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786A - 다기능 씽크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씽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786A
KR20220041786A KR1020220029731A KR20220029731A KR20220041786A KR 20220041786 A KR20220041786 A KR 20220041786A KR 1020220029731 A KR1020220029731 A KR 1020220029731A KR 20220029731 A KR20220029731 A KR 20220029731A KR 20220041786 A KR20220041786 A KR 2022004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moving block
locking
trac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이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희 filed Critical 이병희
Priority to KR102022002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786A/ko
Publication of KR2022004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다기능 씽크대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 공간에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상부면과 수평으로 상기 씽크대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전면방향 및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 및 상기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상기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트랙을 따라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높이로 승강장치로 승강되고 안전하게 바닥을 지지하면서 사다리 발판이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상판을 펼쳐서 이동용 선반 등 다기능으로 사용한 후 씽크대 하부의 내부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씽크대{Multifunctional kitchen table}
본 발명은 다기능 씽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씽크대 하부에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내장형으로 보관하고, 주방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 후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하는 다기능 씽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를 사용하는 사용자 기준으로 위치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선반 등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올려놓거나 꺼내고 또는 청소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씽크대와는 별도의 사다리나 받침대 등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 구조물을 딛고 불안정한 자세로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적당한 장소를 찾아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 할 뿐 만 아니라 사용 후 적당한 보관 공간이 없으면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보관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사용 안전성과 사용상의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판 높이 조절기능이 있는 사다리를 씽크대에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제안되어 있으나 모터 등 복잡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고, 주방에서 단지 사다리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주방에서 필요한 경우 이동용 의자 또는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적 요구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8917호(공고일2017년09월14일)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62607호(공고일2019년07월31일)
특허문헌 3.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5361호(공개일2021년07월08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씽크대 하부의 빈공간에 별도의 높이 조절과 위치 조절 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보관하고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한 후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별도의 높이 조절과 위치 조절 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방에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승강대를 정해진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한 사다리 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펼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씽크대 하부 공간에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상부면과 수평으로 상기 씽크대 본체의 내벽면과 전면방향 및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 및 상기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상기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트랙을 따라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높이로 승강장치로 승강되고 안전하게 바닥을 지지하면서 사다리 발판이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상판을 펼쳐서 이동용 선반 등 다기능으로 사용한 후 씽크대 하부의 내부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은 씽크대 본체의 내벽면과 전면방향으로 설치된 제1 트랙; 상기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 트랙; 및 상기 제1,2 트랙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제1 트랙 또는 상기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씽크대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수단은, 씽크대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 상기 블럭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접촉단은 구형의 볼 형상으로 돌출시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포켓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하부로 움직이는 유동 공간을 가지며, 상기 유동 공간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가이드 포켓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 및 상기 유동 공간의 하부측으로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록킹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 포켓의 홈으로 유도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가이드 포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적어도 1개의 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크의 하부면 표면상으로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 핀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 홈들;을 가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대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인너 캐비넷; 및 상기 인너 캐비넷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 링크부는,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인너 캐비넷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 및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강대를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는 상기 승강대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인너 캐비넷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하단부 양단은 상기 제1 절첩 링크가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서포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은 상기 서포터 로드의 랜딩을 유도하여 하사점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절첩 링크를 상기 인너 캐비넷에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홈과 상통하는 랜딩 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의 축상으로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는 양단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며, 승강 높이를 임의을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에 십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블럭의 홈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블럭은 상기 록킹 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의 빈공간에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보관하고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한 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방에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승강대를 정해진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한 사다리 또는 의자로 사용하거나, 펼쳐서 높이 조절과 이동 가능한 이동 선반 등의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를 씽크대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승강대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무빙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로부터 승강대가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전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평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씽크대는 사용자 기준으로 위치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선반 등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올려놓거나 꺼내고 또는 청소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씽크대와는 별도의 사다리나 받침대 등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 구조물을 딛고 불안정한 자세로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적당한 장소를 찾아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하고, 사용 후 적당한 보관 공간이 없으면 보관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
한편, 주방에서 사다리나 받침대 사용시 사용 안전성과 사용상의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기능이 있는 발판을 씽크대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제안되어 있으나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기존의 사다리 또는 발판 등은 주방에서 단지 사다리나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이동용 의자 또는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를 다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씽크대의 하부 빈공간에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보관하고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한 후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방에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승강대를 정해진 유도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한 사다리 또는 의자로 사용하거나, 펼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씽크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를 씽크대의 전면 방향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승강대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가 씽크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는, 씽크대 본체(100)의 하부 공간 바닥(10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상기 씽크대 본체(100)의 내벽면(102)과 전면방향 또는 상기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이거나 상기 씽크대 본체(100)의 내벽면(102)과 전면방향 및 씽크대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씽크대 본체(100)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블럭(120)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무빙블럭(120)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움직이고 상부측으로는 승강장치(20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씽크대 본체(100)의 내벽면(102)에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설치하고,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무빙블럭(120)을 설치하는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무빙블럭(120)에 연동되도록 승강대(210)를 설치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씽크대 본체(100) 내에 승강대(210)를 수납하여 간단히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1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다리 대용 발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10)의 높이를 높혀 사다리 대용 발판이나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10)의 위치는 씽크대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시켜 사용 기준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자유롭게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무빙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에 승강대가 수납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 내부로부터 승강대가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은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으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랙(111)은 씽크대 본체(100)의 내벽면(102)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랙(112)은 씽크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트랙(111)(112)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은 무빙블럭(120)을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즉, 제1 트랙(111)은 무빙블럭(1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유도하고, 제2 트랙(112)은 무빙블럭(12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따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빙블럭(120)을 매개로 승강대(210)의 위치는 씽크대 본체(10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승강대(210)의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빙블럭(120)은, 제1 트랙(111) 또는 제2 트랙(11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레일(113)을 따라 전 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무빙블럭(120)은, 씽크대 본체(100)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출수단(130)은, 씽크대 본체(100)의 하단부측 내벽면(102)에 설치되어 무빙블럭(120)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인출수단(130)으로서 탄성체(131)를 포함하는 무빙블럭(200)은, 초기 모드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131)에 밀착되어 있는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승강대(21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 플레이트(295)를 'a1'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체(131)는 무빙블럭(120)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 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a1' 방향의 푸쉬 가압력을 제거하면, 탄성체(131)에 작용하던 압축 탄성력이 순간적으로 복원 탄성력으로 전환되고, 이를 통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럭(120)은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의 제1 트랙(111)을 따라 'a2' 방향, 즉 씽크대 본체(100)의 외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인출이 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씽크대 본체(100)로부터 승강대(210)를 인출하는 경우 복잡한 사전 조작이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승강대(210)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씽크대 본체(100)측에 수납된 승강대(210)의 인출 조작 편의성이 이와 비교되는 다른 인출장치들에 비해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무빙블럭(120)은, 블럭 본체(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트랙(111)(112) 상의 슬라이드 레일(113)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접촉단(122)으로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볼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형의 볼 형상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은 슬라이드 가이드트랙(110)을 구성하는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 상의 슬라이드 레일(113)을 구성하는 홈을 따라 진입되는 경우 구형 접촉면을 형성, 접촉 면적을 최소로 유지하고,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이동 중 마찰과 마모도를 낮춰 무빙블럭(120)의 인출과 수납시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드 가이트랙(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구형의 볼 형상이 적용되는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접촉단(122)은, 무빙블럭(120)의 슬라이드 이동시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이 합류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의 분기점에서 접촉면을 최소화시켜 제1 트랙(111)과 제2 트랙(112)이 합류하는 슬라이드 레일(113)의 분기점에서의 정체 현상이나 구속을 방지하고 원할한 방향 전환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무빙블럭(120)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본체(121)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승강대(210)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전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씽크대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의 예로서 승강대의 인출 위치 조절 과정을 평면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포켓(123)의 선단에는 승강대(210)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구비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124)는 가이드 포켓(123)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하부로 움직이는 유동 공간(12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공간(127)의 상부측으로는 가이드 포켓(123)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공간(127)의 하부측으로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록킹 핀(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대(210)는, 가이드 포켓(123)의 홈으로 유도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 포켓(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적어도 1개의 포크(21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크(211)의 하부면 표면상으로는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 홈(212)들을 가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포켓(123)의 선단에 승강대(210)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는 록킹 플레이트(124)를 통해 가이드 포켓(123) 내에서의 포크(211)의 진입과 인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대(210)의 인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킹 플레이트(124)에 의한 승강대(210)의 인출 위치 조절 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대(210)의 위치 조절 전 대기 상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가 스프링(125)에 의해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고,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은 포크(211)의 록킹 홈(212)의 어느 한 곳에 록킹 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 승강대(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24)를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임의의 가압력 'P1'의 힘으로 누르면, 유동 공간(127)에서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125)이 수축되면서, 이어서, 포크(211)의 록킹 홈(212)의 어느 한 곳에 록킹 된 록킹 핀(126)의 록킹 상태가 풀리고 포크(211)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록킹 플레이트(124)의 록킹 핀(126)에 의한 포크(211)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10)를 전면 방향으로 당기면, 포크(211)는 가이드 포켓(123)으로부터 'P2' 방향으로 이탈되고, 그 이탈 위치를 임의의 지점에서 멈추고 록킹 플레이트(124)에 대한 가압력 'P1'을 해제하면, 해당 지점에 포크(211)를 구속시켜 록킹 상태가 다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승강대(210)의 인출 위치는 사용자 조작으로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즉, 씽크대 사용자는 씽크대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대(210)의 인출 위치를 록킹 플레이트(124)의 가압 조작만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승강대(210)를 필요로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200)는, 승강대(21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241)을 구비하는 인너 캐비넷(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캐비넷(240)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승강장치(200)를 구성하는 절첩 링크부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인너 캐비넷(240)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230)(23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첩 링크(230)(231)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270)(271)로 각각 결합되어 승강대(210)를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260)(2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는 승강대(21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220)(221)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인너 캐비넷(240)의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 하단부 양단은 제1 절첩 링크(230)(231)가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서포터 로드(250)(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캐비넷(240)의 가이드 홈(241)은, 서포터 로드(250)(251)의 랜딩을 유도하는 하사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홈(241)과 상통하는 랜딩 홈(242)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첩 링크부의 제1 절첩 링크(230)(231)를 접는 경우 가이드 홈(241)에 비해 낮은 위치에서 인너 캐비넷(240)에 제1 절첩 링크(230)(231)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270)(271)의 축상으로는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80)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장치(280)를 통해, 절첩링크부를 상하 방향으로 접고 펼침에 따라 승강대(210)의 상하 높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28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첩 링크(230)(231)와 제2 절첩 링크(260)(261)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270)(271)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기 위해 절첩링크부의 양단에 한쌍의 프레임(281)(282)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82)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프레임(281)을 관통하며, 승강 높이의 임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284)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이동을 규제하여 프레임(281)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도록 설치된 스토퍼(29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90)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장공 홀(284)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292)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29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장공 홀(284)에 십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록킹 블럭(291)의 홈(292)을 따라 조립되어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283)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2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 블럭(291)은 록킹 핀(293)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294)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 핀(293)과 록킹 핀 플레이트(294)는, 바람직하게는, 록킹 핀(293)의 이탈과 낙하를 차단하고 상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록킹 핀(293)이 하나의 열결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고, 록킹 핀 플레이트(294)에는 2개의 록킹 핀(293)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접링크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승강대(210)는 일측에 제2 절첩 링크(260)(261)가 접혀지고 펼쳐질 때 제2 절첩 링크(260)(261)의 힌지축(222)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장방형의 가이드 홈(223)을 형성하여 제2 절첩 링크(260)(261)의 승강을 규정된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승강대(210)는 길이를 연장하거나 상판을 이동시켜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를 구성하는 승강대의 작동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21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가이드 트랙을 따라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높이로 승강장치를 통해 승강되고 안전하게 바닥에 지지되어 사다리 발판이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상판을 펼쳐서 이동용 선반 등 다기능으로 사용한 후 씽크대 하부의 내부공간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대(2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로서 하부에 슬라이드 패널(201)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일방향으로 당겨서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대(2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로서 상판(202)을 분할하고 그 분할면을 경첩(203)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경첩(203)을 중심으로접고 펼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판(202)의 사용 가능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씽크대는, 씽크대 하부의 빈공간에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보관하고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한 후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별도의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승강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방에서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씽크대 하부에 보관된 승강대를 정해진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한 사다리 발판 또는 의자로 사용하거나, 펼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 선반 등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다기능적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씽크대 본체 101: 바닥
102: 내벽면 110: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111: 제1 트랙 112: 제2 트랙
113: 슬라이드 레일 120: 무빙블럭
121: 블럭 본체 122: 슬라이드 접촉단
123: 가이드 포켓 124: 록킹 플레이트
125: 스프링 126: 록킹 핀
127: 유동 공간 130: 인출수단
131: 탄성체 200: 승강장치
210: 승강대 211: 포크
212: 록킹 홈 220.221: 힌지축
230.231: 제1 절첩 링크 240: 인너 캐비넷
241: 가이드 홈 242: 랜딩 홈
250: 서포터 로드 260.261: 제2 절첩 링크
270.271: 연결 힌지 280: 높이조절장치
281.282: 프레임 283: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284: 장공 홀 290: 스토퍼
291: 록킹 블럭 292: 홈
293: 록킹 핀 294: 록킹 핀 플레이트
295: 푸쉬 플레이트 300: 외부 캐비넷

Claims (21)

  1. 씽크대 하부 공간에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상부면과 수평으로 상기 씽크대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전면방향 및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트랙;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무빙블럭; 및
    상기 무빙블럭의 전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조합되고 상기 무빙블럭과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트랙을 따라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높이로 승강장치로 승강되고 바닥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사다리 발판이나 의자로 사용하거나, 상판을 펼쳐서 이동용 선반으로 사용한 후 씽크대 하부의 내부공간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트랙은 씽크대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설치된 제1 트랙; 상기 씽크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 트랙; 및 상기 제1,2 트랙은 홈으로 상통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제1 트랙 또는 상기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씽크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상기 씽크대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씽크대 본체의 하단부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의 후단부를 스프링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 상기 블럭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트랙 상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습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드 접촉단;으로 구성된 다기능 씽크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단은 구형의 볼 형상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씽크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은, 블럭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포켓;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포켓의 선단에는 상기 승강대의 진입과 이탈을 제어하는 록킹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기능 씽크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포켓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하부로 움직이는 유동 공간을 가지며, 상기 유동 공간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가이드 포켓을 지지 베이스로하여 상부 방향성 탄성력을 받도록 실장된 스프링; 및 상기 유동 공간의 하부측으로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록킹 핀;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가이드 포켓의 홈으로 유도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가이드 포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적어도 1개의 포크;를 구비하는 다기능 씽크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하부면 표면상으로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 핀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 홈들;이 가공되어 있는 다기능 씽크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대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양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절첩 링크부; 상기 절첩 링크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인너 캐비넷; 및 상기 인너 캐비넷을 받쳐주는 외부 캐비넷;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링크부는, 하부 양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인너 캐비넷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절첩 링크; 및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상단부와 연결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강대를 받쳐주는 한쌍의 제2 절첩 링크;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는 승강대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교차점에 힌지축을 통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인너 캐비넷 양편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씽크대.
  16. 제 13 항 또는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의 하단부 양단은 상기 제1 절첩 링크가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서포터 로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캐비넷의 가이드 홈은 상기 서포터 로드의 랜딩을 유도하여 하사점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절첩 링크를 상기 인너 캐비넷에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홈과 상통하는 랜딩 홈;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의 축상으로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다기능 씽크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 절첩 링크와 상기 제2 절첩 링크를 연결하는 커플링 힌지를 축상으로 연결하고 조합하는 양단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며, 승강대의 승강 높이 임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 홀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현재 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과 대면하도록 내부로 파여진 홈을 구비하는 록킹 블럭; 및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장공 홀에 십입되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블럭의 홈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승강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현재 위치를 단속하고 결정하는 록킹 핀;을 포함하는 다기능 씽크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블럭은 상기 록킹 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록킹 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기능 씽크대.
KR1020220029731A 2022-03-09 2022-03-09 다기능 씽크대 KR20220041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31A KR20220041786A (ko) 2022-03-09 2022-03-09 다기능 씽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31A KR20220041786A (ko) 2022-03-09 2022-03-09 다기능 씽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86A true KR20220041786A (ko) 2022-04-01

Family

ID=8118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731A KR20220041786A (ko) 2022-03-09 2022-03-09 다기능 씽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78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17B1 (ko) 2017-03-15 2017-09-14 문승민 싱크대용 발판
KR101962607B1 (ko) 2018-10-15 2019-07-31 영남강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10085361A (ko) 2019-12-30 2021-07-08 안예원 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17B1 (ko) 2017-03-15 2017-09-14 문승민 싱크대용 발판
KR101962607B1 (ko) 2018-10-15 2019-07-31 영남강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10085361A (ko) 2019-12-30 2021-07-08 안예원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16296A1 (en) Vertical height work surface adjustment apparatus
CN107307949B (zh) 载人机器人
US8894078B2 (en) Juvenile walker
US6795988B2 (en) Bed, particularly a hospital or nursing bed
US5594961A (en) Adjustable height bed
KR102308370B1 (ko) 이동식 사다리
CN112955053A (zh) 一种多功能茶几桌
CN110525293A (zh) 用于儿童安全座椅的支撑底座
US7878583B2 (en) Foldable high chair
KR20220041786A (ko) 다기능 씽크대
KR101703230B1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537007B1 (ko) 다기능 승강대
KR102538493B1 (ko) 다기능 씽크대
KR20220041787A (ko) 다기능 승강대
CN210539639U (zh) 一种可升降折叠桌及其应用结构
CN209210282U (zh) 一种剪叉式扶手升降机构
CN212995542U (zh) 一种折叠式家庭看护椅扶手
JP2000316635A (ja) 引き伸ばし可能なテーブル
KR102418551B1 (ko) 스탠딩 기능을 포함한 휠체어
KR101180864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KR10229854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CN210169464U (zh) 带可折叠靠背的椅子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KR200493853Y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CN212939056U (zh) 一种高度可调的婴儿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