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68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68A
KR20120052168A KR20110117641A KR20110117641A KR20120052168A KR 20120052168 A KR20120052168 A KR 20120052168A KR 20110117641 A KR20110117641 A KR 20110117641A KR 20110117641 A KR20110117641 A KR 20110117641A KR 20120052168 A KR20120052168 A KR 2012005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nozzle
nozzle
track
angl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110B1 (ko
Inventor
마사유키 모치타
타케시 야마카와
노부타케 사쿠모토
준 카와마타
마야코 아다치
아이코 사토
요스케 이노우에
나나에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4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38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4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40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23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5707B2/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수납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된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신체를 세정하는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선행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254924호, 2010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선행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254925호, 2010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선행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254926호, 2011년 9월 28일에 출원된 선행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21234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 문헌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양식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물로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변좌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이나 세정 노즐을 구동하는 구동부 등은 예를 들면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 노즐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에 물을 분사할 때에는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각도 그대로 직선적으로 이동해서 케이싱으로부터 변기의 볼(bowl) 내에 진출한다. 또한, 세정 노즐은 일반적으로 변기의 볼 내에 진출할 때에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진출할 때의 각도와 같은 소정의 각도로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최근의 화장실 공간의 디자인 향상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가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가 있다(일본 공개 특허 제2006-249671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249671호 공보에 기재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 노즐은 실린더로부터 보아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실린더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보아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세정 노즐이 사용 상태인 진출 상태에 있을 경우와 수납 상태에 있을 경우에 관계없이 실린더는 베이스 부재 상에 존재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었다고 해도 실린더가 베이스 부재 상에서 회동하기 위한 공간, 특히 케이싱 상측의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세정 노즐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 베이스 부재에 대한 실린더 및 세정 노즐의 각도가 작게 억제되었다고 해도 세정 노즐이 진출할 때에는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지 않는 각도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수납시의 높이를 억제하고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과제가 남는다.
또한, 건조 노즐을 후퇴 위치에서 분출구가 있는 선단부가 하향으로 되는 경사 자세로 함과 아울러 건조 노즐을 경사 자세인채로 길이 방향으로 진출시켰을 때의 분출구의 위치보다 건조 노즐의 진출 위치에서의 분출구의 위치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노즐 구동 유닛이 제어되는 인체 건조 장치가 있다(일본 공개 특허 제2003-286738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3-286738호 공보에 기재된 인체 건조 장치에서는 건조 노즐이 진출함에 따라서 건조 노즐의 경사가 변경된다. 그러나, 구동부가 본체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축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노즐의 경사 각도가 변화되면 구동부로부터 건조 노즐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변화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하면 건조 노즐이 일정한 진출량으로 진출하지 않고 안정하게 진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건조 노즐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도 건조 노즐의 위치가 소망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2003-286738호 공보에 기재된 인체 건조 장치에서는 건조 노즐은 진출 위치보다 후퇴 위치에 있어서 기립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건조 노즐의 후퇴시의 높이를 억제하고 인체 건조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과제가 남는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토수구(spout)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수납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된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신체를 세정하는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예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은 노즐 모터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의 궤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진출 상태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진출 도중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제 1 발명은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수납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된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신체를 세정하는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은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진출 상태보다 작은 자세에서 세정 노즐을 수납시킬 수 있고, 세정 노즐이 각도를 천이시키면서 진출함으로써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회동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각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수납 상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각도 그대로 진출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각도이며,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의 접촉을 회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은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와의 접촉을 회피가능하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이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각도)인채로 진출한 경우에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정도까지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작은 자세로 세정 노즐을 수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한 경우에도 진출 상태의 세정 노즐이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곡선 궤도와,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진출 상태에 도달하는 직선 궤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의 직선 궤도는 세정 노즐의 선단부의 궤적에 있어서 최후의 부분에 상당한다. 즉, 세정 노즐의 선단부는 곡선 궤도의 뒤에 직선 궤도를 그린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정 노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동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도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수 범위가 변화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감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에 접근하여 진출하는 직선 궤도와,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상기 진출 상태에 도달하는 곡선 궤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선단부는 직선 궤도를 그린 후에 곡선 궤도를 그린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곡선 궤도를 그릴 때에 있어서, 세정 노즐의 후단부와 케이싱 사이의 거리는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직선 궤도를 그리기 전에 곡선 궤도를 그릴 경우와 비교하면 길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선단부는 보다 큰 곡선 궤도를 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새로운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은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선 궤도의 길이는 상기 곡선 궤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곡선 궤도보다 긴 직선 궤도에 있어서 세정 노즐과 사용자 둔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다 넓은 세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세정감을 안정시키면서 이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직선 궤도를 그린 후에 곡선 궤도를 그릴 경우에는 그 직선 궤도를 그림으로써 세정 노즐의 후단부와 케이싱 사이에 있어서 보다 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곡선 궤도를 그릴 때에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새로운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는 궤도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궤도 가이드에 의해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궤도는 궤도 가이드에 의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은 매회 대략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의 이동 및 위생 세정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직선 궤도의 상기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규제하는 각도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직선 궤도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각도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직선 궤도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세정 노즐의 이동마다 변화된다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위생 세정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세정 노즐을 소망하는 위치에 조정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세정 노즐의 궤도를 규제하는 궤도 홈을 갖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궤도 홈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갖고, 상기 감합부가 상기 궤도 홈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일정한 궤도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궤도 가이드에는 궤도 홈이 형성되고, 세정 노즐은 궤도 홈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갖는다. 그리고, 감합부는 궤도 홈에 감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궤도에 흔들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해서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의 이동 및 위생 세정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감합부는 세정 노즐의 후단부측에 설치되고, 궤도 가이드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궤도 가이드는 세정 노즐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부재나 구조에 따라 세정 노즐의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간이한 구조로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0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을 상기 세정 노즐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은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을 세정 노즐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한다. 그리고, 세정 노즐이 케이싱으로부터 진출한 진출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세정 노즐이 케이싱에 수납된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보다 크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은 필요없다. 이에 따라, 케이싱의 높이에 대해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최대의 높이까지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 앞측에 있어서 세정 노즐이 이동하는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변좌의 근방에 위치하는 케이싱의 전방부를 보다 낮게 하여 변좌를 따른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의 디자인성의 향상화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2 발명은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하는 회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회동축이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으로부터 본 회동축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세정 노즐로부터 본 회동축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의 이동에 따라 세정 노즐의 선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있어서 변화된다. 그리고, 회동축을 케이싱에 대해서 이동시키지 않고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3 발명은 제 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회동축이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 앞측에 있어서 세정 노즐이 이동하는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변좌의 근방에 위치하는 케이싱의 전방부를 보다 낮게 하여 변좌를 따른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의 디자인성의 향상화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4 발명은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하는 회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세정 노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회동축이 세정 노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 노즐로부터 본 회동축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회동축을 케이싱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케이싱의 구조를 보다 간략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5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수평 궤도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를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의 선단측이 하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할 경우에는 세정 노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나 공간이 케이싱의 전방부에 필요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케이싱의 전방부에 있어서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세정 노즐의 상단부는 수평면과 평행한 수평 궤도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를 그린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나 공간을 케이싱의 전방부에 있어서 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 노즐은 세정 노즐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해서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한다. 그 때문에, 변좌의 근방에 위치하는 케이싱의 전방부를 보다 낮게 하여 변좌를 따른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의 디자인성의 향상화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퇴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세정 노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해도 구동부의 위치는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화된다. 그 때문에, 구동부로부터 전달부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구동부의 회동 각도와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7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퇴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세정 노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압출량과 상기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하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되어도 구동부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으로 유지된다. 즉, 세정 노즐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는 구동부로부터 전달부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손실이 생길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은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일정한 구동력에 의해 진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선형」이란 구동부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가 1차식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18 발명은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하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되어도 구동부의 위치는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화된다. 그 때문에, 구동부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를 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9 발명은 제 17 또는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할 때에 그리는 곡선 궤도와, 상기 각도가 일정할 때에 그리는 직선 궤도를 갖고, 상기 선단부가 상기 곡선 궤도를 그릴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과 상기 구동부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곡선 궤도를 그릴 때에는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과 구동부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은 같다. 그 때문에, 구동부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를 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0 발명은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구동부는 세정 노즐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물 등의 액체가 세정 노즐에 부착된 경우에도 그 액체가 구동부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가 액체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1 발명은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하는 기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구동부는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하는 기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부와 기대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의 이동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구동부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를 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2 발명은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은 복수의 가동부를 갖는 다단식의 세정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축방향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3 발명은 제 2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의 세정 노즐은 상기 토수구가 형성된 노즐 헤드와, 상기 노즐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격납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를 갖고,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 내에 격납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변화되고, 그 후에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 안에서 밖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다단식의 세정 노즐이 보다 콤팩트화된 상태에서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세정 노즐이 천이하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변화된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변기 장치는 양식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변기」로 칭함)(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커버(300)를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커버(300)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앉은 것을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 등의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를 조작하면 세정 노즐(473)을 변기(800)의 볼(801) 내에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세정 노즐(473)이 볼(801) 내에 진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토수구(47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 노즐(473)은 그 선단부에 형성된 토수구(474)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할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온된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예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또한, 도 3은 노즐 모터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2(a)는 세정 노즐이 케이싱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며, 도 2(b)는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또한, 도 3은 세정 노즐(473)의 초기 위치(수납 상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세정 노즐(473) 자신의 진출량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47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475)와, 기대(475)에 지지된 세정 노즐(473)과, 세정 노즐(473)을 이동시키는 노즐 모터(구동부)(476)를 갖는다. 세정 노즐(473)은 노즐 헤드(471)와 실린더(472)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세정 노즐(473)은 2단식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식 즉 2개의 가동부를 갖는 세정 노즐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부가 3개 이상인 다단식의 세정 노즐, 및 가동부가 노즐 헤드만의 단단(single stage)식의 세정 노즐도 포함한다.
노즐 헤드(471)는 실린더(472)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실린더(472) 내에 격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헤드(471)는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기대(47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노즐 모터(476)는 기대(47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은 슬라이더(477)를 갖는다. 실린더(472)는 슬라이더(477)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477)는 기대(47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린더(472)는 슬라이더(477)와 함께 기대(47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은 케이싱(400) 및 기대(475)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케이싱(400)에는 세정 노즐(473)의 이동을 안내하는 궤도 가이드(450)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 노즐(473)은 궤도 가이드(450)에 의해 일정한 궤도를 그리고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된다. 이 때, 세정 노즐(473)은 예를 들면 변기(800)의 상면 등의 수평면(850)(도 5 참조)에 대한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각도(θ)(도 5 참조)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또는,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도 5 참조)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예를 들면 변기(800)의 상면 등의 수평면(850)(도 5 참조)에 대한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각도(θ)(도 5 참조)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리고, 도 4에 관해서 후술하지만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하고 그 후에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노즐 모터(476)가 케이싱(400)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노즐 모터(476)와 기대(475)의 상대적 위치가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의해 변화된다. 그렇게 하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할 때에 노즐 모터(476)로부터 노즐 헤드(471)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의해 흡수되어 변화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도 3에 도시한 곡선(503)과 같이 선형이 아니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없고,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도 세정 노즐(473)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할 때에는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도 3에 도시한 직선(504)과 같이 선형이 된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모터(476)는 기대(47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은 기대(47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대(47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한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변위한다. 그리고, 기대(475)와 노즐 모터(476)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따라서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즐 모터(476)로부터 노즐 헤드(471)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는 노즐 모터(476)로부터 노즐 헤드(471)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손실이 생길 일은 없다. 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 및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할 때에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도 3에 도시한 직선(501)과 같이 선형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선형」이란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가 1차식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대략 일정한 구동력에 의해 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을 소정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진출시키기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압출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의 궤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4?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470)을 우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7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을 따른 절단면, 즉 도 2에 도시한 절단면 A-A에 있어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노즐 유닛(47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노즐 모터(476)를 생략하고 있다.
케이싱(400)은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1)와 케이스 커버(402)를 갖는다.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은 케이스 플레이트(401)에 적절하게 탑재되고, 그 상방은 케이스 커버(402)에 의해 덮여져 있다.
노즐 헤드(471)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랙(478)(전달부)이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 랙(478)은 예를 들면 유연성을 갖는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랙(478)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기어(전달부)(481, 483)와 맞물리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랙(478)은 기대(475)에 설치된 제 1 케이블 가이드부(479)와, 케이싱(400)에 설치된 제 2 케이블 가이드부(411)를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모터(476)는 구동 출력을 적절하게 감속시켜서 기어(481, 483)에 출력 가능하다. 케이블 랙(478)은 기어(483)에 맞물리고, 기어(483)의 회동 구동력을 직선 방향의 구동력으로 변환해서 노즐 헤드(471)를 이동시킨다. 즉, 노즐 헤드(471)는 기어(481, 483) 및 케이블 랙(478)을 통해서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기대(47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궤도 가이드(450)에는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궤도를 규제하는 궤도 홈(45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477)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홈(451)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477b)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부(477b)는 궤도 홈(451)에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궤도 홈(451)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477)는 궤도 홈(451)과 대략 동일한 궤도를 그려 이동한다.
감합부(477b)는 예를 들면 회동 불능한 돌기부로서 슬라이더(477)에 부설되어 있어도 좋고, 슬라이더(47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감합부(477b)가 슬라이더(47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부분을 가질 경우에는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궤도 홈(451)을 회동하면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슬라이딩」이란 범위에는 접촉 상태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경우뿐만 아니라 접촉 상태에서 굴러 이동할 경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궤도 가이드(450)는 곡선 규제부(453)와 직선 규제부(각도 규제부)(455)를 갖는다. 곡선 규제부(453)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직선 규제부(455)는 곡선 규제부(453)와 접속된 측의 일단부가 곡선 규제부(453)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타단부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직선 규제부(455)는 곡선 규제부(453)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타단부가 곡선 규제부(453)와 접속된 측의 일단부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 규제부(455)에 록킹 기구를 갖게 하거나 각도 변경용 구동원을 설치해도 좋다.
우선,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를 시작하면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472)는 회동축(463)에 의해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통체(461)를 통과한다. 통체(46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472)의 각도에 따라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통체(461) 및 회동축(463)은 세정 노즐(473)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를 시작하면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에 안내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실린더(472)는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통체(461)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노즐 헤드(471)의 선단부](473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 때, 슬라이더(477)는 궤도 가이드(450)에 형성된 궤도 홈(451)과 대략 동일한 궤도를 그려 진출한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 궤도(495)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495)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는 케이스 커버(402)의 바로 아래를 이동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은 필요없다. 이에 따라, 케이스 커버(402)의 높이에 대해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473)의 최대의 높이까지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체(461)의 회동 중심에 위치하는 회동축(463)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 및 상단부[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곡선 궤도(491)의 길이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의 궤도(495)의 길이보다 짧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앞측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이 이동하는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변좌(200)의 근방에 위치하는 케이싱(400)의 전방부를 보다 낮게 하여, 변좌(200)를 따른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0)의 디자인성의 향상화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축(463)은 케이싱(400)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싱(400)으로부터 본 회동축(463)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세정 노즐(473)로부터 본 회동축(463)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473)의 이동에 따라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있어서 변화된다. 이와 같이, 회동축(463)을 케이싱(400)에 대해서 이동시키지 않고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회동축(463)은 케이싱(400)이 아니라 세정 노즐(473)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로부터 본 회동축(463)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는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이동을 안내 가능한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축(463)으로서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47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부분을 갖는 감합부(회동축)(477b)가 상당한다. 이 경우에도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 및 상단부(477a)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다. 이에 따라, 회동축(463)이 케이싱(400)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회동축(463)을 세정 노즐(473)에 설치함으로써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회동축(463)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소변이나 오물 등이 회동축(463)에 고착되어 회동축(463)의 동작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463)의 설치 형태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동축(463)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케이싱(400)과 세정 노즐(473)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회동축(463)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케이싱(400)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이 하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할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나 공간이 케이싱(400)의 전방부에 필요하다. 그렇게 하면, 케이싱(400)의 전방부에 있어서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가 대략 수평 궤도(495)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495)를 그림으로써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나 공간을 케이싱(400)의 전방부에 있어서 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변좌(200)의 근방에 위치하는 케이싱(400)의 전방부를 보다 낮게 하고, 변좌(200)를 따른 보다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0)의 디자인성의 향상화 및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통체(461)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규제부(455)의 경사 각도, 즉 슬라이더(477) 및 실린더(472)의 이동 방향과 통체(461)의 축방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대(475)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한다. 또한, 노즐 모터(476)는 기대(475)에 고정되고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과,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의 변화량은 동일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기대(475)와 노즐 모터(476)는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로부터 노즐 헤드(471)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는,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이 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모터(476)는 세정 노즐(473)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모터(47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진퇴에 연동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물 등의 액체가 세정 노즐에 부착된 경우에도 그 액체가 노즐 모터(476)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모터(476)가 액체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체(461)의 회동 중심에 위치하는 회동축(463)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변위량은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 및 상단부[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의 변위량보다 작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곡선 궤도(491)의 길이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의 궤도(495)의 길이보다 짧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앞측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이 이동하는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이 다단식의 세정 노즐일 경우에는 노즐 헤드(471)의 적어도 일부는 실린더(472) 내에 격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축(473c) 방향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세정 노즐(473)이 진출할 때에는 기대(475) 및 노즐 모터(476)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변위한다. 그 때문에, 기대(475)와 노즐 모터(476)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따라서는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노즐 헤드(471) 및 실린더(472)의 진출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즐 헤드(471)가 실린더(472) 내에 격납된 상태에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그 후에, 노즐 헤드(471)가 실린더(472) 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하고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 경우에는 다단식의 세정 노즐(473)이 보다 콤팩트화된 상태에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리면서 진출하는 동작과 노즐 헤드(471)가 실린더(472) 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이 병행되어서 행하여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진출 상태보다 작은 자세로 세정 노즐(473)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회동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궤도(493)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궤적에 있어서 최후의 부분에 상당한다. 즉,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의 뒤에 직선 궤도(493)를 그린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동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도 세정 노즐(473)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수 범위가 변화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감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리고, 그 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리고, 최후에 직선 궤도(493)를 그려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궤적에 있어서의 최후의 부분에 직선 궤도(493)가 상당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궤도(493)의 길이는 곡선 궤도(491)의 길이보다 길다. 그 때문에, 보다 넓은 세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세정감을 안정시키면서 이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선 궤도(493)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는 직선 규제부(455)의 경사 각도에 의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직선 궤도(493)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가 세정 노즐(473)의 이동마다 변화된다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위생 세정 장치(100)를 사용할 때마다 세정 노즐(473)을 소망하는 위치에 조정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의 사용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궤도는 궤도 가이드(450)에 의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은 매회 대략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궤도 가이드(450)에는 궤도 홈(451)이 형성되고, 감합부(477b)는 궤도 홈(451)에 감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궤도에 흔들림이 생기는 일을 억제하고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의 이동 및 위생 세정 장치(100)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감합부(477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궤도 가이드(450)는 케이싱(400) 내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궤도 가이드(450)는 세정 노즐(473)과 함께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부재나 구조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세정 노즐(473)의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간이한 구조로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모터(476)는 기대(475)에 고정되고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과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의 변화량은 동일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기대(475)와 노즐 모터(476)는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노즐 모터(476)로부터 노즐 헤드(471)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세정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대략 일정한 구동력에 의해 진출할 수 있다. 또는, 노즐 모터(476)의 회동 각도와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이 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477)는 궤도 가이드(450)에 형성된 궤도 홈(451)과 대략 동일한 궤도를 그려 진출한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 궤도(495)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곡선 궤도(495)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도 5?도 7 참조)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은 필요없다. 이에 따라, 케이스 커버(402)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9는 진출 상태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10은 진출 도중의 세정 노즐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 둔부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도 7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진출 상태보다 작은 자세로 세정 노즐(473)을 수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간섭한다. 바꿔 말하면,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는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의 자세(각도)인채로 진출한 경우에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각도이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47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 상태 및 진출 도중의 세정 노즐(473)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곡선 궤도(491)는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궤도이다. 한편,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직선 궤도(493)는 진출 상태로 도달하는 궤도이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간섭하는 정도까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작은 자세로 세정 노즐(473)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변좌(200)의 후방부의 선단부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곡선 궤도(491)로부터 직선 궤도(493)로 천이하고 있음으로써 세정 노즐(473)과 사용자의 둔부(600)의 간섭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과 사용자의 둔부(600)의 간섭을 회피하는 각도(θ)는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 변좌(200) 및 변기(800), 및 일반적인 수납 위치[예를 들면 둔부(600)와의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상대적 위치]에 설치된 세정 노즐(473)을 갖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약 30°?45°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한 경우에도 진출 상태 및 진출 도중의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할 때에 세정 노즐(473)이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다 넓은 세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세정감을 안정시키면서 이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노즐 유닛(470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노즐 모터(476)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473)은 가동부가 노즐 헤드만의 단단식의 세정 노즐이다. 세정 노즐(473)은 슬라이더(477)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는 도 2?도 7에 관해서 상술한 노즐 유닛(47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우선,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를 시작하면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세정 노즐(473)은 회동축(463)에 의해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통체(461)를 통과한다. 통체(46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세정 노즐(473)의 각도에 따라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를 시작하면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에 안내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세정 노즐(473)은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통체(461)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 때, 슬라이더(477)는 궤도 가이드(450)에 형성된 궤도 홈(451)과 대략 동일한 궤도를 그려 진출한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는 대략 수평 궤도(495)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495)를 그리면서 진출한다(도 4 참조). 바꿔 말하면,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는 케이스 커버(402)의 바로 아래를 이동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다단식이 아니라 단단식의 경우에도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B)을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은 필요없다. 이에 따라, 케이스 커버(402)의 높이에 대해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473)의 최대의 높이까지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효과에 대해서도 도 4?도 9에 관해서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어서,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통체(461)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규제부(455)의 경사 각도, 즉 슬라이더(477) 및 세정 노즐(473)의 이동 방향과 통체(461)의 축방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노즐(473)이 다단식이 아니라 단단식의 경우에도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진출 상태보다 작은 자세로 세정 노즐(473)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회동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효과에 대해서도 도 4?도 9에 관해서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노즐(473)이 다단식이 아니라 단단식의 경우에도 노즐 모터(476)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연동해서 변위한다. 그리고, 기대(475)와 노즐 모터(476)의 상대적 위치는 세정 노즐(473)의 진출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즐 모터(476)로부터 세정 노즐(473)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는 노즐 모터(476)로부터 세정 노즐(473)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손실이 생길 일은 없다. 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 및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할 때에 노즐 모터(476)의 압출량과 세정 노즐(473)의 진출량의 관계는 도 3에 도시한 직선(501)과 같이 각각 선형이 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대략 일정한 구동력에 의해 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을 안정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노즐(473)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에는 세정 노즐(473)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노즐 유닛(470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노즐 모터(476)를 생략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노즐 유닛(470b)의 구조는 도 2?도 10에 관해서 상술한 노즐 유닛(47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헤드(471) 및 실린더(472)의 진출 순서가 도 2?도 10에 관해서 상술한 노즐 유닛(470)에 있어서의 노즐 헤드(471) 및 실린더(472)의 진출 순서와는 다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슬라이더(477) 및 실린더(472)가 정지한 상태에서 노즐 헤드(471)가 실린더(472) 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하고 통체(461)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 때, 노즐 헤드(471)는 실린더(472)의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통체(461)의 내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예를 들면 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어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에는 도 4?도 7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예를 들면 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어서,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에는 도 4?도 7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체(461)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규제부(455)의 경사 각도, 즉 슬라이더(477) 및 실린더(472)의 이동 방향과 통체(461)의 축방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리고, 그 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리고, 최후에 직선 궤도(493)를 그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477) 및 실린더(472)가 정지한 상태에서 노즐 헤드가 실린더(472) 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할 때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직선 궤도(493)는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에 접근해 진출하는 궤도이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곡선 궤도(491)는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궤도이다. 또한,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할 때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직선 궤도(493)[최후의 직선 궤도(493)]는 진출 상태로 도달하는 궤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우선 노즐 헤드(471)가 진출한 후에 실린더(472)가 진출하기 때문에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동작이나,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동체 세정[노즐 헤드(471) 및 실린더(472)의 외주면 세정]이나, 토수구(474)의 세정 등을 고려하면 노즐 유닛(470b)의 구성 또는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궤적에 있어서의 최후의 부분에 직선 궤도(493)가 상당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도 세정 노즐(473)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감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세정 노즐(473)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13의 도시된 노즐 유닛(470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노즐 모터(476)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싱(400)에 설치된 궤도 가이드(450)에는 세정 노즐(473)의 궤도를 규제하는 궤도 홈(451a)이 형성되어 있다. 궤도 가이드(450a)는 곡선 규제부(453a)와 직선 규제부(각도 규제부)(455a)를 갖는다.
곡선 규제부(453a)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직선 규제부(455a)는 곡선 규제부(453a)와 접속된 측의 일단부가 곡선 규제부(453a)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타단부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직선 규제부(455a)는 곡선 규제부(453a)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타단부가 곡선 규제부(453a)와 접속된 측의 일단부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 규제부(455a)와 곡선 규제부(453a)의 배치 관계가 도 2?도 12에 관해서 상술한 직선 규제부(455)와 곡선 규제부(453)의 배치 관계와 다르다. 도 2?도 12에 관해서 상술한 궤도 홈(451)에서는 세정 노즐(473)이 진출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우선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하고 이어서 직선 규제부(455)를 슬라이딩한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473)이 진출할 때에는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우선 직선 규제부(455a)를 슬라이딩하고 이어서 곡선 규제부(453a)를 슬라이딩한다.
노즐 유닛(470c)의 그 밖의 구조는 도 2?도 10에 관해서 상술한 노즐 유닛(47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직선 규제부(455a)에 록킹 기구를 갖게 하거나 각도 변경용 구동원을 설치해도 좋다.
우선,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를 시작하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직선 규제부(455a)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통체(461)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규제부(455a)의 경사 각도, 즉 슬라이더(477) 및 실린더(472)의 이동 방향과 통체(461)의 축방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직선 규제부(455a)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예를 들면 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어서,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a)를 슬라이딩한다. 이 때, 실린더(472)는 회동축(463)에 의해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통체(461)를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체(46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472)의 각도에 따라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통체(461) 및 회동축(463)은 세정 노즐(473)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합부(477b)는 곡선 규제부(453a)에 안내되고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실린더(472)는 회동축(46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통체(461)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473)은 수납 상태보다 기립하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477)의 감합부(477b)가 곡선 규제부(453)를 슬라이딩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예를 들면 도 4 참조)를 그리면서 진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리고, 그 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직선 궤도(493)는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에 접근해 진출하는 궤도이다. 한편,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그리는 곡선 궤도(491)는 세정 노즐(473)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600)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진출 상태로 도달하는 궤도이다. 즉,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의 궤적에 있어서의 최후의 부분에 곡선 궤도(491)가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린 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린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릴 때에 있어서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 또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와 케이싱(400) 사이의 거리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직선 궤도(493)를 그리기 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릴 경우와 비교하면 길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보다 큰 곡선 궤도를 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473)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새로운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규제부(455a)의 길이는 곡선 규제부(453a)의 길이보다 길다. 그 때문에, 직선 궤도(493)의 길이는 곡선 궤도(491)의 길이보다 길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직선 궤도(493)를 그림으로써 세정 노즐(473)의 후단부 또는 슬라이더(477)의 상단부(477a)와 케이싱(400) 사이에 있어서 보다 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가 곡선 궤도(491)를 그릴 때에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더 낮게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새로운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세정 노즐(473)이 수납 상태로부터 진출 상태로 변화될 경우를 주로 해서 설명한다. 단, 세정 노즐(473)은 진출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될 때에도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즉,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이 진출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될 때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의 뒤에 곡선 궤도(491)를 그린다. 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직선 궤도(493)를 그리고, 그 후에 곡선 궤도(491)를 그리고, 최후에 직선 궤도(493)를 그린다. 또는, 세정 노즐(473)의 선단부(473a)는 곡선 궤도(491)를 그린 후에 직선 궤도(493)를 그린다. 즉,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작아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후퇴한다. 그리고, 세정 노즐(473)은 세정 노즐(473)의 축(473c)의 수평면(850)에 대한 각도(θ)가 진출 상태보다 작은 자세로 수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노즐 유닛(470)이나 궤도 가이드(45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등이나 세정 노즐(473)이나 노즐 모터(476)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473)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모터와 세정 노즐(473)을 진출시키는 모터로 나누어서 노즐 모터(476)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3)

  1.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수납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된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신체를 세정하는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각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수납 상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각도 그대로 진출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각도이며,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진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의 접촉을 회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곡선 궤도와,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진출 상태에 도달하는 직선 궤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에 접근하여 진출하는 직선 궤도와,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상기 진출 상태에 도달하는 곡선 궤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궤도의 길이는 상기 곡선 궤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는 궤도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궤도 가이드에 의해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직선 궤도의 상기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규제하는 각도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세정 노즐의 궤도를 규제하는 궤도 홈을 갖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궤도 홈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갖고, 상기 감합부가 상기 궤도 홈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일정한 궤도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궤도 가이드는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을 상기 세정 노즐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용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은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부가 이동하는 이동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하는 회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고 규제하는 회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세정 노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상기 세정 노즐이 천이할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수평 궤도 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궤도를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퇴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세정 노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퇴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세정 노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압출량과 상기 세정 노즐의 진출량의 관계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이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될 때에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그리는 궤도는,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할 때에 그리는 곡선 궤도와,
    상기 각도가 일정할 때에 그리는 직선 궤도를 갖고,
    상기 선단부가 상기 곡선 궤도를 그릴 때에는 상기 세정 노즐의 축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과 상기 구동부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량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세정 노즐의 이동에 연동하는 기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은 복수의 가동부를 갖는 다단식의 세정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의 세정 노즐은,
    상기 토수구가 형성된 노즐 헤드와,
    상기 노즐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격납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를 갖고,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 내에 격납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커지는 자세로 천이하면서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변화되고, 그 후에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린더 안으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진출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20110117641A 2010-11-15 2011-11-11 위생 세정 장치 KR101294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4926 2010-11-15
JP2010254926A JP5633803B2 (ja) 2010-11-15 2010-11-15 衛生洗浄装置
JP2010254925 2010-11-15
JPJP-P-2010-254925 2010-11-15
JPJP-P-2010-254924 2010-11-15
JP2010254924A JP4974065B2 (ja) 2010-11-15 2010-11-15 衛生洗浄装置
JP2011212348A JP5565707B2 (ja) 2010-11-15 2011-09-28 衛生洗浄装置
JPJP-P-2011-212348 201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68A true KR20120052168A (ko) 2012-05-23
KR101294110B1 KR101294110B1 (ko) 2013-08-07

Family

ID=459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7641A KR101294110B1 (ko) 2010-11-15 2011-11-11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96997B2 (ko)
KR (1) KR101294110B1 (ko)
CN (1) CN102465565B (ko)
DE (1) DE10201108626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1735B (zh) * 2009-11-17 2015-08-1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喷射构件组件
TWI540241B (zh) * 2013-06-21 2016-07-01 科勒諾維達股份有限公司 溫水潔身器
EP2896760B1 (de) * 2014-01-21 2016-11-30 Geberit International AG Dusch-WC mit bewegbarem Funktionsarm
EP3237697A2 (en) * 2014-12-26 2017-11-01 Eczacibasi Yapi Gereç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pparatus as a substitute for clean water channel
CN107178128A (zh) * 2016-03-11 2017-09-19 慈溪三和智能卫浴有限公司 一种温水便座喷水管组件
JP6443771B2 (ja) 2017-02-01 2018-12-26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N107574896B (zh) * 2017-09-16 2023-07-25 魏正才 一种智械马桶的机械喷头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408056B2 (ja) * 2021-06-14 2024-01-0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9932A (ja) 1983-04-26 1984-11-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S6429532A (en) 1987-07-22 1989-01-31 Toto Ltd Sanitary washer
JPH01138975U (ko) 1988-02-29 1989-09-22
JP3163982B2 (ja) 1996-07-05 2001-05-0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温水洗浄装置
JP4609748B2 (ja) 1999-01-25 2011-01-12 Toto株式会社 人体洗浄装置
AU3077500A (en) * 1999-01-25 2000-08-07 Toto Ltd. Human body washing device
JP3868837B2 (ja) 2002-03-28 2007-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人体乾燥装置
JP4984406B2 (ja) 2005-03-08 2012-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6283396A (ja) 2005-03-31 2006-10-19 Toto Ltd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WO2007114298A1 (ja) 2006-03-31 2007-10-11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837443B2 (ja) * 2006-05-31 2011-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234489B2 (ja) 2007-12-07 2013-07-1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7722A1 (en) 2012-05-17
DE102011086263B4 (de) 2024-10-02
KR101294110B1 (ko) 2013-08-07
CN102465565B (zh) 2014-03-12
US9096997B2 (en) 2015-08-04
CN102465565A (zh) 2012-05-23
DE102011086263A1 (de)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110B1 (ko) 위생 세정 장치
EP2503070B1 (en) Injection member assembly
JP5598637B1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565707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7211534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633803B2 (ja) 衛生洗浄装置
JP483173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TWI473928B (zh) Sanitary cleaning device
JP5246277B2 (ja) 衛生洗浄装置
JP5201224B2 (ja) 衛生洗浄装置
JP4974065B2 (ja) 衛生洗浄装置
JP5761658B2 (ja) 衛生洗浄装置
JP4836631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62630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732876B2 (ja) 衛生洗浄装置
CN215290464U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215290460U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215594281U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215290462U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113187049A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215290463U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113250288A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113187053A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CN113187052A (zh) 用于马桶的清洗装置及智能马桶
JP2012211467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