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95A -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095A
KR20120050095A KR1020100111435A KR20100111435A KR20120050095A KR 20120050095 A KR20120050095 A KR 20120050095A KR 1020100111435 A KR1020100111435 A KR 1020100111435A KR 20100111435 A KR20100111435 A KR 20100111435A KR 20120050095 A KR20120050095 A KR 2012005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haft
key
lifting unit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호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0095A/ko
Publication of KR2012005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2Manually-operated, e.g. lever-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잭 스크루(32)의 단부가 수납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에 넌슬립 소켓(122)이 형성되며 넌슬립 소켓(122)의 한쪽에 선형 키 웨이(124)가 형성된 샤프트(120), 샤프트(120)의 외경에 설치된 제1 기어(150), 잭 스크루(32)의에 설치되고 제1 기어(150)와 맞물리는 제2 기어(152), 넌슬립 소켓(1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고 외측에 선형 키 웨이(124)에 수납되도록 키(132)가 배치되는 로커(130), 하우징(110)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측에 형성된 내향 플랜지(162)에 키(132)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는 키 포켓(164)이 형성되고 키(132)의 일부가 활주되도록 하는 환형 키 웨이(166)가 형성된 커버(160) 및 넌슬립 소켓(122)에 삽입되어 로커(130)를 밀어 올리고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유닛(1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the device for moving lift unit of th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대상물의 무게 중심에 맞추어 인양지점을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인양장치에서 상술한 인양지점을 옮기도록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양장치는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고, 그 인양장치는 고정 프레임에서 인양 유닛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술한 인양 유닛에는 와이어, 훅 또는 클램프, 와이어가 감기는 풀리 및 풀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인양 유닛은 잭 스크루와 너트 블록을 포함하고, 잭 스크루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 작용에 의해 인양 유닛은 고정 프레임에서 이동되는 것이다.
종래의 인양 유닛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인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인양장치는 고정 프레임(10)에 인양 유닛(20)이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로 프레임(12)이 구비되며 가로 프레임(12)의 한쪽에는 상술한 인양 유닛(20)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인양유닛 이동장치(30)가 구비된다.
상술한 인양 유닛(20)에는 인양력을 작용하는 구동모터, 와이어가 감기는 풀리, 상술한 와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인양 대상물을 장착하는 훅 또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인양 유닛(20)은 너트 블록이 구비되고 상술한 가로 프레임(12)은 잭 스크루(32)가 구비되며, 잭 스크루(32)와 너트 블록은 나사 결합되고 이로써 잭 스크루(32)가 회전함에 따라 인양 유닛(20)은 고정 프레임(10)에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잭 스크루(32)는 상술한 인양유닛 이동장치(30)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이고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 스크루(32)의 단부에는 크랭크 핸들(38)이 조인트(34)로 결합되고 조인트(34)는 절접 가능한 구성으로써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크랭크 핸들(38)을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랭크 핸들(38)의 한쪽에는 압축 스프링(40)이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40)의 한쪽에는 상술한 조인트(34)를 감싸도록 슬리브(42)가 구비된다.
즉, 상술한 압축 스프링(40)의 복원력은 슬리브(42)가 조인트(34)쪽을 향하도록 작용하고, 이로써 잭 스크루(32)와 크랭크 핸들(38)이 일직선을 이룰 때에 슬리브(42)는 조인트(34)를 감싸 크랭크 핸들(38)이 임의로 꺾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로 프레임(12)의 한쪽에는 핸들 클램프(50)를 구비되고, 핸들 클램프(50)는 크랭크 핸들(38)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크랭크 핸들(38)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슬리브(42)를 조인트(34)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조인트(34)에서 크랭크 핸들(38)을 꺾어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핸들 클램프(50)는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크랭크 핸들(38)의 인출에 방해되지 않고, 크랭크 핸들(38)이 고정될 때에는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 핸들(38)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3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핸들 클램프(50)는 가늘고 길게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고 특히 다른 기구 또는 구조물과 부딪히는 등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간섭이 발생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써 크랭크 핸들(38)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양 유닛(2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 또는 발판 등의 보조 기구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사다리 또는 발판 위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낙상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
한편, 인양 대상물의 형상 또는 인양 장치가 설치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장애물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장애물은 사다리 또는 발판 등 보조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상술한 보조 기구를 갖추지 못할 때에는 인양 유닛(20)을 이동시키지 못하여 인양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잡지 못하고 매우 불안정한 상태 인양 대상물을 인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인양 유닛(20)의 이동위치는 잭 스크루(32)와 너트 블록의 나사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잭 스크루(32)의 회전 위상은 크랭크 핸들(38)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크랭크 핸들(38)을 고정하는 위치는 핸들 클램프(50)에 고정하는 위치로 한정되므로 인양 유닛(20)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양유닛 이동장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구조적인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다리 또는 발판과 같은 보조 기구에 올라서지 않고도 잭 스크루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양 유닛의 위치를 좀 더 세분화한 위치에 정지시키고 정지시킨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잭 스크루의 단부가 수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에 넌슬립 소켓이 형성되며 상기 넌슬립 소켓의 한쪽에 선형 키 웨이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경에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잭 스크루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넌슬립 소켓의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고 외측에 상기 선형 키 웨이에 수납되도록 키가 배치되는 로커; 상기 하우징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측에 형성된 내향 플랜지에 상기 키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는 키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키의 일부가 활주되도록 하는 환형 키 웨이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넌슬립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로커를 밀어 올리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넌슬립 소켓의 내에 배치되어 상기 로커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와 상기 선형 키 웨이와 상기 키 포켓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와 상기 선형 키 웨이와 상기 키 포켓의 개수는 4의 배수인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인양유닛 이동장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최소화하고 특히 돌출되는 구조물인 하우징의 형상은 두툼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거나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의 위험부담이 적어 구조적인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작업자가 바닥에 서있는 자세로 크랭크 핸들을 인양유닛 이동장치에 끼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활동반경이 확보되고 이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줄어들며, 인양대상물의 부피나 형상모양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아 안정된 상태로 인양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잭 스크루의 회전을 잠그도록 하는 로커가 구비되고, 상술한 로커가 잠기는 위치는 복수 지점이 될 수 있으므로 결국 잭 스크루의 회전 위상은 복수 지점이 되어 인양 유닛의 인양 지점을 더욱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인양대상물의 형상과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인양 유닛의 인양지점을 좀 더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인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유닛 이동장치가 적용된 인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사시도면 및 부분단면 분해사시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사시도면으로서, 도 6은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고, 도 7은 잠금이 설정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유닛 이동장치가 적용된 인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사시도면 및 부분단면 분해사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양유닛 이동장치(100)가 적용된 인양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바닥에 서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버 유닛(170)을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에 끼워 인양 유닛(2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양대상물의 주변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작업자가 서있을 정도의 공간만 확보되면 드라이버 유닛(170)을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에 장착하여 인양 유닛(20)의 인양지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 발판이나 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인양유닛 이동장치(30)를 조작하는 것이 불편하던 것에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유닛 이동장치(100)를 조작함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에 자유로운 것이다.
이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로 프레임(12)의 한쪽에 하우징(110)이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샤프트(120)가 제1, 제2 베어링(126)(1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120)의 일부는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술한 샤프트(120)의 외경에는 제1 기어(150)가 설치되고, 상술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잭 스크루(32)의 단부가 배치되며, 잭 스크루(32)의 단부에는 상술한 제1 기어(150)와 맞물리는 제2 기어(152)가 설치된다.
상술한 제1, 제2 기어(150)(152)는 베벨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커버(160)가 배치되고, 그 커버(160)는 상술한 샤프트(120)를 하우징(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샤프트(120)는 일측이 개방된 넌슬립 소켓(122)이 형성되고, 상술한 넌슬립 소켓(122)의 한쪽에는 샤프트(120)의 축 길이 방향으로 선형 키 웨이(124)가 형성되며, 상술한 선형 키 웨이(124)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술한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넌슬립 소켓(122)의 내부에는 로커(locker: 130)가 배치되고, 로커(130)의 외측에는 키(13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술한 키(132)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술한 키(132)가 상술한 선형 키 웨이(124)에 수납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상편 상술한 키(132)는 상술한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넌슬립 소켓(122)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1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압축 스프링(140)은 상술한 로커(130)를 밀어내는 방향을 복원력을 작용한다.
상술한 커버(160)는 하측에 내향 플랜지(162)가 형성되고, 내향 플랜지(162)의 한쪽에는 키 포켓(164)이 형성되며, 키 포켓(164)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술한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버(160)의 내측에는 상술한 내향 플랜지(162)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에 환형 키 웨이(166)가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로커(130)는 넌슬립 소켓(122)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고, 이때 승강되는 범위는 상술한 선형 키 웨이(12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로커(130)가 하측에 위치할 때에 키(132)의 일부는 상술한 키 포켓(164)에 수납되고 이로써 로커(130)는 하우징(160)에서 잠기므로 결국 로커(130)와 조립된 샤프트(120)가 잠겨 회전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상술한 로커(130)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 키(132)는 키 포켓(164)에서 이탈되어 환형 키 웨이(166)로 이동되어 로커(130)의 잠김이 해제되므로 결국 샤프트(12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드라이버 유닛(170)은 단부에 넌슬립 헤드(172)가 형성되어 상술한 넌슬립 소켓(122)에 끼워졌을 때에 드라이버 유닛(170)과 샤프트(120)가 서로 헛돌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넌슬립 헤드(172)는 넌슬립 소켓(122)에 끼워질 때에 상술한 로커(13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170)의 하측에는 크랭크(174)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드라이버 유닛(17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사시도면으로서, 도 6은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고, 도 7은 잠금이 설정된 상태이다.
먼저, 인양 유닛(20)을 이동시킬 때의 예를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라이버 유닛(170)의 넌슬립 헤드(172)를 넌슬립 소켓(122)에 삽입시키는 행위에 의해 로커(130)는 밀려 올라가고, 이때 로커(130)의 키(132)는 키 포켓(164)에서 이탈되며 압축 스프링(140)은 압축되고 로커(130)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커(130)의 잠금이 해제되면 샤프트(120)의 잠금이 해제되고, 드라이버 유닛(170)을 회전시키면 샤프트(120)와 제1 기어(150)가 회전되며, 제2 기어(152)는 제1 기어(150)와 맞물려 있으므로 제2 기어(152)가 회전하면서 잭 스크루(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잭 스크루(32)는 인양 유닛(20)에 구비된 너트 블록과 나사 작용에 의해 인양 유닛(20)이 이동하게 된다.
인양 유닛(20)이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인양 유닛(20)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잠금이 설정되어야 하고, 이로써 인양대상물을 인양할 때에 인양대상물이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양 유닛(20)의 이동을 잠그고자할 때에는 로커(130)를 커버(160)에 잠그게 되고 이는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라이버 유닛(170)을 샤프트(120)의 넌슬립 소켓(122)에서 빼내는 행위로 인하여 상술한 로커(130)는 하강되고, 특히 상술한 압축 스프링(140)의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로커(130)의 하강은 강제로 하강되도록 힘이 작용되므로 키(132)가 내향 플랜지(162)에 밀착된 상태에서 환형 키 웨이(166)의 내에서 활주된다.
한편, 넌슬립 헤드(172)가 로커(130)에서 이격되더라도 넌슬립 소켓(122)의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라이버 유닛(170)을 회전시키면 샤프트(120)와 로커(130)는 여전히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즉, 넌슬립 헤드(172)가 로커(130)를 밀지 않을 정도의 상태에서 드라이버 유닛(170)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로커(130)의 키(132)가 키 포켓(134)과 맞춰질 수 있고, 이후 로커(130)가 하강하여 키(132)가 키 포켓(134)에 수납되어 로커(130)의 회전이 방지되어 결국 로커(130)가 커버(160)에 잠겨 샤프트(1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술한 샤프트(120)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제1, 2 기어(150)(152) 및 잭 스크루(32)가 회전되지 않고 이로써 인양 유닛(20)의 이동이 방지되고, 인양 지점은 고정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로커(130)의 키(132)의 개수와 상술한 키 포켓(164)의 개수가 많을수록 인양 유닛(20)의 인양 지점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키(132)와 상술한 선형 키 웨이(124)와 상술한 키 포켓(164)의 개수를 4의 배수로 배치할 경우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방위각을 알 수 있게 되어 드라이버 유닛(170)의 크랭크(174)가 향하는 방향을 짐작할 수 있고, 이로써 크랭크(174)가 향하는 방향으로 로커(130)가 커버(160)에 잠금 설정되는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는 인양유닛 이동장치(1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돌출되는 구조물인 하우징(110)의 형상은 두툼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거나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의 위험부담이 적어 구조적인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는 작업자가 바닥에 서있는 자세로 드라이버 유닛(170)을 샤프트(120)의 넌슬립 소켓(122)에 끼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활동반경이 확보되고, 이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줄어들며, 인양대상물의 부피나 형상모양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아 안정된 상태로 인양 유닛(120)의 인양지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100)는 잭 스크루(32)의 회전을 잠그도록 하고, 특히 상술한 로커가 잠기는 위치는 복수 지점이 될 수 있으므로 결국 잭 스크루(32)의 회전 위상은 복수 지점이 되어 인양 유닛(20)의 인양 지점을 더욱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인양대상물의 형상과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인양 유닛의 인양지점을 좀 더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유닛 이동장치는 인양장치에 설치되어 인양대상물의 무게 중심에 맞추어 인양지점을 옮기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고정 프레임 12: 가로 프레임
20: 인양 유닛 30: 인양유닛 이동장치
32: 잭 스크루 34: 조인트
38: 크랭크 핸들 40: 압축 스프링
42: 슬리브 50: 핸들 클램프
100: 인양유닛 이동장치 110: 하우징
120: 샤프트 122: 넌슬립 소켓
124: 선형 키 웨이 126, 128: 제1, 제2 베어링
130: 로커(locker) 132: 키
140: 압축 스프링 150, 152: 제1, 제2 기어
160: 커버 162: 내향 플랜지
164: 키 포켓 166: 환형 키 웨이
170: 드라이버 유닛 172: 넌슬립 헤드

Claims (3)

  1. 잭 스크루(32)의 단부가 수납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에 넌슬립 소켓(122)이 형성되며 상기 넌슬립 소켓(122)의 한쪽에 선형 키 웨이(124)가 형성된 샤프트(120);
    상기 샤프트(120)의 외경에 설치된 제1 기어(150);
    상기 잭 스크루(32)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150)와 맞물리는 제2 기어(152);
    상기 넌슬립 소켓(1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고 외측에 상기 선형 키 웨이(124)에 수납되도록 키(132)가 배치되는 로커(130);
    상기 하우징(110)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측에 형성된 내향 플랜지(162)에 상기 키(132)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는 키 포켓(164)이 형성되고 상기 키(132)의 일부가 활주되도록 하는 환형 키 웨이(166)가 형성된 커버(160); 및
    상기 넌슬립 소켓(122)에 삽입되어 상기 로커(130)를 밀어 올리고 상기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유닛(170);
    을 포함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132)와 상기 선형 키 웨이(124)와 상기 키 포켓(164)은 상기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132)와 상기 선형 키 웨이(124)와 상기 키 포켓(164)의 개수는 4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KR1020100111435A 2010-11-10 2010-11-10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KR20120050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35A KR20120050095A (ko) 2010-11-10 2010-11-10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35A KR20120050095A (ko) 2010-11-10 2010-11-10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95A true KR20120050095A (ko) 2012-05-18

Family

ID=4626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435A KR20120050095A (ko) 2010-11-10 2010-11-10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00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062A1 (ko) * 2013-01-25 2014-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54640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54636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20140138556A (ko) * 2014-10-27 2014-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87682B1 (ko) * 2013-01-25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97318B1 (ko) * 2013-01-2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20150041480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062A1 (ko) * 2013-01-25 2014-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50625B1 (ko) * 2013-01-25 2014-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54640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54636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75206B1 (ko) * 2013-01-25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87682B1 (ko) * 2013-01-25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97318B1 (ko) * 2013-01-2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CN104995122A (zh) * 2013-01-25 2015-10-21 三星重工业有限公司 吊运车
JP2016501804A (ja) * 2013-01-25 2016-01-21 サムスン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トロリー
US9802792B2 (en) 2013-01-25 2017-10-31 Samsung Heavy Ind. Co., Ltd. Trolley
KR20150041480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 장치
KR20140138556A (ko) * 2014-10-27 2014-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0095A (ko)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US7093691B1 (en) Portable scissor-lift-assembly
CA29103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CN113526404B (zh) 一种小型厂房安装用钢结构梁的顶升设备
KR20210085361A (ko) 사다리 장치
KR102131520B1 (ko) 사다리용 안전벨트 버클
KR101257796B1 (ko) 모빌랙
JP2016121014A (ja) 昇降作業台及びこの昇降作業台における昇降方法
JP6975455B2 (ja)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JP2010115758A (ja) 可搬式作業台装置
KR100798615B1 (ko) 만능 발판 경사 조절기
JP2005290763A (ja) 可搬式作業台の手摺部材
US9327944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 dismantling a crane
CN213059960U (zh) 一种建筑施工安全型塔吊
JPH0493423A (ja) 施錠装置
JPH0725151U (ja) 高所作業部昇り口の転落事故防止装置
JP6646966B2 (ja) 足場における隙間埋め板装置
KR20220056721A (ko) 추락방지용 로프 클램핑장치
KR20200128859A (ko) 도어락 장치
JP6611003B2 (ja) 碍子用足場装置
EP2808464A1 (en) Scaffolding tower assembly and method for erecting scaffolding tower
CN111431077A (zh) 一种配电柜便携式操作平台
KR200447405Y1 (ko) 맨홀 출입용 안전손잡이
CN110080674B (zh) 一种折叠梯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