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607A - 다기능 수유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607A
KR20040087607A KR1020030022053A KR20030022053A KR20040087607A KR 20040087607 A KR20040087607 A KR 20040087607A KR 1020030022053 A KR1020030022053 A KR 1020030022053A KR 20030022053 A KR20030022053 A KR 20030022053A KR 20040087607 A KR20040087607 A KR 20040087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heating
temperatu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강성돈
Original Assignee
(학)창성학원
(주)한국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창성학원, (주)한국프라임 filed Critical (학)창성학원
Priority to KR102003002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607A/ko
Publication of KR2004008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수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 가정 또는 산부인과나 산후조리원등에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분유 또는 모유를 원하는 시간과 온도에 맞게 수유하기 위하여 모유 또는 물을 담은 젖병을 세균의 번식이 없는 온도인 5℃내외의 냉장상태로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이를 가온하여 수유에 적당한 40℃내외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수유시의 불편함 및 시간낭비를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수유장치 { A Nursing Device having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
본 발명은 다기능 수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 가정 또는 산부인과나 산후조리원등에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분유 또는 모유를 원하는 시간과 온도에 맞게 수유하기 위하여 모유 또는 물을 담은 젖병을 세균의 번식이 없는 온도인 5℃내외의 냉장상태로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이를 가온하여 수유에 적당한 40℃내외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유시의 불편함 및 시간낭비를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아들은 출생직후에서부터 적어도 6개월 내지는 1년 이상을 모유 또는 분유를 섭취한 후에야 이유기를 거쳐 정상적인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수유시기에 산모는 물론 그 가족들 모두 유아의 수유에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지쳐버리게 마련이다.
특히, 모유가 아닌 분유를 매번 수유하는 경우에는 분유를 타서 먹이기까지의 과정에 물을 끓이고 여기에 분유를 탄 후 아기가 먹기 적당한 온도로 식혀주어야 했었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사용된 많은 도구들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처리를 해주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또, 모유를 미리 짜서 보관하였다가 유아에게 수유할 경우에는 짜낸 모유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였다가 이를 다시 적당한 온도가 될 수 있도록 가열해 주어야 했었으므로 전자레인지나 중탕에 의한 가열과정에서 모유에 함유된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으며, 분유 또한 이를 미리 물에 타서 냉장고에 넣어둔 후 상기한 모유에서와 같이 이를 재가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피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불편은 낮보다도 한밤중에 더욱 가중되었으며, 맞벌이를 하거나 하여 산모가 충분한 잠을 자야 하는 경우에는 남편이나 다른 가족도 유아의 수유에 동참하여야 했었으므로 온 가족 모두가 유아의 수유에 지치게 마련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젖병을 예열 보온하거나 분유를 데우기위한 편의장치들이 개발되어 일부 시중에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지기술들을 예를 들면, 실용신안공개 제99-34902호의 유아용젖병정온기, 실용신안등록 제186586호의 다기능성 유아용 젖병 정온기, 공개특허 제01-95768호, 공개특허 제02-69293호의 젖병 예열 보온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편의장치들은 유아에게 분유를 먹일 때 물을 보온병으로 보관하거나 소형 주전자 등으로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거나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할 때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아용 젖병을 히터에 의하여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개특허 제02-69293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공개특허 제02-69293호에 의한 젖병 예열 보온기의 외형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전도판이 내부에 설치된 가열기(10)와, 젖병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 및 보온시키는 가열통(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열기 (10)에는 수유 예정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이 경과하면 멜로디나 음악으로 이를 알려주기 위한 타이머 및 알람(17)이 구비되며, 가열기(10)에는 가열통(20)을 가열기 본체에서 분리할 때 가열기(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마그네틱 스위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위에서 예를 든 공개특허 제02-69293호의 젖병 예열 보온기를 비롯한 기존의 젖병 예열장치들은 이처럼 히터에 의한 예열 및 보온이 가능하도록 하고, 여기에 알람이나 타이머 등의 부수적인 편의장치를 구비한 것인바, 이를 사용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젖병 및 물을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므로 소독 및 살균과정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잔여 세균 등이 번식하여 분유 또는 모유의 변질을 가져오게 되고, 변질된 분유 또는 모유를 유아가 섭취하게 되는 것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에게 수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젖병 데움장치를 제공하되 젖병에 담긴 물 또는 분유나 모유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는 내측에 젖병이 적재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베이스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전소자의 냉각동작을 위하여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핀과, 상기 열교환핀에서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송출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가열부와; 상기 냉각/가열부의 베이스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부와; 상기 냉각/가열부의 가열 온도와 가열 예약시간이 포함된 동작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설정조건과 온도감지센서 및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온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냉각/가열부의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베이스에 적재된젖병이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설정상태와 냉각/가열부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가열부의 베이스에는 상부에 젖병이 적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센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적재감지센서부로부터 적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냉각/가열부를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설정된 온도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유장치에는 내측에 시럽이 적재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전소자의 냉각동작을 위하여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핀과, 상기 열교환핀에서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송출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럽보관냉각부가 더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젖병 예열 보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키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외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키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알람부
140 : 조명부 150 : 온도감지센서부
160 : 적재감지센서부 170 : 냉각/가열부
180 : 시럽보관냉각부 171, 181 : 베이스
172, 182 : 열전소자 173, 183 : 열교환핀
174, 184 : 팬 190 : 전원부
200 : 제어부 210 : 마이크로 컨트롤러
220 : 메모리 230 : 타이머
240 : 시간비교기 250 : 온도비교기
260 : 적재판단기 270 : 출력제어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수유장치의 키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외관 구성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유장치의 본체(100) 외측에는 수유장치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110)와, 상기 키입력부(110)에 의해 설정된 수유장치의 설정상태와 수유장치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의해 알람신호가 송출되는 알람부(13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수유장치 본체(100)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부(19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수유장치 본체(100)의 덮개 하측에는 내측으로 젖병을 적재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젖병 냉각/가열부(170)와, 유아용 약제인 시럽(Syrup)이 적재되어 냉장 보관되는 시럽보관냉각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유장치의 내측에는 수유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젖병이 안치되어 젖병에 담긴 물이 냉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수유에 적당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키기 위한 베이스(171)와, 이 베이스(171)의 저부에 상면이 밀착설치되는 열전소자(172)와, 이 열전소자(172)의 하면에 밀착설치되는 열교환핀(173)과, 이 열교환핀(173)의 방열을 위한 팬(174)으로 이루어진 냉각/가열부(170)와;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부(150)와;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젖병이 적재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적재감지센서부(160)와; 상기 키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유장치의 내측에는 냉각/가열부(170)의 측면에 시럽이 안치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냉장상태가 유지되는 베이스(181)와, 상기 베이스(181)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00)의제어에 의해 베이스(181)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182)와, 상기 열전소자(182)의 하면에서 열을 전달받는 열교환핀(183)과, 상기 열교환핀(183)의 하측에 구비되는 방열 팬(184)으로 이루어진 시럽보관냉각부(18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에는 야간에 수유장치의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의해 점소등 되는 조명부(140)가 더 구비된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수유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에는 키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알람부(130), 조명부(140), 제어부(200), 온도감지센서부(150), 적재감지센서부(160), 냉각/가열부(170), 시럽보관냉각부(180) 및 전원부(1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부(110)는 수유장치의 전체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키입력부(110)에는 전원부(19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 구성부에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11)와, 냉각/가열부(170)의 온도와 가열 동작 시간 및 가열 동작 반복 간격시간과 알람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설정스위치(112)와, 상기 메뉴설정스위치(112)의 설정을 확정·확인하는 확인스위치(113)와, 조명부(14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조명설정스위치(114)가 구비된다. 상기 메뉴설정스위치(112)는 반복선택에 따라 설정온도, 설정시간, 반복 간격 시간, 알람시간 등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가감스위치(112a)(112b)를 통하여 상기 메뉴설정스위치(112)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해당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메뉴설정스위치(112)와 가감스위치(112a)(112b)에 의해 선택된 설정상태는 확인스위치(113)에 의해 확정되어 제어부(200)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설정 스위치는 키패드의 버튼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 키입력부(110)에는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동작 및 냉각온도를 설정하는 설정 스위치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10)의 전원스위치(111) 및 메뉴설정스위치(112)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키입력부(110)를 통한 수유장치의 설정조건과 수유장치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 되는 출력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키입력부(110)의 메뉴설정스위치(112)를 통하여 설정된 수유장치의 동작 예정시간과 제어부(200)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시간표시기(121) 및 현재시간표시기(122)와, 냉각/가열부(170)의 설정 가열온도와 현재온도가 표시되는 설정온도표시기(123) 및 현재온도표시기(124)와, 냉각/가열부(170)의 동작 반복간격시간이 표시되는 동작반복간격시간표시기(12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0)의 전원스위치(111)에 의한 전원의 공급상태가 표시되는 전원표시기(126)와, 조명설정스위치(114)에 의해 설정된 조명설정상태가 표시되는 조명표시기(127)와, 메뉴설정스위치(112)에 의해 설정된 알람설정상태가 표시되는 알람표시기(128)와, 적재감지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되는 젖병의 적재상태가 표시되는 적재표시기(129)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통하여 구현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시럽보관냉각부(180)의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별도의 표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30)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수유장치의 설정조건이 만족되거나 수유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에 따른 알람신호를 소리로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알람부(130)는 부저나 스피커 등을 통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알람부(130)는 수유장치의 냉각/가열부(170)의 가열이 이루어져 젖병이 가열 완료되는 시점에 알람소리를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140)는 야간에 사용자가 수유장치를 조작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로서, 이 조명부(140)는 키입력부(110)의 조명설정스위치(113)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의 수유장치 터치에 의해 점등되어 키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냉각/가열부(170) 및 시럽보관냉각부(180)를 조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부(140)는 냉각/가열부(170)의 가열이 이루어져 젖병이 가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알람부(130)의 동작과 함께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부(150)는 냉각/가열부(170)의 열전소자(172) 상부에 위치된 베이스(171)에 구비되어 냉각/가열부(170)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며, 적재감지센서부(160)는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구비되어 젖병이 적재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냉각/가열부(1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냉각되거나 가열되어 베이스(171)에 적재되는 젖병을 냉장보관 및 가열시키게 되는데, 냉각/가열부(170)의 냉각동작은 열전소자(172)가 베이스(171)의 온도를 흡수하여 열교환핀(173)과팬(17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이루어져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을 냉장 보관하게 되며, 가열동작은 열전소자(172)가 베이스(171)에 고온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져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냉각/가열부(170)의 냉각 및 가열 온도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열전소자(172)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조절되며, 팬(174)은 냉각동작시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시럽보관냉각부(180)는 유우용 약제 등의 시럽을 냉장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냉장기능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열전소자(182)가 베이스(181)의 열을 전달받아 열교환핀(183)과 방열 팬(18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냉각동작은 냉각/가열부(170)의 냉각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냉각/가열부(170)의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럽보관냉각부(180)는 키입력부(110)의 전원스위치(111)의 턴온 동작에 의해 구동되고 턴오프 동작에 의해 정지되는데, 이는 별도의 스위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에 별도의 표시램프를 설치하여 구동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가 구비되어 상기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수유장치의 설정조건에 따라 냉각/가열부(170) 및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200)에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230)와,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가열 동작시간과 타이머(230)를 통하여 전송되는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시간비교기(240)와,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가열온도와 온도감지센서부(150)를 통하여 전송되는 냉각/가열부(170)의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기(250)와, 적재감지센서부(160)를 통하여 전송되는 적재신호를 판단하는 적재판단기(260)와, 상기 비교기 및 판단기의 동작을 처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냉각/가열부(170) 및 시럽보관냉각부(180)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기(270)가 구비된다. 상기출력제어기(270)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냉각/가열부(170)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냉각/가열부출력제어기(271)와,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시럽보관냉각부(18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시럽보관냉각부제어기(272)와, 키입력부(110)에 의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알람부(130) 및 조명부(14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알람/조명 출력제어기(27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는 메모리(220)가 구비되어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되는 수유장치의 동작 설정상태가 저장되는데,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00)는 키입력부(110)의 설정상태와 타이머(230)와 온도감지센서부(150) 및 적재감지센서부(160)의 신호를 파악하여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냉각/가열부(170)가 냉각 및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에는 자기진단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수유장치 및 제어부(200)의 동작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지를 감시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9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수유장치에 공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190)는 본 발명의 수유장치를 가정용 또는 여행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가정용 교류전원 또는 자동차용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S110, S111 :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키입력부(110)의 전원스위치(111)를 턴온하여 수유장치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S110). 상기 전원스위치(111)의 턴온에 따라 시럽보관냉각부(18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냉각동작이 이루어져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베이스(181) 내측에 보관된 시럽을 냉장 보관하게 되는데(단계 S111), 상기 시럽보관냉각부(180)의 냉각동작은 별도의 스위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120 : 사용자는 수유장치에 전원을 입력한 후, 키입력부(110)의 각종 설정스위치를 조작하여 수유장치의 동작을 설정한다. 상기 키입력부(110)의 통한 수유장치의 설정은 메뉴설정스위치(112)를 통한 가열온도·가열시간·가열반복간격시간·알람 설정, 조명설정스위치(114)를 통한 조명 설정 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설정스위치(114)를 통한 조명 설정은 냉각/가열기(170)의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의 가열이 완료되는 경우 점등되도록 설정되며, 알람설정 또한 젖병의 가열이 완료되는 경우 발생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키입력부(110)를 통한 수유장치의 설정상태는 제어부(200)의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단계 S130, S131 : 상기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수유장치의 동작설정이 완료되면 적재감지센서부(160)는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젖병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게 된다(S130). 만약, 적재감지센서부(160)를 통하여 젖병의 적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수유장치는 젖병이 적재될 때까지 냉각/가열부(170)를 상온온도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S131).
단계 S140 : 상기 단계(S130)에서 적재감지센서부(160)를 통하여 젖병의 적재가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먼저 냉각/가열부(170)에 전원을 공급하여 냉각/가열부(170)에 적재된 젖병을 냉각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냉각/가열부(170)에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의 냉각온도가 5℃내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열전소자(172)에 적정한 세기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냉각온도는 키입력부(110)에 의해 설정된 기본 온도로서, 이는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의 냉각/가열부(170)에 의한 젖병의 냉각은 베이스(171)에서 젖병이 이탈되는 경우 적재감지센서부(160)의 감지에 의해 중지되고, 이후 다시 젖병이 적재되는 경우 재개된다.
단계 S150 : 제어부(200)는 냉각/가열부(170)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단계(S120)에서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가열 동작시간 또는 가열 동작반복간격시간을 타이머(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현재시간과 비교하여 가열조건이 만족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검사한다.
단계 S160 : 만약,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가열 동작시간 또는 가열 동작반복간격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여 가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냉각/가열부(170)의 열전소자(172)에 공급되는 전원을 역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을 가열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의 온도가 40℃내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세기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가열온도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되는 기본 가열온도로서, 이는 키입력부(110)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170 :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가열부(170)에 적재된 젖병이 가열되어 가열온도가 키입력부(110)에 의해 설정된 일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젖병의 가열이 완료된다. 이러한 냉각/가열부(170)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200)에 의해 파악된다.
단계 S180 : 만약, 온도감지센서부(150)로부터 전송되는 냉각/가열부(170)의 온도가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가열온도를 유지하게 되면, 제어부(200)는 키입력부(110)의 알람부(130) 및 조명등(140)의 설정상태에 따라 가열완료를 알리는 알람 멜로디 또는 음향을 알람부(130)를 통하여 출력하고 조명등(140)을 점등하게 된다.
단계 S190, S200 :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젖병이 가열되면 사용자는 냉각/가열부(170)에 적재된 젖병을 꺼내어 유아에게 수유하게 되며(S190), 적재감지센서부(160)는 젖병의 이탈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하고 제어부(200)는 젖병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냉각/가열부(170)의 가열을 중지하고 냉각/가열부(170)의 온도를 상온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S200).
단계 S191, S192 : 만약, 상기 단계(S19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젖병이 이탈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냉각/가열부(170)의 온도를 가열온도로 일정 기준시간동안 유지하다가(S191),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도 젖병이 이탈되지 않으면 단계 S200에서 냉각/가열부(170)의 온도를 상온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S192).
단계 S210 : 젖병을 희망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유아에게 수유하는 사용자는 키입력부(110)의 전원스위치(111)를 턴오프하여 수유장치의 사용을 종료할 수 있는데, 만약 사용자가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새로운 젖병을 적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계 S120으로 돌아가 새로운 젖병의 냉각/가열조건을 설정하는 이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들과 병행하여 제어부(20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자기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수유장치 및 제어부(200)의 각 동작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냉각/가열부(170)에 하나의 젖병이 적재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냉각/가열부(170)에 여러 개의 젖병을 적재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례로 하루 밤사이 유아에게 수유되어야 하는 젖병의 개수는 보통 2~3개 정도가 필요한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유장치는 냉각/가열부(170)에 여러 개의 젖병이 각각 적재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각각 냉각/가열될 수 있도록 확장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냉각/가열부(170)와 시럽보관냉각부(180)는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단일구성으로 하여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젖병을 각각 냉각/가열시킬 수 있는 수유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수유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수유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가열부(170)에는 두개의 젖병을 각각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제1,2냉각/가열기(170a)(170b)가 구비되고, 온도감지센서부(150)에는 상기 제1,2냉각/가열기(170a)(170b)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1,2온도감지센서(150a)(150b)가 구비되며, 적재감지센서부(160)에는 제1,2냉각/가열기(170a)(170b)에 적재되는 젖병의 적재유무를 각각 감지하는 제1,2적재감지센서(160a)(160b)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부(150)와 적재감지센서부(160) 및 냉각/가열부(170)는 키입력부(110)의 설정상태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상기 수유장치의 냉각/가열부(170)의 제1,2냉각/가열기(170a)(170b)와 시럽보관냉각부(180)에서 베이스(171a)(171b)(181)와 열전소자(172a)(172b)(182)는 각각 구성하되, 열교환핀(173)과 방열 팬(174)을 공통으로 구성하여 이를 제어부(200)에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구성 및 제어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10)는 냉각/가열부(170)의 제1,2냉각/가열기(170a)(170b)의동작을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따른 제1,2냉각/가열기(170a(170b)의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가 각각 표시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젖병 적재가 가능한 수유장치는 젖병이 두개 적재되고 각각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수유장치와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분유 또는 모유가 담긴 젖병을 세균의 번식이 없는 냉장상태로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이를 가온하여 수유에 적당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유시의 불편함 및 시간낭비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유장치는 젖병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이를 알람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정확한 시기에 수유될 수 있도록하며,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야간에 수유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적재감지센서를 통하여 수유장치의 냉각/가열부에 젖병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냉각/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시럽보관냉각부를 통하여 유아용 시럽을 냉장 보관함으로써 시럽의 세균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젖병을 적재하여 적재된 젖병의 온도를 유아에게 수유하기 적합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수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유장치는 내측에 젖병이 적재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171)와, 상기 베이스(171)의 하부에 구비되어 베이스(171)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172)와, 상기 열전소자(172)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전소자(172)의 냉각동작을 위하여 열전소자(17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핀(173)과, 상기 열교환핀(173)에서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송출하는 팬(1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가열부(170)와;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부(150)와;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가열 온도와 가열 예약시간이 포함된 동작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11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조건과 온도감지센서(150) 및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23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온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냉각/가열부(170)의 열전소자(172)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베이스(171)에 적재된 젖병이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상태와 냉각/가열부(170)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열부(170)의 베이스(171)에는 상부에 젖병이 적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센서부(16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는 적재감지센서부(160)로부터 적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냉각/가열부(170)를 상기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온도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장치에는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알람부(13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점소등되는 조명부(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장치에는
    내측에 시럽이 적재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베이스(181)와, 상기 베이스(18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181)를 냉각시키는 열전소자(182)와, 상기 열전소자(182)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전소자(182)의 냉각동작을 위하여 열전소자(18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핀(183)과, 상기 열교환핀(183)에서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송출하는 팬(1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럽보관냉각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열부(170)와 시럽보관냉각부(180)의 열교환핀(173)(183)과 팬(174)(184)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일 열교환핀(174)과 팬(175)으로 이루어져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유장치.
KR1020030022053A 2003-04-08 2003-04-08 다기능 수유장치 KR20040087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53A KR20040087607A (ko) 2003-04-08 2003-04-08 다기능 수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53A KR20040087607A (ko) 2003-04-08 2003-04-08 다기능 수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607A true KR20040087607A (ko) 2004-10-14

Family

ID=3736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53A KR20040087607A (ko) 2003-04-08 2003-04-08 다기능 수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6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18B1 (ko) * 2005-03-29 2006-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KR20170071999A (ko) * 2015-12-16 2017-06-26 (주)레몬옐로우 스마트용기
KR20190044421A (ko) * 2017-10-20 2019-04-30 이창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CN113017422A (zh) * 2021-04-13 2021-06-25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医用全自动配方奶、母乳一体化备奶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18B1 (ko) * 2005-03-29 2006-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KR20170071999A (ko) * 2015-12-16 2017-06-26 (주)레몬옐로우 스마트용기
KR20190044421A (ko) * 2017-10-20 2019-04-30 이창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CN113017422A (zh) * 2021-04-13 2021-06-25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医用全自动配方奶、母乳一体化备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084A (en) Baby bottle caterer with separate refrigeration and heating units
US6571564B2 (en) Timed container warmer and cooler
US6872921B1 (en) Programmable slow-cooker appliance
US20060162341A1 (en) Comestible preparation apparatus
US8210099B2 (en) Baby formula maker
US5797445A (en) Refrigerated rethermalization cart
CA2387704C (en) Apparatus for delivering meal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particularly for use in hospitals
US2616269A (en) Thermocabinet
US10107547B1 (en) Combined thermoelectric cooler and bottle warmer and methods thereof
KR102153467B1 (ko) 의료용 냉온 보관시스템
KR20040087607A (ko) 다기능 수유장치
KR20190016850A (ko) 모유 살균 시스템
KR200361398Y1 (ko) 열전소자 구동 수유장치
US11793353B2 (en) Heating container
US20070000930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e storage including a warming-in-water compartment
CN202355202U (zh) 一种冲奶装置
KR200215693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유지장치
CN2732219Y (zh) 循环式人体医用降温装置
CN212181330U (zh) 温度可调温奶器
KR200183463Y1 (ko) 병류 냉온 장치
KR100611468B1 (ko)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CN216136363U (zh) 一种多功能奶瓶
GB2386938A (en) A heating station located on the outside of a refrigerator
CN213046575U (zh) 动作执行式温奶器
KR200181864Y1 (ko) 리보일(재가열)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