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136A -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136A
KR20120056136A KR1020100117703A KR20100117703A KR20120056136A KR 20120056136 A KR20120056136 A KR 20120056136A KR 1020100117703 A KR1020100117703 A KR 1020100117703A KR 20100117703 A KR20100117703 A KR 20100117703A KR 20120056136 A KR20120056136 A KR 20120056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far
insulating material
he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377B1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102010011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3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42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효장치 내의 사방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된 가열부를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인한 유효균 활성화를 돕고, 발효과정에서의 잡균의 살균 및 식품의 효율적인 숙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식품 발효를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내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1가열부(110)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쉬망(550)이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2가열부(510)가 형성되는 하부커버(500)와; 상기 본체(10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부 상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3가열부(610)가 형성되는 덮개(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FERMENT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OF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효장치 내의 사방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된 가열부를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인한 유효균 활성화를 돕고, 발효과정에서의 잡균의 살균 및 식품의 효율적인 숙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을 발효숙성시켜 섭취하는 방법 및 기술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양파와 같은 식품을 발효숙성시켜 흑양파로 제조하는 기술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여기서, 발효숙성을 위한 양파에 대해 설명하자면,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풀로서, 땅속에 묻혀 자라는 거대한 비늘줄기를 식용한다.
비늘줄기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겉에 얇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자주빛이 도는 갈색 껍질이 있고 안쪽의 비늘은 두꺼우며 층층이 겹쳐지고 매운 맛이 난다. 잎은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짙은 녹색이며 꽃이 필 때 마르고 밑 부분이 두꺼운 비늘 조각으로 되어 있다.
품종은 비늘줄기가 둥근 모양과 납작하게 둥근 모양, 비늘줄기의 껍질이 붉은빛인 것과 노란 것, 그리고 흰 것 등으로 나뉜다. 또한 맛에 따라 단양파와 매운양파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식용하는 양파 품종은 노란양파, 붉은 양파, 흰양파, 작은양파의 4가지 품종이 주류를 이룬다.
수확은 주로 6?7월에 잎이 쓰러지고 약간 녹색을 지닐 때 하는데, 비늘줄기가 크기 전에 뽑아서 잎을 식용하는 것도 있다.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황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이다.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비늘줄기에는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 비늘줄기는 샐러드나 수프, 그리고 고기 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각종 요리에 향신료 등으로 이용된다. 잎은 100g 중에 비타민A 5,000IU, 비타민C 45mg, 칼슘 80mg, 마그네슘 24mg, 칼륨 220mg이 들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양파를 발효숙성시키는 제조방법은 다수 공개되어 있으나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발효장치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장치 내의 사방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된 가열부를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인한 유효균 활성화를 돕고, 발효과정에서의 잡균의 살균 및 식품의 효율적인 숙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체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내외측면에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되는 내부용기를 설치하여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식품이 균일하게 숙성되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로 발효숙성과정에 있는 식품의 수분이 모이도록 하고, 모여진 수분은 발효숙성과정에 있는 식품에 재차 수분조절용으로 이용되게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식품 발효를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내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1가열부(110)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쉬망(550)이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2가열부(510)가 형성되는 하부커버(500)와; 상기 본체(10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부 상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3가열부(610)가 형성되는 덮개(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장치내의 사방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된 가열부가 설치되어 있어 원적외선으로 인한 유효균 활성화를 돕고, 발효과정에서 잡균 살균 및 식품의 효율적인 숙성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되는 가열부를 갖는 내부용기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식품이 균일하게 숙성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에 모여진 식품의 수분이 재차 증발하여 발효숙성되는 식품에 수분조절을 하게 되므로 발효숙성과정에서 수분조절을 위한 별도의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단면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 분리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의 단면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는 식품 발효를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중공형 본체, 하부커버, 덮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 하부커버, 덮개는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재로 제조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녹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중공형으로 내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1가열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본체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마감재(120)와, 상기 제1마감재(120)로부터 제1보온재(130), 발열체(200a), 제2보온재(1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보온재(130)와 발열체(200a), 상기 제2보온재(140)와 발열체(200a)의 경계면에는 상기 발열체(200a)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a)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발열체(200a)의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올라 갈 경우,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콘트롤러(150)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400a)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발열체(200a)에서 발산되는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는 탄소발열체를 사용하고, 탄소발열체 또한 면상, 망사, 필름 중 어느 하나의 탄소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보온재(140)에는 상기 발열체(200a)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통공(30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500)는 상기 본체(100)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측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쉬망(550)이 설치되고, 내측면 측 내측 바닥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2가열부(5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500)의 내주연에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 하측에 형성된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500)의 하측면에는 롤러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다리(560)를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500)가 상기 본체(100)에 나사결합 한 경우 상기 메쉬망(550)은 상기 본체(100)의 하측단과 간섭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550)의 상측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내부용기(700)가 끼워지도록 돌기부(5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가열부(510)는 상기 하부커버(5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마감재(520)와, 상기 제2마감재(520)로부터 제3보온재(530), 발열체(200b), 제4보온재(5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보온재(530)와 발열체(200b), 상기 제4보온재(540)와 발열체(200b)의 경계면에는 상기 제3보온재(530)와 제4보온재(5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b)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b)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3보온재(530)와 제4보온재(5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b)의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콘트롤러(150)에서 상기 제3보온재(530)와 발열체(200b), 상기 제4보온재(540)와 발열체(200b)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00b)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의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발효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발효숙성시키는 경우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식품의 수분이 상기 하부커버(500)로 모이게 되고, 모여진 수분은 상기 하부커버(500)의 제2가열부(510)에 의해 재차 증발하여 발효숙성과정에 있는 식품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500)로 모이는 식품의 수분은 발효숙성과정에서 식품의 수분조절로써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600)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부 상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3가열부(6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600)는 상기 본체(100)에 연결체(65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덮개(600)의 상측면에는 핸들(67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가열부(610)는, 상기 덮개(600)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3마감재(620)와, 상기 제3마감재(620)로부터 제5보온재(630), 발열체(200c), 제6보온재(6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5보온재(630)와 발열체(200c), 상기 제6보온재(640)와 발열체(200c)의 경계면에는 상기 제5보온재(630)와 제6보온재(6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c)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c)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5보온재(630)와 제6보온재(6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c)의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콘트롤러(150)에서 상기 제5보온재(630)와 발열체(200c), 상기 제6보온재(640)와 발열체(200c)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00c)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의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3가열부(610)의 상기 제6보온재(640)에는 상기 발열체(200c)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통공(300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600)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을 차폐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덮어지고, 경우에 따라 상기 덮개(600)의 내측면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무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 덮개(600)를 결합하고, 상기 덮개(600)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6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잠금구(660)를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구(160)에 결합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700)는 중공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상기 메쉬망(550)의 상측에 형성되는 돌기부(555)에 끼워지되 내외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4가열부(71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기 제4가열부(7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외측면에 설치되는 제4마감재(720)와, 상기 제4마감재(720)로부터 제7보온재(730), 발열체(200d), 제8보온재(7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주면에 상기 제4마감재(720)부터 상기 제7보온재(730), 발열체(200d), 제8보온재(4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주면에 상기 제4마감재(720)부터 상기 제7보온재(730), 발열체(200d), 제8보온재(4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7보온재(730)와 발열체(200d), 상기 제8보온재(740)와 발열체(200d)의 경계면에는 상기 제7보온재(730)와 제8보온재(7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d)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d)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7보온재(730)와 제8보온재(7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200d)의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콘트롤러(150)에서 상기 제7보온재(730)와 발열체(200d), 상기 제8보온재(740)와 발열체(200d)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00d)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의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4가열부(710)의 상기 제8보온재(740)에는 상기 발열체(200d)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통공(300d)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용기(7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4가열부(710)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8보온재(740)에 미세통공(300d)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4가열부(710)에서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8보온재(740)에 미세통공(300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4가열부(710)의 발열체(200d)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용이하게 방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발효장치를 이용하여 발효시킬 식품을 선정한다.
생양파를 선정한 경우, 상기 덮개(600)를 열어 생양파를 본체(100)의 내측과 내부용기(700)사이에 가득 채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측에도 생양파를 가득 채운다.
그런 후,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 설치된 콘트롤러(150)를 작동시켜 생양파를 30~38일 숙성한다.
여기서, 숙성일 일자가 30일 미만이 되면 숙성시키는 식품의 발효 효과가 저하되고, 38일 이상이 되면 너무 숙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발효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발효하는 경우 30~38일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하부커버(500), 덮개(600), 내부용기(700)에 형성된 제1,2,3,4가열부(110,510,610,710)의 발열체 즉 탄소면상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온도는 25~90℃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탄소면상발열체의 발산 온도가 25℃ 미만이 되면 발효의 효과가 저하되고, 90℃을 초과하면 식품이 너무 숙성되어 쪄져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탄소면상발열체에서 발산하는 온도는 25~9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발효시킬 식품이 수용된 본 발명의 발효장치 내의 사방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된 가열부를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인한 유효균 활성화를 돕고, 잡균의 살균 및 식품의 효율적인 숙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내부용기가 없는 경우에, 본체의 중앙부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식품에서는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탄소면상발열체와의 이격거리로 인해 원활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중앙부 길이방향에 내부용기, 즉 내외측면에 탄소면상발열체가 형성되는 내부용기를 설치하여 이러한 이격거리를 좁혀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모든 생양파가 균일하게 숙성되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효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발효숙성시키는 경우 하부커버에 모여진 식품의 수분이 재차 증발하여 발효숙성되는 식품에 수분조절을 하게 되므로 발효숙성과정에서 수분조절을 위한 별도의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제1가열부 120: 제1마감재
130: 제1보온재 140: 제2보온재 150: 콘트롤러
160: 결합구
200a, 200b, 200c, 200d: 발열체
300a, 300c, 300d : 미세통공
400a, 400b, 400c, 400d: 온도감지센서
500: 하부커버 510: 제2가열부 520: 제2마감재
530: 제3보온재 540: 제4보온재 550: 메쉬망
555: 돌기부 560: 지지다리 600: 덮개
610: 제3가열부 620: 제3마감재 630: 제5보온재
640: 제6보온재 650: 연결체 660: 잠금구
670: 핸들 700: 내부용기 710: 제4가열부
720: 제4마감재 730: 제7보온재 740: 제8보온재

Claims (7)

  1. 식품 발효를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내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1가열부(110)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쉬망(550)이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2가열부(510)가 형성되는 하부커버(500)와;
    상기 본체(10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내부 상측면에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3가열부(610)가 형성되는 덮개(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550)의 상측에 형성되는 돌기부(555)에 끼워지되 내외측면에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4가열부(710)가 형성된 중공형 내부용기(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마감재(120)와, 상기 제1마감재(120)로부터 제1보온재(130), 발열체(200a), 제2보온재(1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510)는, 상기 하부커버(5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마감재(520)와, 상기 제2마감재(520)로부터 제3보온재(530), 발열체(200b), 제4보온재(5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열부(610)는, 상기 덮개(600)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3마감재(620)와, 상기 제3마감재(620)로부터 제5보온재(630), 발열체(200c), 제6보온재(6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가열부(710)는, 상기 내부용기(700)의 내외측면에 설치되는 제4마감재(720)와, 상기 제4마감재(720)로부터 제7보온재(730), 발열체(200d), 제8보온재(7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온재와 발열체가 접촉되는 경계면에는 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KR1020100117703A 2010-11-24 2010-11-24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KR10123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03A KR101235377B1 (ko) 2010-11-24 2010-11-24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03A KR101235377B1 (ko) 2010-11-24 2010-11-24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136A true KR20120056136A (ko) 2012-06-01
KR101235377B1 KR101235377B1 (ko) 2013-02-25

Family

ID=4660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703A KR101235377B1 (ko) 2010-11-24 2010-11-24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139A (zh) * 2017-12-29 2018-05-08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KR20190044421A (ko) * 2017-10-20 2019-04-30 이창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21Y1 (ko) 2001-09-18 2002-04-20 박무범 원적외선 맥반석 보온밥통
KR100566864B1 (ko) * 2003-01-22 2006-04-07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KR200359300Y1 (ko) 2004-06-03 2004-08-16 극동실업(주) 휴대용 보냉/보온병
KR20060027566A (ko) * 2004-09-23 2006-03-28 이민호 기능성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21A (ko) * 2017-10-20 2019-04-30 이창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CN108004139A (zh) * 2017-12-29 2018-05-08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CN108004139B (zh) * 2017-12-29 2023-08-29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377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Improving the taste profile of reduced-salt dry sausage by inoculating different lactic acid bacteria
KR101478547B1 (ko) 훈제 오리의 제조방법
CN102771816A (zh) 一种烧鸡制作方法
CN103535775B (zh) 一种鱼肉脯的加工方法
CN104026521A (zh) 一种竹筒发酵的泡菜及其制备方法
KR101235377B1 (ko)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CN104509883B (zh) 一种鸡蛋盐皮蛋的腌制剂及其腌制方法
KR101698882B1 (ko) 아로니아 오리훈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30346B1 (ko) 김치 발효 소시지 제조방법
CN109601964A (zh) 一种牛肉辣椒酱制备工艺
KR20100042332A (ko) 김치 분말을 이용한 고품질 혈액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3750403A (zh) 一种金枪鱼干的加工方法
KR101785365B1 (ko) 천연 염지액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육의 가공 방법
CN103478628A (zh) 一种柚皮加工食品
CN102845718A (zh) 金针菇酱及其制备方法
KR102039698B1 (ko) 첨가물이 주입된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9480186A (zh) 一种鱼肉面条的制作方法
KR101979691B1 (ko) 토마토 및 가지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05696A (zh) 一种胡萝卜鸡蛋干及其制作方法
JP2016149967A (ja) 容器入りの肉そぼろ風チル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RU2292183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34;суп из овощей&#34;
Vaghela et al. Process standardization for manufacture of Ready-to-Reconstitute Carrot Halwa mix
CN105212063B (zh) 一种素三鲜食品及其制作方法
KR20190049608A (ko) 알룰로스를 함유하는 육가공품의 보수력 증진제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7692061A (zh) 一种预包装方便菜肴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