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361A -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361A
KR20210085361A KR1020190178312A KR20190178312A KR20210085361A KR 20210085361 A KR20210085361 A KR 20210085361A KR 1020190178312 A KR1020190178312 A KR 1020190178312A KR 20190178312 A KR20190178312 A KR 20190178312A KR 20210085361 A KR20210085361 A KR 2021008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auxiliary frame
vertical auxiliary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751B1 (ko
Inventor
안예원
Original Assignee
안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예원 filed Critical 안예원
Priority to KR102019017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다리부재,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외측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에 덮혀지는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톱니,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스토퍼플레이트가 덮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톱니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에 걸림 고정시키는 톱니기어로 구성하여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로 구성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다리 장치{A ladder apparatus}
본 발명은 사다리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 길이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지면이 경사지는 것에 상관없이 수직 보조프레임을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발판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작업 현장에서는 사다리(혹은 작업발판)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사다리는 그 지지를 편하게 하기 위해 힌지부의 좌우에 대칭되는 좌우 사다리프레임을 결합하고, 그 좌우 사다리프레임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힌지부의 일측에 걸림쇠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형태의 사다리의 경우 그 길이 연장이 불가능하고, 지지하는 좌우측의 사다리프레임이 측면으로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 된다면, 사다리가 기울어 넘어질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12244 호(명칭: 사다리)(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경첩에 의해 절첩되는 상판과, 상판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며 측면에 삽입공을 다수 형성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을 형성한 사다리본체, 상기 지주의 외측을 감싸며 상단외측에 통공을 형성한 수직바와, 이 수직바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바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의 외측을 슬라이딩하며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다리 및 상기 보조다리에 고정되어 수직바의 통공을 관통해 상기 지주의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보조다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사다리본체의 외측에 보조다리가 별도로 부착된 구조인데, 이러한 구조는 불필요한 부피 증가로 보관은 물론 작업을 위해 사다리를 펼치거나 이동시켜야 할 때 많은 불편함이 있다. 즉,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작업하거나 혹은 넘어질 위험이 적은 곳에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보조다리가 필요 없을 때에도 보조다리를 분리시키지 않고 작업을 해야 함으로서 사용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부재의 외측에 보조다리부재를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 다리부재의 하단에 높이 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지면이 경사지는 것에 상관없이 보조 다리부재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리부재의 발판 겸용 프레임에서 보조다리부재가 인출 및 인입 동작하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사다리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필요시에만 보조다리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 및 이동의 편리함을 높인 사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22) 사이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24)으로 구성한 한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7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38)의 하단에서 아래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본체프레임(70),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멍(72),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 힌지(78) 결합되며, 상기 힌지(78)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72)에 덮혀지는 스토퍼플레이트(76), 상기 스토퍼플레이트(76)의 내면에 형성되는 톱니(80);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38)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74)에 상기 스토퍼플레이트(76)가 덮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톱니(8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본체프레임(70)을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38)에 걸림 고정시키는 톱니기어(82)로 구성하여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38)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장치.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부재,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외측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에 덮혀지는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톱니,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스토퍼플레이트가 덮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톱니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에 걸림 고정시키는 톱니기어로 구성하여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경에는 로커프레임이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리부재의 외측에 보조다리부재를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발판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 다리부재의 하단에 길이 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지면이 경사지는 것에 상관없이 보조 다리부재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지면 상황에 상관없이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리부재에 발판 겸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에서 보조다리부재가 인출 및 인입 동작하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사다리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필요시에만 보조다리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 및 이동의 편리함을 높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보조 다리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길이조절부재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길이조절부재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리부재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조 다리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 장치는 전,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0) 및 작업발판(10)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작업발판(1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작업자들이 밟고 올라선 상태에서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리부재(20)는 작업발판(10)을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격시킨 상태로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다리부재(20)는 작업발판(10)의 전방 및 후방에 동일한 구조로 하여 한 쌍이 배치된다.
하나의 다리부재(20)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다리부재(20)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22), 상기 수직프레임(22) 사이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24)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2)은 다리부재(20)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며 하단은 지면에 접촉하고 그 상단은 작업발판(10)의 하단 어느 한 모서리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프레임(24)은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지면에서 작업발판(10)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받침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리부재(20)의 외측에는 보조 다리부재(30)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다리부재(30)는 작업발판(10)에 올라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외력이나 기타 무게 중심이 편중되는 등의 문제로 작업발판(10)이 측면으로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사다리가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보조 다리부재(3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다리부재(20)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22)의 외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보조 다리부재(30)의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한다.
상기 보조 다리부재(30)는 발판 겸용 프레임(32), 수평보조프레임(36) 및 수직보조프레임(38)으로 구성한다.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은 전술한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의 전, 후면에 그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작업발판(10)으로 올라가는 작업자들이 발판(10)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수평보조프레임(36)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양단은 수직프레임(22)의 전, 후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용접 결합되도록 한다. 즉, 다리부재(20)의 발판프레임(22)은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은 수직프레임(22)의 전면 혹은 후면에 노출된 상태로 용접 고정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공간(34)으로는 수평 보조 프레임(36)이 간섭없이 인출 및 인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22)의 전면에 용접 결합되는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은 양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3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34)으로는 보조다리부재(30)의 수평 보조프레임(36)이 통과하며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수평 보조프레임(36)은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내부 공간(34)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 동작하며 수직보조프레임(38)을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외측 방향으로 벌려주는 프레임이다.
상기 수평보조프레임(36)의 선단 외면에는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홈(42)에는 볼(44)이 스프링(46)으로 탄력 지지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내부 공간(34)에는 인출 및 인입스토퍼홈(48, 50)이 각각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수평보조프레임(36)의 볼(44)은 상기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인출스토퍼홈(48) 및 인입스토퍼홈(50)에 각각 탄력적으로 걸려지며 발판 겸용 프레임(32)에서 인출 및 인입 동작하는 수평보조프레임(36)을 걸림 고정시켜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수평보조프레임(36)을 정위치시키도록 한다.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8)은 상기 수평보조프레임(36)의 끝단에 부착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8)은 수평보조프레임(36)이 발판 겸용 프레임(32)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나면 지면에 접촉하며 사다리가 외부 흔들림에 의해 넘어가지 않도록 사다리를 지탱하게 된다.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8)의 하단에는 길이 조절수단(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길이 조절수단(40)은 수직보조프레임(38)이 다리부재(20)의 외측으로 인출 동작하고 난 뒤, 사다리의 흔들림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과 길이 차이가 발생하여 지면에 접촉하지 못할 경우, 상기 길이 조절수단(40)을 작동시켜 수직보조프레임(38)을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8)을 다리부재(20)에 연결 지지하는 수평보조프레임(36)은 상, 하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복수개를 배치하여, 수직보조프레임(38)이 사다리의 흔들림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휘어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보조 다리부재(30)는 다리부재(20)의 양측에 마련된 수직프레임(22)의 외측에 각각 동일한 구조로 복수개를 마련한 상태에서 사용시, 수직프레임(22)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인출 동작시켜 사다리의 흔들림을 보강하게 된다.
첨부된 도 5는 길이조절부재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길이조절부재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재(40)는 본체프레임(70), 스토퍼플레이트(76) 및 로커프레임(84)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본체프레임(70)은 상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72)이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70)은 보조 다리부재(30)의 수직 보조프레임(38) 하단에 각각 끼워진다. 즉, 수직 보조프레임(38)의 하단은 본체프레임(7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본체프레임(70)의 공간(72)에 수용되며 본체프레임(70)을 수직 보조프레임(38)에 조립 구성한다.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는 구멍(7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74)에는 스토퍼플레이트(76)가 힌지(78) 결합된 상태로 덮혀진다.
상기 스토퍼플레이트(76)는 힌지(78)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과정에서 수직 보조프레임(38)에 구비되어 있는 톱니기어(82)와 맞물리며 본체프레임(70)을 수직 보조프레임(38)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수직 보조프레임(38)의 하단 외면에는 랙기어 형상의 톱니기어(82)가 마련되는 데, 이때 상기 톱니기어(82)는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38)이 본체프레임(70)의 공간(72)에 삽입될 때,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74)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70)의 구멍(74)에 힌지(78)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플레이트(76)의 내면에는 톱니(80)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80)는 상기 힌지(78)를 중심으로 한 스토퍼플레이트(76)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74)으로 노출된 수직보조프레임(38)의 톱니기어(82)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본체프레임(70)을 수직 보조프레임(38)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는 로커프레임(84)이 끼워진다. 상기 로커프레임(84)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76)가 힌지(78)를 중심으로 구멍(74)에 덮혀지는 과정에서 서로 맞물린 톱니(80) 및 톱니기어(82)를 통해 본체프레임(70)을 수직 보조프레임(38)에 걸림 고정시키고 나면 작업자가 로커프레임(84)을 잡고 아래로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로커프레임(84)은 상기 구멍(74)에 덮혀진 스토퍼플레이트(76)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밀착되며 스토퍼플레이트(76)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지 않도록 스토퍼플레이트(76)를 잠금시키게 된다. 즉, 스토퍼플레이트(76)의 덮힘 동작으로 톱니(80)와 톱니기어(82)가 서로 맞물려 수직 보조프레임(38)에서 본체프레임(70)을 걸림 고정시키고 난 뒤, 외부 충격 등으로 스토퍼플레이트(76)가 회전하여 톱니(80) 및 톱니기어(82)의 맞물림이 해지될 수 있는 바, 로커프레임(84)이 스토퍼플레이트(76)를 감싸며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커프레임(84)은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서 상, 하 이동하는 구조로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하여 본체프레임(70)의 외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스토퍼플레이트(76)의 외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커프레임(84)을 본체프레임(70)과 같이 사각의 단면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프레임(70)의 외부에 끼워져 상, 하 이동하며 스토퍼플레이트(76)를 고정하는 것으로 대표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외에 스토퍼플레이트(76)가 구멍(74)에 덮혀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덮힘이 해지되지 못하도록 하는 유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이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다리 장치는 사다리가 넘어가지 않도록 전방쪽 다리부재(20)를 앞쪽으로 당겨 상기 전방쪽 다리부재(20)를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들을 지면에 올려놓도록 한 후, 다리부재(20)의 발판프레임(22)을 밟고 올라가 작업발판(10)에 올라선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도록 한다.
한편, 작업과정에서 사다리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다리부재(2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다리부재(30)를 외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
즉, 보조다리부재(30)의 수직 보조프레임(22)을 잡고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22)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수평 보조프레임(36)은 다리부재(20)의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내부 공간(34)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수직 보조프레임(38)은 수평 보조프레임(36)의 인출 거리만큼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외측으로 빠져나온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프레임(22)을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서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수직 보조 프레임(38)을 잡고 안쪽으로 밀어주면 수평 보조 프레임(36)은 발판 겸용 프레임(32)의 내부 공간(34)으로 다시 삽입되어 지며, 이를 통해 수직보조프레임(38)은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의 외측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보관이나 이동시에 보조 다리부재(30)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지면이 평평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거나 혹은 기타 다양한 원으로 수직보조프레임(38)이 지면에 접촉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수직보조프레임(38)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부재(40)를 동작시켜 수직보조프레임(38)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수직보조프레임(38)의 길이가 짧아 지면에 닿지 않을 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길이조절부재(40)의 스토퍼플레이트(76)를 회전시켜 톱니(80)와 톱니기어(82)의 맞물림을 해지시킨 다음, 본체프레임(70)을 수직보조프레임(38)의 아래로 당겨주도록 한다.
다음, 원하는 길이만큼 본체프레임(70)이 당겨지고 나면 다시 스토퍼플레이트(7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프레임(70)의 구멍(74)을 덮어주게 되면 상기 스토퍼플레이트(76)의 톱니(80)는 수직 보조프레임(38)의 톱니기어(82)에 맞물리며 본체프레임(70)을 수직보조프레임(38)에 걸림 고정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로커프레임(84)을 아래로 당겨 스토퍼플레이트(76)의 외면에 밀착시켜 스토퍼플레이트(76)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보조프레임(38)의 길이를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재(40)로 조정함으로서 지면의 경사진 상황에 상관없이 수직보조프레임(38)을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어 사다리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부재(40)는 수직보조프레임(38)이 아니라 다리부재(2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22)의 하단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다리부재(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22)의 하단에 전술한 실시 예의 길이조절부재(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길이조절부재(40)를 설치하여 다리부재의 길이를 지면의 경사진 상황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10: 작업발판 20: 다리부재
22: 수직프레임 24: 발판프레임
30: 보조 다리부재 32: 발판 겸용 프레임
34: 공간 36: 수평프레임
38: 수직프레임 40: 길이조절부재
70: 본체프레임 72: 공간
74: 구멍 76: 스토퍼플레이트
78: 힌지 80: 톱니
82: 톱니기어 84: 로커프레임

Claims (3)

  1.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24)으로 구성한 한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에 덮혀지는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톱니;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스토퍼플레이트가 덮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톱니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에 걸림 고정시키는 톱니기어로 구성하여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장치.
  2.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부재;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외측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에 덮혀지는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톱니;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스토퍼플레이트가 덮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톱니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에 걸림 고정시키는 톱니기어로 구성하여 상기 수직 보조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경에는 로커프레임이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장치.
KR1020190178312A 2019-12-30 2019-12-30 사다리 장치 KR10231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12A KR102311751B1 (ko) 2019-12-30 2019-12-30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12A KR102311751B1 (ko) 2019-12-30 2019-12-30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61A true KR20210085361A (ko) 2021-07-08
KR102311751B1 KR102311751B1 (ko) 2021-10-08

Family

ID=7689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312A KR102311751B1 (ko) 2019-12-30 2019-12-30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86A (ko) 2022-03-09 2022-04-01 이병희 다기능 씽크대
KR20220041787A (ko) 2022-03-09 2022-04-01 이병희 다기능 승강대
KR102537007B1 (ko) 2022-06-29 2023-05-26 이병희 다기능 승강대
KR102538493B1 (ko) 2022-06-29 2023-05-31 이병희 다기능 씽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83U (ja) * 2002-10-15 2003-06-13 昭雄 谷口 伸縮自在足の脚立
KR20090053455A (ko) * 2007-11-23 2009-05-27 장영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KR20140002358U (ko)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
JP2016079714A (ja) * 2014-10-17 2016-05-16 紀美代 中尾 脚立、梯子体の拡幅構造、および、梯子体の製造方法
KR101862512B1 (ko) * 2017-04-28 2018-05-29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사다리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926B1 (ko) * 1996-07-26 1999-07-01 구본준 반도체 메모리의 라이트 오동작 방지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83U (ja) * 2002-10-15 2003-06-13 昭雄 谷口 伸縮自在足の脚立
KR20090053455A (ko) * 2007-11-23 2009-05-27 장영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KR20140002358U (ko)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
JP2016079714A (ja) * 2014-10-17 2016-05-16 紀美代 中尾 脚立、梯子体の拡幅構造、および、梯子体の製造方法
KR101862512B1 (ko) * 2017-04-28 2018-05-29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사다리용 완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86A (ko) 2022-03-09 2022-04-01 이병희 다기능 씽크대
KR20220041787A (ko) 2022-03-09 2022-04-01 이병희 다기능 승강대
KR20230132727A (ko) 2022-03-09 2023-09-18 이병희 다기능 승강대
KR102537007B1 (ko) 2022-06-29 2023-05-26 이병희 다기능 승강대
KR102538493B1 (ko) 2022-06-29 2023-05-31 이병희 다기능 씽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751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751B1 (ko) 사다리 장치
DK3015623T3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STRAIGHT TOWER
EP2343433A1 (en) An extension ladder
JP6255226B2 (ja) 折畳み式高所作業台
JP2003105967A (ja) 仮設足場
EP3192942B1 (fr) Echafaudage comportant deux ensembles d'echelle maintenus distants l'un de l'autre par une base pliante pre-montee
JP4836683B2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
JP2008285815A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1771B1 (ko) 계단형 작업대
JP5519320B2 (ja) 手摺付作業台
JP2564331Y2 (ja) 伸縮梯子の固定装置
KR20220011283A (ko) 작업플레이트를 갖는 작업사다리에서 안전난간의 높낮이 조절용 클램프
JPH11107519A (ja) 作業用足場台
JP5409524B2 (ja) 梯子状脚体の伸縮脚ロック装置
JP4044874B2 (ja) 安全手摺
JP3056439B2 (ja) ベランダ用ステップ足場
JPH0247139Y2 (ko)
CN220974228U (zh) 一种置物平台和导演车
JP2545147Y2 (ja) 伸縮支柱の固定装置
JP7390717B2 (ja) 手摺付き昇降梯子
JP2529326Y2 (ja) 梯子構造
JPH11336455A (ja) アルミニウム製作業台
KR102312868B1 (ko)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CN110080674B (zh) 一种折叠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