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53Y1 -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53Y1
KR200493853Y1 KR2020190003684U KR20190003684U KR200493853Y1 KR 200493853 Y1 KR200493853 Y1 KR 200493853Y1 KR 2020190003684 U KR2020190003684 U KR 2020190003684U KR 20190003684 U KR20190003684 U KR 20190003684U KR 200493853 Y1 KR200493853 Y1 KR 200493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frames
pair
fram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617U (ko
Inventor
이교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테크
Priority to KR202019000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5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제 1상판; 제 2상판; 상기 제 1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의 수직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서 다수의 길이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의 일측 수직벽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과 상기 길이조정홀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켜서 삽입되는 길이조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VARIABLE 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AND LENGTH}
본 고안은 가변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DDLt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로 식사, 응접, 회의 등에 사용된다. 테이블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테이블은 크기에 따라 식사용 테이블, 응접용 테이블, 티테이블, 회의용 테이블, 사이드 테이블 등으로 분류된다. 테이블의 기본적인 형태는 상판이 있고, 하부에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테이블은 그 크기가 고정된 형태로, 넓이도 고정된 형태로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710호(1999.10.04)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7388(2011.07.0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판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은, 제 1상판; 제 2상판; 상기 제 1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의 수직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서 다수의 길이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의 일측 수직벽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과 상기 길이조정홀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켜서 삽입되는 길이조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상기 제 2다리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다리부 및 제 2다리부에 각각 높이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본체; 상기 수직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본체의 중앙과 상기 측벽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실린더; 및 상기 수직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부분이 상기 수직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제 2다리부의 측벽부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본체의 소정지점에는 높이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들에는 상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고정홀과 상기 높이조절홀을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은, 제 1상판; 제 2상판; 상기 제 1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 상기 제 2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 및 상기 제 1다리부 및 제 2다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상기 제 2다리부는 다수의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본체; 상기 수직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본체의 중앙과 상기 측벽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실린더; 및 상기 수직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부분이 상기 수직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제 2다리부의 측벽부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본체의 소정지점에는 높이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들에는 상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고정홀과 상기 높이조절홀을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상판은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좌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우측 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상판은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우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좌측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폭이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폭보다 좁거나 넓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 1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 2프레임은 상호간에 접하여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시보다 많은 인원이 회의, 업무, 식사 또는 다과 등을 할 때에도 별도의 탁자이나 상을 준비할 필요 없이 초과된 인원이 동시에 회의, 업무, 식사 또는 다과를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원 증가시 필요한 보조 탁자나 상을 마련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의 보관 장소가 필요 없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아이들이나 어른들의 키 차이로 생기는 불편함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을 늘린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을 좁힌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에서 다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에서 다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높이를 줄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을 늘린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을 좁힌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상판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은, 제 1상판(11), 제 2상판(12), 상기 제 1상판(1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31),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32), 상기 제 1프레임(31)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21) 및 상기 제 2프레임(32)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상판(11)은 한 쌍의 제 1프레임(31)의 좌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1프레임(31)의 우측 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상판(12)는 한 쌍의 제 2프레임(32)의 우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2프레임(32)의 좌측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된다(도 4 참조).
또한, 가변형 테이블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은 서로 접하여서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상기 한 쌍의 제 1프레임(31)의 폭이 상기 한 쌍의 제 2프레임(32)의 폭보다 좁거나 넓을 수 있다. 일 예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 1프레임(31)의 폭이 상기 한 쌍의 제 2프레임(3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제 1프레임(31)의 수직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서 다수의 길이조정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32)의 일측 수직벽에는 고정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34)과 상기 길이조정홀(33)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켜서 길이조정핀(3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길이를 늘리기 위하여,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의 연결을 최대 길이로 하고, 상기 제 1상판(11)과 제 2상판(12)이 위치하지 않는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에는 보조상판(13)을 위치시켜 마무리를 한다. 이때, 상기 제 1프레임(31)에 형성된 다수의 길이조정홀(33) 중에서 가장 우측에 형성된 길이조정홀(33)과 상기 제 2프레임(32)에 형성된 고정홀(34)을 일치시킨 후에 길이조정핀(35)을 삽입시켜서,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을 결합시킨다.
반대로, 테이블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상판(13)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의 연결을 최소 길이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프레임(31)에 형성된 다수의 길이조정홀(33) 중에서 가장 좌측에 형성된 길이조정홀(33)과 제 2프레임(32)에 형성된 고정홀(34)을 일치시킨 후에 길이조정핀(35)을 삽입시켜서, 상기 제 1프레임(31)과 제 2프레임(32)을 결합시킨다.
,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에서 다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에서 다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높이를 줄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다리부(21) 및 제 2다리부(22)에는 높이조절장치(5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다리부(21)와 상기 제 2다리부(22)는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28)와 상기 가로부재(28)와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재(2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다리부(21)와 제 2다리부(22)에는 테이블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2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는 상기 제 1다리부(21)과 상기 제 2다리부(22)에 각각 구비된 4개의 측벽부재(27)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50)는 그 상부에 보강프레임(36)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프레임(31) 또는 제 2프레임(3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와의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는 수직본체(51), 상기 수직본체(51)의 일측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27)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52), 상기 수직본체(51)의 중앙과 상기 측벽부재(27)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실린더(53) 및 상기 수직본체(51)와 상기 측벽부재(27)를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55)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본체(5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2)에는 상기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에 구비된 측벽부재(27)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다리부의 높이를 높이거나 줄일 때 상기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에 대하여 상기 높이조절장치(50)를 상하로 승강시키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테이블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실린더(53)의 실린더부분이 상기 수직본체(51)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53)의 실린더로드(54)가 상기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의 측벽부재(27)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실린더(53)이 압축력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장치와 다리부의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 다리부에 대하여 높이조절장치(51)의 상방으로의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높이를 줄이기 위하여 높이조절장치(51)를 하강시킬 때에도 높이조절장치(51)가 급격하게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수직본체(51)의 소정지점에는 높이고정홀(56)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7)들에는 상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높이조절홀(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고정홀(56)과 상기 높이조절홀(57)을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5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장치(50)를 일정위치의 높이로 맞춘 후에 상기 높이고정홀(56)과 상기 다수의 높이조절홀(57) 중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홀(57)을 일치시킨 후에 상기 높이조절핀(55)을 삽입시켜서, 상기 높이조절장치(50)와 상기 제 1다리부(21) 또는 상기 제 2다리부(22)를 결합시켜서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높이조절핀(55)을 빼고 제 1상판(11)과 제 2상판(12)을 눌러서, 높이조절장치(50)의 수직본체(51)에 형성된 높이고정홀(56)과 상기 측벽부재(27)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홀(57) 중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홀(57)을 일치시킨 후에 상기 높이조절핀(55)을 삽입시켜서 높이조절장치(50)와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를 고정시켜서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높이조절핀(55)을 빼면 상기 압축실린더(53)의 작동을 통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수직본체(51)가 상기 측벽부재(27)에 대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런 동작중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높이에 도달했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수직본체(51)에 형성된 높이고정홀(56)과 상기 측벽부재(27)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홀(57) 중 상단에 형성된 높이조절홀(57)을 일치시킨 후에 상기 높이조절핀(55)을 삽입시켜서 높이조절장치(50)와 제 1다리부(21) 또는 제 2다리부(22)를 고정시켜서 높이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제 1상판 12: 제 2상판
13: 보조상판 21: 제 1다리부
22: 제 2다리부 25: 바퀴
27: 측벽부재 28: 가로부재
31: 제 1프레임 32: 제 2프레임
33: 길이조정홀 34: 고정홀
35: 길이조정핀 36: 보강프레임
50: 높이조절장치 51: 수직본체
52: 가이드레일 53: 압축실린더
54: 실린더로드 55: 높이조절핀
56: 높이고정홀 57: 높이조절홀

Claims (12)

  1. 제 1상판;
    제 2상판;
    상기 제 1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의 수직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서 다수의 길이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의 일측 수직벽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과 상기 길이조정홀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켜서 삽입되는 길이조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상기 제 2다리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다수의 가로부재; 상기 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재; 및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본체;
    상기 수직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본체의 중앙과 상기 측벽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실린더; 및
    상기 수직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부분이 상기 수직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제 2다리부의 측벽부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본체의 소정지점에는 높이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들에는 상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고정홀과 상기 높이조절홀을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7. 제 1상판;
    제 2상판;
    상기 제 1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프레임;
    상기 제 2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접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다리부;
    상기 제 2프레임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다리부; 및
    상기 제 1다리부 및 제 2다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상기 제 2다리부는 다수의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본체;
    상기 수직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본체의 중앙과 상기 측벽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실린더; 및
    상기 수직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부분이 상기 수직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기 제 1다리부 또는 제 2다리부의 측벽부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본체의 소정지점에는 높이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들에는 상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고정홀과 상기 높이조절홀을 결합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11. 제 1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판은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좌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우측 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상판은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우측에 치우쳐서 결합되어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좌측부분이 남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12. 제 1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 1프레임의 폭이 한 쌍의 제 2프레임의 폭보다 좁거나 넓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 1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 2프레임은 상호간에 접하여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테이블.
KR2020190003684U 2019-09-05 2019-09-05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KR200493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84U KR200493853Y1 (ko) 2019-09-05 2019-09-05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84U KR200493853Y1 (ko) 2019-09-05 2019-09-05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17U KR20210000617U (ko) 2021-03-15
KR200493853Y1 true KR200493853Y1 (ko) 2021-06-16

Family

ID=7487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84U KR200493853Y1 (ko) 2019-09-05 2019-09-05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5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6004Y (zh) * 1994-01-19 1994-12-28 杨佳宁 可伸缩的方便桌
JP3158791B2 (ja) * 1993-07-14 2001-04-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耐圧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5466A (en) * 1980-01-11 1982-02-16 Fleetwood Furniture Company Adjustable table
KR200163710Y1 (ko) 1999-07-07 2000-02-15 신동수 면적가변형테이블
KR20110007388U (ko) 2010-01-19 2011-07-27 김태영 상판 가변식 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791B2 (ja) * 1993-07-14 2001-04-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耐圧構造
CN2186004Y (zh) * 1994-01-19 1994-12-28 杨佳宁 可伸缩的方便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17U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598B1 (en) Rise up table top
US4194452A (en) Convertible table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EP2946689B1 (en) A desk with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op
US20130014674A1 (en) Height adjustable desktop apparatus
US6742461B1 (en) Extensible table
CN204444776U (zh) 一种茶几伸缩附件
KR101731192B1 (ko) 길이 가변 테이블
KR100738392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EP4017316A1 (en) Extension table
KR200493853Y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CN104207482A (zh) 多功能折叠课桌椅
KR200485649Y1 (ko) 평상 겸용 테이블
CN105559335B (zh) 一种可伸缩折叠的桌子及其使用方法
CN107997377A (zh) 一种可以调节的餐桌
CN107280233A (zh) 一种可伸长桌子
KR100940201B1 (ko) 키 높이 책·걸상용 높이조절 장치
EP1044629A2 (en) Extendable table
KR20090043891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CN105877149A (zh) 一种桌面面积可调节的桌子
CN108577291B (zh) 一种便于肌肉无力的人起身的凳子
CN105231664A (zh) 一种桌台
KR200380966Y1 (ko) 의자가 구비된 책상
CN109081265A (zh) 一种宽座移动机座
CN203748950U (zh) 组合式桌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