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579A -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579A
KR20120049579A KR1020100110903A KR20100110903A KR20120049579A KR 20120049579 A KR20120049579 A KR 20120049579A KR 1020100110903 A KR1020100110903 A KR 1020100110903A KR 20100110903 A KR20100110903 A KR 20100110903A KR 20120049579 A KR20120049579 A KR 20120049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treatment agent
fabric treat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988B1 (ko
Inventor
박승권
Original Assignee
박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권 filed Critical 박승권
Priority to KR102010011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with halides or oxyhalides of silicon; with fluorosilic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45Nitriles
    • D06M13/348Nitriles unsaturated, e.g. acrylonitr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 원단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수제와 나노물질을 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그리고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섬유산업에 있어서의 시대적 흐름에 맞추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유원단에 처리함으로써 발수, 발유의 기능성을 물론 항균성, 항곰팡이, 방오성, 진드기 기피성 등의 효과로 환경적 피해 요소를 최소화 시켜주며, 무엇보다도 무기 바인더의 우수한 접착력 때문에 섬유원단의 조직을 감싸든가 흡수되고 열풍으로 섬유원단에 고착화되어 일체화됨으로써 기존 발수섬유와는 달리 20회까지 세탁해도(손빨래는 50회) 그대로 발수 기능이 유지되는 우수한 제품인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이용하여 섬유원단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ENVIRONMENTAL-FRIENDLY TREATING AGENT OF TEXTILES AND THE TEXTILES TREATED BY THE AGENT AND TRE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수제와 나노물질을 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그리고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1960, 1970년대 저임금을 앞세워 산업을 주도한 섬유산업은, 임금인상 및 낙후된 기술 그리고 소재의 부재에 따라 갈수록 경쟁력을 잃어버려 이미 값싼 노동력을 앞세운 중국과 동남아 시장제품과, 고품질의 유럽제품에 시장을 빼앗기고, 하향산업으로 전락하였다.
정부에서도 수천억대의 예산을 투여해 대구지역의 섬유산업 활성화를 위해 "밀레니엄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으나, 국내의 원료 및 소재의 한계성 때문에, 신소재 및 신제품 개발보다는 주로 하드웨어(설비개선, 폐수부분 등) 부분의 개선으로, 중소섬유업체에서는 신제품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파괴 문제로 전 세계 인류가 알 수 없는 피부병과 많은 어린이들이 아토피 등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에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섬유는 친환경 소재의 개발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섬유원단을 발수제 등으로 처리한 발수섬유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세탁(세탁기 또는 손빨래)에 의해 발수제가 섬유원단으로부터 탈착되어 발수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나아가 발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섬유원단에 고어텍스라는 필름(막)을 부착하여 빗물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나 안쪽에서의 땀이나 증기는 밖으로 내보내게 된 새로운 방수가공품이 개발되었는바, 종래의 방수가공한 옷을 입었을 때 생기는 '더운 습기'의 문제를 해소하게 되었다. 상기 고어텍스의 발수원리는 구멍의 크기에 있는데, 1만분의 2㎜의 구멍은 최소 1㎜의 빗방울을 통하지 못하게 하고, 1000만분의 4㎜의 수증기는 통과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어텍스의 경우 발수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발수제를 뿌려주어야 하고 깨지거나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관리를 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고어텍스나 발수섬유의 경우 상기 섬유원단과 일체화되지 못하고 필름과 발수제에 의해 기공만을 형성하는 것에 불과하여 세탁 또는 사용에 의해 발수효능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상실되는 크나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섬유산업에 있어서의 시대적 흐름에 맞추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유원단에 처리함으로써 발수, 발유의 기능성은 물론 항균성, 항곰팡이, 방오성, 진드기 기피성 등의 효과로 환경적 피해 요소를 최소화 시켜주며, 무엇보다도 무기 바인더의 우수한 접착력 때문에 섬유원단의 조직을 감싸든가 흡수되고 열풍으로 섬유원단에 고착화되어 일체화됨으로써 기존 발수섬유와는 달리 20회까지 세탁해도(손빨래는 50회) 그대로 발수 기능이 유지되는 우수한 제품인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이용하여 섬유원단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와 나노물질을 증류수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 10~20 중량부와 나노실버 0.01~0.03 중량부를 증류수 75~85 중량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상기 발수제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 2~5 중량부와 나노재료 0.1~2 중량부를 증류수 85~95 중량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상기 발수제가 1,1,2,2-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1,1,2,2-Tetrahydroperfluoroalkyl acryl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상기 나노재료는 20~50 ㎚ 크기의 SiO2, 10~30 ㎚의 TiO2, 50~80 ㎚의 ZnO, 30~60 ㎚의 Al2O3, 및 3~7 ㎚의 TiO2를 각각 20~30 : 15~25 : 20~30 : 15~25 : 15~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상기 나노재료는 톨루엔(Toluene) 또는 자일렌(Xylene)의 유기용매에 분산 후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Tetrafluoroisophthalonitirile 98%)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다음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은 섬유원단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을 상기의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에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로울러 압력 3.5~4.0 ton으로 탈수하는 탈수단계와; 상기 탈수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150~180℃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은 상기 침지단계, 탈수단계, 그리고 열풍건조단계는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를 분당 8~9 야드(yard)로 하며, 상기 열풍건조단계는 6 챔버(chamber) 텐타기를 사용하여 각 챔버이 온도를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된 섬유원단은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에 의하면,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와 나노물질을 증류수에 혼합하여 이루어져 그 구성물질이 모두 친환경 물질이므로 환경공해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섬유원단에 처리함으로써 발수, 발유의 기능성은 물론 항균성, 항곰팡이, 방오성, 진드기 기피성 등의 효과로 환경적 피해 요소를 최소화 시켜주며, 무엇보다도 무기 바인더의 우수한 접착력 때문에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가 섬유원단의 조직을 감싸든가 흡수되고 열풍으로 섬유원단에 고착화되어 일체화됨으로써 기존 발수섬유와는 달리 20회까지 세탁해도(손빨래는 50회) 그대로 발수기능이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세탁 후 150℃의 고온 다림질을 통해 그 발수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은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우수하여 구명복이나 섬유벽지, 신발소재, 의류, 모자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선도 유지 조성물의 나노캡슐 모형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의 공정도.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실크원단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스타킹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나노캡슐 모형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의 공정도이며,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실크원단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스타킹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 10~20 중량부와 나노실버 0.01~0.03 중량부를 증류수 75~85 중량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발수제는 액상의 유기질 고분자 물질로서 어떤 물질에 도포하면 공극내부에서 경화하여 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물방울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미세공을 갖는 막을 형성하는 재료이다. 즉, 물방울은 퉁기고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공기가 통과할 만한 틈은 지니고 있는 것이다.
상기 나노실버는 순은(실버, Silver)을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나노(Nano) 크기(㎚, 10-9m) 수준의 초미립자로 만든 것으로서 나노화된 은(나노실버)는 강력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있는 친환경 항균제 및 살균제이다. 이는 650여종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멸균할 수 있고 진균류(Fungi)에도 아주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상기 발수제와 친환경 살균제인 상기 나노실버를 물에 혼합함으로써 발수효과와 동시에 살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상기 발수제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실리콘계 발수제는 천연 무기소재인 SiO2에 유기화합물을 첨가한 발수제이고 상기 불소계 발수제는 천연 무기소재인 SiO2에 불소를 첨가한 발수제이며,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또는 나노크기의 미세공(11)이 형성되는 다공질성이고 천연소재인 나노 SiO2(12)에 항균물질(11)을 포집, 숙성시켜 제어함으로써 상기 항균물질이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徐放) 타입 형태로 가공하여 살균력의 지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항균물질의 살균력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항균물질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및 불소계 발수제는 환경호르몬인 APEO(Alkyl phenol ethoxlates)가 첨가되지 않은 환경 기준에 적합한 친환경 발수제를 사용하여 친환경 살균제인 나노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공해에 전혀 문제가 없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나노물질로서 나노크기의 항균재료인 SiO2에 나노 추화(催化)및 나노 표면 호능(耗能)재료 TiO2, 나노 분해재료 ZnO, 및 나노 계면재료 Al2O3를 첨가한 나노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나노재료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의 유기용매에 분산 후 나노재료 개성 첨가제로서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Tetrafluoroisophthalonitirile 98%) 등과 같은 불탄 표면활성제와 1 : 0.05 내지 1 : 0.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건조방식으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나노 개성(改性)분말을 수득하며, 이때 상기 불탄 표면활성제는 사용되는 나노재료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재료는 20~50 ㎚ 크기의 SiO2, 10~30 ㎚의 TiO2, 50~80 ㎚의 ZnO, 30~60 ㎚의 Al2O3, 및 3~7 ㎚의 TiO2를 각각 20~30 : 15~25 : 20~30 : 15~25 : 15~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나노 성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나노 개성 분말 0.1~2중량부, 1,1,2,2-테트라하이드로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1,1,2,2-Tetrahydroperfluoroalkyl acrylate)와 같은 불탄 성막 활성제(즉, 발수제) 2~5 중량부, 분산개질(증류수) 85~95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더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성 첨가제를 0.05~0.1 중량부로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배합된 원재료와 기능성 첨가제를 증류수에 첨가하고 50~70℃의 온도에서 교반기로 교반하여 분산시킨 다음, 불탄 성막 활성제를 부가한 후 천천히 교반하여 완전하게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구조 코팅막은 기재의 원 위치에서 형성되는 복합현상으로 기재와 분할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나노구조 박막재료는 다기능 복합재료로서, 표면 개성을 통해 구성된 코팅막이 기름, 물, 유기물, 무기먼지, 세균 및 광(빛), 전기, 자석의 이기와 분산작용 등의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재료 개성 첨가제는 불탄 표면활성제를 사용함에 따라 액체의 표면장력을 하강시키고, 불소원자의 독특한 기하수치와 전기부하성 등을 나타내며, 개성 후의 나노재료는 높은 열안정성과 내 황산(强酸)성, 내 고농도 알칼리산과 강산화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불탄 성막재료를 채용함으로써 막의 두께를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기재의 물화(物化) 특성과 색채, 투명도, 통풍성을 현저히 제고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은 섬유원단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을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에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로울러 압력 3.5~4.0 ton으로 탈수하는 탈수단계와; 상기 탈수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150~180℃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은 상기 침지단계, 탈수단계, 그리고 열풍건조단계는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를 분당 8~9 야드(yard)로 하며, 상기 열풍건조단계는 6 챔버(chamber) 텐타기를 사용하여 각 챔버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된 섬유원단은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은 섬유원단에 유연제, 발수제, 염색제, 기타 물질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침지, 탈수,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텐타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섬유원단에 고착시켜주게 된다.
즉,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제 수용조(320)와 탈수용 로울러(200), 그리고 열풍건조용 챔버(Chamber, 미도시)로 구성되는 섬유원단 처리용 텐타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처리제 수용조(320)에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330)를 채워 상기 섬유원단(310)을 침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330)는 상기 섬유원단(310)의 종류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발수제, 나노물질, 그리고 증류수의 혼합비가 달라지므로 상기 침지단계에서 상기 처리제 수용조(320)는 가능한 한 적은 규모의 것으로 하여 상기 처리제(330)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울러(200)에 의한 탈수단계시 로울러 압력은 3.5~4.0 ton으로 탈수함으로써 상기 발수제의 함량 조절과 함께 섬유원단의 부드러움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지단계, 탈수단계, 그리고 열풍건조단계는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를 분당 8~9 야드(yard)로 하며, 상기 열풍건조단계는 6 챔버(chamber) 텐타기를 사용하여 각 챔버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한다.
이에 의하면, 분당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는 통상의 섬유원단 처리공정에서의 13 야드보다 짧게 상기와 같이 8~9 야드로 하여 그 침지단계 및 탈수단계에서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고 상기 열풍건조단계에서는 열풍건조용 챔버를 6개 사용하여 상기 각 챔버의 온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달리 설정하여 열풍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섬유원단에 완전히 고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우수한 내세탁성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면, 마, 실크, 양모, 기타 나일론, 비닐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 등 모든 섬유원단에 적용하여 발수, 발유, 항균, 항곰팡이, 방오성, 집먼지진드기 기피성 등의 기능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상기 원료(발수제, 나노물질)의 혼합비율은 면과 같이 수분흡수율이 높은 섬유원단이 경우에는 발수제 함량 범위내에서 발수제의 양을 늘려주고, 실크, 합성섬유 등 수분흡수율이 낮은 섬유원단의 경우에는 발수제 양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처리방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를 섬유원단에 상기와 같이 고착함으로써 우수한 내세탁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도3a 내지 도3d의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피 등 이물질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가 섬유원단에 완전히 고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실크 원단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나노 개성복합재료 0.5 ㎏, 불탄 성막물질(1,1,2,2-tetrahydroperfluoro acrylate) 5 ㎏, 기능성 첨가제 0.1 ㎏을 증류수 94.4 ㎏에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상기 나노 개성복합재료는 나노 항균재료로서 30 ㎚ 크기의 SiO2, 나노 추화재료로서 20 ㎚ 크기의 TiO2, 나노 분해재료로서 60 ㎚ 크기의 ZnO, 나노 계면재료소서 50 ㎚ 크기의 Al2O3 및 나노 표면효능재료로서 5 ㎚ 크기의 TiO2를 각각 23 : 20 : 22 : 20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분산 후 불탄 표면활성제(Tetrafluoroisophthalonitirile 98%)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건조방식으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하였다.
섬유원단은 실크를 사용하고 실크에 상기 처리제를 고착시키기 위해서 6 챔버 텐터기를 분당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가 8.5 야드(Yard)로 운전하고 각 챔버의 열풍건조온도는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운전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본 발명의 실크와 미처리된 실크(실크원단)을 대상으로 하여 도3a 내지 도3d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도3a는 본 발명의 실크(20)와 실크원단(20')에 커피를 떨어뜨린 상태의 사진으로서 실크원단(20')의 경우에는 커피가 실크원단에 스며들고 흡수되어 퍼져있는 커피얼룩(21')의 상태인 반면에 본 발명 실크(20)의 경우에는 커피가 스며들거나 흡수되지 않고 방울을 형성하여 커피방울(20')의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3b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크(2)에 형성된 커피방울(21)을 두드리면 커피방울이 작아지면서 본 발명 실크에 스며들고 실크원단(20')의 경우 이미 커피가 스며들어 커피얼룩(21')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3c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드려 스며든 커피방울(21)은 본 발명 실크(20)를 통과하여 바닥에 묻어나고 본 발명 실크에는 얼룩을 남기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3b 내지 도3c와 달리 본 발명 실크에 형성된 커피방울을 화장지로 직접 찍어내면(탈수하면) 화장지에 완전히 흡수 제거되어 도3d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방울이 흡수 제거된 자리(22)에는 전혀 얼룩자국이 남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 실크에 대한 항균도, 방미도, 방오성, 발수도, 집먼지 진드기 기피성 등의 시험 성적에서도 각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의 실험예로서 스타킹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처리제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섬유원단은 스타킹을 사용하고 스타킹에 상기 처리제를 고착시키기 위해서 6 챔버 텐터기를 분당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가 8.5 야드(yard)로 운전하고 각 챔버의 열풍건조온도는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운전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본 발명 스타킹을 대상으로 하여 도4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도4의 (a) 사진과 같이 본 발명 스타킹(30)의 내부 공간에 물(31)을 담는 경우 도4의 (b) 사진과 같이 물이 전혀 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4의 ( c) 사진과 같이 본 발명 스타킹을 늘어뜨려 구멍을 키워도 마찬가지로 물이 전혀 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된 섬유원단을 발수제와 나노물질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됨으로써 물은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는 통과시키는 미세한 가공이 형성되어 발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며, 상기 처리제가 침지단계, 탈수단계, 특히 열풍건조단계를 거치면서 섬유원단에 완전히 고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커피, 물과 같은 이물질은 압력을 가하는 경우 기공을 통하여 섬유원단을 통과될 수 있으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섬유원단으로 전혀 스며들거나 흡수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존재하게 되어 전혀 얼룩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기존 발수섬유와는 우수한 내세탁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 항균물질 12. 나노 SiO2
13. 미세공
20. 본 발명 실크 20'. 실크원단
21. 커피방울 21'. 커피얼룩
22. 커피방울이 흡수 제거된 자리
30. 본 발명 스타킹 31. 물
200. 로울러 310. 섬유원단
320. 처리제 수용조 330. 처리제

Claims (10)

  1. 발수제와 나노물질을 증류수에 혼합하여 이루어진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 10~20 중량부와 나노실버 0.01~0.03 중량부를 증류수 75~85 중량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는 발수제 2~5 중량부와 나노재료 0.1~2 중량부를 증류수 85~95 중량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1,1,2,2-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1,1,2,2-Tetrahydroperfluoroalkyl acryl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재료는 20~50 ㎚ 크기의 SiO2, 10~30 ㎚의 TiO2, 50~80 ㎚의 ZnO, 30~60 ㎚의 Al2O3, 및 3~7 ㎚의 TiO2를 각각 20~30 : 15~25 : 20~30 : 15~25 : 15~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재료는 톨루엔(Toluene) 또는 자일렌(Xylene)의 유기용매에 분산 후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Tetrafluoroisophthalonitirile 98%)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다음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
  8. 섬유원단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을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에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로울러 압력 3.5~4.0 ton으로 탈수하는 탈수단계와;
    상기 탈수단계를 거친 섬유원단을 150~180℃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 탈수단계, 그리고 열풍건조단계는 처리되는 섬유원단의 길이를 분당 8~9 야드(yard)로 하며, 상기 열풍건조단계는 6 챔버(chamber) 텐타기를 사용하여 각 챔버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180, 175, 170, 170, 160, 15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의 섬유원단 처리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의 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된 섬유원단.
KR1020100110903A 2010-11-09 2010-11-09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KR10124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03A KR101248988B1 (ko) 2010-11-09 2010-11-09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03A KR101248988B1 (ko) 2010-11-09 2010-11-09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79A true KR20120049579A (ko) 2012-05-17
KR101248988B1 KR101248988B1 (ko) 2013-03-29

Family

ID=4626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03A KR101248988B1 (ko) 2010-11-09 2010-11-09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93B1 (ko) * 2014-09-02 2015-01-22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WO2016010343A1 (ko) * 2014-07-14 2016-01-21 안지영 은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9955A (ko) * 2017-10-29 2019-05-10 주식회사 포이즈 트리아진 화합물이 포함된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처리된 직물에 실리콘 수지층으로 단면 코팅된 원단 및 그 원단의 제조 방법
WO2019132089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항균기능을 갖는 방수원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96B1 (ko) 2017-11-17 2019-07-11 (주)재화 친환경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섬유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317B1 (ko) * 2001-03-23 2003-07-04 맹원규 수분의 접촉에 의하여 무늬가 표현되는 원단을 형성하기위한 발수스크린 프린트 가공법
KR100677834B1 (ko) * 2005-08-24 2007-02-02 주식회사 새 한 직편물에 세탁내구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가공방법
KR101037810B1 (ko) 2008-06-27 2011-05-30 재단법인대구경북디자인센터 면섬유의 방염ㆍ 발수ㆍ 항균가공방법
KR101037791B1 (ko) * 2009-02-05 2011-05-27 (주)엔엔지 은 나노 분말이 도포된 흡수성과 속건성이 향상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43A1 (ko) * 2014-07-14 2016-01-21 안지영 은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893B1 (ko) * 2014-09-02 2015-01-22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WO2016036034A1 (ko) * 2014-09-02 2016-03-10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US10407813B2 (en) 2014-09-02 2019-09-10 Eun Sook Kim Method for preparing knitting yarn having water repellent function
KR20190049955A (ko) * 2017-10-29 2019-05-10 주식회사 포이즈 트리아진 화합물이 포함된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처리된 직물에 실리콘 수지층으로 단면 코팅된 원단 및 그 원단의 제조 방법
WO2019132089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항균기능을 갖는 방수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988B1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988B1 (ko)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와 친환경 섬유원단 처리제로 처리한 섬유원단 및 그 처리방법
US2386259A (en) Waterproofing treatment of materials
AU2015346357B2 (en) Soil-resistant,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textile or other flexible materials
Xue et al. Fabrication of superhydrophobic cotton textiles with flame retardancy
CA2993257C (en) Hyperbaric process for applying and curing an organic polymerizable treatment
CN102978901A (zh) 一种防水、防油、防污的纺织布料的制备工艺
CN109736082A (zh) 一种超疏水抗紫外阻燃蚕丝织物及其制备方法
CN106192420B (zh) ZnO纳米材料织物的生产方法及ZnO纳米材料织物
CN110241628A (zh) 一种阻燃抗静电防酸碱功能性面料及其制备方法
CN106592250A (zh) 一种耐火抗菌棉质布料及其制备方法
Jiang et al. Controllable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superhydrophobic coating with ultra-stable efficiency for oily water treatment
US3009829A (en) Impregnating composition, method of applying same to asbestos,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JP2007291562A (ja) 耐久制電機能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371679A (zh) 一种易去污型织物拒水拒油整理剂的制备方法
CN106592055B (zh) 一种防紫外线面料的加工方法
WO2014200377A2 (en) Process for obtaining nanoparticles of silica incorporating hydrophilic products or water miscible and process for their immobilization and encapsulation when applied to textile fibres
TWI642733B (zh) 無氟撥水組成、無氟撥水元件及無氟撥水紗
KR20200011070A (ko) 초소수성 셀룰로오스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종이 및 섬유
KR101353374B1 (ko) 해충퇴치와 항균성을 가지는 섬유의 제조방법
KR20210154248A (ko) 내구성 있는 위킹 연화 및 대전방지 텍스타일용 제제
Monica et al. Wettability and comfort of cellulosic materials modified by photo grafting of non-fluorinated oligomers
CN108707994A (zh) 一种吸色纤维及吸色非织造布的制备方法
KR101647284B1 (ko) 찢김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친환경 섬유 제품
CN111074538A (zh) 一种多功能整理助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425131B (zh) 一種具有改質層之紡織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