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243A -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243A
KR20120049243A KR1020127002776A KR20127002776A KR20120049243A KR 20120049243 A KR20120049243 A KR 20120049243A KR 1020127002776 A KR1020127002776 A KR 1020127002776A KR 20127002776 A KR20127002776 A KR 20127002776A KR 20120049243 A KR20120049243 A KR 2012004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housing body
recess
terminal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499B1 (ko
Inventor
야스히로 스미노
기와무 시바타
히로유키 구도
게이 미우라
스스무 나카노
가츠라 마츠미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회로를 수납한 상자형상의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제 1면 및 제 2면과,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 사이의 능선을 따라 양단부의 모서리부가 남도록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나사 단자가 나사식으로 결합가능한 복수의 단자와, 상기 오목부를 덮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능선과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전기 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분전반에 수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조광 단말기와 같이, 분전반에 수납되어서 사용되는 전기 기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참조).
도 10a 및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에 기재된 전기 기기(100)는 바디(101)와 커버(102)를 결합해서 구성되는 상자형의 기체(103)를 갖는다. 기체(103)에는, 복수의 나사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용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용 단자부(104), 조명 부하로부터의 전선이 접속되는 부하용 단자부(105) 및 조광 신호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이 접속되는 신호용 단자부(106)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용 단자부(104) 및 부하용 단자부(105)는 커버(102)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용 오목부(107)에 배치되어 나사에 의해 접속된다. 단자용 오목부(107)에는 단자 커버(108)가 마련되어 있어, 단자용 오목부(107)의 상부 및 앞 부분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한, 단자 커버(108)는 고정 볼트(109)에 의해 커버(10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가락이 단자용 오목부(107)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266487호(도 1)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된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 전원용 단자부(104) 및 부하용 단자부(105)의 접속 작업 시에는, 커버(102)와는 별개인 단자 커버(108)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고정 볼트(109)를 분리하고, 단자 커버(108)를 빼고 나서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리한 단자 커버(108)나 고정 볼트(109)를 둘 곳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추가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주의가 부족할 경우에는, 단자 커버(108)나 고정 볼트(109) 등을 분실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자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커버 부재를 둘 곳에 주의할 필요 없이, 분실의 우려가 없는 전기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회로를 수납한 상자형상의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이 되는 제 1면 및 제 2면과,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 사이의 능선을 따라 양단부의 각 단부가 남도록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나사 단자가 나사식으로 결합가능한 복수의 단자와, 상기 오목부를 덮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능선과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전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면 좋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는 그 이면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까지 연장하는 통부와, 상기 커버 부재의 표면 측에서 상기 통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부의 내면에 상기 고정 볼트가 나사식으로 결합 통과하는 나사식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식 결합부와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끼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는 그 양 측단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 1 결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그 내면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오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2 결합부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체에 있어서 서로 이웃이 되는 제 1면 및 제 2면에 걸쳐서 복수의 단자부를 가지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 오목부를 덮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커버 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자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를 하우징체로부터 빼지 않아도 좋으므로, 커버 부재를 둘 곳에 유념할 필요도 없고 분실의 우려도 없는 효과를 갖는 전기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와 같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커버 부재를 연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커버 부재를 겉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버 부재를 뒷 편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중 IV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B 방향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중 VII-VII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중 VIII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중 IX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a는 종래의 전기 기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b는 종래의 전기 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 10은, 예컨대 분전반(도시 생략)에 수납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조광 단말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기기(10)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아래쪽으로 개구한 직사각형 상자형 상측 하우징체(20)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위쪽으로 개구한 하측 하우징체(30)를 조합한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하우징체(11)를 구비한다. 하우징체(11)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는 회로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에서 좌측 전방 측을 전방 측으로 하고, 우측 후방 측을 후방 측으로 정한다.
하측 하우징체(30)의 전면(31) 및 후면(도시 생략)에는, 복수 개의 계합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기기(10)을 분전반(도시 생략) 내부에 수납해서 고정할 때에, 분전반에 마련되어 있는 장착 도구나 하우징체(11) 끼리를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한 연장판(도시 생략)을 계합 구멍(32)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측 하우징체(20)에는, 서로 인접하는 제 1면인 상면(21) 및 제 2면인 전면(22)에 걸쳐서 마련되고, 또한 상면(21) 및 전면(22) 사이의 능선(23)을 따라 양단부의 모서리 부인 측면 앞 부분(24)이 남도록, 오목부(25)(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면 앞 부분(24)의 내면(241)에는 상하 방향에 리브(242)가 마련되어 있고, 리브(24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40)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제2 결합부인 계지부(243)가, 오목부(25)의 내측에 돌출해서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243)은, 선단 하면에, 오목부(25)의 내측에 수평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면(stopper surface)(244)을 갖고, 선단 상면에는, 선단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245)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5)는 전방 측의 깊은 오목부(전 오목부(251))와 후방 측의 얕은 오목부(후 오목부(252))를 갖고, 전체적으로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오목부(251, 252)의 바닥부(251A, 252A)는 층지어 있다. 양쪽 오목부(251, 252)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칸막이 판(261)이 마련되고, 그 사이에 복수 개의 단자부(262)가 각각 마련되어 접속부(26)를 형성한다.
여기서는,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251, 252)에 8개씩, 합계 16개의 단자부(262)가 마련되어 있고, 예를 들어, 8개의 단자부(262)에 단자(263)를 마련해서 사용하고 있다. 단자(263)는, 하우징체(11)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단자 판(264)과, 단자 판(264)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나사 단자(265)로 구성된다.
또한, 단자부(262) 중 2개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4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28)이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단자(262)에 접속되는 신호선 등의 전선(도시 생략)은, 전선을 나사 단자(265)에 둘러 감고 나사 단자(265)를 조임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전선의 선단에 부착한 압착 단자(도시 생략)에 나사 단자(265)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관통 구멍에 나사 단자(265)를 삽입 통과한 후 조여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체(20)의 상면(21)의 후단부에는, 상용 전원에 접속되는 접속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속부(27)는 2개의 단자(271, 272)를 갖고 있다.
또한, 단자(271, 272)의 구조는 전술한 단자(263)와 마찬가지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체(20)의 오목부(25)를 덮는 커버 부재(40)가, 회전축(L1)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 또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는, 상측 하우징체(20)의 전방 오목부(251)에 대응하는 전방부(41)와, 후방 오목부(252)에 대응하는 후방부(42)에 의해 계단 형상(L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후방부(42)의 후단부에는, 커버 부재(40)를 회전축(L1)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돌기(43)가 마련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돌기(43)는 커버 부재(40)의 후방부(42)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반구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돌기(43)는 상측 하우징체(20)의 상면(21)의 전단에 마련되는 회전축(L1) 위에 마련되어 있어, 상면(21)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베어링부(211)(도 1 참조)의 선단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축 오목부(212)와 맞물린다.
따라서, 축돌기(43)가 축 오목부(212)에 맞물림으로써, 커버 부재(40)는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반구 형상의 축돌기(43)가 축오목부(212)로부터 이탈하므로, 커버 부재(40)를 하우징체(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에는, 커버 부재(40)를 닫은 상태에서 각 단자부(262)에 대응하는 원형의 개구부(44)가 마련되어 있어,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해서 단자부(262)의 나사 단자(265)를 조일 수 있다. 각각의 개구부(44)는 커버 부재(40)의 외면(402)에 마련된 복수의 리브(404)에 의해 구획되고, 이에 따라, 커버 부재(40)가 보강된다. 또한, 커버 부재(40)의 전면(403)에도 리브(405)가 마련되어 있어, 커버 부재(40)의 보강을 도모하고 있다.
개구부(44) 중 후방부(42)에 마련되어 있는 2개의 개구부(441, 441)에 고정 볼트(45)를 삽입 통과시키고, 오목부(25)의 바닥부(252A)에 마련되어 있는 나사 구멍(28)에 조임으로써, 커버 부재(40)를 고정한다.
또한, 고정 볼트(45)는 헤드부(451) 및 나사부(452)를 갖고, 헤드부(451)와 나사부(452)의 사이에는, 나사부(45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축부(453)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의 내면(401)에는, 개구부(441)로부터 연장한 통부(46)가 마련되어 있다. 통부(46)는, 커버 부재(40)을 닫았을 때에, 그 선단(463)이 상측 하우징체(20)의 오목부(25)의 바닥부(252A)에 닿는 길이를 갖는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46)는, 상측의 큰 직경부(461)와, 하측의 작은 직경부(462)를 갖는다. 큰 직경부(461) 고정 볼트(45)의 헤드부(451)가 통과 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고, 작은 직경부(462)는 나사부(452) 및 축부(453)가 통과 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다.
큰 직경부(461)와 작은 직경부(462)의 경계에는 격벽(47)이 마련되어 있고, 격벽(47)에는 고정 볼트(45)의 나사부(452)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나사식 결합부(47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 볼트(45)에는 압축 스프링(48)이 끼워져 있다. 고정 볼트(45)를 통부(46)에 부착한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48)은 통부(46)의 격벽(47)의 상면과 고정 볼트(45)의 두부(451)의 하면의 사이에 놓인다.
또한, 고정 볼트(45)는 미리 커버 부재(40)의 개구부(441)에 부착해 둔다. 즉, 고정 볼트(45)의 나사부(452)가 통부(46)의 격벽(47)의 나사식 결합부(471)를 통과한 상태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통부(46)에 부착된 고정 볼트(45)는 압축 스프링(48)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으므로, 즉, 고정 볼트(45)의 나사부(452)가 격벽(47)의 나사식 결합부(471)를 아래쪽으로 통과한 상태에서는, 고정 볼트(45)가 통부(46)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40)의 고정 작업이 쉬워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의 양측 단부에는, 상술한 오목부(25)에 마련되어 있는 계지부(243)와 맞물리는 제 1 결합부인 계합 오목부(49)가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오목부(49)는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491)과 절결(491) 내부의 결합부(492)를 갖는다.
따라서, 계지부(243)가 계합 오목부(49)에 맞물리면, 결합부(492)에 맞물리고 절결(491)에 수용되므로 계지부(243)는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다.
다음에, 전기 기기(10)에 전선을 접속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기기(10)의 커버 부재(40)를 열거나 분리한다. 전선의 선단을 소정의 위치의 단자부(262)에 접속하고, 나사 단자(265)를 조여 전선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어서, 커버 부재(40)를 닫는다. 또는, 커버 부재(40)가 분리되 있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40)에 마련되어 있는 축돌기(43)를 상측 하우징체(20)의 오목부(25)에 마련되어 있는 축오목부(212)에 맞물린 후에 커버 부재(40)를 닫는다. 이에 따라, 상측 하우징체(20)의 오목부(25)에 마련되어 있는 계지부(243)에 의해 커버 부재(40)의 계합 오목부(49)를 맞물리므로, 커버 부재(40)는 임시 고정된다.
이 때, 계지부(243)의 상면에 경사면(245)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계합 오목부(49)가 쉽게 계지부(243)에 의해 계지된다.
그 후, 커버 부재(40)의 통부(46)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볼트(45)를, 오목부(25)의 바닥부(252A)의 나사 구멍(28)에 체결하고, 설치를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기 기기(10)에 의하면, 하우징체(1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면(21) 및 전면(22)에 걸쳐서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고, 오목부(25)에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나사 단자(265)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단자부(262)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5)는, 상면(21) 및 전면(22)의 능선(23)을 따라 양단부의 측면 앞 부분(24)이 남도록 마련되어 있고, 오목부(25)를 덮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커버 부재(40)가 능선(23)과 평행한 회동 축(L1)을 중심으로, 하우징체(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자부(262)를 덮는 커버 부재(4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0)는 하우징체(11)로부터 빼지 않아도 되므로, 커버 부재(40)를 두는 곳에 유의할 필요가 없어 분실의 우려도 없다.
또한, 커버 부재(40)는 하우징체(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고, 탈부착이 자유로우므로, 커버 부재(40)가 작업의 방해될 경우 등에는, 커버 부재(4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기 기기(10)의 조립성도 향상된다.
또한, 커버 부재(40)의 내면에는 오목부(25)의 바닥부(252A)까지 연장하는 통부(46)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40)를 닫았을 때에 통부(46)가 바닥부(252A)와 접촉하면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오목부(25)에 삽입 통과되어 오목부(25)의 바닥부(252A)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고정 볼트(45)를 강하게 체결해도 커버 부재(4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부(46)의 내면에는 고정 볼트(45)의 나사부(452)가 나사식으로 결합 통과하는 나사식 결합부(47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고정 볼트(45)가 나사식 결합부(471)를 통과한 상태에서는, 고정 볼트(45)는 통부(46)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또한, 통부(46) 내면의 나사식 결합부(471)와 고정 볼트(45)의 헤드부(451)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48)이 끼어 있으므로, 고정 볼트(45)는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고정 볼트(45)는 덜컹거리지 않는다.
또한, 커버 부재(40)에 있어서 회전 축(L1)과 평행한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마련된 계합 오목부(49)가 오목부(25)의 내면에 마련되고, 커버 부재(40)가 오목부(25)를 덮는 상태에 있어서 계지부(243)에 맞물리므로, 커버 부재(40)가 닫힌 상태로 임시로 고정할 수 있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회로를 수납한 상자형상의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제 1면 및 제 2면과,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 사이의 능선을 따라 양단부의 모서리부가 남도록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나사 단자가 나사식으로 결합가능한 복수의 단자와,
    상기 오목부를 덮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능선과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전기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전기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그 이면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까지 연장하는 통부와, 상기 커버 부재의 표면 측에서 상기 통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갖는 전기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면에 상기 고정 볼트가 나사식으로 결합 통과하는 나사식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식 결합부와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끼어 있는 전기 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그 양 측단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 1 결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그 내면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오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2 결합부를 갖는 전기 기기.
KR1020127002776A 2010-09-13 2011-09-09 전기 기기 KR10128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4787A JP5635344B2 (ja) 2010-09-13 2010-09-13 電気機器
JPJP-P-2010-204787 2010-09-13
PCT/IB2011/002112 WO2012035399A1 (ja) 2010-09-13 2011-09-09 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243A true KR20120049243A (ko) 2012-05-16
KR101282499B1 KR101282499B1 (ko) 2013-07-04

Family

ID=4583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776A KR101282499B1 (ko) 2010-09-13 2011-09-09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35344B2 (ko)
KR (1) KR101282499B1 (ko)
CN (1) CN102652380B (ko)
TW (1) TWI436536B (ko)
WO (1) WO2012035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788B2 (ja) * 2012-12-2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滅器
JP6145680B2 (ja) 2013-11-11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カバー
JP6572445B2 (ja) * 2016-03-25 2019-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186U (ja) * 1991-12-04 1993-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盤内機器の端子カバー
JPH05168112A (ja) * 1991-12-10 1993-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盤内機器
JPH08236177A (ja) * 1995-03-01 1996-09-13 Fuji Electric Co Ltd カバー付き端子台
JP4342875B2 (ja) * 2003-08-25 2009-10-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端子カ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99B1 (ko) 2013-07-04
CN102652380B (zh) 2014-11-05
TWI436536B (zh) 2014-05-01
WO2012035399A1 (ja) 2012-03-22
JP5635344B2 (ja) 2014-12-03
TW201216580A (en) 2012-04-16
JP2012059678A (ja) 2012-03-22
CN102652380A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897B1 (en) Electrical utility box
KR101282499B1 (ko) 전기 기기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JP4811374B2 (ja) 端子接続部構造
WO2014064918A1 (ja) 電源装置及び該電源装置を用いた車載用照明装置
JPH09116277A (ja) 電気接続箱
US8415051B2 (en) Battery storage structure for acoustic equipment
JP3622897B2 (ja) バッテリ端子接続コネクタ
JP2005259411A (ja)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JP5030223B2 (ja) プロテクタ
GB2473716A (en) Switch-circuit board unit with circuit board rigidly mounted to switch
RU2578670C2 (ru) Стенная вставка
JP6593746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09043685A (ja) 外部端子接続部用キャップ
JP201701063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08235005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US10636605B2 (en) Fusible link unit
WO2017169228A1 (ja) 電気接続構造体
JP6356113B2 (ja) 電子機器及び電源装置
JP3717283B2 (ja) 電子機器の筐体ケース
JP6928911B2 (ja) 照明器具
US7915543B2 (en) Isolator assembly, receptacl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18137182A (ja) 照明器具
US20060175087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housing
JP2006185881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