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644A - 태양 전지셀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644A
KR20120059644A KR1020127011371A KR20127011371A KR20120059644A KR 20120059644 A KR20120059644 A KR 20120059644A KR 1020127011371 A KR1020127011371 A KR 1020127011371A KR 20127011371 A KR20127011371 A KR 20127011371A KR 20120059644 A KR20120059644 A KR 2012005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lar cell
ether
iso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오카니와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6Poly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내부 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해 결정 결함, 재결합 손실을 저감시킨 태양 전지셀을 제공한다.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베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이다. 상기 전극층의 시트 저항은 1 × 10-4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태양 전지셀{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기판인 다결정 실리콘에 내재하는 결정 결함이나 결정립계에 있어서의 전자-정공 재결합에 의한 광전 변환 손실의 저감, 및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내부 응력, 그에 따른 셀의 휘어짐을 저감시켜, 셀-모듈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을,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 의 (1) 에서는, 붕소 도프의 p 형 실리콘 기판 (10) 에 있어서, 주조 잉곳으로부터 슬라이스했을 때에 발생하는 실리콘 표면의 데미지층을 20 % 가성 소다로 제거한다. 이어서 1 % 가성 소다와 10 %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액에 의해 에칭을 실시하여, 텍스처 구조를 형성한다. 태양 전지셀은, 수광면 (표면) 측에 텍스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광 가둠 효과를 촉진하여, 고효율화가 도모된다. 도 4 의 (2) 에서는, 계속해서 P2O5 를 함유하는 액을 도포하고, 800 ? 900 ℃ 에서 수십 분 처리하거나, 또는 옥시염화인 (POCl3), 질소, 산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에 있어서 800 ? 900 ℃ 에서 수십 분의 처리를 실시하여 균일하게 n 형층 (22) 을 형성한다. 이 때, 옥시염화인 분위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인의 확산은 측면 및 이면에도, 및 n 형층은 표면뿐만 아니라 측면, 이면에도 형성된다. 그 때문에, 도 4 의 (3) 에서는, 측면의 n 형층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이드 에칭이 실시된다. 또한 도 4 의 (4) 에서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막을 n 형층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에서는 SiH4 와 NH3 의 혼합 가스를 원료로 하는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수소가 결정 중에 확산되어, 실리콘 원자의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궤도, 즉 댕글링 본드와 수소가 결합하여, 결정 결함을 불활성화한다. 이와 같이 결정 결함을 수정하기 위한 조작을 수소 패시베이션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그 기재가 있다. 또, 결함의 불활성화에 관해서는, 수소화 아모르퍼스 실리콘을 사용한 방법도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 2 에 그 기재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의 (5) 에서는, 표면 전극용 은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 건조시켜, 표면 전극 (18) 을 형성한다. 이 때, 표면 전극 (18) 은 반사 방지막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이면측에 있어서도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이면용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 건조시켜, 이면 전극 (20) 을 형성한다. 이 때, 이면에서도 일부는, 모듈 공정에 있어서의 셀 간의 접속을 위해서, 은 전극 형성용 은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또한, 도 4 의 (6) 에서는, 전극을 소성하여 태양 전지셀로서 완성시킨다. 600 ? 900 ℃ 의 온도 범위에서 수 분간 소성하면, 표면측에서는 은 페이스트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재료에 의해 절연막인 반사 방지막과 실리콘의 일부도 용융되어, 은이 실리콘과 오믹 콘택트가 가능해진다. 이것을 파이어스루라고 한다. 한편 이면측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면도 n 형층이었던 곳을, 알루미늄 페이스트 중의 알루미늄이 이면측의 실리콘과 반응하여 p 형층을 형성하고, 발전 능력을 개선시키는 BSF (Back Surface Field) 층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 형층 형성시, 특히 옥시염화인을 사용한 기상 반응에서는, 본래 n 형층이 필요한 편면 (통상적으로 수광면 = 표면) 뿐만 아니라, 다른 일방의 면 (비수광면 = 이면) 이나 측면에도 n 형층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소자로서 pn 접합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측면 에칭, 및 비수광면에 있어서는, n 형층을 p 형층으로 재변환해야 한다. 상기, 종래의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이면에 제 13 족 원소인 알루미늄의 페이스트를 도포, 소성하여, n 형층을 p 형층으로 다시 변환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369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51726호
상기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판이 되는 다결정 실리콘은, 결정립계로부터 오는 결정 결함을 많이 포함한다. 이들은, 태양광 등의 광 조사에 의해 발생한 전자 및 정공의 캐리어의 재결합 중심이 되어, 전력 손실의 원인이 된다. 특히,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이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이것을 소성하여, n 형층을 p+ 층으로 함과 동시에, 오믹 콘택트를 얻는다. 그러나,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도전율이 낮기 때문에, 시트 저항을 낮춰야 하고, 통상적으로 이면 전체면에 알루미늄층을 소성한 후 10 ? 20 ㎛ 정도의 두께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실리콘과 알루미늄에서는 열팽창률이 크게 상이하다는 점에서, 소성 및 냉각의 과정에서, 실리콘 기판 중에 큰 내부 응력을 발생시켜, 휘어짐의 원인이 된다.
이 내부 응력 및 휘어짐은, 셀 그 자체의 특성에 있어서도, 그 후의 모듈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즉, 이 응력에 의해, 다결정의 결정립계에 데미지를 주어, 상기 재결합 중심을 증장 (增長) 시켜, 전력 손실을 크게 한다. 또, 휘어짐은, 모듈 공정에 있어서의 셀의 반송이나, 탭선으로 불리는 구리선과의 접속에 있어서, 셀을 파손시키기 쉽다. 최근에는, 슬라이스 기술의 향상으로부터, 다결정 실리콘 기판의 두께가 170 ㎛ 이고, 더욱 가까운 장래에는 보다 박형화되게 되어, 종래보다 한층 더 깨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내부 응력 경감을 위해서는, 이면의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사용을 회피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종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n 형층을 p 형층으로 재변환하여, 셀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곤란한 것이었다.
또, 상기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서는, 결정 결함을 보충하기 위한 수소 패시베이션을 실시한 후에 응력이 발생하는 이면 전극의 인쇄 및 소성을 실시하기 때문에, 거기서의 응력에 의해 다시 결정 결함을 늘리게 된다.
또, 상기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서는, 결정 결함을 보충하기 위한 수소 패시베이션 처리가, 반사 방지막 형성시에 동시에 행해진다. 그 때문에, 수소 패시베이션 처리가 유효한 것은, 표면만이 되고, 결정 내부 (벌크라고 한다) 나 이면에서는, 결정 결함은 처리되지 않고, 계속해서 재결합 중심인 상태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다결정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경우라도, 내부 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해 결정 결함, 재결합 손실을 저감시킨 태양 전지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동시에 내부 응력에 의한 휘어짐도 저감시키게 되어, 셀 및 모듈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셀의 파손을 저감시켜, 수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1)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베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2) 상기 전극층의 시트 저항이 1 × 10-4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태양 전지셀.
(3)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비(非)베타상의 전극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4) 상기 비베타상의 전극층이,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태양 전지셀.
(5) 상기 비베타상의 전극이, 망상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태양 전지셀.
(6) 상기 반도체 기판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면 전극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거나, 혹은 이면 전극을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결정립계에 대한 데미지 억제, 결정 결함 증장 억제, 공정에 있어서의 파손의 저감이 가능해져, 고효율화, 고수율화를 실현할 수 있는 태양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전극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의 도 1 과는 상이한 제조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의 제조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은, 제 1 양태에 의하면,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 (이하, 「이면 전극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베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은, 제 2 양태에 의하면,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비베타상의 전극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은,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수광면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이면 전극층의 두께가 5 ㎛ 이하로 박막이기 때문에, 또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이면 전극층을, 비베타상의 전극층으로 함으로써, 내부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결정립계에 대한 데미지 억제, 결정 결함 증장 억제, 공정에 있어서의 파손의 저감이 가능해져, 고효율화, 고수율화에 기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이면 전극층의 두께를 5 ㎛ 이하로 하기 위한 수법, 혹은 비베타상의 전극층으로 하기 위한 수법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그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의 구조를 명확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도 4 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의 (1) 에서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p 형 반도체 기판인 다결정 실리콘으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알칼리 용액으로 데미지층을 제거하여, 텍스처 구조를 에칭에 의해 얻는다.
도 1 의 (2) 에서는, 표면, 즉 수광면이 되는 면에, n 형층 (12) 을 형성하기 위해서 n 형층 형성용 확산액을, 이면, 즉 비수광면에는, p 형층 (14) 을 형성하기 위해서 p 형층 형성용 확산액을 도포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알루미늄의 페이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p 형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포 방법에는 제한이 없지만, 예를 들어 인쇄법, 스핀법, 브러시 도포, 스프레이법 등이 있다. 또, 확산액의 조성에 따라서는, 각 면 도포 후에 용제 건조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이것에는 80 ? 150 ℃ 정도의 온도에서,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 ? 5 분, 전기로 등의 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0 ? 30 분 정도로 건조시킨다. 이 건조 조건은, 확산액의 용제 조성에 의존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이 조건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n 형층 형성용 확산액은, 도너가 되는 불순물로서 인 등의 제 15 족 원소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2O5, P(OR)3, P(OR)5, PO(OR)3, 인산이수소암모늄 등의 인산염, AsX3, AsX5, As2O3, As2O5, As(OR)3, As(OR)5, SbX3, SbX5, Sb(OR)3, Sb(OR)5 (식 중 R 은 알킬기, 알릴기, 비닐기, 아실기를,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기서 사용하는 p 형층 형성용 확산액은, 억셉터가 되는 불순물로서 붕소 등의 제 13 족 원소의 단체 또는 그것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B2, B2O3, B(OR)3, Al(OR)3, AlX3, Ga(NO3)3, Ga(OR)3, GaX3 (식 중 R 은 알킬기, 알릴기, 비닐기, 아실기를,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n, p 형층 형성용 확산액에 있어서, 이들 불순물 화합물을 지정하는 것은 아니고, 반도체층 중에 n 형층, p 형층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묻지 않는다.
또, n, p 각 형성용 확산액은, (1) 상기 불순물 화합물에 첨가하고, (2) 바인더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3) 용제, (4) 그 밖의 첨가제가 사용된다.
(2) 의 바인더로는, 실리카계 바인더와 유기계 바인더로 대별된다. 실리카계 바인더와 유기계 바인더는,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배합할 수 있다. 실리카계 바인더는, n, p 각 층을 형성할 때, 도펀트 농도 균일성, 깊이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할로겐화실란, 알콕시실란 혹은 그 축합물이 사용된다.
할로겐화실란으로는, 테트라클로로실란, 테트라브로모실란, 디브로모디클로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에틸트리클로로실란, 디페닐디클로로실란, 디에틸디클로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알콕사이드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알콕시실란, 트리알콕시실란, 디오르가노디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알콕시실란으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iso-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sec-부톡시실란, 테트라-tert-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알콕시실란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프로폭시실란, 플루오로트리메톡시실란, 플루오로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n-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iso-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n-부톡시실란, 메틸트리-iso-부톡시실란, 메틸트리-tert-부톡시실란, 메틸트리페녹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n-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iso-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n-부톡시실란, 에틸트리-iso-부톡시실란, 에틸트리-tert-부톡시실란, 에틸트리페녹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n-프로폭시실란, n-프로필트리-iso-프로폭시실란, n-프로필트리-n-부톡시실란, n-프로필트리-iso-부톡시실란, n-프로필트리-tert-부톡시실란, n-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iso-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iso-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iso-프로필트리-n-프로폭시실란, iso-프로필트리-iso-프로폭시실란, iso-프로필트리-n-부톡시실란, iso-프로필트리-iso-부톡시실란, iso-프로필트리-tert-부톡시실란, iso-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부틸트리-n-프로폭시실란, n-부틸트리-iso-프로폭시실란, n-부틸트리-n-부톡시실란, n-부틸트리-iso-부톡시실란, n-부틸트리-tert-부톡시실란, n-부틸트리페녹시실란, sec-부틸트리메톡시실란, sec-부틸트리에톡시실란, sec-부틸트리-n-프로폭시실란, sec-부틸트리-iso-프로폭시실란, sec-부틸트리-n-부톡시실란, sec-부틸트리-iso-부톡시실란, sec-부틸트리-tert-부톡시실란, sec-부틸트리페녹시실란, t-부틸트리메톡시실란, t-부틸트리에톡시실란, t-부틸트리-n-프로폭시실란, t-부틸트리-iso-프로폭시실란, t-부틸트리-n-부톡시실란, t-부틸트리-iso-부톡시실란, t-부틸트리-tert-부톡시실란, t-부틸트리페녹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n-프로폭시실란, 페닐트리-iso-프로폭시실란, 페닐트리-n-부톡시실란, 페닐트리-iso-부톡시실란, 페닐트리-tert-부톡시실란, 페닐트리페녹시실란, 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메톡시실란, 펜타플루오로에틸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디오르가노디알콕시실란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n-프로폭시실란, 디메틸디-iso-프로폭시실란, 디메틸디-n-부톡시실란, 디메틸디-sec-부톡시실란, 디메틸디-tert-부톡시실란, 디메틸디페녹시실란, 디에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디에톡시실란, 디에틸디-n-프로폭시실란, 디에틸디-iso-프로폭시실란, 디에틸디-n-부톡시실란, 디에틸디-sec-부톡시실란, 디에틸디-tert-부톡시실란, 디에틸디페녹시실란, 디-n-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n-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n-프로필디-n-프로폭시실란, 디-n-프로필디-iso-프로폭시실란, 디-n-프로필디-n-부톡시실란, 디-n-프로필디-sec-부톡시실란, 디-n-프로필디-tert-부톡시실란, 디-n-프로필디페녹시실란, 디-iso-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iso-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iso-프로필디-n-프로폭시실란, 디-iso-프로필디-iso-프로폭시실란, 디-iso-프로필디-n-부톡시실란, 디-iso-프로필디-sec-부톡시실란, 디-iso-프로필디-tert-부톡시실란, 디-iso-프로필디페녹시실란, 디-n-부틸디메톡시실란, 디-n-부틸디에톡시실란, 디-n-부틸디-n-프로폭시실란, 디-n-부틸디-iso-프로폭시실란, 디-n-부틸디-n-부톡시실란, 디-n-부틸디-sec-부톡시실란, 디-n-부틸디-tert-부톡시실란, 디-n-부틸디페녹시실란, 디-sec-부틸디메톡시실란, 디-sec-부틸디에톡시실란, 디-sec-부틸디-n-프로폭시실란, 디-sec-부틸디-iso-프로폭시실란, 디-sec-부틸디-n-부톡시실란, 디-sec-부틸디-sec-부톡시실란, 디-sec-부틸디-tert-부톡시실란, 디-sec-부틸디페녹시실란, 디-tert-부틸디메톡시실란, 디-tert-부틸디에톡시실란, 디-tert-부틸디-n-프로폭시실란, 디-tert-부틸디-iso-프로폭시실란, 디-tert-부틸디-n-부톡시실란, 디-tert-부틸디-sec-부톡시실란, 디-tert-부틸디-tert-부톡시실란, 디-tert-부틸디페녹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n-프로폭시실란, 디페닐디-iso-프로폭시실란, 디페닐디-n-부톡시실란, 디페닐디-sec-부톡시실란, 디페닐디-tert-부톡시실란, 디페닐디페녹시실란, 비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톡시실란, 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스(트리메톡시실릴)메탄, 비스(트리에톡시실릴)메탄, 비스(트리-n-프로폭시실릴)메탄, 비스(트리-iso-프로폭시실릴)메탄, 비스(트리메톡시실릴)에탄, 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비스(트리-n-프로폭시실릴)에탄, 비스(트리-iso-프로폭시실릴)에탄,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판,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판, 비스(트리-n-프로폭시실릴)프로판, 비스(트리-iso-프로폭시실릴)프로판, 비스(트리메톡시실릴)벤젠, 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비스(트리-n-프로폭시실릴)벤젠, 비스(트리-iso-프로폭시실릴)벤젠 등의 비스실릴알칸, 비스실릴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 헥사메톡시디실란, 헥사에톡시디실란, 헥사-n-프로폭시디실란, 헥사-iso-프로폭시디실란 등의 헥사알콕시디실란류, 1,2-디메틸테트라메톡시디실란, 1,2-디메틸테트라에톡시디실란, 1,2-디메틸테트라프로폭시디실란 등의 디알킬테트라알콕시디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바인더는, 주로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하고, 도포 막두께를 제어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나아가서는, 상기 불순물 화합물, 실리카계 바인더의 안정성을 제어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유기계 바인더는, 적어도 그 일부에 친수성기를 가질 필요가 있고, 친수성기로는 예를 들어, -OH, -NH3, -COOH, -CHO, >CO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바인더는,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고분자량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류, 폴리비닐아미드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메타)아크릴산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류, 폴리술폰산,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 셀룰로오스에테르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전분 및 전분 유도체, 알긴산나트륨류, 잔탄, 구아 및 구아 유도체, 스크렐로글루칸, 트래거캔스 또는 덱스트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단, 바인더로서 단독으로 고분자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수성일 필요성은 특별히 없고, 아크릴산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부타디엔 수지, 스티렌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등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3) 용제로는, 도너가 되는 불순물로서 인 등의 제 15 족 원소를 갖는 화합물 또는, 억셉터가 되는 불순물로서 붕소 등의 제 13 족 원소의 단체 또는 그것을 갖는 화합물, 실리카계 바인더 및/또는, 유기계 바인더 성분을 용해 가능한 것이 필요하고,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알콕사이드 성분을 용해 가능한 유기 용매로는, 비프로톤성 용매 (2,5-디메틸포름아미드 (DMF),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 프로톤성 용매 (메탄올 및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비프로톤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iso-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iso-부틸케톤, 메틸-n-펜틸케톤, 메틸-n-헥실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디-iso-부틸케톤, 트리메틸노나논,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메틸시클로헥사논, 2,4-펜탄디온, 아세토닐아세톤,
Figure pct00001
-부티로락톤,
Figure pct00002
-발레로락톤 등의 케톤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메틸에틸에테르, 메틸-n-디-n-프로필에테르, 디-iso-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틸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n-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메틸모노-n-헥실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i-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i-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n-펜틸, 아세트산sec-펜틸,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아세트산메틸펜틸, 아세트산2-에틸부틸, 아세트산2-에틸헥실,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메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노닐,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아세트산글리콜, 아세트산메톡시트리글리콜,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n-부틸, 프로피온산i-아밀, 옥살산디에틸, 옥살산디-n-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n-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테르아세테이트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디논, N-에틸피롤리디논, N-프로필피롤리디논, N-부틸피롤리디논, N-헥실피롤리디논, N-시클로헥실피롤리디논,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프로톤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n-부탄올, i-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n-펜탄올, i-펜탄올, 2-메틸부탄올, sec-펜탄올, t-펜탄올, 3-메톡시부탄올, n-헥산올, 2-메틸펜탄올, sec-헥산올, 2-에틸부탄올, sec-헵탄올, n-옥탄올, 2-에틸헥산올, sec-옥탄올, n-노닐알코올, n-데칸올, sec-운데실알코올, 트리메틸노닐알코올, sec-테트라데실알코올, sec-헵타데실알코올, 페놀, 시클로헥산올, 메틸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헥실에테르, 에톡시트리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n-부틸, 락트산n-아밀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보관 안정성의 관점에서, 알코올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도포 불균일이나 크레이터링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4) 그 밖의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2) 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실리카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물 및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촉매로는, 실리카의 졸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이고, 이와 같은 촉매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산 촉매, 알칼리 촉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촉매로는, 예를 들어, 유기산 및 무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포름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말론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말산, 락트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부티르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살리실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p-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에탄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인산, 질산, 붕산, 황산, 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알칼리 촉매로는, 예를 들어, 무기 알칼리 및 유기 알칼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알칼리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루비듐, 수산화세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알칼리로는, 예를 들어, 피리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모노에탄올아민, 모노메틸디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로옥사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로옥사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히드로옥사이드,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펜틸아민, 헥실아민, 헵틸아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운데카실아민, 도데카실아민, 시클로펜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아민, N,N-디에틸아민, N,N-디프로필아민, N,N-디부틸아민, N,N-디펜틸아민, N,N-디헥실아민, N,N-디시클로펜틸아민, N,N-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시클로펜틸아민, 트리시클로헥실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에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n-프로폭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iso-프로폭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n-부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sec-부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tert-부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메톡시?모노(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에톡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n-프로폭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iso-프로폭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n-부톡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sec-부톡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디tert-부톡시?디(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메톡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에톡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n-프로폭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iso-프로폭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n-부톡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sec-부톡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모노tert-부톡시?트리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테트라키스(아세틸아세네이토)티탄, 트리메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에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n-프로폭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iso-프로폭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n-부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sec-부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트리-tert-부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메톡시?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에톡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n-프로폭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iso-프로폭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n-부톡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sec-부톡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디tert-부톡시?디(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메톡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에톡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n-프로폭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iso-프로폭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n-부톡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sec-부톡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모노tert-부톡시?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테트라키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티탄 등의 티탄을 갖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상기 티탄을 갖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의 티탄이 지르코늄, 알루미늄 등으로 치환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도 1 의 (3) 에서는, 상기 n, p 각 층 확산액을 도포한 반도체 기판을, 600 ? 1200 ℃ 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반도체층 중에 불순물을 확산시켜, n 형층 (12), p 형층 (14) 을 얻는다.
도 1 의 (4) 에서는, 종래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방지막 (16) 을 얻는다. 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에서는 SiH4 와 NH3 의 혼합 가스를 원료로 하는 플라스마 CVD 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수소가 결정 중에 확산되어, 실리콘 원자의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궤도, 즉 댕글링 본드와 수소가 결합하여, 결함을 불활성화 (수소 패시베이션)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 가스 유량비 NH3/SiH4 가 0.05 ? 1.0, 반응실의 압력이 0.1 ? 2 Torr, 성막시의 온도가 300 ? 550 ℃, 플라스마의 방전을 위한 주파수가 100 KHz 이상인 조건하에서 형성된다.
도 1 의 (5) 에서는, 표면 (수광면) 의 반사 방지막 (16) 상에, 표면 전극용 금속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법으로 인쇄 도포 건조시켜, 표면 전극 (외부 취출용 전극)(18) 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면측에서도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이면용 금속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 건조시켜, 이면 전극 (전극층)(20) 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면 전극측에 p 형층은 이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페이스트에 의해 n 형층을 p 형층으로 변환하는 공정은 불필요하고, 또한 p 형층 상에 형성하는 이면 전극으로서 제 13 족 원소의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이면 전극의 재질이나 형태에 대해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을 사용한 경우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면 전극으로서 재질면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은이나 구리 등의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고, 형태면에서는, 베타상으로 형성할 수도, 비베타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비베타상의 전극으로는,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이나, 망상 전극 등을 들 수 있고, 모두 다결정 실리콘 기판의 응력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면용 금속 페이스트를 전체면에 도포하는 경우, 소성 후의 막두께를 5 ㎛ 이하의 막두께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1 ? 5 ㎛ 의 막두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면용 금속 페이스트는, 막두께가 5 ㎛ 이하에서도 1 × 10-4 Ω/□ 이하의 충분히 낮은 시트 저항이 얻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저저항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 페이스트로는, (1) 금속 분말과 (2) 유리 프릿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3) 수지 바인더, (4)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함유하는 것이다.
(1) 금속 분말로는, 은 (Ag), 구리 (Cu), 금 (Au), 알루미늄 (Al) 혹은 그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 분말은, 플레이크상,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입경은, 0.001 ? 10.0 ㎛ 가 바람직하다.
(2) 유리 프릿은, SiO2, Bi2O3, PbO, B2O3, ZnO, V2O5, P2O5, Sb2O3, BaO, TeO2 등의 무기 산화물을 고온에서 용해시키고, 냉각시킨 것을 볼 밀 등으로 분쇄하여, 10 ㎛ 정도로 한 것을 사용한다. 이 때, 유리 프릿은, 금속 페이스트의 소성 온도 600 ? 900 ℃ 보다 낮은 온도의 연화점이 되도록 조정한다.
(3) 수지 바인더는, 열분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비닐피롤리돈류,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부티랄 수지류, 페놀 변성 알키드 수지, 피마자유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4) 그 밖의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소결 억제제, 소결 보조제, 농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점도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전극에 대해,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의 (A) 는, 이면 전극을, 버스바 전극, 및 그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 태양 전지셀의 이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 의 (B) 는, 도 2 의 (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구성의 이면 전극은, 버스바 전극 (30) 과 핑거 전극 (32) 으로 이루어지고, 도 2 에 나타내는 이면 전극에 있어서는, 2 개의 버스바 전극 (30) 에 대해, 다수의 핑거 전극 (32) 이 직교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면 전극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금속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 또는 전극 재료의 도금, 고진공 중에 있어서의 전자빔 가열에 의한 전극 재료의 증착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버스바 전극과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은 수광면측의 전극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주지이고, 수광면측의 버스바 전극 및 핑거 전극의 형성 수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확산액 (페이스트) 을 사용함으로써, 단결정 실리콘 기판, 다결정 실리콘 기판 모두, 선택 확산 기술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농도 확산을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전극의 근방만 인을 고농도로 하여 n 형층을 n++ 형층으로 하고, 반대측의 전극도 p 형층을 p++ 형층으로 하는 것이, 인쇄 및 소성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들의 선택 확산에 의해, 높은 시트 저항을 유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어, 고효율의 태양 전지셀이 얻어진다.
도 1 의 (6) 에서는, 전극을 소성하여 태양 전지셀로서 완성한 상태이다. 600 ? 900 ℃ 의 온도 범위에서 수 분간 소성하면, 표면측에서는 은 페이스트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재료에 의해 절연막인 반사 방지막이 용융, 또한 실리콘 표면도 일부 용융되고 있는 사이에 은 재료가 실리콘과 접촉부를 형성하여 응고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해진다. 본 현상에 의해 표은 (表銀) 전극과 실리콘의 도통이 확보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이면 전극층의 두께를 5 ㎛ 이하로 하기 위한 별도의 형태에 대해,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셀의 제조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의 제조 공정은, 이미 서술한 종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4), 알루미늄 페이스트에 의해 p 형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p 형층 형성용 확산액 (확산용 도포액) 을 사용하여 p 형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도 2 에 있어서, (1) ? (4) 의 공정은, 실질적으로 도 4 에 나타낸 종래의 공정과 동일하다. 그리고, (5) 의 공정에 있어서, 표면 (수광면) 의 반사 방지막 (16) 상에, 표면 전극용 금속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법으로 인쇄 도포 건조시켜, 표면 전극 (18) 을 형성한다.
이어서, n 형층 (22) 의 표면에 p 형층 형성용 확산액을 도포하고, 열확산 처리를 실시하여, n 형층을 p 형층으로 재변환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p 형층 형성용 확산액은,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p 형층으로 재변환된 확산 n 형층 (22) 의 표면에, 도 1 과 마찬가지로, 이면용 금속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 건조시켜, 이면 전극 (20) 을 형성한다. 이 때 특히 이면에서는, 도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체면에 도포하는 경우, 소성 후의 막두께가 5 ㎛ 를 초과하지 않는 막두께로 제어한다. 또, 이면용 금속 페이스트는,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옥시염화인을 사용하여 n 형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n 형층이 표면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이면에도 형성되는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이면에 형성된 n 형층을 p 형층으로 재변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페이스트에 의한 10 ? 20 ㎛ 정도의 두꺼운 이면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5 ㎛ 이하의 이면 전극으로 할 수 있고, 내부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0 … p 형 반도체 기판
12, 22 … n 형층
14 … p 형층
16 … 반사 방지막
18 … 표면 전극 (외부 취출용 전극)
20 … 이면 전극 (전극층)
30 … 버스바 전극
32 … 핑거 전극

Claims (6)

  1.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베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의 시트 저항이 1 × 10-4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3. pn 접합을 형성한 반도체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 방지막과, 외부 취출용 전극을 갖고, 비수광면측에 전극층을 갖는 태양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비(非)베타상의 전극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베타상의 전극층이, 버스바 전극, 및 상기 버스바 전극과 교차하고 있는 핑거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베타상의 전극층이, 망상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셀.
KR1020127011371A 2009-10-28 2010-10-21 태양 전지셀 KR20120059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7819 2009-10-28
JPJP-P-2009-247819 2009-10-28
PCT/JP2010/068564 WO2011052466A1 (ja) 2009-10-28 2010-10-21 太陽電池セ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644A true KR20120059644A (ko) 2012-06-08

Family

ID=4392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71A KR20120059644A (ko) 2009-10-28 2010-10-21 태양 전지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11076A1 (ko)
EP (1) EP2495771A1 (ko)
JP (1) JPWO2011052466A1 (ko)
KR (1) KR20120059644A (ko)
CN (1) CN102576751A (ko)
TW (1) TW201125138A (ko)
WO (1) WO2011052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9677B1 (ja) * 2012-03-14 2013-04-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KR101518500B1 (ko) 2012-12-21 2015-05-11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프릿,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557536B1 (ko) * 2012-12-21 2015-10-06 제일모직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802546B1 (ko) 2012-12-29 2017-11-30 제일모직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MY179365A (en) * 2015-02-25 2020-11-05 Toray Industries P-type impurity-diffusing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id compositio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olar cell
CN107342336B (zh) * 2017-06-28 2018-12-07 泉州泉一科技有限公司 一种均一型多晶硅绒面的制备方法
CN110610854A (zh) * 2018-06-15 2019-12-24 天津环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扩散磷源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513A (en) * 1978-10-19 1981-03-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4251327A (en) * 1980-01-14 1981-02-17 Motorola, Inc. Electroplating method
JPS59136926A (ja) 1983-01-25 1984-08-06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法
JPH0543489Y2 (ko) * 1987-07-28 1993-11-02
JPH09293889A (ja) * 1996-04-25 1997-11-11 Kyocera Corp 太陽電池素子
JP3749079B2 (ja) * 2000-04-10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5017A (ja) * 2004-11-04 2006-05-25 Sharp Corp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42191B2 (ja) 2007-03-29 2011-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1076A1 (en) 2012-08-23
CN102576751A (zh) 2012-07-11
JPWO2011052466A1 (ja) 2013-03-21
EP2495771A1 (en) 2012-09-05
TW201125138A (en) 2011-07-16
WO2011052466A1 (ja)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9644A (ko) 태양 전지셀
US20090214796A1 (en) Method for Forming Antireflection Film
JPWO2012096018A1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WO2012004996A1 (ja) 拡散剤組成物および不純物拡散層の形成方法
JP2011181901A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6447493B2 (ja) バリア層形成用組成物、バリア層付き半導体基板、太陽電池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5958485B2 (ja) n型拡散層形成組成物、n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7459511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WO2011052465A1 (ja) 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WO2011162394A1 (ja) 不純物拡散層形成組成物、n型拡散層形成組成物、n型拡散層の製造方法、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US20150303317A1 (en) Semiconductor substrate provided with passivation film and production method, and photovoltaic cell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3026579A (ja) 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5803080B2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形成組成物の製造方法、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5625538B2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2016046301A (ja) p型拡散層を有す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
JP2015153897A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5842432B2 (ja) 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2016027665A (ja) 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2014150261A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2015053401A (ja) p型拡散層を有す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
JP5691268B2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2017054918A (ja) n型拡散層形成用組成物、n型拡散層を有す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2017045930A (ja) n型拡散層形成用組成物、n型拡散層を有す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JP5626340B2 (ja) p型拡散層形成組成物、p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JP5691269B2 (ja) n型拡散層形成組成物、n型拡散層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