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80B1 -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80B1
KR101309980B1 KR1020120130564A KR20120130564A KR101309980B1 KR 101309980 B1 KR101309980 B1 KR 101309980B1 KR 1020120130564 A KR1020120130564 A KR 1020120130564A KR 20120130564 A KR20120130564 A KR 20120130564A KR 101309980 B1 KR101309980 B1 KR 10130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welding part
corrosion resistance
duplex stainless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박영복
박인섭
안규문
차현기
장현정
박용상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2013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6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2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designed for particular work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접부 표면을 연삭하여 비드 요철부 및 산화 변색부를 제거하는 기계적 연삭 단계; 및 10~15중량% HNO3, 4~6중량% HF 및 잔부 물을 포함하는 혼산 용액에 상기 용접부를 침지하여 산세하는 산세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에 사용되는 혼산 용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를 후처리함으로써 용접부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CHEMICAL TREATMENT METHOD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HIGHLY-ALLOYED DUPLEX STAINLESS STEEL WELDS}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 표면성질을 개선시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화학적 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은 그 표면에 크롬이 농화되어 형성된 두께 10nm 이하의 얇은 산화피막이 존재하여 고유의 내식성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수도시설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현장 설치 및 연결 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TIG (Tungsten Inert Gas) 용접 또는 MIG(Metal Inert Gas) 용접의 용접부는 용접에 의한 가열변색과 비드 요철부, 스패터(Spatter) 등이 표면에 발생되어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 성질을 변화시켜 모재부 대비 열위한 내식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용접에 의한 오염부는 통상적으로는 기계적인 연삭 방법과 약한 산세조건 하에서의 산세에 의해 오염부 제거를 실시하여 내식성을 확보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 후처리 후에도 용접부 내식성은 모재부에 대비하여 상당히 열위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의 내식성은 표면의 조도와 화학적인 성질, 즉 표면의 크롬 농화 부동태 피막층의 건전성으로 결정된다. 용접부의 후처리를 위해 기계적인 연삭을 실시할 경우, 거친 숫돌을 이용하여 연삭한 후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연삭 데브리(Debris)가 존재할 경우 피팅(Pitting) 등과 같은 국부적인 부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질산과 불산을 이용하여 용접표면의 변색을 약하게 산세 제거할 경우, 표층의 산화물만 제거되며, 그 직하의 크롬고갈층과 같은 내식성 취약부는 그대로 잔존하게 되므로, 내식성이 오히려 열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테인리스 강을 제조하거나 또는 강관을 서로 연결할 때 용접공정을 도입하는 경우, 용접부에 대하여 후처리를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단순 기계적인 연삭 방법이나 약한 산세척 방법으로 후처리를 실시하여, 수도시설에서 사용되는 수도관 또는 강재 등과 같이 내식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사용중의 부식에 의한 누수 등과 같은 내식성 불량이 자주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의 내식성이 열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미세한 국부적인 부위의 잔류 변색과 스패터 등의 제거가 가능하고, 또한 화학적으로 안정한 산화피막을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표면에 형성시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등 용접부의 내식성을 모재부 수준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접부를 기계적 연마하여 비드 요철부 및 산화 변색부를 제거하는 기계적 연삭 단계; 및 10~15중량% 농도의 질산, 4~6중량% 농도의 불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산 용액에 상기 용접부를 침지하여 잔류 변색부를 제거하는 산세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세 단계는 산 용액 온도를 70-80℃의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침지는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연삭은 와이어 브러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산세 처리용 혼산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혼산 용액은 10~15중량% HNO3, 4~6중량% HF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를 연삭 또는 와이어 브러쉬(Wire Brush)에 의한 연마작업을 거쳐서 비드 요철부와 전반적인 산화 변색 등을 제거한 후, 질산과 불산이 혼합된 산 용액 내에 침적시켜서 잔류 변색부를 완전 제거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용접부를 후처리한 후에 얻어진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내식성 시험을 한 후의 용접부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의해 용접부를 후처리한 후에 얻어진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내식성 시험을 한 후의 용접부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 공정은 조관 공정 또는 강관 이음 시공 중에 실시하며, 연삭 기계 또는 산 세척 액이나 페이스트 등으로 작업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관 길이 방향의 용접부나 이음부의 원주방향 용접부에 대해 회전하는 타입의 연삭 또는 연마 휠을 이용해서 연삭작업을 실시한 후에 저농도의 질산 및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 용액으로 연삭부를 세척하는 방식으로 행해져 왔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을 TIG 용접 또는 MIG 용접을 수행하여 스테인리스 강을 현장에 설치하거나,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용접부에는 용접에 의한 가열변색과 비드 요철, 스패터(Spatter) 등이 강 표면에 발생되며, 이들은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 성질을 변화시켜 모재부 대비 열위한 내식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용접부 표면에 발생되는 가열변색, 비드 요철 또는 스패터 등의 제거는 먼저 기계적 연삭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연삭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연삭에 사용될 수 있는 연삭 휠로는 일반적인 숫돌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강 와이어 브러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강 와이어 브러쉬를 사용하여 연삭하는 경우, 연삭 중에 과도한 회전과 압력에 의한 열 발생을 최소화하여 연삭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연삭에 의한 이차 변색이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원주방향의 강관 이음부 용접부의 연삭은 수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연삭 휠의 크기를 잘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계적 연삭을 행한 후에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연삭 데브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팅 등과 같은 국부적인 부식을 유발할 수 있는바, 연삭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가공 후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층 산화물의 직하에 존재하는 크롬 고갈층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크롬 고갈층은 표층의 두꺼운 크롬 산화물 형성으로 표층 산화물 직하에 주로 형성되는데, 미 제거시에는 부식 발생의 원인으로 되므로, 상기 크롬 고갈층은 내식성 향상을 위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기계적 연삭을 수행한 용접부를 질산과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세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산 용액에 의한 산세 공정에 의해 거칠어진 표면을 매끄럽게 바꿀 수 있고, 가공 후 잔류 이물질들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표층의 크롬 고갈층을 화학적으로 용해할 수 있다. 상기 산세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침지, 분무, 도포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세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혼산 용액은 10~15중량% 농도의 질산(HNO3)과 4~6중량% 농도의 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산 용액이 질산을 10중량% 미만의 농도로 갖는 경우에는 부동태의 균일한 피막 형성이 어려워 열위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학반응 중의 NOx 발생으로 인한 유해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불산 농도가 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와 같은 고 크롬 합금의 산화물층이 잘 용해되지 않으며, 또 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스테인리스 기지 금속의 침식 발생이 우려되는바, 상기 범위의 질산 및 불산 농도를 갖는 혼산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연삭을 거친 용접부를 상기와 같은 혼산 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경우, 상기 혼산 용액의 온도를 70~80℃로 유지하여 산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세 처리시의 혼산 용액의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물 제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해 작업시에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혼산 용액에 의한 산세 처리 공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기계적 연삭을 거친 용접부를 상기 혼산 용액에 침지한 후 30 내지 6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산 용액에의 침지 시간이 30초 미만인 경우에는 표층의 직하에 존재하는 크롬 고갈층을 충분히 용해시킬 수 없으며, 6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재의 침식을 야기할 수 있는바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용접부를 기계적으로 연삭한 후에, 종래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혼산 용액을 사용하여 적절한 온도 범위에서 산세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 표면의 거친 조도를 개선할 수 있고, 또, 크롬 고갈층과 오염물이 화학적으로 제거되어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일 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을 TIG 용접한 용접부를 와이어 브러쉬를 사용하여 연삭하여 용접에 의해 강 표면에 발생한 가열변색과 비드 요철, 스패터 등을 제거하였다.
상기 연삭 공정을 거친 용접부를 질산 및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 용액에 침지하여 산세 처리하였다. 이때, 혼산 용액의 산 농도 및 혼산 용액의 온도 및 산세 처리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비교예 1은 종래의 혼산 용액을 사용한 산세 처리 조건을 나타내며,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산 용액을 사용한 산세 처리 조건을 나타낸다.
연마 조건 산 농도 온도/시간
비교예 1 와이어 브러싱 10중량% HNO3+3중량% HF 60℃/30sec
실시예 1 와이어 브러싱 15중량% HNO3+6중량% HF 80℃/30sec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라 용접부를 후처리하여 얻어진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을 정수장 내의 염소 결로수 환경에서 6개월간 방치하여 내식성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내식성 테스트에 따라 얻어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건으로 용접부를 후처리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를 촬영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후처리 방법을 적용한 경우 정수장과 같은 가혹한 부식환경에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표면에는 녹이 발생되지 않은 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조건으로 후처리한 용접부의 표면에는 녹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의 후처리 조건으로 산세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행하는 경우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기계적 연삭 후의 표면의 거친 조도와 용접 결함 및 크롬 고갈층이 적절히 제거되어,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 표면을 연삭하여 비드 요철부 및 산화 변색부를 제거하는 기계적 연삭 단계; 및
    10~15중량% HNO3, 4~6중량% HF 및 잔부 물을 포함하며, 70-80℃의 온도를 갖는 혼산 용액에 상기 용접부를 침지하여 산세하는 산세 단계를 포함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 단계는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삭은 와이어 브러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용접부의 후처리 방법.
  5. 삭제
KR1020120130564A 2012-11-16 2012-11-16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KR10130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64A KR101309980B1 (ko) 2012-11-16 2012-11-16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64A KR101309980B1 (ko) 2012-11-16 2012-11-16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980B1 true KR101309980B1 (ko) 2013-09-17

Family

ID=4945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64A KR101309980B1 (ko) 2012-11-16 2012-11-16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7073A (zh) * 2016-12-16 2017-05-31 安徽宝恒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不锈钢抗腐蚀性的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4052A (ja) 2000-08-07 2004-05-13 エイティーアイ・プロパティ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耐食性を改善する表面処理
KR20040086027A (ko) * 2003-03-28 2004-10-08 김병일 표면처리에 의한 티타늄소재의 가공성 향상
KR20090066866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개질방법
KR20120056458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4052A (ja) 2000-08-07 2004-05-13 エイティーアイ・プロパティ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耐食性を改善する表面処理
KR20040086027A (ko) * 2003-03-28 2004-10-08 김병일 표면처리에 의한 티타늄소재의 가공성 향상
KR20090066866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개질방법
KR20120056458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7073A (zh) * 2016-12-16 2017-05-31 安徽宝恒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不锈钢抗腐蚀性的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1702A1 (en) Process for cleaning and repassivating semiconductor equipment parts
KR20100038152A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 방법 및 반도체 웨이퍼
KR101309980B1 (ko) 내식성이 향상되는 수도시설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부 후처리방법
JP5072398B2 (ja) 金属製部材の溶接部の表面処理方法
JP2006328516A (ja) 表面処理方法
CN107378196A (zh) 一种不锈钢管道焊接工艺
JPH07197207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配管システム及び接流体部品
JP2016101592A (ja) アルミニウム系部材の溶接方法
JP4125406B2 (ja) フッ化不働態処理が施された溶接部材の溶接方法および再フッ化不働態処理方法ならびに溶接部品
Tuthill Stainless steel: surface cleanliness
JP6945562B2 (ja) 溶接により接合した鉄製部品の洗浄前処理の方法
JP4914107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KR101422776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 부식방지방법
KR102553114B1 (ko) 금속표면처리 및 피막형성 방법
CN117020759A (zh) 一种tig焊接对接钢管的环焊缝处理方法
JP4016073B2 (ja) 酸化アルミニウム不働態膜の形成方法及び溶接方法並びに接流体部材及び流体供給・排気システム
Grubb Influence of welding and post-weld cleaning on performance of duplex stainless steels
Tuthill et al. STAINLESS STEEL SURFACES PRIOR TO SANITARY SERVICE
CN101406875A (zh) 一种风塔塔体表面喷沙前准备工艺
JP7133427B2 (ja) 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H07185939A (ja) 合金鋼部材の電解研磨方法
JP5097331B2 (ja) 表面処理方法
JP5461810B2 (ja) 半導体ウェハの洗浄方法
El Shawesh et al. Role of surface finish and post-fabrication cleaning on localised corrosion of type 316L austenitic stainless steel flash chambers
CN104229060B (zh) 平台供应船低闪点液体舱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