측면마감재에 대해 상하 운동시키는 가이드부재(4)가 상기 고정블록의 대향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블록의 대향면에 천공되어 있는 승강안내홈을 따라 승강하는 고정단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전축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의 가이드부재는 목재패널의 평면에 접하여 종동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와 고정블록 사이에는 승강부재(9)가 설치되며, 이 승강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안내홈(11)을 관통하여 고정단(18)에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안내홈과 승강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예의 간격조절부에 의하여, 목재패널에 대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초기상대위치가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고정블록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는, 볼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유·공압 실린더기구와 같이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의 트리밍장치의 작용·기능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가공되는 목재패널의 측면에는 이미 측면마감재가 부착되어 있고, 이 측면마감재의 전·후단도 절단되어 있어서 트리밍 작업만 하면 가공 완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송 컨베이어(1)와 분리대 하단의 가압롤러(3) 사이로, 측면마감재가 부착되어 있는 목재패널을 밀어 넣어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실려서 이송되는 목재패널의 선단부분이 가이드부재의 원주면에 닿으면, 상기 가이드부재에 작용되는 상승력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목재패널의 표면에 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함께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커터도 일정 높이만큼 위로 상승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에 가해지는 상승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블록이 완충부재를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길이만큼 상기 고정블록이 가이드바를 따라 위로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리밍 작업전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터 사이의 초기 상대변위를 조절하면, 트리밍 작업시 상기 가이드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움직이는 커터의 최종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부재로 가이드부재를 승강시켜 커터와의 초기 간격을 조절하면, 조절된 높이만큼 측면마감재에 대한 커터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요구되는 양만큼만 측면마감재의 상하부 잉여부분을 트리밍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차 트리밍 작업에서 백테현상이 생긴 경우, 2차 트리밍 작업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트리밍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의 작용·기능은 도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성질이 같은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5는 본 고안의 트리밍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고정블록만을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고정블록(7)의 좌측부분에는 가이드바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공(21)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천공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가 장착되는 대향면 뒤쪽의 하단부분에는 칩배출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칩배출홈은 측면마감재로부터 절삭되어 나오는 연속칩이 이송 컨베이어 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장치의 고장율을 현저히 낮추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고정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소형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고정블록(7)이 2개의 소형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고정블록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1)이 천공되고 일측면에 브라켓(22)이 돌설된 제1블록(7A)과, 가이드부재 및 커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제2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블록의 브라켓 사이에 제2블록의 일측단을 끼워 넣어 소정의 슬라이드축(23)으로 관통·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축을 따라 상기 제2블록(7B)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 또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블록 사이에 유·공압 실린더 등의 입출부재(24)를 설치하여 상기 제2블록이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입출부재의 설치는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입출부재의 본체부분은 제1블록이나 지지프레임에 고정하고, 로드부분은 제2블록에 고정하는 방식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나 제1블록에 상기 입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판체 등이 새로이 장착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입출부재는 제1블록과 제2블록에 관통결합되는 나사형태의 가이드축과, 상기 제1블록에 설치되는 너트 형태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가이드부재와 커터가 장착되는 제2블록을 입출부재를 사용하여 이송 컨베이어쪽으로 입출시키는 경우, 상기 제2블록이 입출되는 방향으로 절삭날이 경사져 있는 상기 커터의 입출 정도에 따라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양이 달라지게 된다(도2c 참조).
한편, 상기 커터에 입출부재나 승강부재를 직접 연결하여 커터 자체가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터 사이의 초기상대변위를 가이드부재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커터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커터와 연결되는 승강부재나 입출부재의 타단측은 본 고안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고정블록이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부가하여, 목재패널의 측면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부재(미도시)를 베이스의 후방측에 설치하여, 상기 커터를 측면마감재에 대해 상대 운동시키는 입출부재와 승강부재가 상기 센싱부재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이드부재가 장착된 슬라이드판과 고정블록이 승강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블록(7)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1)이 천공되고 일측면에 브라켓(22)이 돌설된 제1블록(7A)과, 상기 제1블록의 브라켓과 대응되는 2개의 브라켓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커터(5)가 장착된 제2블록(7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브라켓에 슬라이드축(23)을 관통·결합시켜 그 외주에 탄성부재(30)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축(23)을 따라 상기 제2블록(7B)에 설치된 커터(5)가 항상 측면마감재를 트리밍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이드부재가 회전 자유롭게 고정되는 슬라이드판(35)과 제2블록을 승강부재(9)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판과 제2블록의 승강안내홈에 가이드부재의 회전축부분을 회전 자유로이 고정시켜서, 상기 슬라이드판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가 목재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하였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트리밍장치에 있어서, 고정블록이 승강 자유롭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면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바(8)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진 완충부재와 고정블록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와셔가 완충부재의 일측단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가이드공에 끼워진 상태로 돌출된 가이드바의 끝부분에도 각각 너트가 채워져, 고정블록의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트리밍 장치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수직커터나 버핑 휠, 측면마감재 공급피더와 같은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1차 트리밍장치, 2차 트리밍장치, 그리고 버핑 휠(84)을 상기의 순서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차 트리밍장치를 거쳐 나오는 목재패널의 측면 모서리부분을 깨끗하게 연마 처리할 수 있다.
즉,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이 완전히 절삭된 상태로 방출되는 목재패널의 측면에는 트리밍 작업시 발생된 절삭칩과 핫멜트가 엉켜 붙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의 버핑휠로 이들을 완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버핑 휠이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에지밴딩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고안의 트리밍장치는,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핫멜트 도포기, 측면마감재 공급피더(74), 전단측 수직커터(78), 1차 트리밍장치, 2차 트리밍장치, 후단측 수직커터(80), 그리고 버핑 휠(84)을 상기의 순서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트리밍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2 변형예에서, 후단측 수직커터(80)와 2차 트리밍장치가 뒤바뀐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트리밍장치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변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와 커터 사이의 초기 상대변위를 간격조절부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측면마감재의 트리밍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트리밍장치가 버핑 휠을 포함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트리밍이 완료된 목재패널의 측면모서리를 상기 버핑 휠로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블록과 함께 커터가 이송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입출될 수 있기 때문에, 커터가 입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상기 커터의 절삭날에 의해서 측면마감재의 1차 트리밍양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블록과 목재패널의 측면이 항상 접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목재패널의 폭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상기 제2블록에 장착된 커터가 측면마감재를 트리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마감재의 트리밍 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상기 지지부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칩배출홈을 따라 장치 바깥쪽으로 배출되므로 장치의 고장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베이스에 설치한 이송 컨베이어로 목재패널을 이송하면서 상기 목재패널에 부착된 측면마감재의 상하 잉여부분을 트리밍 하는 트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측면마감재에 대하여 상대 운동을 하는 커터가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목재패널의 두께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커터와 가이드부재 사이의 초기 상대변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승강안내홈과; 상기 승강안내홈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완충부재를 끼우기 위한 가이드바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서 승강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장착되는 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고정블록은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제1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터가 장착되는 제2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에 슬라이드축을 관통 결합시켜,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입출부재에 의해 상기 제2블록이 슬라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고정블록에는 칩배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고정블록은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제1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터가 장착되는 제2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에 관통·결합시킨 슬라이드축에 탄성부재를 끼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블록이 슬라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KR2020000024927U 2000-09-01 2000-09-01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KR200211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27U KR200211852Y1 (ko) 2000-09-01 2000-09-01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27U KR200211852Y1 (ko) 2000-09-01 2000-09-01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52Y1 true KR200211852Y1 (ko) 2001-01-15

Family

ID=7308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27U KR200211852Y1 (ko) 2000-09-01 2000-09-01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5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10B1 (ko) 2009-01-30 2011-09-27 김진수 에지밴딩기용 모따기장치
KR101177647B1 (ko) 2011-03-29 2012-08-27 박성수 목재패널의 절단면 상,하 모서리부 압착수단을 갖는 에지밴딩기
KR101240734B1 (ko) * 2010-12-03 2013-03-07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295739B1 (ko) 2011-10-28 2013-08-12 (주)일신테크윈 휴대용 트리밍장치
KR101342840B1 (ko) 2012-07-20 2013-12-17 주홍식 웨이브 패널의 에지밴드 트리밍 장치
KR101939973B1 (ko) * 2018-10-04 2019-01-18 안종삼 잔여부위 회수부와 자동 적재부가 구비된 에지밴드 부착 장치
KR20190121536A (ko) * 2018-04-18 2019-10-28 (주)현대산기 끼움홈 가공기
KR102450470B1 (ko) * 2022-07-21 2022-09-30 류종욱 싱크대 제조 방법
KR102450467B1 (ko) * 2022-07-21 2022-09-30 류종욱 신발장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10B1 (ko) 2009-01-30 2011-09-27 김진수 에지밴딩기용 모따기장치
KR101240734B1 (ko) * 2010-12-03 2013-03-07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트리밍장치
KR101177647B1 (ko) 2011-03-29 2012-08-27 박성수 목재패널의 절단면 상,하 모서리부 압착수단을 갖는 에지밴딩기
KR101295739B1 (ko) 2011-10-28 2013-08-12 (주)일신테크윈 휴대용 트리밍장치
KR101342840B1 (ko) 2012-07-20 2013-12-17 주홍식 웨이브 패널의 에지밴드 트리밍 장치
KR20190121536A (ko) * 2018-04-18 2019-10-28 (주)현대산기 끼움홈 가공기
KR102053951B1 (ko) 2018-04-18 2019-12-12 (주)현대산기 끼움홈 가공기
KR101939973B1 (ko) * 2018-10-04 2019-01-18 안종삼 잔여부위 회수부와 자동 적재부가 구비된 에지밴드 부착 장치
KR102450470B1 (ko) * 2022-07-21 2022-09-30 류종욱 싱크대 제조 방법
KR102450467B1 (ko) * 2022-07-21 2022-09-30 류종욱 신발장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852Y1 (ko) 목재패널용 측면마감재의 트리밍장치
CA21390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molding
US6142050A (en)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EP156287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wegen von glastafeln beim bearbeiten derselben
US6001004A (en) Panel sanding machine with automatic changing and cleaning of the abrasive belt
US7402096B2 (en) Device for machining material plates
CN109396853A (zh) 一种移动式的多功能自动送料剪板机
CN110774668B (zh) 一种瓦楞纸板生产线
KR101313937B1 (ko) 에지밴딩기용 뒤판홈 가공장치
US6296029B1 (en) Centering sectional shoe assembly
CN116551527A (zh) 一种木地板加工用磨削设备及其使用方法
US20030089363A1 (en) Masonry split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DK1880838T3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body
US6722960B2 (en) Apparatus for planing and sizing a workpiece
US6019023A (en) Cutting machine using a rotary wheel for cutting a flexible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sheet or a small mat of sheets, and method for adjusting said machine
US5243960A (en) Apparatus for cutting stone laminate panels
CN215625520U (zh) 一种翻转装置及压板机
KR100278542B1 (ko) 목재의 에지 가공을 위한 샌딩장치
CN112222851B (zh) 一种卷板系统
KR101521582B1 (ko) 목재패널의 모서리 처리장치
CN210160917U (zh) 一种高效的锯边机
CN207606953U (zh) 一种蜂窝板镶边机
KR101301423B1 (ko) 에지밴딩기용 패널 절삭장치
CN210593723U (zh) 一种木地板加工用运输机
CN219787931U (zh) 一种刨花板生产用磨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