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58A -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58A
KR20120056458A KR1020100118011A KR20100118011A KR20120056458A KR 20120056458 A KR20120056458 A KR 20120056458A KR 1020100118011 A KR1020100118011 A KR 1020100118011A KR 20100118011 A KR20100118011 A KR 20100118011A KR 20120056458 A KR20120056458 A KR 2012005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duplex stainless
pickling
anneal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1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458A/ko
Publication of KR2012005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 C23G1/06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organic inhibitors
    • C23G1/065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organic inhibitors sulfur-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3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둔 공정 및 산세 공정을 통과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둔 공정과 상기 산세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산세 공정에서 회전수가 1000rpm 내지 1300rpm의 범위인 브러쉬에 의해 실시되는 적어도 1회의 연마 단계를 포함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제공되며, 연마 단계에서의 브러쉬 회전수 및 소둔 공정의 온도 범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Annealing and pickling method of duplex stainless steel and duplex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합금(니켈(Ni), 크롬(Cr)) 등 내식성 및 내열성 등이 강한 원소들을 첨가해서 부식에 강한 합금강이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은 그 성분조성에 따라 크게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및 듀플렉스계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좋으므로 불산 등을 이용한 기존의 산세 조건을 취하는 열간연속 소둔산세(HAP) 공정에 의한 산세성이 열위하므로 표면에 미산세가 발생하여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표면처리로 미산세를 저감할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둔 공정 및 산세 공정을 통과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둔 공정과 상기 산세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산세 공정에서 회전수가 1000rpm 내지 1300rpm의 범위인 브러쉬에 의해 실시되는 연마 단계에서 실시되는 적어도 1회의 연마 단계를 포함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연마 단계에서, 상기 브러쉬는 헤비 브러쉬(heavy brush)이거나 어브레이시브 브러쉬(abrasive brush)일 수 있다.
상기 소둔 공정은 1020℃ 내지 106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 0 초과~0.03, Si : 0 초과~0.02, Mn : 0 초과~2.0, P : 0 초과~0.03, S : 0 초과~0.02, Cr : 22.0 초과~23.0, Ni : 4.5 초과~6.5, Mo : 3.0 초과~3.5, N : 0.14 초과~0.2 및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세 공정은 적어도 1회의 산세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적어도 1회의 상기 산세정 단계는,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이 황산에 의해 또는 불산과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산에 의해 침지 또는 세정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둔 공정 및 상기 산세 공정 이후,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량%로, C : 0 초과~0.03, Si : 0 초과~0.02, Mn : 0 초과~2.0, P : 0 초과~0.03, S : 0 초과~0.02, Cr : 22.0 초과~23.0, Ni : 4.5 초과~6.5, Mo : 3.0 초과~3.5, N : 0.14 초과~0.2 및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소둔 공정과 산세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산세 공정에서 브러쉬에 의해 실시되는 적어도 1회의 연마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표면처리로 미산세를 저감할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품질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이었던 선상흠 발생 및 형상불량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소둔산세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의 층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소둔산세처리로 미산세를 저감할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에 관한 것으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공정 중에서 복수 단계의 기계적인 표면연마 공정을 통하여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갖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는 공정 조건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소둔산세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권취된 상태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10a)을 권취 해제하여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형성한다.
다음, 소둔로(20)에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소둔한다. 상기 소둔 공정은 1020℃ 내지 10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둔 공정의 온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소둔 공정에서의 온도가 1020℃ 미만의 값이면 개재물의 재고용이 안되어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의 내식성이 떨어지므로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소둔 공정에서의 온도가 1060℃ 초과의 값이면 폭수축이 발생하여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에 판파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속적인 소둔 공정을 위하여, 소둔 공정 이전에 용접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용접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스케일 브레이커(scale breaker)를 이용하여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의 표면에 붙어 있는 스케일(scale)을 제거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어서, 대략 0.1㎜ 내외의 미세한 입경을 가진 복수개의 샷 볼(shot ball)을 이용한 샷 블러스터(shot blaster)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의 표면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와 같은 샷 블러스터 공정을 통하여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의 표면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이미 발생된 균열을 더욱 확장시킨다. 이같이 발생된 균열 또는 확장된 균열로 이후의 산세 공정(30)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이동시켜 제1 연마 공정(31a)을 실시한다. 이후,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황산으로 침지 또는 세정하는 제1 산세정 공정(35a)을 실시한다. 이어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이동시켜 제2 연마 공정(31b)을 실시한 후,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산으로 침지 또는 세정하는 제2 산세정 공정(35b)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이동시켜 제3 연마 공정(31c)을 실시한 후,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을 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산으로 침지 또는 세정하는 제3 산세정 공정(35c)을 실시한다.
상기 제1 산세정 공정(35a) 내지 제3 산세정 공정(35a, 35b, 35c)에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은 황산과 같은 강산이나 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산에 의해 침지 또는 세정되나, 상기한 강산이나 혼합산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연마 공정 내지 제3 연마 공정(31a, 31b, 31c)에서, 브러쉬(33a, 33b, 33c)의 회전수는 1000rpm 내지 1300rpm의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33a, 33b, 33c)의 회전수가 1000rpm 미만의 값이면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 표면에 미산세가 발생하므로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브러쉬(33a, 33b, 33c)의 회전수가 1300rpm 초과의 값이면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a') 표면의 부동태층을 파괴하여 내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 공정 내지 제3 연마 공정(31a, 31b, 31c)에서, 브러쉬(33a, 33b, 33c)는 필요에 따라서 헤비 브러쉬(heavy brush)이거나 어브레이시브 브러쉬(abrasive brush)일 수 있다.
다음, 상술한 소둔 및 산세 공정(30)을 통과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을 스킨 패스 밀(skin pass mill)을 이용하여 압연한다. 상기 압연 공정에 따라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의 표면을 대략 수 % 정도 압연하면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면 품질이 향상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은 다시 권취되어 권취된 상태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10b)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대상 강종을 듀플렉스계인 329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은 중량%로, C : 0 초과~0.03, Si : 0 초과~0.02, Mn : 0 초과~2.0, P : 0 초과~0.03, S : 0 초과~0.02, Cr : 22.0 초과~23.0, Ni : 4.5 초과~6.5, Mo : 3.0 초과~3.5, N : 0.14 초과~0.2 및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라 소둔 공정의 온도 범위 및 제1 연마 공정 내지 제3 연마 공정(31a, 31b, 31c)의 브러쉬(33a, 33b, 33c)의 회전수 범위를 변경하여 소둔산세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의 표면 품질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을 참조하여 소둔 공정에서의 온도 조건을 살펴보면, 1,02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는 소둔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내식성이 떨어져 규격 재질을 만족하지 못하는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1,060℃ 초과의 온도 범위에서는 폭수축이 발생하여 판파단이 발생하는 등 공정 조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부에서는 비교예 1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인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미산세가 발생하였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참조하면, 1020℃ 내지 1060℃의 온도 범위에서 소둔 공정이 수행된 경우에는 소둔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져 내식성이 우수하고, 폭수축 또한 미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전체에서 실시예 1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 표면을 확대한 사진인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미산세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을 참조하여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연마 단계에서의 브러쉬의 회전수 조건을 살펴보면, 1,000RPM 미만의 범위에서는 비교예 1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 표면을 확대한 사진인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미산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1,300RPM 초과의 범위에서는 과도한 산세로 인하여 표면 부동태 피막층의 파괴로 인해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참조하면, 1,000RPM 내지 1,300RPM의 RPM 범위에서 연마 공정이 수행된 연마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져 실시예 1의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0b') 표면을 확대한 사진인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산세성이 좋고 내식성 등 표면 품질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인 표면연마방법을 이용한 표면처리로 미산세를 저감할 수 있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품질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이었던 선상흠 발생 및 형상불량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a :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10a' :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
20 : 소둔로 30 : 산세 공정
31a : 제1 연마 공정 31b : 제2 연마 공정
31c : 제3 연마 공정 33a,33b, 33c : 브러쉬
35a : 제1 산세정 공정 35b : 제2 산세정 공정
35c : 제3 산세정 공정 10b :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10b'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

Claims (8)

  1. 소둔 공정 및 산세 공정을 통과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둔 공정과 상기 산세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산세 공정에서 회전수가 1000rpm 내지 1300rpm의 범위인 브러쉬에 의해 실시되는 적어도 1회의 연마 단계를 포함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단계에서,
    상기 브러쉬는 헤비 브러쉬(heavy brush)이거나 어브레이시브 브러쉬(abrasive bru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 공정은 1020℃ 내지 106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 0 초과~0.03, Si : 0 초과~0.02, Mn : 0 초과~2.0, P : 0 초과~0.03, S : 0 초과~0.02, Cr : 22.0 초과~23.0, Ni : 4.5 초과~6.5, Mo : 3.0 초과~3.5, N : 0.14 초과~0.2 및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 공정은 적어도 1회의 산세정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상기 산세정 단계는,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이 황산에 의해 또는 불산과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산에 의해 침지 또는 세정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 공정 및 상기 산세 공정 이후,
    상기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8. 중량%로, C : 0 초과~0.03, Si : 0 초과~0.02, Mn : 0 초과~2.0, P : 0 초과~0.03, S : 0 초과~0.02, Cr : 22.0 초과~23.0, Ni : 4.5 초과~6.5, Mo : 3.0 초과~3.5, N : 0.14 초과~0.2 및 기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소둔 공정과 산세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산세 공정에서 브러쉬에 의해 실시되는 적어도 1회의 연마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00118011A 2010-11-25 2010-11-25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20120056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1A KR20120056458A (ko) 2010-11-25 2010-11-25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1A KR20120056458A (ko) 2010-11-25 2010-11-25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58A true KR20120056458A (ko) 2012-06-04

Family

ID=466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11A KR20120056458A (ko) 2010-11-25 2010-11-25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4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80B1 (ko) * 2012-11-16 2013-09-17 서울특별시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WO2016105094A1 (ko) * 2014-12-26 2016-06-30 (주)포스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6539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 품질 개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선 방법
CN115110084A (zh) * 2022-06-15 2022-09-27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冷轧带钢酸洗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80B1 (ko) * 2012-11-16 2013-09-17 서울특별시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WO2016105094A1 (ko) * 2014-12-26 2016-06-30 (주)포스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07109603A (zh) * 2014-12-26 2017-08-29 Posco公司 屈服强度和冲击韧性优异的超级双相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20210036539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 품질 개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선 방법
CN115110084A (zh) * 2022-06-15 2022-09-27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冷轧带钢酸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2690B2 (ja) 研磨後の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633594B2 (ja) 打ち抜き性および耐熱ひずみ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9015B2 (ja) Ni節約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ブおよび熱延鋼板
EP2692452A1 (en)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6158426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カバー部材および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WO2015053311A1 (ja) 線材、過共析ベイナイト鋼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026228B1 (ko)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용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냉연 강판
CN101573466A (zh) 具有优良的耐腐蚀性和优良的耐变色性的铁素体不锈钢
KR20170002551A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메탈 가스켓
JP2019112673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6458A (ko)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6006660B2 (ja) 耐酸化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排気系部材用省合金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184935B2 (ja) オイルテンパー線の製造方法、及びばね
JP6374399B2 (ja) Cvt用リング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0417B1 (ja) 刃物用鋼の製造方法
TWI472624B (zh) 低碳鋼材之製造方法
JP6108504B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6448529B2 (ja) コイリング性に優れた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91968B2 (ja) 条鋼の製造方法
JP6621650B2 (ja) 熱延プロセス用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27101A (ja) メカニカルデスケーリング性に優れた引張強度600MPa以上の高張力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74678B2 (ja) 鋼部材および鋼部材の製造方法
JP6024401B2 (ja) 表面品質に優れる厚鋼板の製造方法
JPWO2012133833A1 (ja) メタルマスク用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メタルマスク
KR101230081B1 (ko) 티타늄 판재의 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