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791A -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791A
KR20120049791A KR1020110053376A KR20110053376A KR20120049791A KR 20120049791 A KR20120049791 A KR 20120049791A KR 1020110053376 A KR1020110053376 A KR 1020110053376A KR 20110053376 A KR20110053376 A KR 20110053376A KR 20120049791 A KR20120049791 A KR 2012004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display module
panel display
adhesive film
optic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780B1 (ko
Inventor
김환진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US13/242,598 priority Critical patent/US9275561B2/en
Priority to TW100135836A priority patent/TWI570476B/zh
Priority to JP2011222077A priority patent/JP5902433B2/ja
Priority to DE102011085979.9A priority patent/DE102011085979B4/de
Priority to CN201110352005.7A priority patent/CN102662256B/zh
Publication of KR2012004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평판 표시 모듈의 구성 요소들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접착 필름 및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Optical adhesive film and flat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극선관(Cathode Ray Tube)를 대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지 장치(Field Emission Displya;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표시 장치 등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PDP는 구조와 제조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대화면화에 가장 유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 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EL 디스플레이 소자는 발광층이 재료에 따라 무기(Inorganic) EL 소자와 유기(Organic) EL 소자로 크게 구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EL 디스플레이 소자 중 유기물을 이용하는 EL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Organic Emitting Light Diode)는 낮은 직류 구동 전압, 박막화 가능, 발광되는 빛의 균일성, 용이한 패턴형성, 높은 발광 효율, 가시영역에서의 모든 색상 발광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소자에의 응용을 위하여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기술분야이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배면 발광(Bottom-Emission) 방식과 전면 발광(Top-Emission) 방식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는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형 유기 발광 소자(Passive Matrix Organic Emitting Light Diode; PMOLED)와 능동형 유기 발광 소자(Active Matrix Organic Emitting Diode; AMOLED)로 구분된다.
스위치 소자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lim Transistor; TFT)가 적용된 능동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화면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비발광 소자로서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이들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합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평판 표시 장치의 패널들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은,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에 이용되는 광학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에 자착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과 배면에 자착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 또는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다른 부재의 개입없이 상기 평편 표시 모듈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 또는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와,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은,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에 이용되는 광학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와, 상기 투과부와 상기 날개부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상기 투과부 및 날개부 사이에서 이들을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상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일측면 및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와,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반사부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날개부 전체와 상기 투과부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빛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과,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과 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에까지 접착되는 광학 접착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으로 구현되는 상기 화상이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은,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와, 상기 투과부와 상기 날개부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상기 투과부 및 날개부 사이에서 이들을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상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일측면 및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와,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반사부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날개부 전체와 상기 투과부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빛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은 순착적으로 적층된 백라이트 유닛, 편광판, 및 액정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은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과 배면에까지 접착되므로 평판 표시 모듈의 구성 요소들의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을 갖는 평판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판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100)은 투과부(110), 제1 날개부(111), 제2 날개부(112), 제3 날개부(113), 차광부재(111b, 112b, 113b), 반사부재(111c, 112c, 113c), 및 접착부재(114)를 구비할 수 있다.
투과부(110)는 평판 표시 장치(도 4 및 5의 10)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다. 투과부(110)는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투과부(110)는 빛의 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과부(11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과부(110)는 평판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도 4의 10a)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표시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평판 표시 모듈(1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투과부(110)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표시 영역(10a)에 대응되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 각각은 투과부(110)의 각 변(110a, 110b, 110c)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111)는 투과부(110)의 일 측부(110a)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2 날개부(112)는 투과부(110)의 타 측부(110b)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3 날개부(113)는 투과부(110)의 상측부(110c)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 각각은 평판 표시 모듈(10)의 각 측부에서 절곡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각 측면을 감싸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 일부까지 연장되어 이를 덮을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111)는 투과부(110)의 일 측부(110a)에서 절곡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일 측면(10c)을 덮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날개부(112)는 투과부(110)의 타 측부(110b)에서 절곡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타 측면(10d)을 덮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3 날개부(113)는 투과부(110)의 상측부(110a)에서 절곡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상측면(10e)을 덮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 각각의 폭(t1, t2, t3)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100)은 평판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전체와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과 배면을 덮게 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구성 요소들 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 각각은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 및 제1, 2, 3 반사부재(111c, 112c, 11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111)는 제1 베이스부(111a)와, 제1 베이스부(111a) 상에 배치되는 제1 차광부재(111b)와, 제1 차광부재(111b)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111c)로 이루질 수 있다.
제2 날개부(112)는 제2 베이스부(112a)와, 제2 베이스부(112a)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부재(112b)와, 제2 차광부재(112b)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부재(112c)로 이루질 수 있다.
제3 날개부(113)는 제3 베이스부(113a)와, 제3 베이스부(113a) 상에 배치되는 제3 차광부재(113b)와, 제3 차광부재(113b) 상에 배치되는 제3 반사부재(113c)로 이루질 수 있다.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 각각은 투과부(110)의 측부(110a, 110b, 110c)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111a)는 투과부(110)의 일 측부(110a)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12a)는 투과부(110)의 타 측부(110b)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베이스부(113a)는 투과부(110)의 상측부(110c)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는 투과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는 투과부(110)와 같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는 각각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차광부재(111b)는 제1 베이스부(111a) 상에 형성되며, 제2 차광부재(112b)는 제2 베이스부(112a) 상에 형성되며, 제3 차광부재(111b)는 제3 베이스부(113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는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도료나 안료로 이루어지며, 제1, 2, 3 베이스부(111a, 112a, 113a)의 일면에 이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는 평판 표시 장치(도 4 및 5의 10)의 측부로 입사되는 외광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2, 3 반사부재(111c, 112c, 113c)는 각각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부재(111c)는 제1 차광부재(111b) 상에 형성되며, 제2 반사부재(1121c)는 제2 차광부재(112b) 상에 형성되며, 제3 반사부재(113c)는 제1 차광부재(113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반사부재(111c, 112c, 113c)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도료나 안료로 이루어지며, 제1, 2, 3 차광부재(111b, 112b, 113b)에 이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 반사부재(111c, 112c, 113c)는 평판 표시 모듈(10)을 향하게 되며, 평판 표시 모듈(10)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빛이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재(114)는 투과부(110)의 일면과 제1, 2, 3 반사부재(111c, 112c, 113c)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114)에 의해 광학 접착 필름(100)이 평판 표시 모듈(10)과 접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판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평판 표시 장치(1000)는 평판 표시 모듈(10)과 광학 접착 필름(100)으로 이루어진다.
평판 표시 모듈(10)은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100)은 평판 표시 모듈(10)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 표시 모듈(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0a)과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패드 영역(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100)의 투과부(110)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표시 영역(10a) 상에 배치되며,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부를 감싸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 일부까지 접착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111)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일 측부(10c)를 덮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 일부를 덮으면서 평판 표시 모듈(10)에 접착된다. 제2 날개부(112)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타 측부(10d)를 덮고 평판 표시 모듈(10)의 배면 일부를 덮으면서 평판 표시 모듈(10)에 접착된다. 제3 날개부(113)는 평판 표시 모듈(10)의 상측부(10e)를 덮으면서 배면 일부를 덮으면서 평판 표시 모듈(10)에 접착된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는 "ㄷ" 형태로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 및 배면과 접착된다.
다만, 투과부(110)의 하측부(도 1의 110d)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투과부(110)가 평판 표시 모듈(10)의 표시 영역(1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므로 평판 표시 모듈(10)의 패드 영역(10b) 상에는 광학 접착 필름(100)이 배치되지 않고 노출된다.
평판 표시 모듈(10)이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종래에는 액정 패널(12)의 배면과 백라이트 유닛(11)의 전면에 양면 테이프를 배치하여 액정 패널(12)과 백라이트 유닛(11)을 접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100)은 투과부(110) 및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면인 표시 영역(도 4 및 5의 10a), 측면, 및 배면까지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패널(12)과 백라이트 유닛(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의 일면 상에는 차광부재(111b, 112b, 113b)와 반사부재(111c, 112c, 113c)가 적층되며, 반사부재(111c, 112c, 113c)가 평판 표시 모듈(10)을 향하여 배치되는바, 평판 표시 모듈(10)에서 측면으로 방출되는 빛은 반사부재(111c, 112c, 113c)에 반사되어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차광부재(111b, 112b, 113b)가 반사부재(111c, 112c, 113c)와 베이스부(111a, 112a, 113a) 사이에 배치되므로 차광부재(111b, 112b, 113b)는 외부광이 액정 표시 장치(10) 내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2, 3 날개부(111, 112, 113)가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과 배면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접착되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평판 표시 모듈(10)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평판 표시 모듈(10)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를 나타낸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1), 편광판(13), 및 액정 패널(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과 액정 패널(12) 사이에는 편광판(13)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1), 편광판(13), 액정 패널(12)이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100)의 투과부(110)는 액정 패널(12)의 전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12)의 전면에 접착부재(114)에 의해 접착되고, 날개부(111)는 투과부(11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액정 패널(12)의 측면과 배면 일부에 접착부재(1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광학 접착 필름(100)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면, 측면, 및 배면까지 덮으면서 액정 표시 장치(10)와 접착된다.
투과부(110)는 액정 패널(12)의 전면에 걸쳐 접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액정 패널(12)을 통해 방출되는 화상은 투과부(110)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100)은 투과부(110) 및 날개부(111) 전면에 걸쳐 접착부재(114)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접착 필름(100)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면인 표시 영역(도 4 및 5의 10a), 측면, 및 배면까지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패널(12)과 백라이트 유닛(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날개부(111)는 베이스부(111a), 차광부재(111b), 및 반사부재(1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11a)는 투과부(110)의 일 측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111a) 상에는 차광부재(111b)와 반사부재(111c)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반사부재(111c) 상에 접착부재(114)가 배치된다.
반사부재(111c)는 액정 표시 장치(10)를 향하게 되며, 액정 표시 장치(10)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빛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부재(111c)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측면과 배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111b)는 반사부재(111c)보다 외곽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흡수하여 외부광이 액정 표시 장치(10)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부재(111b)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측면, 배면 뿐만 아니라 전면 일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110) 상에는 편광 필름(1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20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평판 표시 장치(2000)는 액정 표시 장치(20)와 광학 접착 필름(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0)는 백라이트 유닛(21), 편광판(23), 액정 패널(22), 및 편광필름(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200)은 투과부(210), 날개부(211), 및 접착부재(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200)의 투과부(210)는 액정 패널(22) 상에 배치된 편광필름(24)에 접착부재(214)에 의해 접착되고, 날개부(211)는 투과부(21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액정 표시 장치(20)의 측부와 배면 일부에 접착부재(2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접착 필름(200)은 액정 표시 장치(20)의 전면, 측면, 및 배면까지 덮으면서 액정 표시 장치(10)와 접착되어 액정 표시 장치(20)의 구성요소들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과부(210)는 액정 패널(22)의 전면에 걸쳐 접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액정 패널(22)을 통해 방출되는 화상은 투과부(210)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200)은 투과부(210) 및 날개부(211) 전면에 걸쳐 접착부재(214)가 배치된다.
날개부(211)는 베이스부(211a), 차광부재(211b), 및 반사부재(2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11a)는 투과부(210)의 일 측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211a) 상에는 차광부재(211b)와 반사부재(211c)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반사부재(211c)는 액정 표시 장치(20)를 향하게 되며, 액정 표시 장치(20)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빛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부재(211c)는 액정 표시 장치(20)의 측면과 배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211b)는 반사부재(211c)보다 외곽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흡수하여 외부광이 액정 표시 장치(20)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부재(211b)는 반사부재(211c)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211c)는 액정 표시 장치(20)의 측면과 배면을 덮도록 베이스부(211a) 상에 배치되지만, 차광부재(211b)는 액정 표시 장치(20)의 측면과 배면뿐만 아니라 전면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300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평판 표시 장치(3000)는 액정 표시 장치(30)와 광학 접착 필름(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30)는 섀시(35) 상에 백라이트 유닛(31), 편광판(33), 액정 패널(32), 및 편광필름(34)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300)은 투과부(310), 날개부(311), 및 접착부재(3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300)의 투과부(310)는 액정 패널(32) 상에 배치된 편광필름(34)에 접착부재(314)에 의해 접착되고, 날개부(311)는 투과부(31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액정 표시 장치(30)의 측부와 배면 일부에 접착부재(3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날개부(311)는 섀시(35)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접착부재(3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접착 필름(300)은 액정 표시 장치(30)의 전면, 측면, 및 배면까지 덮으면서 액정 표시 장치(30)와 접착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30)의 구성요소들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과부(310)는 액정 패널(32)의 전면에 걸쳐 접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액정 패널(32)을 통해 방출되는 화상은 투과부(310)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300)은 투과부(310) 및 날개부(311) 전면에 걸쳐 접착부재(314)가 배치된다.
날개부(311)는 베이스부(311a), 차광부재(311b), 및 반사부재(3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311a)는 투과부(310)의 일 측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311a) 상에는 차광부재(311b)와 반사부재(311c)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반사부재(311c)는 액정 표시 장치(30)를 향하게 되며, 액정 표시 장치(30)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빛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부재(311c)는 액정 표시 장치(30)의 측면과 배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311b)는 반사부재(311c)보다 외곽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흡수하여 외부광이 액정 표시 장치(30)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부재(311b)는 반사부재(311c)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311c)는 액정 표시 장치(30)의 측면과 배면을 덮도록 베이스부(311a) 상에 배치되지만, 차광부재(311b)는 액정 표시 장치(30)의 측면과 배면뿐만 아니라 전면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4000)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평판 표시 장치(4000)는 액정 표시 장치(40)와 광학 접착 필름(4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40)는 섀시(45) 상에 백라이트 유닛(41), 편광판(43), 액정 패널(42), 편광필름(44) 및 터치 패널(47)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400)은 투과부(410), 날개부(411), 및 접착부재(4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400)의 투과부(410)는 액정 패널(32) 상에 배치된 터치 패널(47)에 접착부재(414)에 의해 접착되고, 날개부(411)는 투과부(41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액정 표시 장치(40)의 측부와 배면 일부에 접착부재(4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날개부(411)는 섀시(45)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접착부재(41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접착 필름(400)은 액정 표시 장치(40)의 전면, 측면, 및 배면까지 덮으면서 액정 표시 장치(40)와 접착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40)의 구성요소들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과부(410)는 액정 패널(42) 전면 상에 걸쳐 접착되며,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액정 패널(42)을 통해 방출되는 화상은 투과부(410)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광학 접착 필름(400)은 투과부(410) 및 날개부(411) 전면에 걸쳐 접착부재(414)가 배치된다.
날개부(411)는 베이스부(411a), 차광부재(411b), 및 반사부재(4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411a)는 투과부(410)의 일 측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411a) 상에는 차광부재(411b)와 반사부재(411c)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반사부재(411c)는 액정 표시 장치(40)를 향하게 되며, 액정 표시 장치(40)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빛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부재(411c)는 액정 표시 장치(40)의 측면과 배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411b)는 반사부재(411c)보다 외곽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흡수하여 외부광이 액정 표시 장치(40)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부재(411b)는 반사부재(411c)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411c)는 액정 표시 장치(40)의 측면과 배면을 덮도록 베이스부(411a) 상에 배치되지만, 차광부재(411b)는 액정 표시 장치(40)의 측면과 배면뿐만 아니라 전면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평판 표시 모듈
20, 30, 40: 액정 표시 장치
11, 21, 31, 41: 백라이트 유닛
12, 22, 32. 42: 액정 패널
13, 23, 33, 43: 편광판
14, 24, 34, 44: 편광 필름
100, 200, 300, 400: 광학 접착 필름
110, 210, 310, 410: 투과부
111, 112, 113, 211, 311, 411: 날개부
114, 214, 314, 414: 접착부재

Claims (40)

  1.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에 이용되는 광학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에 자착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과 배면에 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 또는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다른 부재의 개입없이 상기 평편 표시 모듈 상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 또는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의 표면에너지에 의해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 및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5.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에 이용되는 광학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 및
    상기 투과부와 상기 날개부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상기 투과부 및 날개부 사이에서 이들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상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일측면 및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 및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반사부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날개부 전체와 상기 투과부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빛이 새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착 필름.
  21.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 및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과 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에까지 접착되는 광학 접착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으로 구현되는 상기 화상이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은,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 및
    상기 투과부와 상기 날개부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상기 투과부 및 날개부 사이에서 이들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에서 상기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일측면 및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 및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 PE(Polyethylene), 아크릴(Acryl), 폴리 올레핀(Polyoleph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반사부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날개부 전체와 상기 투과부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빛이 새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은 순착적으로 적층된 백라이트 유닛, 편광판, 및 액정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8.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모듈; 및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과 측면에 자착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에까지 자착되는 광학 접착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으로 구현되는 상기 화상이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을 통해 방출되며,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은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 다른 부재의 개입없이 상기 평판 표시 모듈과 표면에너지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접착 필름은,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을 덮고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배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전면에 자착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평판 표시 모듈의 측면과 배면에 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투과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차광부재; 및
    상기 차광부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0110053376A 2010-11-09 2011-06-02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78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42,598 US9275561B2 (en) 2010-11-09 2011-09-23 Optical adhesive film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100135836A TWI570476B (zh) 2010-11-09 2011-10-04 光學黏著膜及具有該光學黏著膜之平板顯示裝置
JP2011222077A JP5902433B2 (ja) 2010-11-09 2011-10-06 光学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DE102011085979.9A DE102011085979B4 (de) 2010-11-09 2011-11-09 Flachtafelanzeigevorrichtung
CN201110352005.7A CN102662256B (zh) 2010-11-09 2011-11-09 光学粘合膜和具有该光学粘合膜的平板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0996 2010-11-09
KR1020100110996 201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791A true KR20120049791A (ko) 2012-05-17
KR101783780B1 KR101783780B1 (ko) 2017-10-11

Family

ID=4626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76A KR101783780B1 (ko) 2010-11-09 2011-06-02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02433B2 (ko)
KR (1) KR101783780B1 (ko)
CN (1) CN102662256B (ko)
TW (1) TWI57047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149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0781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02843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모듈 및 액정모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8020B2 (ja) * 2012-03-13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12072B2 (ja) * 2012-12-26 2018-04-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080028B2 (ja) * 2013-02-20 2017-02-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33623B1 (ko) * 2013-03-15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4819B1 (ko) * 2014-06-25 2020-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336384B2 (ja) * 2014-12-19 2018-06-0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07942562A (zh) * 2017-11-27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10542996B (zh) 2019-09-27 2024-05-03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透镜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331A (ja) * 1993-12-27 1995-07-25 Bridgestone Corp 積層体の製造方法
JPH09281474A (ja) * 1996-04-12 1997-10-31 Canon Inc 液晶装置及び該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H09292533A (ja) * 1996-04-26 1997-11-11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
JP3569671B2 (ja) * 2000-11-01 2004-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
JP3690298B2 (ja) * 2001-02-23 2005-08-3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6201215A (ja) * 2005-01-18 2006-08-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5167632B2 (ja) * 2006-02-02 2013-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419953B (zh) * 2007-12-04 2013-12-21 Innolux Corp 液晶顯示裝置
CN101730401A (zh) * 2008-10-22 2010-06-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式手持电子装置
JP2012003177A (ja) * 2010-06-21 2012-01-05 Casio Comput Co Ltd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149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0781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02843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모듈 및 액정모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2256A (zh) 2012-09-12
TWI570476B (zh) 2017-02-11
JP2012103687A (ja) 2012-05-31
TW201250340A (en) 2012-12-16
JP5902433B2 (ja) 2016-04-13
KR101783780B1 (ko) 2017-10-11
CN102662256B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780B1 (ko)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857251B1 (ko) 평판 표시 장치
US9275561B2 (en) Optical adhesive film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42422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1512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76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1601245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11424B2 (en)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US9423653B2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31440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48053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2979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207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148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275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488540B (zh) 一种显示装置
US970925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russ structure
KR2017006416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WO2015083483A1 (ja) 面発光ユニット
US20070164660A1 (en) Dual-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948854B1 (ko)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167883B2 (ja) 面発光ユニット
KR101974107B1 (ko) 표시 장치
KR102395576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