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40B1 - 트롤리 - Google Patents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40B1
KR101454640B1 KR1020130008797A KR20130008797A KR101454640B1 KR 101454640 B1 KR101454640 B1 KR 101454640B1 KR 1020130008797 A KR1020130008797 A KR 1020130008797A KR 20130008797 A KR20130008797 A KR 20130008797A KR 101454640 B1 KR101454640 B1 KR 10145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crew shaft
coupled
trolle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872A (ko
Inventor
권도훈
안영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트롤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을 지지하며 물체를 매달 수 있는 걸이부를 갖춘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제동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조작핸들의 회전을 제동장치의 동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조작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동력전달유닛의 기어 축과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결합된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롤리{TROLLY}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필요 시 제동을 구현할 수 있는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는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단 상태로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장치다. 이러한 트롤리는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 중량물의 이송이 필요한 곳에서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트롤리는 복수의 휠을 구비하며 H빔 또는 I빔 형태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몸체부와,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기 위해 몸체부에 마련된 고리부를 구비한다. 트롤리의 고리부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물체가 매달린 트롤리를 밀거나 끌어주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트롤리는 미국특허 4,343,240호(1982. 8. 10) 및 미국특허 4,248,157호(1981. 2. 3)의 예를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은 파도, 조류, 바람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울거나 흔들림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불안정안 환경에 설치되는 트롤리는 레일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원치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치않는 상황에서 트롤리가 이동할 경우에는 운반작업에 어려움을 생길 수 있고, 트롤리 또는 트롤리에 매달린 물체가 주변 구조물에 부딪쳐 파손될 수 있다.
미국특허 4,343,240호(1982. 8. 10. 공고) 미국특허 4,248,157호(1981. 2. 3.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요 시 제동을 구현하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동을 구현할 수 있고, 수동조작을 위한 핸들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을 지지하며 물체를 매달 수 있는 걸이부를 갖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제동장치;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조작핸들의 회전을 상기 제동장치의 동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상기 조작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기어 축과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결합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상기 조작핸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덮개는 중공의 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가이드덮개의 끝단에 조립 및 용접접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돌출되게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몸체부 하측에 설치된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레일 저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된 피동베벨기어와, 상기 피동베벨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축에 상기 접속부가 연결된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베벨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에 치합되며 상기 축에 상기 접속부가 연결된 웜기어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웜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휠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판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부가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축은 양측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를 구비하고,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나사축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이동부재와,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제동장치를 이용해 트롤리의 몸체부를 레일에 구속시키는 방식으로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원치 않는 상황에서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동장치의 가압부재가 나사축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면서 레일의 하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제동을 구현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동 및 제동해제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조작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동 및 제동해제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동 후 조작핸들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트롤리 주변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일직선을 벗어난 비스듬한 일정각도에서도 조작핸들의 회전을 나사축으로 전달하여 제동 및 제동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 가이드덮개 속으로 조작핸들을 밀어 넣는 동작으로 조작핸들을 접속부에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에 적용될 수 있는 동력전달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트롤리(100)는 천장(또는 공중)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에서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레일(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가진 빔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10)에 설치되는 트롤리(100)는 레일(10)의 양측에 그 일부가 각각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레일(10)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복수의 휠(110), 복수의 휠(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들 휠(110)의 구름운동에 의해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몸체부(120), 물체를 매달기 위해 몸체부(120)의 하측에 설치된 걸이부(130), 그리고 필요 시 몸체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동장치(140)를 구비한다.
복수의 휠(110)은 안정된 주행을 위해 레일(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양측에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휠(110)이 채용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휠의 수나 배치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휠의 수나 배치는 레일(10)의 형태 등이 변경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즉 몸체부(120)에 하나의 휠(110)이 장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몸체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두개의 휠(110)을 지지하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레일(10)의 하측에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구비한다.
연결부(123)는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단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양단에 조임너트(123b)가 체결됨으로써 제1측면판(121) 및 제2측면판(122)에 고정되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3)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지지로드(123a)의 외면에 결합되는 와셔 또는 부시(123c)의 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레일(10)의 폭에 대응하여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임너트(123b)는 제1 및 제2측면판(121,122) 외측에서 각 지지로드(123a)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로드(123a)가 제1 및 제2측면판(121,122)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부(130)는 아치형으로 마련되어 양측 지지로드(123a)의 중간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물체를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그 중간 부분에 걸이홈(131)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부(130)의 걸이홈(131)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걸이홈(131)에 직접 로프를 결속하는 방식으로도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로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연결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하측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로드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 연결부(123)는 양단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에 고정되는 금속패널이나 형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제1측면판(121) 및 제2측면판(122)과 일체로 연결된 금속구조물일 수 있다. 즉 제1측면판(121), 제2측면판(122), 연결부가 주물제작에 의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휠(110)은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에 고정된 축(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각 휠(11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112)에 의해 축(1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동장치(1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141)과, 나사축(14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승강하면서 레일(10)의 저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제동을 구현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나사축(14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연결하는 두 지지로드(123a) 사이에 지지로드(123a)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사축(141)은 양단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1 및 제2측면판(121,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양측에 왼나사부(141a)와 오른나사부(141b)를 구비한다.
가압유닛은 나사축(141)의 왼나사부(141a)와 오른나사부(141b)에 각각 결합된 제1이동부재(142)와 제2이동부재(143), 나사축(141) 상부의 레일(10) 하측에 배치되며 대략 평판형태로 마련된 가압부재(144), 가압부재(144)의 한쪽과 제1이동부재(142)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145), 가압부재(144)의 다른 쪽과 제2이동부재(143)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146)를 포함한다.
제1연결링크(145)의 양단은 각각 가압부재(144)와 제1이동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연결링크(146)도 같은 방식으로 제2이동부재(143)와 가압부재(144)를 연결한다. 가압부재(144)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레일(10)과 접하는 상면에 마찰패드(144a)가 부착될 수 있다. 마찰패드(144a)는 고무, 실리콘, 가죽처럼 마찰력이 큰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또 가압유닛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동부재(142)와 제2이동부재(143)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4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147)는 제1 및 제2이동부재(142,143)와 접한 상태로 나사축(14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양단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140)는 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제1이동부재(142)와 제2이동부재(143)가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연결링크(145,146)가 가압부재(144)를 밀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는 방식으로 가압부재(144)의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144)는 도 4의 예처럼 상승동작에 의해 레일(10) 저면을 가압함으로써 제동을 구현할 수 있고, 도 2의 예처럼 레일(10) 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트롤리(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일에 설치된 몸체부(1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수동조작으로 나사축(141)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핸들(150)과, 조작핸들(150)의 회전을 나사축(141)으로 전달하기 위해 몸체부(120)에 설치된 동력전달유닛(160)을 구비한다.
동력전달유닛(1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면판(121) 외측으로 연장된 나사축(141)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피동베벨기어(161)와, 피동베벨기어(161)와 치합되며 그 축(162a)이 나사축(141)과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구동베벨기어(162), 피동베벨기어(161)와 구동베벨기어(162)를 수용한 상태로 제1측면판(121)에 결합되며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163), 그리고 조작핸들(150)의 접속을 위해 지지체(163) 하부로 연장된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에 연결된 소켓형 접속부(1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부(164)는 조작핸들(15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각형의 접속홈(16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접속부(164)는 조작핸들(150)의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과 유니버셜조인트(170)에 의해 결합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64)에 접속된 조작핸들(150)이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과 일정각도를 이루는 상태에서도 조작핸들(150)의 회전에 따라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접속부(164)에 접속되도록 조작핸들(15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18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덮개(180)는 조작핸들(150)을 전방향에서 가이드할 수 있고, 접속부(164)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경사면(181)을 가진 중공의 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164)는 가이드덮개(180)의 끝단에 조립 및 용접접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돌출되게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64)가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과 유니버셜조인트(17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덮개(180)는 비스듬하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조작핸들(150)을 접속부(164)와 일직선상에서 접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각도에서 비스듬하게 가이드덮개(180) 속으로 조작핸들(150)을 밀어 넣는 동작으로 조작핸들(150)을 접속부(164)에 편리하게 접속(연결)시킬 수 있다.
조작핸들(1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작업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트롤리(100)의 동력전달유닛(160)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길이가 긴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조작핸들(150)은 한 쪽에 회전 조작을 위한 굴절형 손잡이부(151)를 구비하고, 동력전달유닛(160)의 접속부(164)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홈(164a)과 대응하는 형태로 손잡이부(151) 반대편 단부에 마련된 다각형의 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조작핸들(1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할 때 동력전달유닛(160)의 접속부(164)에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조작핸들(150)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핸들(150)을 회전시키면, 동력전달유닛(160)의 구동베벨기어(162)가 회전하고, 구동베벨기어(162)의 회전은 피동베벨기어(161)로 전달되어 나사축(141)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핸들(15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나사축(14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들 통해 가압부재(144)를 승강시켜 제동 또는 제동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트롤리(100)를 이용해 중량물을 이송하고자 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100)의 걸이부(130)에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고, 권상장치(20)를 이용해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중량물을 밀거나 끌어주는 방식으로 트롤리(100)와 함께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제동장치(140)의 제동이 해제된 상태다.
사용자가 트롤리(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또는 현재 위치에서 정지시키고자 할 때는 제동장치(140)를 이용해 몸체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핸들(150)을 동력전달유닛(160)의 접속부(164)에 접속시킨 후 도 4와 같이 조작핸들(150)로 나사축(141)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부재(144)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트롤리(100)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속부(164)가 구동베벨기어(162)의 축(162a)과 유니버셜조인트(17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해당 축(162a)과 일정각도에서도 조작핸들(150)의 회전을 나사축(14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제동을 수행하면, 가압부재(144) 상면에 부착된 마찰패드(144a)가 레일(10)의 저면을 압착하게 되므로 안정된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제동 후 조작핸들(150)을 동력전달유닛(160)의 접속부(164)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100) 주변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트롤리(100)의 제동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다시 조작핸들(150)을 동력전달유닛(160)의 접속부(164)에 접속시켜 제동장치(140)를 역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쉽게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동력전달유닛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동력전달유닛(260)은 나사축(141)에 결합된 웜휠(261)과, 웜휠(261)에 치합되며 그 축(262a)에 조작핸들(150)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263)가 연결된 웜기어(262)와, 몸체부(120)의 제1측면판(121)에 결합된 상태로 웜기어(262)의 축(26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264)를 포함한다. 이때,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부(263)는 조작핸들(150)의 회전을 전달하는 축(262a)과 유니버셜조인트(170, 도 2 참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접속부(164)에 접속되도록 조작핸들(15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180, 도 2 참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의 동력전달유닛(260)은 조작핸들(15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조작핸들(150)로 웜기어(262)를 회전시키면, 웜휠(261)이 회전하면서 나사축(14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나사축(141)의 동작에 의해 제동 또는 제동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유닛(260)은 나사축(141)의 회전이 역으로(조작핸들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동상태 또는 제동해제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레일, 100: 트롤리,
110: 휠, 120: 몸체부,
121: 제1측면판, 122: 제2측면판,
123: 연결부, 130: 걸이부,
140: 제동장치, 141: 나사축,
142: 제1이동부재, 143: 제2이동부재,
144: 가압부재, 144a: 마찰패드,
150: 조작핸들, 160,260: 동력전달유닛,
161: 피동베벨기어, 162: 구동베벨기어,
163: 지지체, 164: 접속부,
170: 유니버셜조인트, 180: 가이드덮개,
261: 웜휠, 262: 웜기어.

Claims (9)

  1.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을 지지하며 물체를 매달 수 있는 걸이부를 갖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제동장치;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조작핸들의 회전을 상기 제동장치의 동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상기 조작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기어 축과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결합된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몸체부 하측에 설치되며, 양측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를 구비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레일 저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나사축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이동부재와,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상기 조작핸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트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덮개는 중공의 콘 형상으로 마련된 트롤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가이드덮개의 끝단에 조립 및 용접접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돌출되게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트롤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된 피동베벨기어;
    상기 피동베벨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축에 상기 접속부가 연결된 구동베벨기어;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베벨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트롤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된 웜휠;
    상기 웜휠에 치합되며 상기 축에 상기 접속부가 연결된 웜기어;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웜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트롤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휠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판;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을 연결하며 상기 걸이부가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축은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트롤리.
KR1020130008797A 2013-01-25 2013-01-25 트롤리 KR10145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97A KR101454640B1 (ko) 2013-01-25 2013-01-25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97A KR101454640B1 (ko) 2013-01-25 2013-01-25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72A KR20140095872A (ko) 2014-08-04
KR101454640B1 true KR101454640B1 (ko) 2014-10-27

Family

ID=517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797A KR101454640B1 (ko) 2013-01-25 2013-01-25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97A (ja) * 1993-06-01 1994-12-13 Kito Corp ギヤードトロリ
JP2005187155A (ja) * 2003-12-25 2005-07-14 Kito Corp クレーン装置
KR20120050095A (ko) * 2010-11-10 2012-05-1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97A (ja) * 1993-06-01 1994-12-13 Kito Corp ギヤードトロリ
JP2005187155A (ja) * 2003-12-25 2005-07-14 Kito Corp クレーン装置
KR20120050095A (ko) * 2010-11-10 2012-05-1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72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211B1 (ko)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
KR101465956B1 (ko) 트롤리
KR101454640B1 (ko) 트롤리
KR101454641B1 (ko) 트롤리
CN204173799U (zh) 变幅式龙门吊装置
KR101460009B1 (ko) 트롤리
KR101487662B1 (ko) 트롤리
CN104310232B (zh) 变幅式龙门吊装置
KR101487682B1 (ko) 트롤리
KR101454631B1 (ko) 트롤리
KR101454636B1 (ko) 트롤리
KR101454637B1 (ko) 트롤리
KR101599341B1 (ko) 트롤리
KR101475208B1 (ko) 트롤리 장치
KR101497318B1 (ko) 트롤리
KR101916695B1 (ko)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과 트롤리
JP2011231474A (ja) 足場装置とその設置方法及び移動方法
KR101475209B1 (ko) 트롤리
KR101412483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KR101412482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KR101763608B1 (ko) 트롤리
KR101465958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KR101884791B1 (ko) 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