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421A -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 Google Patents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421A
KR20190044421A KR1020170136844A KR20170136844A KR20190044421A KR 20190044421 A KR20190044421 A KR 20190044421A KR 1020170136844 A KR1020170136844 A KR 1020170136844A KR 20170136844 A KR20170136844 A KR 20170136844A KR 20190044421 A KR20190044421 A KR 2019004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discharge
powdered milk
temperature
he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275B1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7013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2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보온 젖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 모듈과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수납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수납 용기에 결합되며 인공 니플이 설치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NURSING BOTTLE HAVING FUNCION TO CONTROL TEMPERATURE}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수유에 이용되는 젖병에는 물과 분유의 혼합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유아가 분유를 쉽게 섭취하게 하기 위해서는 분유의 온도가 40도 내지 50도 정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유아들은 하루에도 수회 분유를 섭취하는데, 분유의 섭취할 때마다 물을 적당한 온도로 맞추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며, 물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유아가 분유의 섭취를 거부하거나 영양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외출 시에는 부모들은 항상 수유에 필요한 일정한 온도 이상의 물을 충분하게 휴대할 수 있는 별도의 보온병을 따로 준비하여 그때마다 조금씩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018호는 보온 기능을 갖는 젖병을 개시하고 있으나, 차량용 시거 잭을 이용하여 보온기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휴대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이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는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018호
본 발명은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유아용 보온 젖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 모듈과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수납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수납 용기에 결합되며 인공 니플이 설치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 용기에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는 분유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 센서는 유량 정보를 상기 온도 조절부로 전송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는 유량 정보를 바탕으로 분유 배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종료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배출된 분유의 양과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는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 모듈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가열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가열하며, 상기 젖병은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젖병이 가열 모듈과 배터리를 포함하므로 젖병 내부에 보관된 분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젖병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100)은 수납 용기(22), 가열 모듈(24), 온도 조절부(50), 배출부(31), 배터리(41), 전지 케이스(26), 및 덮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용기(2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납 용기(22)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과 분유를 수용한다. 수납 용기(22)에는 수납 용기(2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윈도우(23)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 용기(22)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수납 용기(22)의 내부에는 열의 누출을 감소할 수 있도록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는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용기(22)는 하단에 설치된 바닥판(221)을 포함하는데, 바닥판(221)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용기(22)의 아래에는 수납 용기(22)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모듈(24)이 연결 설치되며 가열 모듈(24)은 수납 용기(22)의 하면을 열을 전달한다. 수납 용기(22)의 상단에는 배출부(31)가 결합 설치된다.
배출부(31)에는 미세한 배출공이 형성된 인공 니플(35)이 설치되며 수납 용기(22)의 상단에 결합된다. 수납 용기(22)에 수용된 분유는 배출부(3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31)에는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커버(3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31)와 내부 커버(32)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용기(22)의 아래에는 가열 모듈(24)을 설치되는데, 가열 모듈(24)은 열선과 가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열선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서 가열판으로 전달하며 가열판은 수납 용기(22)의 하면과 맞닿아 수납 용기(22)를 가열한다. 가열 모듈(24)은 배터리(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4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수납 용기(22)와 가열 모듈(24) 사이에는 가열 모듈(24)을 수용하는 중간 수납부(25)가 설치되며 중간 수납부(25)는 가열 모듈(24)에서 발생된 열이 수납 용기(22)로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간 수납부(25)는 수납 용기(22)의 바닥판(221)에 열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중간 수납부(25)는 가열 모듈(24)을 보호하며, 중간 수납부(25)에는 가열 모듈(24)을 충격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잇다.
전지 케이스(26)는 가열 모듈(24)의 아래에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들(41)을 수납한다. 배터리들(41)은 원통형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 모듈(24)로 전류를 공급한다. 전지 케이스에는 배터리들(41)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들(46)이 형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26)의 상부에는 전지 커버(43)가 설치될 수 있다. 전지 커버(43)는 단열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단열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모듈(24)에서 발생된 열이 배터리들(4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지 케이스(26)의 하부에는 배터리들(41)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모듈(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로모듈(45)은 온도 조절부(50)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전지 커버(43)와 가열 모듈(24) 사이에는 전지 케이스(26)를 가열 모듈(24)에서 이격시키는 지지부재(28)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8)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열 모듈(24)에서 발생된 열이 전지 케이스(26)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지 커버(43)와 가열 모듈(24)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전지 커버(43)의 일측 외주면에는 온도 조절부(50)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50)는 수납 용기(22)에 연결 설치되되 가열 모듈(24)과 연결되어 수납 용기(22)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 조절부(50)는 복수의 입력 단자와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프레임(52)과 프레임(52)을 덮는 커버 시트(53)와 회로 소자들이 설치되며 프레임(52)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5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배터리 상태, 사용 가능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50)는 배터리(41)와 가열 모듈(24)에 연결 설치되어 배터리(41)에서 가열 모듈(24)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한편, 온도 센서는 수납 용기(22) 및 온도 조절부(50)와 연결 설치되며, 수납 용기(22)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온도 조절부(50)로 전송한다. 또한 온도 조절부(50)에는 충전을 위한 단자(56)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60)는 수납 용기(22)에 결합되어 배출부(31)와 내부 커버(32)를 덮도록 설치되며 덮개 하우징(61)과 덮개 하우징(6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6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60)는 배출부(31)를 보호하며 내부 커버(32)와의 사이에서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의 방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 가능한 마개(62)가 설치되므로 덮개부(60)를 수납 용기(22)에서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내부 커버(32)를 착탈할 수 잇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41)와 가열 모듈(24)이 설치되므로 젖병(100) 내에 수용된 분유를 가열하여 유아에 취식하기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41)를 내부에 수용하여 자체 전력으로 열이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젖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젖병(200)은 가열 모듈(240), 유량 센서(231), 온도 조절부(250), 및 알람 모듈(270)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젖병(200)은 내부 공간을 갖고 분유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납 용기(220), 수납 용기(220)의 상단에 결합되는 배출부(230), 배출부(230)를 덮도록 수납 용기(220)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부(260), 수납 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며 배터리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280), 배출부(230)에 설치된 유량 센서(231), 수납 용기(220)를 가열하는 가열 모듈(240), 가열 모듈(240)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250), 및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센서(231)는 배출부(230)에서 분유가 이동하는 관로 내에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량 센서(231)는 분유의 배출량을 측정하며, 온도 조절부(250)로 유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가열 모듈(240)은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수납 용기(220)를 가열하며, 제1 가열부재(241)와 제2 가열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부재(241)는 열선을 포함하며 제2 가열부재(242)는 펠티어 소자(Peltier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부재(241)는 수납 용기(220)의 하면과 맞닿아 하면으로 열을 전달하며, 제2 가열부재(242)는 수납 용기(220)의 외주면과 맞닿거나, 수납 용기(220)의 벽면 내에 삽입 설치되어 수납 용기를(220)에 열을 공급하거나 냉각시킨다. 제2 가열부재(242)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가열부재(242)에는 복수의 펠티어 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열부재(24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가열부재(242)는 수납 용기(22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열부재(242)는 수납 용기(220)에 열을 가하거나 수납 용기(220)로부터 열을 빼앗을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펠티어 소자는 한 면으로는 열을 흡수하고 다른 면으로는 열을 방출하는 소자인데, 펠티어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하면 열을 흡수하는 면과 방출하는 면이 전환된다. 제2 가열부재(242)는 수납 용기(220)를 가열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수납 용기(220)에 열을 공급하고, 분유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수납 용기(220)를 냉각한다. 본 제2 실시예와 같이 제2 가열부재(242)가 설치되면 분유를 보다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유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조절부(250)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252)와 유량 센서(23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분유의 배출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종료 판단 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250)는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열 모듈(24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부(250)는 보온 기능을 갖도록 수납 용기(2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종료 판단 모듈(253)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량이 0인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간이라 함은 1분 내지 10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부(250)는 분유 배출의 종료 시점부터 타이머(252)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가열 모듈(240)에 전류를 공급하여 수납 용기(220)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설정될 수 있는데, 유아의 나이에 따라 2시간 내지 6시간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와 같이 온도 조절부(250)가 기 설정된 기간 후에 미리 분유를 가열하면 보다 신속하게 따듯한 분유를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알람 모듈(270)은 온도 조절부(250)와 연결 설치되어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알람 신호는 진동, 소리, 음악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람 신호를 통해서 사용자는 분유를 먹일 시간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온도 조절부(25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251)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 모듈(251)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51)은 블루투스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라 함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모듈(251)은 유량 센서를 통해서 수집한 배출된 분유의 양, 분유가 배출된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모듈(251)에서 전송된 정보를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가 하루 또는 특정한 시간에 섭취한 분유의 양과 분유를 섭취한 주기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51)은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단말기(300)에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람 신호를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분유의 섭취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가 섭취한 분유의 양과 분유를 섭취한 시간, 분유를 섭취해야 하는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젖병(200)에서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젖병
22, 220: 수납 용기
23: 윈도우
24, 240: 가열 모듈
25: 중간 수납부
26: 전지 케이스
28: 지지부재
31, 230: 배출부
32: 내부 커버
35: 인공 니플
41: 배터리
46: 지지 리브
50, 250: 온도 조절부
60, 260: 덮개부
270: 알람 모듈
231: 유량 센서
241: 제1 가열부재
242: 제2 가열부재
251: 통신 모듈
252: 타이머
253: 종료 판단 모듈
300: 단말기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 모듈과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수납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수납 용기에 결합되며 인공 니플이 설치된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에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분유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 센서는 유량 정보를 상기 온도 조절부로 전송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는 유량 정보를 바탕으로 분유 배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종료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배출된 분유의 양과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시간을 전송하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는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열 모듈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가열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가열하며,
    상기 젖병은 분유의 배출이 종료된 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KR1020170136844A 2017-10-20 2017-10-20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KR10197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44A KR101976275B1 (ko) 2017-10-20 2017-10-20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44A KR101976275B1 (ko) 2017-10-20 2017-10-20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21A true KR20190044421A (ko) 2019-04-30
KR101976275B1 KR101976275B1 (ko) 2019-05-07

Family

ID=6628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44A KR101976275B1 (ko) 2017-10-20 2017-10-20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27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91U (ko) * 1998-09-23 2000-04-25 민병일 유아용 알루미늄 젖병의 용량 확인장치
KR20040087607A (ko) * 2003-04-08 2004-10-14 (학)창성학원 다기능 수유장치
JP2006340777A (ja) * 2005-06-07 2006-12-21 Takuya Shinkawa 人工乳首および授乳観測装置
KR20100088526A (ko) * 2009-12-28 2010-08-09 강성식 유아용 젖병
KR20100138247A (ko) * 2009-06-24 2010-12-31 강미선 분유디스펜서
KR20120056136A (ko) * 2010-11-24 2012-06-01 김남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KR20130077018A (ko) 2011-12-29 2013-07-09 최규혁 온도를 유지 시켜주는 젖병 보온기
KR20170071999A (ko) * 2015-12-16 2017-06-26 (주)레몬옐로우 스마트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91U (ko) * 1998-09-23 2000-04-25 민병일 유아용 알루미늄 젖병의 용량 확인장치
KR20040087607A (ko) * 2003-04-08 2004-10-14 (학)창성학원 다기능 수유장치
JP2006340777A (ja) * 2005-06-07 2006-12-21 Takuya Shinkawa 人工乳首および授乳観測装置
KR20100138247A (ko) * 2009-06-24 2010-12-31 강미선 분유디스펜서
KR20100088526A (ko) * 2009-12-28 2010-08-09 강성식 유아용 젖병
KR20120056136A (ko) * 2010-11-24 2012-06-01 김남호 발열체의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한 발효장치
KR20130077018A (ko) 2011-12-29 2013-07-09 최규혁 온도를 유지 시켜주는 젖병 보온기
KR20170071999A (ko) * 2015-12-16 2017-06-26 (주)레몬옐로우 스마트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275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054A1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capsule system
US6265844B1 (en) Battery pack with photo means for enabling integral circuitry
US20150335183A1 (en) Smart Container
EP3756486B1 (en) Electronic vaporizer device, electronic vaporizer device body, and operation method
US20070223895A1 (en) Baby feeding system
KR20140001625A (ko) 무선 초음파 가습기
US20180249863A1 (en) Food heating container
US20090198275A1 (en) Pacifier and pacifier system
CA2510031A1 (en) A heating device for a feeding bottle
EP3756485A2 (en) Electronic vaporizer and electronic vaporizer device
US2017032560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mug for liquids in mug or disposable cup placed in mug
KR101976275B1 (ko)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US11618493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tray
US20180310758A1 (en) Portable liquid heating apparatus
CN109691884A (zh) 可搭配应用程序使用的液体加热容器
JP2001021674A (ja) 付加電気装置を備える時計
KR20150034975A (ko) 전기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44707A1 (en) Smart bottle and its control method
CN106108553A (zh) 饮水管理装置和智能水杯
US20190208954A1 (en) Portable Device With a Temperature-Setting Element
EP4044837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components
US11793353B2 (en) Heating container
US11178512B2 (en) Portable vaporizer system and method
JP2023521040A (ja) 能動的温度制御を有する可搬式冷却器
KR20170107152A (ko) 보온 및 보냉을 위하여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아용 피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