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556A - 트롤리 - Google Patents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556A
KR20140138556A KR1020140145730A KR20140145730A KR20140138556A KR 20140138556 A KR20140138556 A KR 20140138556A KR 1020140145730 A KR1020140145730 A KR 1020140145730A KR 20140145730 A KR20140145730 A KR 20140145730A KR 20140138556 A KR20140138556 A KR 2014013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screw shaft
moving member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341B1 (ko
Inventor
허종행
주성호
홍윤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트롤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과, 휠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레일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몸체부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나사축,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여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와 연결되되 이동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휠의 측면 또는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롤리{TROLLY}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필요 시 제동을 구현할 수 있는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는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단 상태로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장치다. 이러한 트롤리는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 중량물의 이송이 필요한 곳에서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트롤리는 복수의 휠을 구비하며 H빔 또는 I빔 형태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몸체부와,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기 위해 몸체부에 마련된 걸이부를 구비한다. 트롤리의 걸이부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물체가 매달린 트롤리를 밀거나 끌어주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트롤리는 미국특허 4,343,240호(1982. 8. 10) 및 미국특허 4,248,157호(1981. 2. 3)의 예를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은 파도, 조류, 바람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울거나 흔들림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불안정안 환경에 설치되는 트롤리는 레일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원치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치않는 상황에서 트롤리가 이동할 경우에는 운반작업에 어려움을 생길 수 있고, 트롤리 또는 트롤리에 매달린 물체가 주변 구조물에 부딪쳐 파손될 수 있다.
미국특허 4,343,240호(1982. 8. 10. 공고) 미국특허 4,248,157호(1981. 2. 3.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요 시 제동을 구현하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동을 구현할 수 있고 수동조작을 위한 핸들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 상기 휠을 지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나사축과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가압부재가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나사축은 길이방향 양측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나사축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의 측단 쪽에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일 측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캠면과 접하되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의 측단 쪽에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이동부재 쪽으로 이동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휠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판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상기 제1측면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지지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나사축의 회전 조작을 위해 상기 나사축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접속되는 조작핸들을 더 포함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제동장치를 이용해 트롤리를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원치 않는 상황에서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제동장치의 나사축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가 레일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휠의 측면 또는 레일의 측단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방식으로 제동을 구현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동 및 제동해제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는 사용자가 조작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동 및 제동해제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동 후 조작핸들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트롤리 주변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단면도로,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단면도로, 제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단면도로,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단면도로, 제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트롤리(100)는 천장(또는 공중)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에서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레일(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가진 빔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10)에 설치되는 트롤리(100)는 레일(10)의 양측에 그 일부가 각각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레일(10)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복수의 휠(110), 복수의 휠(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들 휠(110)의 구름운동에 의해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몸체부(120), 물체를 매달기 위해 몸체부(120)의 하측에 설치된 걸이부(130), 그리고 필요 시 몸체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동장치(140)를 구비한다.
복수의 휠(110)은 안정된 주행을 위해 레일(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양측에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휠(110)이 채용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휠의 수나 배치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휠의 수나 배치는 레일(10)의 형태 등이 변경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몸체부(1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두개의 휠(110)을 지지하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레일(10)의 하측에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구비한다.
연결부(123)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단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로드(123a)는 각각의 양단에 조임너트(123b)가 체결됨으로써 제1측면판(121) 및 제2측면판(1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연결부(123)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지지로드(123a) 외면에 결합되는 와셔 또는 부시(123c)의 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레일(10)의 폭에 대응하여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임너트(123b)는 제1 및 제2측면판(121,122) 외측에서 각 지지로드(123a)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로드(123a)가 제1 및 제2측면판(121,122)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부(1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형으로 마련되어 양측 지지로드(123a)의 중간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물체를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그 중간 부분에 걸이홈(131)을 구비한다. 걸이부(130)의 걸이홈(131)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걸이홈(131)에 직접 로프를 결속하는 방식으로도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한편, 제1실시 예에서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를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연결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는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 하측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로드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 연결부(123)는 양단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에 고정되는 금속패널이나 형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제1측면판(121) 및 제2측면판(122)과 일체로 연결된 금속구조물일 수 있다. 즉 제1측면판(121), 제2측면판(122), 연결부가 주물제작에 의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휠(110)은 제1측면판(121)과 제2측면판(122)에 고정된 축(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각 휠(11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112,113)에 의해 축(1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동장치(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측면 쪽에 설치된 나사축(141)과, 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휠(11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나사축(141)은 제1측면판(12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1측면판(121) 외측에 장착되는 박스형 지지체(14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축(141)은 그 길이방향 양측 외면에 각각 마련된 왼나사부(141a)와 오른나사부(141b)를 구비한다.
가압유닛은 나사축(141)의 왼나사부(141a)와 오른나사부(141b)에 각각 결합된 제1이동부재(142) 및 제2이동부재(143), 휠(110)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측면판(121) 외측의 지지체(144) 내부에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145), 가압부재(145)의 한쪽과 제1이동부재(142)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146a), 가압부재(145)의 다른 쪽과 제2이동부재(143)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146b)를 포함한다.
제1연결링크(146a)의 양단은 각각 가압부재(145)와 제1이동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연결링크(146b)도 같은 방식으로 제2이동부재(143)와 가압부재(145)를 연결한다. 가압부재(145)는 진퇴에 의해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제1측면판(121)을 관통하여 휠(110) 측면 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압부(145a)를 구비한다. 또 가압부재(145)의 가압부(145a)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휠(110) 측면과 접하는 쪽에 마찰패드(145b)가 부착될 수 있다. 마찰패드(145b)는 고무, 실리콘, 가죽처럼 마찰력이 큰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동부재(142,143)는 지지체(14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각각 나사축(14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가압부재(145)는 지지체(144)에 의해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이동부재(142,143)와 가압부재(145)가 지지체(144)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형태를 예시하지만, 지지체(144) 내에는 제1 및 제2이동부재(142,143)와 가압부재(145)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동작을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140)는 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제1이동부재(142)와 제2이동부재(143)가 상반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연결링크(146a,146b)가 가압부재(145)를 휠(110) 쪽으로 밀거나 휠(11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식으로 가압부재(145)를 진퇴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145)는 도 3의 예처럼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여 휠(110)이 레일(110)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을 구현할 수 있고, 도 2의 예처럼 휠(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145)가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면, 휠(110)의 테두리에 마련된 걸림턱(114)이 레일(10)의 측단(10a)을 가압하여 레일(10)을 조이는 형태가 되므로 해당 휠(110)의 회전을 제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트롤리(100)의 제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제동을 구현하기 위해 가압부재(145)에 의해 가압되는 휠(110)은 그 축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휠(110)을 지지하는 베어링(113)도 축방향 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슬리브베어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제1실시 예의 트롤리(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롤리(100)와 이격된 위치에서 수동조작으로 나사축(1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사축(141)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접속되는 조작핸들(150)을 구비한다. 그리고 나사축(141)의 하단부에는 조작핸들(150)의 분리 가능하게 접속을 위해 다각형의 접속홈(147a)을 가진 접속부(147)가 마련된다.
조작핸들(1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작업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트롤리(100)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길이가 긴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조작핸들(150)은 한 쪽에 회전 조작을 위한 굴절형 손잡이부(151)를 구비하고, 나사축의 접속부(147)에 접속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51) 반대편 단부에 접속홈(147a)과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 다각형의 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조작핸들(1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할 때 나사축의 접속부(147)에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조작핸들(150)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핸들(150)을 회전시키면, 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이동부재(142,143)가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45)의 진퇴를 구현할 수 있고, 진퇴하는 가압부재(145)가 휠(110) 측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방식으로 제동 또는 제동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은 제1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트롤리(100)를 이용해 중량물을 이송하고자 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100)의 걸이부(130)에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고, 권상장치(20)를 이용해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중량물을 밀거나 끌어주는 방식으로 트롤리(100)와 함께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제동장치(140)의 제동이 해제된 상태다.
사용자가 트롤리(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또는 현재 위치에서 정지시키고자 할 때는 제동장치(140)를 이용해 몸체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핸들(150)을 나사축의 접속부(147)에 접속시킨 후 도 3과 같이 조작핸들(150)로 나사축(141)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부재(145)가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동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제동 후 조작핸들(150)을 나사축의 접속부(147)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100) 주변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트롤리(100)의 제동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다시 조작핸들(150)을 나사축(141)의 접속부(147)에 접속시켜 제동장치(140)를 역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쉽게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장치를 나타낸다. 제2실시 예에서 제동장치(240)는 가압부재(245)가 레일(10)의 측단(10a)을 가압하여 트롤리(100)의 제동을 구현한다. 나사축(241), 제1이동부재(242), 제2이동부재(243), 지지체(244), 제1 및 제2연결링크(246a,246b)의 구성은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의 가압부(245a) 구성에서 제1실시 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가압부(245a)는 레일(10)의 측단(10a)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1측면판(121)을 관통하여 레일(10)의 측단(10a)에 근접하도록 레일(10) 쪽으로 연장된다. 또 가압부(245a)에는 레일(10)이 측단과 대향하는 면에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패드(245b)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실시 예는 나사축(241)의 동작에 의해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하는 가압부재(245)가 레일(10)의 측단(10a)을 가압하여 제동하거나 레일(10)의 측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동이 해제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장치를 나타낸다. 제3실시 예에서 제동장치(340)는 지지체(342)에 의해 제1측면판(121) 외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나사축(341)을 구비한다. 또 나사축(341)의 동작에 의해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도록 동작하는 캠형 가압유닛을 구비한다.
가압유닛은 지지체(342) 내부의 나사축(341)에 결합되며 한쪽에 그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캠면(343a)을 갖춘 이동부재(343)와, 휠(110)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지지체(342) 내부에 설치되며 한쪽이 이동부재(343)의 캠면(343a)과 접하는 가압부재(344)와, 가압부재(344)를 이동부재(343) 쪽으로 이동시키는 복원스프링(345)을 구비한다.
이동부재(344)는 그 외면이 제1측면판(121)에 고정된 지지체(342) 내면에 지지됨으로써 나사축(34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하방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344)는 이동부재(343)의 캠면(343a)과 대응하는 각도로 마련되어 이동부재(343)의 캠면(343a)과 접하는 캠면(344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44)는 상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지지되며,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제1측면판(121)을 관통하여 휠(110) 측면 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압부(344b)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가압부(344b)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휠(110)의 측면과 접하는 쪽 마찰패드(344c)가 부착될 수 있다. 복원스프링(345)은 가압부재(344)를 이동부재(343)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재(343)의 캠면(343a)과 가압부재(344)의 캠면(344a)이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동장치(340)는 나사축(34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4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343)의 이동에 의해 이동부재(343)의 캠면(343a)과 접하는 가압부재(344)가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한다. 이러한 가압부재(344)는 도 8의 예처럼 휠(110)의 측면을 가압하여 휠(110)의 걸림턱(114)이 레일(10)의 측단(10a)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을 구현할 수 있고, 도 7의 예처럼 휠(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장치를 나타낸다. 제4실시 예에서 제동장치(440)는 제3실시 예와 달리 가압부재(444)가 레일(10)의 측단(10a)을 가압하여 제동을 구현한다. 나사축441, 이동부재(443), 지지체(442), 복원스프링(445)의 구성은 제3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된다. 다만 가압부재(444)의 가압부(444b) 구성에서 제3실시 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가압부(444b)는 레일(10)의 측단(10a)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1측면판(121)을 관통하여 레일(10)의 측단(10a)에 근접하도록 레일 쪽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압부(444b)는 제1측면판(121)에 설치되는 두 휠(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휠(110)과는 간섭되지 않는다. 또 가압부(444b)에는 레일(10)이 측단(10a)과 대향하는 면에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패드(444c)가 설치될 수 있다.
제4실시 예는 나사축(441)의 동작에 의해 레일(10)의 폭방향으로 진퇴하는 가압부재(444)가 도 10의 예처럼 레일(10)의 측단(10a)을 가압하여 제동하거나, 도 9의 예처럼 레일(10)의 측단(10a)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동이 해제할 수 있다.
[제1실시 예]
10: 레일, 100: 트롤리,
110: 휠, 120: 몸체부,
121: 제1측면판, 122: 제2측면판,
123: 연결부, 130: 걸이부,
140: 제동장치, 141: 나사축,
142: 제1이동부재, 143: 제2이동부재,
145: 가압부재, 145b: 마찰패드,
150: 조작핸들.
[제2실시 예]
240: 제동장치, 241: 나사축,
242: 제1이동부재, 243: 제2이동부재,
244: 지지체, 245: 가압부재.
[제3실시 예]
340: 제동장치, 341: 나사축,
342: 지지체, 343: 이동부재,
344: 가압부재, 345: 복원스프링.
[제4실시 예]
440: 제동장치, 441: 나사축,
442: 지지체, 443: 이동부재,
444: 가압부재, 445: 복원스프링.

Claims (4)

  1.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
    상기 휠을 지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은 길이방향 양측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나사축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의 측단 쪽에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 측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캠면과 접하되 상기 휠의 측면 또는 상기 레일의 측단 쪽에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휠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판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상기 제1측면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지지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트롤리.
KR1020140145730A 2014-10-27 2014-10-27 트롤리 KR10159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30A KR101599341B1 (ko) 2014-10-27 2014-10-27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30A KR101599341B1 (ko) 2014-10-27 2014-10-27 트롤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936A Division KR101475209B1 (ko) 2013-01-25 2013-01-25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56A true KR20140138556A (ko) 2014-12-04
KR101599341B1 KR101599341B1 (ko) 2016-03-07

Family

ID=5245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730A KR101599341B1 (ko) 2014-10-27 2014-10-27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08B1 (ko) 2015-08-10 2016-07-22 주식회사 토시스 트롤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157A (en) 1979-05-07 1981-02-03 Aero-Motive Manufacturing Company Conveyor trolleys
US4343240A (en) 1980-03-11 1982-08-10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Trolley
JP2005187155A (ja) * 2003-12-25 2005-07-14 Kito Corp クレーン装置
KR20070069131A (ko) * 2007-02-06 2007-07-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KR20070083303A (ko) * 2006-02-17 2007-08-2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주차브레이크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0095A (ko) * 2010-11-10 2012-05-1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157A (en) 1979-05-07 1981-02-03 Aero-Motive Manufacturing Company Conveyor trolleys
US4343240A (en) 1980-03-11 1982-08-10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Trolley
JP2005187155A (ja) * 2003-12-25 2005-07-14 Kito Corp クレーン装置
KR20070083303A (ko) * 2006-02-17 2007-08-2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주차브레이크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9131A (ko) * 2007-02-06 2007-07-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KR20120050095A (ko) * 2010-11-10 2012-05-1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인양장치의 인양유닛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08B1 (ko) 2015-08-10 2016-07-22 주식회사 토시스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341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625B1 (ko) 트롤리
JP2010029025A (ja) 宙乗器
JP2011525882A5 (ko)
KR101599341B1 (ko) 트롤리
KR101475209B1 (ko) 트롤리
KR101475208B1 (ko) 트롤리 장치
KR101460009B1 (ko) 트롤리
KR101487682B1 (ko) 트롤리
KR101465956B1 (ko) 트롤리
KR101454641B1 (ko) 트롤리
KR101487662B1 (ko) 트롤리
KR101497318B1 (ko) 트롤리
KR101454631B1 (ko) 트롤리
KR101454636B1 (ko) 트롤리
KR101454640B1 (ko) 트롤리
KR101454637B1 (ko) 트롤리
KR101916695B1 (ko)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과 트롤리
KR101412482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KR101412483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KR101763608B1 (ko) 트롤리
KR101465958B1 (ko)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JP2022022989A (ja)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及び搬送台車
KR20140096447A (ko) 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