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007B1 - 다기능 승강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승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007B1
KR102537007B1 KR1020220080081A KR20220080081A KR102537007B1 KR 102537007 B1 KR102537007 B1 KR 102537007B1 KR 1020220080081 A KR1020220080081 A KR 1020220080081A KR 20220080081 A KR20220080081 A KR 20220080081A KR 102537007 B1 KR102537007 B1 KR 10253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elevator
folding
inner cabinet
fold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김상혁
Original Assignee
이병희
김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희, 김상혁 filed Critical 이병희
Priority to KR102022008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2/00Step-stools
    • A47C12/02Step-stools requiring conversion between the step and seat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8Appliance support having rotary joint or articulat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Abstract

다기능 승강대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판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하부면의 적소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인너 캐비넷; 및 상기 인너 캐비넷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승강대{Multi-Function Elevator}
본 발명은 실내에서 높은 곳에 물건을 올리기 위한 사다리 또는 받침대로 사용하거나 의자 및 이동 선반 등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하는 물품들, 예를 들면 씽크대, 선반, 장롱, 옷장, 수납장, 책장(이하, '구조물'이라한다) 등의 구조물에서 위치적으로 사람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높은 곳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꺼내고 또는 청소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구조물과는 별도로 준비된 사다리나 받침대 등을 바닥에 설치한 후 발판을 딛고 불안정한 자세로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적당한 장소를 찾아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할 뿐 만 아니라 사용한 후 적당한 보관 공간이 없으면 보관도 용이하지 못하므로 보관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사용 안전성과 사용상의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판의 높이 조절 기능이 있는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제안되어 있으나 모터 등 복잡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고, 실내에서 단지 사다리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의자 또는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8917호(공고일2017년09월14일)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62607호(공고일2019년07월31일)
특허문헌 3.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5361호(공개일2021년07월08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실내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바닥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사다리 또는 의자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실내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발판을 펼쳐 면적이 넓혀진 이동용 선반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다기능으로 사용하고 바닥면과 닿아 있는 씽크대 등의 하부공간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하부면의 적소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인너 캐비넷; 및 상기 인너 캐비넷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을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 링크부는,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인너 캐비넷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 및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는 상판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인너 캐비넷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하단부 양단은 상기 제1 절첩 링크가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서포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너 캐비넷은, 상기 절첩 링크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서포터 로드의 이탈을 유도하여 인너 캐비넷의 상부 이동을 유도하는 랜딩 홈;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너 캐비넷의 일측에는 접철 링크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가 끼워지는 수직 장공홈을 구비하고, 외곽 둘레면 적소에는 상기 외부 캐비넷을 따라 슬라이드 조립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캐비넷은, 양편에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인너 캐비넷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인너 캐비넷의 슬라이드 레일의 조립을 유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가 결합되는 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의 축상으로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는 양단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판의 승강 높이 임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에 삽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블럭의 홈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블럭은 상기 록킹 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은 길이를 연장하거나 상판의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슬라이드 패널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일방향으로 당겨서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판을 분할하고 그 분할면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은, 구조물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 및 상기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상기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움직이고 승강대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은 구조물 본체의 내벽면과 전면방향으로 설치된 제1 트랙; 상기 구조물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 트랙; 및 상기 제1,2 트랙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제1 트랙 또는 상기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구조물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인출수단은, 구조물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 상기 블럭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 및 상기 블럭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대를 펼쳐서 이동 가능한 받침대로 사용하거나 펼쳐진 승강대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여 사다리 또는 이동가능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시켜 별도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 대용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하여 필요로하는 용도에 따라 사용하고 구조물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분해상태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조립한 상태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에 서포터 로드와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따라 장착된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에 장착된 서포터 로드가 랜딩 홈을 따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는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를 구조물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승강대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무빙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승강대가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전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평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구조물'은 예를 들면 씽크대, 선반, 옷장, 수납장, 책장 및 이들과 비교되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물 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존의 경우, 사용자 기준으로 위치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선반 등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올려놓거나 꺼내고 또는 청소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구조물과는 별도의 사다리나 받침대 등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 구조물을 딛고 불안정한 자세로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적당한 장소를 찾아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하고, 사용 후 적당한 보관 공간이 없으면 보관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
한편, 실내에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사용 안전성과 사용상의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기능이 있는 발판을 구조물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제안되어 있으나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기존의 사다리 또는 발판 등은 실내에서 단지 사다리나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이동용 의자 또는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를 다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내에서 이동 가능하면서도 높이 조절기능을 갖으며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구조물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이 있는 승강대를 필요한 다양한 용도로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시켜 별도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 대용으로 전복이나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대를 펼쳐서 이동 가능한 받침대로 사용하거나 펼쳐진 승강대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 의자나 이동 의자, 이동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241)을 구비하는 인너 캐비넷(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캐비넷(240)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200)는, 절첩 링크부를 하부에서 받쳐주고 지지하는 캐비넷 부분과 상기 캐비넷에 지지되어 상판(21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캐비넷의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넷 부분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분해상태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조립한 상태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에 서포터 로드와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승강대(200)를 구성하는 캐비넷 부분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캐비넷(240)을 통해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시 절첩 링크부의 수평이동과 인너 캐비넷(2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고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너 캐비넷(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링크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로드(2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241)과, 가이드 홈(241)으로부터 상기 서포터 로드(250)의 이탈을 유도하여 인너 캐비넷(240)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랜딩 홈(24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너 캐비넷(240)의 일측에는 제1 접철링크(23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 장공홈(245)을 구비하고, 외곽 둘레면 적소에는 외부 캐비넷(300)을 따라 상하로 인너 캐비넷(2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레일(243)이 돌출되어 구성되며, 하부면의 적소에는 이동바퀴(24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캐비넷(300)에는 가이드 홈(312)과 동일한 높이로 크로스 멤버(251)를 지지하는 홀(311)을 구비함으로써, 록킹 핀(293)의 손잡이를 잡고 위로 올리면서 서포터 로드(250)를 우측으로 밀어 랜딩 홈(242) 구간을 거치게 하는 동안, 제1 접철링크(23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서포터 로드(250)는 아래로 내려와 외부 캐비넷(300)의 가이드 홈(312)에 지지되어 아래로 힘을 전달하고, 동시에 제1 접철링크(23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는 수직 장공홈(245)의 아래부분으로 내려와 외부 캐비넷(300)의 가이드 홈(31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홀(311)에 지지되어 아래로 힘을 전달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외부 캐비넷(300)의 테두리 바닥의 전체 면적으로 다기능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사다리 발판이나 고정 의자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록킹 핀(293)의 손잡이를 잡고 위로 올리면서 서포터 로드(250)를 랜딩 홈(242)으로부터 우측의 가이드홈(240)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접철링크(23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서포터 로드(250)는 위로 올라와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에 지지되어 아래로 힘을 전달하게 되며, 동시에 제1 접철링크(23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는 수직 장공홈(245)의 위로 올라와 상단부에 지지되어 아래로 힘을 전달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인너 캐비넷(240)의 이동바퀴(244)로 다기능 승강대를 수평 지지하게 되며 이동 의자나 이동 선반으로 편리하게 움직이면서 사용하는데 효과적이다.
인너 캐비넷(240)이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인너 캐비넷(240)의 둘레면을 따라 4개소의 슬라이드 레일(243)이 돌출되어 있고, 인너 캐비넷(240)의 하부면을 따라 4개소의 이동바퀴(24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바퀴(244)는 무게 하중이 많이 나가는 승강장치(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별도의 이동수단이나 사람의 힘을 통해 이동시키지 않고,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한 이동바퀴(244)를 통해 쉽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이동수단이다.
한편, 인너 캐비넷(240)이 조립되는 외부 캐비넷(3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편에는 서포터 로드(250)의 수평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312)을 구비하고, 인너 캐비넷(240)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인너 캐비넷(240)의 슬라이드 레일(243)의 조립을 유도하도록 슬라이드 레일(243)의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홈(31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가 결합되는 홀(31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240)과 외부 캐비넷(300)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을 따라 장착된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인너 캐비넷과 외부 캐비넷에 장착된 서포터 로드가 랜딩 홈을 따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는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절첩 링크부를 인너 캐비넷(240)에 지지하는 서포터 로드(2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과 외부 캐비넷(300)의 가이드 홈(312)을 따라 자유롭게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즉, 절첩 링크부의 접힘과 펼침 동작에 따라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절첩 링크부를 인너 캐비넷(240)에 지지하는 서포터 로드(2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캐비넷(240)의 랜딩 홈(242)과 외부 캐비넷(300)의 가이드 홈(312)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너 캐비넷(240)은 상대적으로 상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므로, 승강장치를 지면과 맞닿아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부분은 외부 캐비넷(300)의 전체 테두리 바닥면이 되고, 인너 캐비넷(240)의 하부면에 달린 이동바퀴(244)는 이동은 가능하지만 더 이상 승강장치를 지면과 맞닿아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역활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승강대(210)를 발판으로 사용하거나 이동의자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고정의자로 사용하는 경우 전체 승강장치의 자위적 이동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 사용 중 이동바퀴(244)의 의도하지 않는 위치 이동에 따른 사용자 안전의 위험을 사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 힘 닫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무게의 눌림으로 인한 바닥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캐비넷 부분과 절첩 링크부의 구성 및 조합 관계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비넷 부분과 함께 승강대(200)를 구성하는 절첩 링크부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인너 캐비넷(240)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230)(23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첩 링크(230)(231)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270)(271)로 각각 결합되어 승강대(210)를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260)(2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는 승강대(21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220)(221)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인너 캐비넷(240)의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의 하단부 양단은 제1 절첩 링크(230)(231)가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과 랜딩 홈(2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받쳐주는 서포터 로드(250) 및 제1 접철링크(23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251)의 양단은 인너 캐비넷(240)의 수직 장공홈(245)을 관통하여 외부 캐비넷(300)에 형성된 홀(311)에 고정되어 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에는 서포터 로드(250)의 랜딩을 유도하는 하사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선상의 가이드 홈(241)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져 상통하는 랜딩 홈(242)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첩 링크부의 제1 절첩 링크(230)(231)를 접는 경우 가이드 홈(241)에 비해 낮은 위치에서 인너 캐비넷(240)에 제1 절첩 링크(230)(231)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270)(271)의 축상으로는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80)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장치(280)를 통해, 절첩링크부를 상하 방향으로 접고 펼침에 따라 승강대(210)의 상하 높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장치(28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270)(271)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기 위해 절첩링크부의 양단에 한쌍의 프레임(281)(282)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82)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프레임(281)을 관통하며, 승강 높이의 임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284)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이동을 규제하여 프레임(281)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도록 설치된 스토퍼(29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90)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장공 홀(284)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292)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29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장공 홀(284)에 십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록킹 블럭(291)의 홈(292)을 따라 조립되어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2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 블럭(291)은 록킹 핀(293)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294)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 핀(293)과 록킹 핀 플레이트(294)는, 바람직하게는, 록킹 핀(293)의 이탈과 낙하를 차단하고 상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록킹 핀(293)이 하나의 열결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고, 록킹 핀 플레이트(294)에는 2개의 록킹 핀(293)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접링크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승강대(210)는 일측에 제2 절첩 링크(260)(261)가 접혀지고 펼쳐질 때 제2 절첩 링크(260)(261)의 힌지축(222)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장방형의 가이드 홈(223)을 형성하여 제2 절첩 링크(260)(261)의 승강을 규정된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승강대(200)의 상판(21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연장하거나 상판의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보조 패널(20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상판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구성하는 상판의 작동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상판(2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202)로서 하부에 슬라이드 패널(201)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일방향으로 당겨서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21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10)을 분할하고 그 분할면을 경첩(203)으로 연결하여 필요할 때 펼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승강대(200)의 상판(210)에 보조 패널(202)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사다리로 사용시 상판(210)의 발을 딛는 면적을 필요에 따라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물건을 올려놓는 선반이나 의자 등으로 사용시 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패널(201)을 통해 가용 면적을 증가시켜 다양한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20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본체(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다리나 의자 또는 선반 등으로 사용하고, 사용 후 구조물 본체(100)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5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를 구조물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승강대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200)는, 구조물 본체(100)의 하부 공간 바닥(10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구조물 본체(100)의 내벽면(102)과 전면방향 또는 상기 구조물 본체의 길이방향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이거나 상기 구조물 본체(100)의 내벽면(102)과 전면방향 및 구조물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구조물 본체(100)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블럭(120)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무빙블럭(120)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움직이고 상부측으로는 승강대(200)에 의해 승강되는 상판(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조물 본체(100)의 내벽면(102)에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설치하고,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무빙블럭(120)을 설치하는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무빙블럭(120)에 연동되도록 승강대(200)를 설치함으로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본체(100) 내에 승강대(200)를 수납하여 간단히 보관하고 사용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다리 대용 발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의 높이를 높혀 사다리 대용 발판이나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의 위치는 구조물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시켜 사용 기준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자유롭게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를 도 19 내지 도 22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무빙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승강대가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은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으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랙(111)은 구조물 본체(100)의 내벽면(102)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랙(112)은 구조물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트랙(111)(112)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은 무빙블럭(120)을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즉, 제1 트랙(111)은 무빙블럭(1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유도하고, 제2 트랙(112)은 무빙블럭(12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빙블럭(120)을 매개로 승강대(200)의 위치는 구조물 본체(10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승강대(200)의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빙블럭(120)은, 제1 트랙(111) 또는 제2 트랙(11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113)을 따라 전 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무빙블럭(120)은, 구조물 본체(100)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출수단(130)은, 구조물 본체(100)의 하단부측 내벽면(102)에 설치되어 무빙블럭(120)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인출수단(130)으로서 탄성체(131)를 포함하는 무빙블럭(200)은, 초기 모드의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럭(200)의 종단면이 탄성체(131)에 밀착되어 있는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승강대(20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 플레이트(295)를 'a1'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체(131)는 무빙블럭(120)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 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a1' 방향의 푸쉬 가압력을 제거하면, 탄성체(131)에 작용하던 압축 탄성력이 순간적으로 복원 탄성력으로 전환되고, 이를 통해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럭(120)은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의 제1 트랙(111)을 따라 'a2' 방향, 즉 구조물 본체(100)의 외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 본체(100)로부터 승강대(200)를 인출하는 경우 복잡한 사전 조작이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승강대(200)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본체(100)측에 수납된 승강대(200)의 인출 조작이 이와 비교되는 다른 인출장치들에 비해 부드럽고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조작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무빙블럭(120)은, 블럭 본체(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트랙(111)(112) 상의 슬라이드 레일(113)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접촉단(122)으로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볼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형의 볼 형상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은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구성하는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 상의 슬라이드 레일(113)을 구성하는 홈을 따라 진입되는 경우 구형 접촉면을 형성, 접촉 면적을 최소로 유지하고,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이동 중 마찰과 마모도를 낮춰 무빙블럭(120)의 인출과 수납시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드 가이트랙(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구형의 볼 형상이 적용되는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은,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이동시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이 합류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의 분기점에서 접촉면을 최소화시켜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이 합류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의 분기점에서의 정체 현상이나 구속을 방지하고 원할한 방향 전환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무빙블럭(120)은,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본체(121)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승강대(200)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물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전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구조물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의 예로서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평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포켓(123)의 선단에는 승강대(200)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구비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124)는 가이드 포켓(123)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하부로 움직이는 유동 공간(12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공간(127)의 상부측으로는 가이드 포켓(123)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공간(127)의 하부측으로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록킹 핀(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대(200)는, 가이드 포켓(123)의 홈으로 유도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 포켓(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적어도 1개의 포크(21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크(211)의 하부면 표면상으로는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 홈(212)들을 가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포켓(123)의 선단에 승강대(200)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통해 가이드 포켓(123) 내에서의 포크(211)의 진입과 인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대(200)의 인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킹 플레이트(124)에 의한 승강대(200)의 인출 위치 조절 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대(200)의 위치 조절 전 대기 상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가 스프링(125)에 의해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고, 이를 통해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은 포크(211)의 록킹 홈(212)의 어느 한 곳에 진입되어 록킹 플레이트(124)의 인출입이 차단된 상태가 승강대(200)의 위치 조절 전 대기 상태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승강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를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임의의 가압력 'P1'의 힘으로 누르면, 유동 공간(127)에서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125)이 수축되면서, 이어서, 포크(211)의 록킹 홈(212)의 어느 한 곳에 록킹 된 록킹 핀(126)의 록킹 상태가 풀리고 포크(211)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에 의한 포크(211)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를 전면 방향으로 당기면, 포크(211)는 가이드 포켓(123)으로부터 'P2' 방향으로 이탈되고, 그 이탈 위치를 임의의 지점에서 멈추고 록킹 플레이트(124)에 대한 가압력 'P1'을 해제하면, 해당 지점에 포크(211)를 구속시켜 록킹 상태가 다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승강대(200)의 인출 위치는 사용자 조작으로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즉, 씽크대 등의 구조물 사용자는 구조물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200)의 인출 위치를 록킹 플레이트(124)의 누름 가압 조작만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승강대(200)를 필요로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200)는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가이드 트랙을 따라 씽크대 등의 구조물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높이로 승강장치를 통해 승강되고 안전하게 바닥에 지지되어 사다리 발판이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상판을 펼쳐서 이동용 선반 등 다기능으로 사용한 후 씽크대 하부의 내부공간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승강대는, 승강대를 펼쳐서 사다리 또는 받침대로 사용하거나 펼쳐진 승강대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대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사용하고 구조물에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관 공간을 두지 않고 주변 씽크대 등의 구조물에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시켜 별도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 대용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구조물 본체 101: 바닥
102: 내벽면 110: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111: 제1 트랙 112: 제2 트랙
113: 슬라이드 레일 120: 무빙블럭
121: 블럭 본체 122: 슬라이드 접촉단
123: 가이드 포켓 124: 록킹 플레이트
125: 스프링 126: 록킹 핀
127: 유동 공간 130: 인출수단
131: 탄성체 200: 승강대
210: 상판 211: 포크
212: 록킹 홈 220.221: 힌지축
230.231: 제1 절첩 링크 240: 인너 캐비넷
241: 가이드 홈 242: 랜딩 홈
243: 슬라이드 레일 244: 이동바퀴
245: 수직 장공홈 250: 서포터 로드
251: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 260.261: 제2 절첩 링크
270.271: 연결 힌지 280: 높이조절장치
281.282: 프레임 283: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284: 장공 홀 290: 스토퍼
291: 록킹 블럭 292: 홈
293: 록킹 핀 294: 록킹 핀 플레이트
295: 푸쉬 플레이트 300: 외부 캐비넷
310: 슬라이드 홈 311: 홀
312: 가이드 홈

Claims (17)

  1. 상판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하부면의 적소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인너 캐비넷; 및 상기 인너 캐비넷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을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링크부는,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인너 캐비넷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 및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를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는 상판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인너 캐비넷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승강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하단부 양단은 상기 제1 절첩 링크가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서포터 로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캐비넷은, 상기 절첩 링크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서포터 로드의 이탈을 유도하여 인너 캐비넷의 상부 이동을 유도하는 랜딩 홈;을 구비하는 다기능 승강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캐비넷의 일측에는 접철 링크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가 끼워지는 수직 장공홈을 구비하고, 외곽 둘레면 적소에는 상기 외부 캐비넷을 따라 슬라이드 조립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다기능 승강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캐비넷은, 양편에 서포터 로드의 수평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인너 캐비넷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인너 캐비넷의 슬라이드 레일의 조립을 유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링크 지지용 크로스 멤버가 결합되는 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다기능 승강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의 축상으로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다기능 승강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는 양단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판의 승강 높이 임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에 삽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블럭의 홈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을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블럭은 상기 록킹 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기능 승강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길이를 연장하거나 상판의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슬라이드 패널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일방향으로 당겨서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판을 분할하고 그 분할면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다기능 승강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구조물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 및 상기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상기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움직이고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은 구조물 본체의 내벽면과 전면방향으로 설치된 제1 트랙; 상기 구조물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 트랙; 및 상기 제1,2 트랙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제1 트랙 또는 상기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승강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구조물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인출수단은, 구조물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 상기 블럭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 및 상기 블럭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을 포함하는 다기능 승강대.
KR1020220080081A 2022-06-29 2022-06-29 다기능 승강대 KR10253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081A KR102537007B1 (ko) 2022-06-29 2022-06-29 다기능 승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081A KR102537007B1 (ko) 2022-06-29 2022-06-29 다기능 승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007B1 true KR10253700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081A KR102537007B1 (ko) 2022-06-29 2022-06-29 다기능 승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00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76A (ja) * 1989-06-09 1991-01-18 Daifuku Co Ltd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US5005667A (en) * 1990-03-21 1991-04-09 Eddy Anderson Extensible and retractable step assembly
JPH09121971A (ja) * 1995-10-30 1997-05-13 Tokico Ltd 座位置調節機構付き椅子
US20090188754A1 (en) * 2008-01-29 2009-07-30 Warren Dorman H Collapsible stepstool
KR101778917B1 (ko) 2017-03-15 2017-09-14 문승민 싱크대용 발판
JP2018115038A (ja) * 2017-01-16 2018-07-26 株式会社ロボテック 電動昇降装置
KR101962607B1 (ko) 2018-10-15 2019-07-31 영남강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US20200392787A1 (en) * 2017-12-14 2020-12-17 Na-Ceo France Deployable device, in particular step stool
KR20210085361A (ko) 2019-12-30 2021-07-08 안예원 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76A (ja) * 1989-06-09 1991-01-18 Daifuku Co Ltd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US5005667A (en) * 1990-03-21 1991-04-09 Eddy Anderson Extensible and retractable step assembly
JPH09121971A (ja) * 1995-10-30 1997-05-13 Tokico Ltd 座位置調節機構付き椅子
US20090188754A1 (en) * 2008-01-29 2009-07-30 Warren Dorman H Collapsible stepstool
JP2018115038A (ja) * 2017-01-16 2018-07-26 株式会社ロボテック 電動昇降装置
KR101778917B1 (ko) 2017-03-15 2017-09-14 문승민 싱크대용 발판
US20200392787A1 (en) * 2017-12-14 2020-12-17 Na-Ceo France Deployable device, in particular step stool
KR101962607B1 (ko) 2018-10-15 2019-07-31 영남강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10085361A (ko) 2019-12-30 2021-07-08 안예원 사다리 장치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5116A (en) Adjustable pedestal trestle for theater stages or the like
US20150216296A1 (en) Vertical height work surface adjustment apparatus
US5377787A (en) Vertically displaceable platform
US5594961A (en) Adjustable height bed
EP2358237B1 (en) Removable seats system
US8894078B2 (en) Juvenile walker
KR102308370B1 (ko) 이동식 사다리
US9980583B2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CN106473451B (zh) 可控气弹簧升降桌
US9738116B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KR102537007B1 (ko) 다기능 승강대
KR200412244Y1 (ko) 사다리
KR102538493B1 (ko) 다기능 씽크대
KR102371649B1 (ko) 이동식 수직 리프트
KR20220041787A (ko) 다기능 승강대
KR20220041786A (ko) 다기능 씽크대
US11197541B1 (en) Multifunction workstation and related method of use
KR101180864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US20170203196A1 (en) Folding billiard table
CN113729407A (zh) 折叠式平躺午睡两用课桌
JP3027063U (ja) 伸縮式移動観覧席のフロントステップ取付構造
KR102356283B1 (ko) 휠체어 보관 및 리프팅 시스템
JP3371959B2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KR200493853Y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