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590A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590A
KR20120051590A KR1020110117407A KR20110117407A KR20120051590A KR 20120051590 A KR20120051590 A KR 20120051590A KR 1020110117407 A KR1020110117407 A KR 1020110117407A KR 20110117407 A KR20110117407 A KR 20110117407A KR 20120051590 A KR20120051590 A KR 2012005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onomer
adhesive composition
meth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토 니와
토오루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과제)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a1), (a2) 및 (a3)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1)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a2) :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a3)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ADHESIVE TAPE OR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에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러 가지 용도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테이프 또는 시트」를, 단순히 「테이프」또는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활용되고 있다. 점착 시트의 대표예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분야에 있어서, 자원 절약이나 리사이클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 시트는, 자동차, 기계, 전화(電化) 제품, 건재(建材) 등의 분야에 있어서, 수율 향상, 공정에서의 리워크, 리사이클, 작업성 등의 점에서, 금속계 피(被)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과 이(易)박리성과의 양립이 특히 요구되고 있다.
아크릴계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로서, 기포와 중공(中空) 미소구(微小球) 형상체를 함유하고, 또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점탄성(viscoselastic) 조성물로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분자 중에 옥시C2 - 3알킬렌기 및 불소화 탄화 수소기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함유 점탄성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을 갖고 있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당해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는, 벗길 때에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혹은, 아크릴계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 단량체로 하고, 카복실기 함유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가 전체 단량체의 0.5?20중량%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가교제 0.5?20중량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1?5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당해 아크릴계 점착 시트는, 접합시의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아크릴계 점착 시트는,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과 이박리성과의 양립은 곤란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218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478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금속계 피착체에 대하여,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하기 (a1), (a2) 및 (a3)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갖고, 또한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때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용이하게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a1)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a2) :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a3)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
즉, 본 발명은, 하기 (a1), (a2) 및 (a3)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1)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a2) :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a3)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1)의 함유량이 50?80중량%이고, (a2)의 함유량이 5?40중량%이고, (a3)의 함유량이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2)가, 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3)이,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제3급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단환 또는 다환의 지환식 탄화 수소의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3)이,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 실질적으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금속계 피착체에 대하여,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갖고, 또한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때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용이하게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제작예 1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작예 1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작예 1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작예 1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a1), (a2) 및 (a3)을 적어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를 적어도 함유한다.
(a1)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a2) :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a3)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노머 혼합물」은 「모노머 성분만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원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란, 라디칼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의미한다.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비닐기, 비닐리덴기, 알릴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단관능」이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1개 갖는 것을 의미하고, 「다관능」이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것을 의미한다.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란, 「당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의미하고, 어느 모노머(「모노머 X」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만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여 형성되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수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예를 들면,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즉,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모노머 X 100중량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 20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한다. 이렇게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승온하여 10시간 반응시킨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33중량%의 호모폴리머 용액을 얻는다. 이어서, 이 호모폴리머 용액을 박리 라이너 상에 유연(流延) 도포하고 건조시켜 두께 약 2㎜의 시험 샘플(시트 형상의 호모폴리머)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시험 샘플을 알루미늄제의 오픈 셀에 약 1?2㎎ 칭량하고, 온도 변조 DSC(상품명 「Q-2000」, 티?에이?인스트루먼트사 제작)를 이용하여, 50㎖/분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승온 속도 5℃/분으로, 호모폴리머의 Reversing Heat Flow(비교 성분) 거동을 얻는다. JIS-K-7121을 참고로 하여, 얻어진 Reversing Heat Flow의 저온측의 베이스 라인과 고온측의 베이스 라인을 연장한 직선으로부터 종축 방향으로 등거리에 있는 직선과, 유리 전이의 계단 형상 변화 부분의 곡선이 교차하는 점의 온도를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로 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필수의 함유 성분으로, 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33중량% 이상(예를 들면 33?91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예를 들면 40?87중량%)이다.
(a1)은,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이다. 또한, (a1)은, 분자 내에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이다. (a1)은 소위 단관능 모노머이다.
(a1)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표 1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은,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Figure pat00001
그 중에서도, (a1)은,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4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이다.
구체적으로는, (a1)은, n-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이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1)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된 모노머 성분이기 때문에, 50?8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75%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이다. (a1)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온(23±2℃)이나 저온도(예를 들면, -40?-10℃)의 환경하에서의 초기의 접합성(초기 접착력) 등의 접착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80중량%를 초과하면, (a2) 및 (a3)의 부족에 의해, 점착력, 내반발성, 응집성 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a2)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이다. (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1개 갖는 점에서, 단관능 모노머이다. (a2)는 (a1)의 공중합성 성분이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2)는,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a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N-비닐환상 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N-비닐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식 (1) 중,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또한, 식 (1)에 있어서, R1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탄화 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5의 알킬렌기 등이다.
상기 N-비닐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2-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딘-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N-비닐피리딘,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N-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 등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N,N-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딘 등의 N-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환상 (메타)아크릴아미드도 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 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당해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3
(식 (2) 중,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포화 탄화 수소기를 나타냄).
또한, 식 (2)에 있어서, R3은, 직쇄상의 쇄상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분기쇄상의 쇄상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1-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1-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부틸-N-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N-비닐환상 아미드 및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류 이외의 (a2)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골격을 갖는 모노머;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a2)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접착 신뢰성과 유연성과의 밸런스가 잡히기 쉬운 점에서, N-비닐-2-피롤리돈이나 N-비닐-2-카프로락탐;
탄소수가 1?4(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N-알킬기를 1개 또는 2개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예를 들면,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a2)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이 바람직하고,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2)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4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35중량%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이다.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이나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가공성이 나빠지는, 점착 신뢰성이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40중량%를 초과하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이나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유연성이 저하되는, 터크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연성의 저하는,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a3)은,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이다. (a3)에는, 상기 (a2)는 포함되지 않는다. (a3)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1개 갖는 점에서, 단관능 모노머이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3)은,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3)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표 2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3)은,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Figure pat00004
그 중에서도, (a3)은,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가 보다 바람직하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이다.
또한, (a3)은, 분자 내에 피착체와의 사이에서 상호 작용을 발생시키는 구조(예를 들면 산성기 등)를 갖지 않는 점이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탄성이나 유연성을 조정하는 점에서,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제3급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나,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단환 또는 다환의 지환식 탄화 수소의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a3)은,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아크릴레이트가, 중합성의 점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가, 고(高) 유리 전이 온도(Tg)이고,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3)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4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중량%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이나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40중량%를 초과하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이나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유연성이 저하되는, 터크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연성의 저하는,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에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a1), (a2) 및 (a3)과 함께, 공중합성 모노머(a4)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a4)에는, 상기 (a1), 상기 (a2), 상기 (a3) 및 후술하는 다관능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다. (a4)는,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관능 모노머이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4)는,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의 (a4)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접합시의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 및, 피착체로부터 박리시의 박리?해체성을 함께 높은 레벨로 발휘할 수 있는 점착제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서는,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1)의 함유량이 50?80중량%이고, (a2)의 함유량이 5?40중량%이고, (a3)의 함유량이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의 모노머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되어 있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은, 그의 중합률에 의해, 점성을 갖는 시럽 형상인 경우가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의 일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면,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은, 산소와의 접촉을 피해 활성 에너지선(특히 자외선)을 모노머 혼합물에 조사(照射)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취급이나 도공(塗工)에 적합한 점도로 하는 점에서, 2?4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이다.
상기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부분 중합물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시료로 한다. 당해 시료를 정칭하고 그의 중량을 구하여,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으로 한다. 다음으로, 시료를 130℃에서 2시간 건조하고, 건조 후의 시료를 정칭하고 그의 중량을 구하여, 「건조 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 으로 한다. 그리고,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 및 「건조 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으로부터, 130℃에서 2시간의 건조에 의해 감소한 시료의 중량을 구하여, 「중량 감소량」(발휘분, 미반응 모노머 중량)으로 한다.
얻어진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 및 「중량 감소량」으로부터, 하기식에 의해,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중량%)을 구한다.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중량%)=[1-(중합 감소량)/(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100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에 더하여, 열발포성 미립자를 적어도 함유한다. 열발포성 미립자는, 열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미립자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열발포성 미립자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는 열발포성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는 열발포성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부탄, 프로판, 펜탄 등의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스화되어 팽창하는 물질을, 탄성을 갖는 껍질 내에 내포시킨 미소구(「열팽창성 미소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들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의 껍질은, 열가소성 물질, 열용융성 물질, 열팽창에 의해 파열되는 물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팽창성 미소구의 껍질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 비닐리덴,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는, 관용의 방법, 예를 들면, 코아세르베이션법, 계면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는, 시판품이 이용되어도 좋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의 시판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품명 「마츠모토마이크로스피어(MATSUMOTO MICROSPHERE) F-30」,「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 F-50」,「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 F-80S」,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 F-85」(마츠모토유시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익스팬슬(EXPANCEL) Du 시리즈」(익스팬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품명 「익스팬슬 051Du40」(익스팬슬사 제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산성이나 박층 형성성 등의 점에서, 1?8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이다.
또한,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가열 처리에 의한 접착력의 저하를 효율 좋게 발생시키는 점에서, 체적 팽창률이 5배 이상, 특히 10배 이상이 될 때까지 파열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낮은 체적 팽창률로 파열되는 열발포성 미립자(예를 들면, 5배 미만의 체적 팽창률로 파열되는 열발포성 미립자 등)나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열팽창제(열발포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가열 처리를 행해도, 점착 시트와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어, 양호한 박리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체적 팽창률은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체적 팽창률=(가열 후의 열팽창성 미소구의 체적)/(가열 전의 열팽창성 미소구의 체적)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그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25중량부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100중량부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80중량부이다. 열팽창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가열 처리에 의한 점착제층과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의 감소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20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및,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 외에,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당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발포성 미립자가 혼합된 형태로 당해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열발포성 미립자가 안정되게 함유된 구조를 갖는 점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한 중합 반응(광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열발포성 미립자가 안정되게 함유된 구조를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점착제 조성물에 의한 점착제층 형성시의 경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할 때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이성(電離性) 방사선,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나 그의 조사 시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잔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α-하이드록시케톤(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IRGACURE) 184」,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 「다로큐어(DAROCURE) 1173」,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2959」,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상품명 「이르가큐어 369」,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 「루시린(LUCIRIN) TPO」,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페닐-1,1-프로판디온-2-(ο-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잔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메틸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이소프로필티오잔톤, 2,4-디클로로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잔톤, 도데실티오잔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그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중합 개시제의 경우,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부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3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0.001중량부 미만이면, 중합 반응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5중량부를 초과하면, 형성된 점착제층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의 분자량의 저하를 발생시켜, 점착 특성의 불균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탄성이나 유연성을 조정하거나, 당해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높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발포성의 점에서도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는,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를 「다관능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에는, 상기 (a2) 및 상기 (a3)은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고,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 (메타)아크릴로일기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본원에서는,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고,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 (메타)아크릴로일기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인 모노머」를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는, 분자 내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 모두 (메타)아크릴로일기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라도 좋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하이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복수개 갖는 반응성 하이퍼브랜치폴리머(예를 들면, 상품명 「CN2300」, 「CN2301」, 「CN2320」, SARTOMER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은,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예를 들면, 0.00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하(예를 들면, 0.001?3중량부)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하(예를 들면, 0.001?1중량부)이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예를 들면 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유연성이 손상되어, 특히 점착제층의 내반발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충분한 응집력이 얻어지지 않아. 점착제층의 접착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다관능 모노머(특히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후술에서 기재하는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겔 분율)이 원하는 용제 불용분이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하여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첨가제가 2종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그의 취급상, 도공에 적합한 점도(통상, B형 점도계에 있어서의 점도 측정에 있어서,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측정된 점도로서, 0.3?40㎩?s)로, 조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점도를 얻는 점에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점용 폴리머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에, 열발포성 미립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성분(예를 들면, 상기 광중합 개시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첨가제 등)을 배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a2)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a2)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접착력이나 응집력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a1)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산성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의 카복실기 이외의 산성기(술폰산기, 인산기 등)를 함유하는 모노머 등)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피착체로의 양호한 접착력을 발휘하면서, 가열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이박리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전혀 함유하지 않거나, 혹은 그의 함유량이 모노머 성분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하라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a2)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피착체(특히 금속계 피착체)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력 상승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피착체(특히 금속계 피착체)에 대한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a2)는, 분자 내에 피착체와의 사이에서 상호 작용을 발생시키는 구조(예를 들면, 상기 산성기 등)를 갖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금속계 피착체」란, 금속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는 피착체의 의미이다.
또한,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금속계 피착체에 접착하면, 피착체와의 사이에서의 상호 작용(예를 들면, 산 성분과 금속과의 사이의 수소 결합 등)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력이 상승하여,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나 접합부의 분리?해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금속계 피착체에 있어서, 산 성분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a2)에 더하여, (a3)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력 상승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되어, 용이하게 접합부를 분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a2)와 함께 (a3)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것에도 의한다. (a3)은, (a2)의 효과를 높이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후술하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은, 피착체에 접착 후, 가열되면, 가열에 의한 열발포성 미립자의 발포에 수반하는 점착제층과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의 감소가 발생하여, (ⅰ) 접착력이 용이하게 저하되는 특성(박리성, 이박리성) 및 (ⅱ) 접합부의 해체성(분리성)을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박리시에는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해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ⅰ) 및 (ⅱ)의 특성을 합쳐, 「박리?해체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a1) 대신에,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를 초과하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초기 접착력 및 접착 신뢰성이 저하되어, 박리?해체성과의 양립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a1) 대신에,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를 초과하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를 초과하는, 탄소수 12를 초과하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초기 접착력 및 접착 신뢰성이 저하되어, 박리?해체성과의 양립을 할 수 없게 된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제층(감압 접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에 의한 폴리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겔 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99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5중량%이다. 용제 불용분이 50중량%보다 낮아지면, 열발포성 미립자의 발포에 의한 점착제층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용제 불용분이 99중량%보다 높아지면, 점착제층의 습윤성이 나빠져, 접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점착제층 중의 「용제 불용분의 비율」을 가리키고, 이하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에는, 용제에 불용인 열발포성 미립자도 포함된다.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
점착제층을 약 1g 채취하고, 이것을 시료로 한다. 당해 시료를 정칭하고, 그의 중량을 구하여, 「침지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으로 한다. 다음으로, 시료를 아세트산 에틸 40g에 7일간 침지시킨 후, 아세트산 에틸에 불용해인 성분(불용해 부분)을 모두 회수하고, 회수한 전체 불용해 부분을 130℃에서 2시간 건조시키고 나서, 그의 중량을 구하여, 「불용해 부분의 건조 중량」으로 한다. 그리고,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중량%)=[(불용해 부분의 건조 중량)/(침지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100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가열에 의한 점착력의 저감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열발포성 미립자(특히 열팽창성 미소구)의 최대 입경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양호한 박리?해체성을 얻는 점에서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커질수록 점착제층 중의 열발포성 미립자의 절대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큰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크게 하면, 점착제층 중의 열발포성 미립자의 절대량이 늘어나는 결과, 점착제층 중의 접착 성분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접착력이나 접착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접착 신뢰성과 박리?해체성과의 양립을 도모하는 점에서, 1?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2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단층 구조라도 좋고, 적층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필름이나 기재(基材) 등의 적당한 지지체 상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얻고, 다음으로, 당해 점착제 조성물층을, 필요에 따라서, 건조나 경화(예를 들면,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광경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반응은 공기 중의 산소에 저해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층 상에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을 접합하는 것, 질소 분위기하에서 광경화시키는 것 등에 의해, 산소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열발포성 미립자가 안정되게 함유된 구조를 얻는 점에서는, 중합 개시제(광중합 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두께가 있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에서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가열에 의한 열발포성 미립자의 발포에 의해, 접착력이 용이하게 저하되는 특성(이박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여러 가지 소재의 피착체에 대하여,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에는 가열에 의해 양호한 박리?해체성을 발휘한다. 또한,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특히, 금속계 피착체에 대해서도,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에는 가열에 의해 양호한 박리?해체성을 발휘한다. 또한, 금속계 피착체에 대해서도,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감압 접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피착체에 대한 접합시에는, 높은 초기 접착력과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에는, 접착력(접착 강도)이 저하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금속계 피착체에 대해서도, 높은 초기 접착력을 갖고, 그리고, 박리시에는, 가열에 의한 열발포성 미립자의 발포에 의해 접착력이 용이하게 저하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금속계 피착체에 대해서도,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재박리를 목적으로 한 점착 시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가열 발포형 재박리성 점착 시트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롤 형상으로 권회(卷回)된 형태라도 좋고, 시트가 적층된 형태라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의 점착 시트는, 점착면을 후술하는 박리 필름에 의해 보호한 상태로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의 점착 시트는, 후술하는 기재를 갖는 타입인 경우,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된 박리 처리층(배면 처리층)에 의해 점착면을 보호한 상태로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기재의 편면측에 박리 처리층을 형성시킬 때에 이용되는 박리 처리제(박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계 박리제, 장쇄(長鎖) 알킬계 박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 시트의 양면측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점착 시트라도 좋고, 점착 시트의 편면측만이 점착층으로 되어 있는 편면 점착 시트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2개의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점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를 갖지 않는, 소위 「기재리스 타입」의 점착 시트(이하, 「기재리스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라도 좋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 시트(이하, 「기재가 있는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라도 좋다. 기재리스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가 있는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종이 등의 지계 기재, 천, 부직포,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각종 수지(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 비닐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에 의한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나, 이들의 적층체(특히, 플라스틱계 기재와 다른 기재와의 적층체나, 플라스틱 필름(또는 시트)끼리의 적층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이다. 또한, 기재는 단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고, 또는, 복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배면 처리, 대전 방지 처리, 초벌칠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발열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발열층을 갖고 있으면,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 발열층을 발열시킴으로써 열발포성 미립자를 발포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발열층을 형성하는 경우, 발열층의 점착 시트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적어도 한쪽의 면이 상기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에 의한 면이 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열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면 형상 발열체가 바람직하다. 면 형상 발열체는, 통전됨으로써 발열하고, 형상이 평판 형상이나 시트 형상의 발열 소자를 적어도 갖는다. 형상이 평판 형상이나 시트 형상의 발열 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박, 금속판, 시트 형상 그래파이트 카본, 카본 분말 또는 금속 분말 등을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면 형상 발열체는, 형상이 평판 형상이나, 시트 형상의 발열 소자를 피복하는 전기 절연성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발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면 형상 발열체를 기재로 하는 기재가 있는 타입의 점착 시트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중간층, 초벌칠층,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등의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점착제층인 열발포성 미립자 비함유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당해 열발포성 미립자 비함유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공지의 점착제(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를 이용하고, 공지의 점착제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발포성 미립자 비함유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점착 시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방법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시까지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작시에, 박리 필름이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작시에 박리 피름은 반드시 이용되지 않아도 좋지만, 광중합 반응은 공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반응이 저해되기 때문에, 박리 필름으로 표면을 피복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제작시에 박리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이용시에는, 박리 필름은 벗겨진다.
상기 박리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박리 처리제(이형 처리제)에 의해 적어도 한쪽의 면이 박리 처리(이형 처리)된 기재 외에, 불소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 비닐, 폴리불화 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등)로 이루어지는 저(低)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접착성 기재에서는, 양면이 박리면으로서 이용되며, 한편, 박리 처리된 기재에서는 박리 처리된 면이 박리면으로서 이용된다. 박리 필름은,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리 처리제에 의해 적어도 한쪽의 면이 박리 처리된 기재에 있어서의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올레핀 수지계 필름;
폴리염화 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의 폴리아미드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질지, 화지, 크래프트지, 글래신지, 합성지, 탑코팅지 등의 지류로 구성되는 지계 기재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처리제에 의해 적어도 한쪽의 면이 박리 처리된 기재에 있어서의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된다.
상기 박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박리 필름은, 단층, 적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다. 상기 점착제층만으로 구성되는 기재리스 타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 박리 필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얻고 나서, 당해 점착제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상기 점착제층을 얻음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기재 및 점착제층으로 적어도 구성되는 기재가 있는 타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얻고 나서, 당해 점착제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상기 점착제층을 얻음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별도 제작한 상기 점착제층을 전사(轉寫)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박리 필름이나 기재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이용되는 도공 방법이나 도포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도공 방법이나 후술하는 도포구를 이용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성, 에너지 절약성, 비교적 두꺼운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하는 광경화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자선이나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방법,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나 광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광경화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초기 접착력 등의 접착 특성을 조정하는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방법이 적절하게 선택되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광경화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의 초기 접착력 등의 접착 특성을 조정하는 수법의 구체예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3015호에 개시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3015호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복수 단계로 분할하여 행하고, 그에 따라 점착 성능을 더욱 정밀하게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의 조도를, 조도: 30mW/㎠ 이상의 광조사를 행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보다 낮은 조도의 광조사를 행하여 실질적으로 중합 반응을 완료시키는 제2 단계로 분할하여 행하는 방법, (ⅱ) 자외선의 조사를, 조도: 30mW/㎠ 이상의 광조사를 행하는 제1 단계와, 이어서 제1 단계보다 낮은 조도의 광조사를 행하여 중합률을 적어도 70중량%로 하는 제2 단계, 이어서 조도: 30mW/㎠ 이상의 광조사를 행하여 실질적으로 중합 반응을 완료시키는 제3 단계로 분할하여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률은, 상기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된다.
상기 제1 단계에 이용되는 자외선의 조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 이용되는 자외선의 조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만으로 구성되는 기재리스 타입의 점착 시트의 바람직한 제작예를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작 방법은, 이 제작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점착제층만으로 구성되는 기재리스 타입의 점착 시트의 바람직한 제작예를 「제작예 1」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3에는, 제작예 1의 제1 공정, 제2 공정 및 제3 공정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4에는, 제작예 1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 있어서, 1a는 제작예 1의 제1 공정을 나타내고, 1b는 제작예 1의 제2 공정을 나타내고, 1c는 제작예 1의 제3 공정을 나타내고, 1d는 제작예 1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11은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이고, 12는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이고, 13은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이고, 14는 활성 에너지선이고, 15는 점착 시트이다.
제작예 1의 제1 공정은, 박리 필름(12)의 박리 처리된 면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도 1 참조). 이 공정에 의해, 박리 필름(12)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이 형성된 시트가 얻어진다.
제작예 1의 제1 공정에 있어서, 박리 필름(12)의 박리 처리된 면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이용되는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슬롯 다이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딥법, 스핀 코팅법, 솔칠법, 롤 코팅법, 플랙소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필름(12)의 박리 처리된 면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도포구가,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된다. 이러한 도포구는, 예를 들면, 리버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의 롤 코터;
커튼 코터;
립 코터;
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제작예 1의 제2 공정은, 상기 제1 공정에서 제작된 시트의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측에, 박리 필름(12)을 박리 처리면이 접하는 형태로 접합하는 공정이다(도 2 참조). 이 공정에 의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의 양면측에 박리 필름(12)을 갖는 시트(박리 필름(12)/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박리 필름(12)의 층 구성을 갖는 시트)가 얻어진다.
제작예 1의 제2 공정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시에는 광경화 반응(광중합 반응)을 저해하는 산소와의 접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박리 필름(12)을 접합함으로써, 산소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제작예 1에서는, 산소와의 접촉을 억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박리 필름을 이용하여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 외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환경을 불활성 가스(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 분위기하로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즉, 제작예 1의 제2 공정에서는, 박리 필름(12)을 접합하는 대신에, 불활성 가스(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환경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로 함으로써, 산소에 의한 광중합 반응의 저해를 억제해도 좋다. 또한,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활성 에너지선(14)을 이용하여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을 광경화시키는 경우,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을 박리 필름(12)을 이용하여 피막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환경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로 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는 가능한 한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산소 농도로 50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 중의 용존 산소가 많은 경우에는, 라디칼 발생량이 억제되어, 중합(광중합)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얻어지는 폴리머의 중합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을 형성하기 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 불활성 가스에 의한 버블링 처리를 행해도 좋다.
제작예 1의 제3 공정은, 제2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에, 시트의 양면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14)을 조사하는 공정이다(도 3 참조). 이 공정에서는,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에 박리 필름(12)을 개재하여 활성 에너지선(14)이 조사되기 때문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은 광경화되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13)이 된다. 또한, 제2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에 있어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은, 박리 필름(12)에 의해, 광경화 반응의 저해 요인이 되는 산소와 차단되어 있다.
활성 에너지선(14)으로서는, 예를 들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이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나 그 조사 시간은, 모노머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에너지선(14)의 조사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파장 300?400㎚에 있어서의 조도 1?200mW/㎠인 자외선의 광량 400?4000mJ/㎠의 조사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14)으로서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 이용되는 광원은, 파장 180?460㎚(바람직하게는 300?400㎚)의 영역에 스펙트럼 분포를 갖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예를 들면, 도시바라이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블랙 라이트), 수은 아크, 탄소 아크,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일반적인 조사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보다 장파장 혹은 단파장의 전자(電磁) 방사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사 장치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14)으로서 자외선을 조사할 때의 자외선의 조도는, 예를 들면, 광원이 되는 상기 조사 장치에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까지의 거리나 전압의 조정에 의해 목적하는 조도로 설정된다.
제작예 1에서는,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11)을 경화시키는 경우, 중합률이 90중량% 이상이 되도록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반응 모노머는, 건조 공정을 형성함으로써 제거되어도 좋다. 또한, 중합률은, 상기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된다.
1d는, 제작예 1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를 나타낸다(도 4 참조). 점착 시트(15)는,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13)의 양면측이 박리 필름(12)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기재리스 타입의 양면 점착 시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박리 필름의 박리 처리된 면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시키는 제1 공정, 제1 공정에서 형성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에 박리 필름을 박리 처리면이 접하는 형태로 접합하는 제2 공정,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제3 공정을 거쳐,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180°벗김 접착 강도(180°벗김 점착력)(대(對) 스테인리스 강판(SUS 304BA판), 인장 속도: 300㎜/분, 23℃의 온도 분위기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N/25㎜ 이상(예를 들면 12?100N/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N/25㎜ 이상(예를 들면 14?90N/25㎜)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N/25㎜ 이상(예를 들면 15?80N/25㎜)이다. 180°벗김 접착 강도가 12N/25㎜ 미만이면, 피착체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180°벗김 접착 강도가 너무 강하면(예를 들면, 100N/25㎜를 초과하면), 박리?해체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초기 접착력 등의 접착 특성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열발포성 미립자의 종류나 사용량, 점착제층의 제작시의 경화 방법(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방법), 점착제층의 두께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조정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하기 내반발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들뜨는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미만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미만이다. 들뜨는 거리가 10㎜를 초과하면, 응력이 장기로 가해지면, 점착 시트가 피착체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져, 접착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점착 시트가 피착체에 접착된 상태로 응력이 장기로 가해지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피착체로부터의 「벗겨짐」, 「들뜸」, 「부분적인 박리」, 「밀림」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원에서 말하는「내반발성」은 상기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내반발성 시험
최초에, 점착 시트의 측정면(상기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을 알루미늄판에 접합하여, 알루미늄판 및 점착 시트의 적층제를 얻는다. 또한, 점착 시트의 측정면과 반대측의 면을 알루미늄판에 접합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고정용의 강(强)접착성의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얻어지는 알루미늄판 및 점착 시트의 적층체를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로 한다.
다음으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에 대해서, 측정면측(점착 시트측)을 외측으로 하여, R50의 곡률로 만곡시킨다. 즉, 반경: 20㎜의 원의 원주를 따르도록 만곡시킨다.
만곡 후의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아크릴판(상품명 「아크릴라이트(ACRYLITE)」, 미츠비시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측정면이 접하는 형태로, 즉, 점착 시트가 접하는 형태로, 들뜨는 일이 없도록 압착하여 접합한다.
아크릴판에 접합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실온(23℃)에서 7시간 방치하고,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의 양단(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의 아크릴판으로부터 들뜨는 거리(들려 올라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당해 평균값을 「들뜨는 거리」 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1에 의한 평가가 양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1에 의한 평가가 양호이고, 또한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2에 의한 평가가 양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1의 평가가 불량이면,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 가열에 의해, 충분한 박리?해체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1에 의한 평가가 양호이고, 또한 하기 가열 해체성 시험 2에 의한 평가가 양호이면, 상온(23℃)에서의 장기간(예를 들면 5?10년 정도)의 보관 후나 사용 후라도,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 가열에 의해, 충분한 박리?해체성을 발휘할 수 있다.
가열 해체성 시험 1
점착 시트를, 측정면(상기 점착제층(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면)이 접하는 형태로,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SUS 304BA판)에,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접합하고, 23℃에서 30분간 에이징하여,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및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의 적층 구성을 갖는 구조체)로 한다.
다음으로, 점착 시트가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접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평가용 샘플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13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한다.
가열 처리 종료 후의 평가용 샘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점착 시트의 가열 해체성을 평가한다.
양호(○): 점착 시트가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점착 시트를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경우
불량(×): 점착 시트를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
가열 해체성 시험 2
점착 시트를, 측정면(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면)이 접하는 형태로,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SUS 304BA판)에,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접합하고, 85℃에서 1주간 에이징하고, 에이징 종료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및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의 적층 구성을 갖는 구조체)로 한다.
다음으로, 점착 시트가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접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평가용 샘플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13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한다.
가열 처리 종료 후의 평가용 샘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점착 시트의 가열 해체성을 평가한다.
양호(○): 점착 시트가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점착 시트를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경우
불량(×): 점착 시트를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50㎛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의 가열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핫 플레이트, 열풍 건조기, 적외선 램프, 근자외선 램프, 에어 드라이어, 가열수 등을 이용한 가열 처리를 들 수 있다. 당해 가열 처리의 온도는, 열발포성 미립자의 발포 개시 온도 이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착체의 표면 상태, 열발포성 미립자의 종류 등, 피착체의 내열성, 가열 방법(열용량, 가열 수단)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인 가열 처리는, 예를 들면, 온도: 100?250℃에서 5?90초간 핫 플레이트에 의해 가열하는 것, 온도: 100?250℃에서 5?15분간 열풍 건조기에 의해 가열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피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플라스틱계 피착체, 금속계 피착체, 섬유계 피착체, 지계 피착체, 무기 재료계 피착체, 복합 재료계 피착체(플라스틱(수지), 금속, 섬유, 종이, 무기 재료 등의 여러 가지 소재 중 적어도 2개의 소재로 구성되는 피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당해 피착체는, 플라스틱계 피착체, 금속계 피착체, 플라스틱(수지) 및 금속으로 구성되는 복합 재료계 피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계 피착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ABS, 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계 피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구리, 니켈, 크롬, 망간, 마그네슘, 아연, 주석, 티탄 및, 이들의 합금(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이용되는 피착체의 표면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평활 형상, 곡면 형상, 평면과 곡면이 조합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금속계 피착체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피착체에 대하여 초기 접착력 등의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부재끼리의 접합 용도나 케이스체와 부재의 접합 용도 등의 접합 용도로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며, 특히 내반발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피착체가 곡면을 갖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여, 곡면을 갖는 부재끼리의 접합 용도나 곡면을 갖는 케이스체와 곡면을 갖는 부재의 접합 용도 등으로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박리?해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점착제층 중의 열발포성 미립자가 열에 의해 팽창 및/또는 발포하는 것에 수반하여,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이 팽창 변형되고,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변형되어, 접착력이 저하 내지 상실(喪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리워크나 리사이클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초기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접착 신뢰성, 특히 내반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기계 부품, 전화 제품, 건재 등의 각종 분야의 접합 용도(예를 들면, 부품과 부품을 접합하는 용도, 부품을 케이스체에 고정하는 용도 등)로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열에 의한 박리?해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리사이클이나 리워크가 요구되는 접합 용도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용도가 상기 용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재를 반영구적으로 고정하는 용도로도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20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0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온도 30℃)가 약 15㎩?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얻었다. 또한, 이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의 중합률은, 8.5중량%였다.
이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 100중량부에, 열발포성 미립자(발포제, 상품명 「EXPANCEL 051DU40」, 익스팬슬사): 30중량부 및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4중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를 얻었다.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B?G의 조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B?G를 조제했다.
표 3에서 나타낸 양의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표 3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및, 표 3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온도 30℃)가 약 15㎩?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얻었다. 또한,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의 중합률은 표 3에 나타냈다.
이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 100중량부에, 표 3에서 나타낸 열발포성 미립자(발포제, 상품명 「EXPANCEL 051DU40」, 익스팬슬사) 및, 표 3에서 나타낸 양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첨가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각의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5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H?M의 조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H?M을 조제했다.
표 4에서 나타낸 양의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표 4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및, 표 4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온도 30℃)가 약 15㎩?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얻었다. 또한,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의 중합률은 표 4에 나타냈다.
이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 100중량부에, 표 4에서 나타낸 양의 열발포성 미립자(발포제, 상품명 「EXPANCEL 051DU40」, 익스팬슬사) 및, 표 4에서 나타낸 양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첨가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각의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6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N?Q의 조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N?Q를 조제했다.
표 5에서 나타낸 양의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표 5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및, 표 5에서 나타낸 양의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온도 30℃)가 약 15㎩?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얻었다. 또한, 각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서 이용한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의 중합률은 표 5에 나타냈다.
이 부분 중합 모노머 시럽: 100중량부에, 표 5에서 나타낸 양의 열발포성 미립자(발포제, 상품명 「EXPANCEL 051DU40」, 익스팬슬사) 및, 표 5에서 나타낸 양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를 첨가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각의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7
(박리 필름의 사용예 1)
박리 필름으로서, 한쪽의 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로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MRN-38」, 미츠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했다. 또한, 이 박리 필름을 「박리 필름 A」로 했다.
(박리 필름의 사용예 2)
박리 필름으로서, 한쪽의 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로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MRN-38」, 미츠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했다. 또한, 이 박리 필름을 「박리 필름 B」로 했다.
(실시예 1)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를, 박리 필름 B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하여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고, 당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 상에 박리 필름 A의 박리 처리된 면을 덮어,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갖는 시트(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 시트)를 얻었다.
당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 시트에, 조도: 4mW/㎠, 광량: 1200mJ/㎠의 조건으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1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4중량%였다.
(실시예 2)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65중량%였다.
(실시예 3)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66중량%였다.
(실시예 4)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7중량%였다.
(실시예 5)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H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6중량%였다.
(실시예 6)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I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9중량%였다.
(실시예 7)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J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5중량%였다.
(실시예 8)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K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7중량%였다.
(실시예 9)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L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1중량%였다.
(실시예 10)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M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4중량%였다.
(실시예 11)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N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6중량%였다.
(실시예 12)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O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8중량%였다.
(실시예 13)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P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93중량%였다.
(실시예 14)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Q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93중량%였다.
(실시예 15)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D를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7중량%였다.
(실시예 16)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K를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7중량%였다.
(실시예 17)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M을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4중량%였다.
(실시예 18)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O를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78중량%였다.
(실시예 19)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Q를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95중량%였다.
(비교예 1)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6중량%였다.
(비교예 2)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F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63중량%였다.
(비교예 3)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A 대신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G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0중량%였다.
(비교예 4)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 E를 사용하여,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해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매의 박리 필름 간에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박리 필름 A/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두께: 200㎛)/박리 필름 B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86중량%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를 행했다. 그의 결과를 표 6 및 표 7에 나타냈다.
(측정용 샘플의 제작예 1)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3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의 박리 필름 A를 벗기고, 그의 점착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두께: 50㎛,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지 않은 타입, 상품명 「루미러(LUMIRROR)-S-10 #50」, 토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접합했다. 그 후, 폭이 25㎜, 길이가 50㎜가 되도록 절단하여, 측정용 샘플 1로서의 PET 필름을 지지체로 한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이 측정용 샘플 1은, 폭: 25㎜, 길이: 50㎜의 단책(短冊) 형상이며, 박리 필름 B/점착제층/PET 필름의 층 구성을 갖는다.
(측정용 샘플의 제작예 2)
실시예 15?19 및 비교예 4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를 폭이 25㎜, 길이가 50㎜가 되도록 절단하여, 측정용 샘플 2로서의 점착 시트(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리스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이 측정용 샘플 2는, 폭: 25㎜, 길이: 50㎜의 단책 형상이며, 박리 필름 A/점착제층/박리 필름 B의 층 구성을 갖는다.
(초기 접착력 및 접착력의 평가)
스테인리스 304BA 강판(SUS 3O4BA판)을,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클린 웨이스트로, 10 왕복의 문지름 세정을 행하여,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을 얻었다.
당해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박리 필름 B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샘플 1을,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측정용 샘플 1을 접착했다. 그리고, 에이징을 행했다.
이 에이징은, 초기 접착력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23℃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의 에이징이며, 한편, 접착력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40℃의 분위기하에서 48시간의 에이징이다.
에이징 후, 23℃의 분위기하에서, 인장 시험기(장치명 「인장 압축 만능 시험기 TG-1kN」, 미네베어 가부시키가이샤 제작)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300㎜/분으로, 180°의 박리 방향으로 측정용 샘플을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벗김으로써, 180°벗김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그리고, 당해 180°벗김 접착 강도가 12[N/25㎜]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고, 180°벗김 접착 강도가 12[N/25㎜] 미만인 경우를 불량(×)으로 평가했다.
(가열 해체성의 평가 1)
스테인리스 304BA 강판(SUS 3O4BA판)을,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클린 웨이스트로, 10 왕복의 문지름 세정을 행하여,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을 얻었다.
당해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박리 필름 B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샘플 1을,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측정용 샘플을 접착했다. 그리고, 23℃에서 30분간 에이징을 행하여,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다음으로, 측정용 샘플 1이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13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했다.
가열 처리 종료 후의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가열 해체성을 평가했다.
양호(○): 측정용 샘플 1이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측정용 샘플 1을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경우
불량(×): 측정용 샘플 1을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
또한, 가열 해체성의 평가 1의 결과를, 표 6의 가열 해체성의 「23℃×30분간」의 란에 나타냈다.
(가열 해체성의 평가 2)
스테인리스 304BA 강판(SUS 3O4BA판)을,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클린 웨이스트로, 10 왕복의 문지름 세정을 행하여,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을 얻었다.
당해 청정한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박리 필름 B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샘플 1을,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측정용 샘플을 접착했다. 그리고, 85℃에서 1주간 에이징하고, 에이징 종료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다음으로, 측정용 샘플 1이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13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했다.
가열 처리 종료 후의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가열 해체성을 평가했다.
양호(○): 측정용 샘플 1이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측정용 샘플 1을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경우
불량(×): 측정용 샘플 1을 스테인리스 304BA 강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
또한, 가열 해체성의 평가 2의 결과는, 표 6의 가열 해체성의 「85℃×1주간」의 란에 나타냈다.
(가열 해체성의 평가 3)(양면 해체성 시험)
2매의 알루미늄판(두께: 0.4㎜)에 대해서, 각각,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클린 웨이스트로, 10 왕복의 문지름 세정을 행함으로써, 2매의 청정한 알루미늄판을 얻었다.
1매의 청정한 알루미늄판에, 박리 필름 B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샘플 2를,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알루미늄판에 접착했다. 다음으로, 상기의 알루미늄판에 접착한 측정용 샘플 2로부터 박리 필름 A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키고, 다른 청정한 알루미늄 판을, 23℃의 분위기하, 2kg 롤러, 1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여, 접합했다. 그리고 23℃에서 30분간 에이징하여, 알루미늄판끼리가 측정 샘플 2를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는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다음으로, 알루미늄판끼리가 측정 샘플 2를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13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했다.
가열 처리 종료 후의 가열 해체성 평가용 샘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가열 해체성을 평가했다.
양호(○): 알루미늄판끼리가 해체되어 있는 경우, 또는,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경우
불량(×): 알루미늄판끼리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없는 경우
또한, 가열 해체성의 평가 3의 결과는, 표 7의 가열 해체성의 「23℃×30분간」의 란에 나타냈다.
(내반발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를, 폭: 10㎜×길이: 90㎜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박리 필름 A를 벗겨, 동(同) 사이즈의 알루미늄판(폭: 10㎜×길이: 90㎜의 사이즈의 알루미늄판, 두께: 0.4㎜)에 접합해,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얻었다. 또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은, 알루미늄판 및 점착 시트의 적층체이며, 박리 필름 B/점착제층/알루미늄판의 층 구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점착 시트측(박리 필름 B에 의한 면측)을 외측으로 하여, R50의 곡률, 즉, 반경: 20㎜의 원의 원주를 따르도록 만곡시켰다.
만곡 후,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로부터 박리 필름 B를 벗겨 점착면을 노출시켰다. 다음으로, 점착면이 노출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아크릴판(투명, 상품명 「아크릴라이트」, 미츠비시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들뜨는 일이 없도록 압착하여, 접합했다.
아크릴판에 접합한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을 실온(23℃)에서 7시간 방치하고, 내반발성 시험용 샘플의 양단(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의 아크릴판으로부터 들뜨는 거리(들려 올라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구했다. 그리고 당해 평균값을 「들뜨는 거리」로 했다.
들뜨는 거리가 10㎜ 미만의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고, 10㎜ 이상의 경우를 불량(×)으로 평가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실시예는, 피착체에 대하여 양호한 초기 접착력, 접착력, 접착 신뢰성(특히 내반발성)을 나타냄과 함께, 가열함으로써 용이하게 박리(해체)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때문에, 리워크나 리사이클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비교예 1은, 양호한 초기 접착력과 접착력을 나타냈긴 하지만, 접착 신뢰성의 점에서 떨어지고, 그리고, 가열에 의해 박리할 수 없었다. 비교예 2는, 양호한 접착력, 접착 신뢰성을 나타내긴 하지만, 가열에 의해 박리할 수 없었다. 비교예 3은, 접착 신뢰성이 양호하고,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초기 접착력이나 접착력의 점에서 떨어졌다.
또한, 실시예는, 180°벗김 접착 강도가 시간에 따라 커지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범위였다. 한편, 비교예 1은, 180°벗김 접착 강도가 시간에 따라 실용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레벨까지 커졌다.
1a : 제작예 1의 제1 공정
1b : 제작예 1의 제2 공정
1c : 제작예 1의 제3 공정
1d : 제작예 1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
11 :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 조성물층
12 : 박리 필름
13 : 열발포성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
14 : 활성 에너지선
15 : 점착 시트

Claims (9)

  1. 하기 (a1), (a2) 및 (a3)을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또한 열발포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a1)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a2) :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a3) :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상기 (a2)는 제외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a1), (a2) 및 (a3)의 합계량(100중량%) 중의 (a1)의 함유량이 50?80중량%이고, (a2)의 함유량이 5?40중량%이고, (a3)의 함유량이 5?40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가, 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모노머인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3)이,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제3급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단환 또는 다환의 지환식 탄화 수소의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인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3)이,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모노머인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 실질적으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물을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9. 제8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20110117407A 2010-11-12 2011-11-11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20120051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4296 2010-11-12
JP2010254296 2010-11-12
JPJP-P-2011-183098 2011-08-24
JP2011183098A JP2012117041A (ja) 2010-11-12 2011-08-24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590A true KR20120051590A (ko) 2012-05-22

Family

ID=4500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407A KR20120051590A (ko) 2010-11-12 2011-11-11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23046A1 (ko)
EP (1) EP2452961B1 (ko)
JP (1) JP2012117041A (ko)
KR (1) KR20120051590A (ko)
CN (1) CN1024649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5A1 (ko) * 2013-07-22 2015-01-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2129B2 (en) * 2008-12-31 2014-02-18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intravascular, thermally-induced renal neuromodulation
JP2013047321A (ja) * 2011-07-28 2013-03-07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WO2013093652A1 (en) * 2011-12-19 2013-06-27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Composite reuseable adhesive
JP2013147541A (ja) * 2012-01-17 2013-08-01 Nitto Denko Corp 粘着剤用ポリマー、粘着剤組成物及び熱剥離性粘着シート
JP2013147621A (ja) * 2012-01-23 2013-08-01 Nitto Denko Corp 貼り合わされた2枚の板の分離方法
JP6382549B2 (ja) * 2014-03-28 2018-08-29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CN107835844A (zh) * 2015-07-21 2018-03-23 索尼公司 双面粘合带,具有双面粘合带的电子设备,具有双面粘合带的拆卸结构和粘合结构
WO2017038915A1 (ja) * 2015-09-01 2017-03-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7396837B2 (ja) * 2019-09-06 2023-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10938394B (zh) * 2019-12-17 2021-08-10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胶黏剂及其制备方法、由其制得的胶黏剂层以及热减粘胶带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2221A (en) * 1993-11-10 1997-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good low energy surface adhesion
JP2002088320A (ja) * 2000-09-13 2002-03-27 Sliontec Corp 加熱剥離型粘着テープ・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0800B2 (ja) 2001-06-27 2011-07-20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感圧性接着シート
SG121782A1 (en) * 2003-02-13 2006-05-26 Nitto Denko Corp Aqueous-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JP4507774B2 (ja) * 2003-09-10 2010-07-21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DE102004050949A1 (de) * 2004-10-18 2006-04-20 Tesa Ag Prozess zum Recycling von Elektronikbauteilen
JP5235294B2 (ja) * 2006-11-1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20090087629A1 (en) * 2007-09-28 2009-04-02 Everaerts Albert I Indium-tin-oxide compatible optically clear adhesive
JP5483835B2 (ja) * 2007-10-22 201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09256607A (ja) * 2008-03-17 2009-11-0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層、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20100151241A1 (en) * 2008-04-14 2010-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2-Octyl (Meth)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JP5342174B2 (ja) * 2008-05-23 2013-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5281318B2 (ja) * 2008-05-23 2013-09-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金属面貼付用粘着シート
CN102105935B (zh) * 2008-08-18 2012-12-19 琳得科株式会社 压敏粘合剂、光记录介质制造用片材及光记录介质
JP5572418B2 (ja) * 2009-03-04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シート切断用熱剥離型粘着シート
JP5522438B2 (ja) * 2009-03-26 2014-06-18 Dic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US8295995B2 (en) 2009-04-22 2012-10-2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Distributed approach to electronic engine control for gas turbine engines
JP5383565B2 (ja) 2010-03-11 2014-01-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型電極
JP2012117040A (ja) * 2010-11-12 2012-06-21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5A1 (ko) * 2013-07-22 2015-01-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US9624409B2 (en) 2013-07-22 2017-04-18 Dongwoo Fine-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17041A (ja) 2012-06-21
EP2452961B1 (en) 2014-01-08
EP2452961A1 (en) 2012-05-16
US20120123046A1 (en) 2012-05-17
CN102464953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1590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20120051589A (ko)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20130014360A (ko) 점착 시트
JP5483835B2 (ja)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30091262A (ko) 점착제 적층물의 박리 방법 및 그에 이용하는 점착제층
TWI582207B (zh) Sided adhesive sheet and portable electronic machine
JP5171425B2 (ja)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剥離方法
WO2010122942A1 (ja) 加熱膨張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7175622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30075676A (ko) 유리판용 점착 시트
JP2008120903A (ja)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18150859A1 (ja) 積層シート
JP2013253239A (ja) 金属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5398814B2 (ja)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JP7166052B2 (ja) 粘着シート
KR102607273B1 (ko) 점착 시트
JP2014040595A (ja) 熱剥離性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18184559A (ja) 強接着テープおよび壁面下地上への板状部材の固定方法
JP2023131575A (ja) 補強フィルム
JP2023131574A (ja) 補強フィルム
JP2019094501A (ja) 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