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137A - 플라즈마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137A
KR20120049137A KR1020110112588A KR20110112588A KR20120049137A KR 20120049137 A KR20120049137 A KR 20120049137A KR 1020110112588 A KR1020110112588 A KR 1020110112588A KR 20110112588 A KR20110112588 A KR 20110112588A KR 20120049137 A KR20120049137 A KR 2012004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ember
gas
isolation space
space
spa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958B1 (ko
Inventor
하치시로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44Gas supply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09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capaci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68Relative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electrodes; mov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과제) 샤워 헤드의 이면(裏面)측 공간에 있어서의 이상(異常) 방전 등의 플라즈마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플라즈마 처리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처리 챔버 내에 설치되어, 기판 재치대를 겸한 하부 전극과, 가스를 공급하는 샤워 헤드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 상부 전극과, 상부 전극의 상측에 설치되어 처리 챔버의 상부 개구를 기밀하게 폐색하는 덮개체와, 상부 전극과 덮개체와의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외측과 격리된 격리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 기체를 도입·배출하기 위한 도입·배출구를 갖고, 상부 전극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격리 공간의 용적이 변동 가능하게 된 격리 공간 형성 부재와, 격리 공간 형성 부재의 격리 공간에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기체 공급 배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처리 장치{PLASM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분야 등에 있어서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을 향하여 가스를 샤워 형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샤워 헤드가 이용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에 플라즈마 에칭 처리를 행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는, 처리 챔버 내에, 기판을 올려놓기 위한 재치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재치대와 대향하도록 샤워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샤워 헤드에는, 재치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가스 토출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가스 토출공으로부터 기판을 향하여 가스를 샤워 형상으로 공급한다.
상기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는, 처리 챔버 내의 가스의 흐름을 균일화하기 위해, 재치대의 주위로부터 하방으로 배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부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샤워 헤드와, 하부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재치대와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100789호
상기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부 전극으로서의 샤워 헤드를 상하 이동시켜 하부 전극으로서의 재치대와의 간격을 변경하도록 한 경우, 샤워 헤드를 사이에 두고 처리 공간과 반대측(이면(裏面)측)에, 처리 공간의 크기의 변동에 수반하여 크기가 변동하는 공간(이면측 공간)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이면측 공간이, 플라즈마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즉, 이 이면측 공간에 있어서 이상(異常)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이상 방전에 의해 처리 공간의 플라즈마의 상태가 변화해 버린다는 문제나, 이상 방전이 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면측 공간에 처리 가스가 유입되면, 처리 공간에 있어서의 플라즈마의 밀도나 이온의 양이 저감하거나 데포지션(deposition)이 되어 이면측 공간의 벽면에 부착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에칭 처리의 경우 외에, 성막 처리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에 대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샤워 헤드를 상하 이동시켜 하부 전극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 샤워 헤드의 이면측 공간에 있어서의 이상 방전 등의 플라즈마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플라즈마 처리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기판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기 위한 처리 챔버와, 상기 처리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올려놓기 위한 재치대를 겸한 하부 전극과, 상기 처리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여, 상기 하부 전극과의 사이에 처리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복수 형성된 가스 토출공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여 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샤워 헤드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하부 전극과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게 된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 챔버의 상부 개구를 기밀하게 폐색하는 덮개체와,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외측과 격리된 격리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 기체를 도입·배출하기 위한 도입·배출구를 갖고, 상기 상부 전극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격리 공간의 용적이 변동 가능하게 된 격리 공간 형성 부재와,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의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도입·배출구로부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기체 공급 배출 기구와,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과의 사이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샤워 헤드를 상하 이동시켜 하부 전극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 샤워 헤드의 이면측 공간에 있어서의 이상 방전 등의 플라즈마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플라즈마 처리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상부 전극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상부 전극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는, 전극판이 상하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플라즈마 형성용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 용량 결합형 평행 평판 플라즈마 에칭 장치로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는, 내부에 기판을 수용하여 처리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처리 챔버(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 챔버(10)는, 상부 개구를 갖고, 원통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 처리 챔버 본체(11)와, 이 처리 챔버 본체(11)의 상부 개구를 기밀하게 폐색하는 덮개체(12)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처리 챔버 본체(11) 및 덮개체(12)는, 예를 들면, 표면에 양극 산화 처리를 행한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12)는,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12a)를 갖는 환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처리 챔버(10) 내에는, 덮개체(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부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전체 형상이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샤워 헤드(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12)의 개구(12a)의 주위와 샤워 헤드(13)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기밀하게 폐색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금속 벨로우즈(bellows; 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12a)를 갖는 환상의 덮개체(12)를 설치하고, 덮개체(12)와 샤워 헤드(13)의 상면과의 사이에 금속 벨로우즈(14)를 설치함으로써, 대기 중에 노출된 샤워 헤드(13)의 표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감압 분위기로 되는 처리 챔버(10) 내부와 외부(대기압)와의 기압차가 가해지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샤워 헤드(13)를 상하 이동시킬 때에 필요한 구동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대기 중 분위기에 노출된 샤워 헤드(13)의 상면의 부분에는, 샤워 헤드(13)를 상하 이동하기 위한 승강용 액츄에이터(30)의 구동축이 접속되어 있다. 승강용 액츄에이터(30)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電動)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승강용 액츄에이터(30)를 처리 챔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한 다축 구동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실린더를 이용한 다축 구동 방식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기압 구동의 구동 기구로 한 경우에 비해 샤워 헤드(13)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축 구동 방식으로 해도, 그 협조 제어(cooperative control)를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샤워 헤드(13)의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상부 전극 단자(15)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전극 단자(15)의 측방에는, 제1 가스 도입부(16)와, 제2 가스 도입부(17)의 2개의 가스 도입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전극 단자(15)는,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 등의 고주파 전력 인가 장치에 접속되거나, 접지 전위에 접속된다.
샤워 헤드(13)의 하면에는, 다수의 가스 토출공(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샤워 헤드(13)의 내부에는, 제1 가스 도입부(16)와 접속된 제1 가스 유로(19)와, 제2 가스 도입부(17)와 접속된 제2 가스 유로(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스 유로(19)는, 샤워 헤드(13)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샤워 헤드(13)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처리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가스 유로(20)는, 샤워 헤드(13)의 주연부(周緣部)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가스 유로(20)는, 샤워 헤드(13)의 주연부로부터 처리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 챔버(10) 내에는, 샤워 헤드(13)의 하부에, 샤워 헤드(13)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기판을 올려놓기 위한 재치대(21)가 설치되어 있다. 재치대(21)에는, 그 위에 기판을 정전 흡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정전 척(electrostatic chuck) 및, 올려놓여진 기판을 소정 온도로 온도 조절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조절용 매체 순환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치대(21)는, 하부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 상부 전극으로서의 샤워 헤드(13)와, 한 쌍의 대향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재치대(21)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 등의 고주파 전력 인가 장치가 접속되어 있어, 재치대(21)와 샤워 헤드(13)와의 사이는,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처리 공간(22)으로 되어 있다.
재치대(21)의 하방에는, 환상으로 형성된 배기 공간(23)이 형성되어 있어, 이 배기 공간(23)의 하방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진공 펌프 등의 배기 장치에 의해 처리 챔버(10)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재치대(21)의 주위에는, 처리 공간(22)과 배기 공간(23)을 나누기 위한 환상의 배플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처리 공간(22)의 측방에 위치하는 처리 챔버(10)의 측벽부에는, 처리 챔버(10) 내에 기판을 반입·반출하기 위한 개구(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개구(25)에는, 게이트 밸브 등의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처리 챔버(10)의 처리 공간(22)의 부분에는, 처리 챔버(10)의 내벽을 덮도록 실드 링(2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헤드(13)의 이면측(도 1, 2 중 상측)의, 샤워 헤드(13)와 덮개체(12)와의 사이에는, 이들 샤워 헤드(13)와 덮개체(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면측 공간)을 폐색하도록,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는, 샤워 헤드(13), 덮개체(12), 처리 챔버 본체(11)의 측벽, 금속 벨로우즈(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형상에 맞추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는, 신축 자유로운 재료로 이루어져, 벌룬(balloon)과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의 내측에는, 외측의 공간과는 격리된 격리 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탄성을 갖는 일래스터머(elastomer)(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또는 불소 고무 등)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절연성의 재료 또는 도전성 재료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의 상면에는, 내부에 기체를 도입 및 배출하기 위한 도입·배출구(3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도입·배출구(33)는, 기체 공급 배출 기구(34)가 접속되어 있다. 기체 공급 배출 기구(34)는, 도시하지 않은 기체 공급원 및 배기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는, 샤워 헤드(13)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변형됨과 함께, 그 격리 공간(32)에, 기체 공급 배출 기구(34)로부터 불활성 가스 등의 기체가 도입, 배출됨으로써, 항상 부풀어 오른 상태로 되어 있어, 샤워 헤드(13), 덮개체(12), 처리 챔버 본체(11)의 측벽, 금속 벨로우즈(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크기가 변화한 경우에도, 이 공간의 대략 전체를 차지하여, 이 공간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에 의해 폐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샤워 헤드(13)가 상하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에 의해, 샤워 헤드(13), 덮개체(12), 처리 챔버 본체(11)의 측벽, 금속 벨로우즈(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항상 폐색되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의 외측에, 큰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4에는, 도 1,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샤워 헤드(13)를 상승시켜, 처리 공간(22)을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는, 그 높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 접힘부(31a)가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가 접혀짐으로써, 샤워 헤드(13)를 상승시켜 용적이 작아진 이면측 공간 내에 극간(gap) 없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샤워 헤드(13)의 이면측의 이면측 공간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에 의해 폐색되어 있음으로써, 플라즈마 처리 중에 이 이면측 공간 내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방전에 기인하는 오염이 발생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공간에 처리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러한 이면측 공간으로의 처리 가스 유입에 기인하는 처리 공간(22)에 있어서의 플라즈마의 밀도의 저하나 이온의 양의 저감, 데포지션의 부착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가 절연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샤워 헤드(13), 덮개체(12), 처리 챔버 본체(11)의 측벽, 금속 벨로우즈(14)의 사이에 절연성 부재가 개재함으로써 이상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가 도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샤워 헤드(13), 덮개체(12), 처리 챔버 본체(11)의 측벽, 금속 벨로우즈(14)에 도전성의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가 접촉함으로써, 각부에 큰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에 따라 이상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의 플라즈마 에칭을 행하는 경우, 처리 챔버(10)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2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를 열고, 반송 로봇의 반송 아암 등에 의해 기판을, 개구(25)로부터 처리 챔버(10) 내로 반입하여, 재치대(21) 상에 올려놓고, 도시하지 않은 정전 척으로 흡착한다.
다음으로, 반송 로봇의 반송 아암 등을 처리 챔버(10) 내로부터 퇴피(退避)시켜 개구(25)를 닫고, 배기 공간(23)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배기 기구에 의해 배기하여, 처리 챔버(10)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한다. 그리고, 샤워 헤드(13)로부터 처리 챔버(10) 내에, 소정 유량의 소정의 처리 가스(에칭 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처리 챔버(10)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된 후, 재치대(21)와 샤워 헤드(13)의 적어도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재치대(21)에만, 소정 주파수, 예를 들면 13.56MHz의 고주파 전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부 전극으로서의 샤워 헤드(13)와 하부 전극으로서의 재치대(21)와의 사이에 고주파 전계(electric field)가 발생하여, 에칭 가스가 해리되어 플라즈마화된다. 그리고, 이 플라즈마에 의해, 기판에 소정의 에칭 처리가 행해진다.
이 에칭 처리시, 샤워 헤드(13)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샤워 헤드(13)와 재치대(21)와의 사이의 간격을, 에칭 처리에 최적인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에 균일하고 양호한 에칭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에칭 처리 중에, 샤워 헤드(13)의 이면측의 이면측 공간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상 방전에 의해 처리 공간(22)의 플라즈마 상태가 변화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공간에 데포지션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중에 데포지션물이 박리되어 기판에 부착하여, 기판이 오염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호한 에칭 처리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에칭 처리가 종료되면, 고주파 전력의 인가 및 처리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상기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기판이 처리 챔버(10) 내로부터 반출된다.
다음으로, 도 5∼8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에칭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 6에 대하여, 도 7, 8은 샤워 헤드(13)를 보다 상승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점은, 도 1∼4에 나타낸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200)에서는,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의 측면에, 내부에 기체를 도입 및 배출하기 위한 도입·배출구(3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도입·배출구(33)에, 처리 챔버 본체(11) 측벽을 개재하여 기체 공급 배출 기구(34)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격리 공간 형성 부재(31)의 도입·배출구(33)는, 상면에 한하지 않고, 측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200)에 있어서, 다른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에칭 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재치대(하부 전극)에 하나의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하부 전극에 주파수가 상이한 복수의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는 타입의 장치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적용할 수 있다.
10 : 처리 챔버
11 : 처리 챔버 본체
12 : 덮개체
13 : 샤워 헤드(상부 전극)
14 : 금속 벨로우즈
21 : 재치대(하부 전극)
22 : 처리 공간
30 : 승강용 액츄에이터
31 : 격리 공간 형성 부재
32 : 격리 공간
33 : 도입·배출구
34 : 기체 공급 배출 기구
100, 200 : 플라즈마 에칭 장치

Claims (10)

  1. 기판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기 위한 처리 챔버와,
    상기 처리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올려놓기 위한 재치대를 겸한 하부 전극과,
    상기 처리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여, 상기 하부 전극과의 사이에 처리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복수 형성된 가스 토출공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하여 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샤워 헤드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하부 전극과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게 된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 챔버의 상부 개구를 기밀하게 폐색하는 덮개체와,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외측과 격리된 격리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 기체를 도입·배출하기 위한 도입·배출구를 갖고, 상기 상부 전극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격리 공간의 용적이 변동 가능하게 된 격리 공간 형성 부재와,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의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도입·배출구로부터 상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기체 공급 배출 기구와,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과의 사이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위와 상기 상부 전극의 상측과의 사이가, 신축 자유로운 벨로우즈에 의해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덮개체와, 상기 처리 챔버의 측벽과, 상기 벨로우즈와의 사이의 환상의 공간에, 환상으로 형성된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가 일래스터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가, 실리콘 고무 또는 불소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배출 기구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배출구가,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배출구가, 상기 격리 공간 형성 부재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20110112588A 2010-11-04 2011-11-01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892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7362 2010-11-04
JP2010247362A JP5700632B2 (ja) 2010-11-04 2010-11-04 プラズ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37A true KR20120049137A (ko) 2012-05-16
KR101892958B1 KR101892958B1 (ko) 2018-08-29

Family

ID=4601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88A KR101892958B1 (ko) 2010-11-04 2011-11-01 플라즈마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6461B2 (ko)
JP (1) JP5700632B2 (ko)
KR (1) KR101892958B1 (ko)
CN (1) CN102468155B (ko)
TW (1) TWI5409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9795B2 (en) * 2013-02-28 2016-09-20 Novellus Systems, Inc. Ceramic showerhead with embedded RF electrode for capacitively coupled plasma reactor
TWI483283B (zh) * 2013-03-08 2015-05-01 Archers Inc 電力導入裝置及其相關電漿系統
JP5840268B1 (ja) * 2014-08-25 2016-01-0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記録媒体
EP3550594B1 (en) * 2016-12-05 2021-06-23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Active gas generation device
CN109321857B (zh) * 2018-08-29 2023-06-02 广州倬粤动力新能源有限公司 锌丝的加工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409A (en) * 1978-06-26 1980-01-17 Hitachi Ltd Plasma gas phase reactor
JPS5989759A (ja) * 1982-11-12 1984-05-24 Hitachi Tokyo Electronics Co Ltd 気体電気化学反応装置
JPS60114577A (ja) * 1983-11-26 1985-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化学処理装置
JPH07211647A (ja)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気相化学反応装置
JP3536585B2 (ja) * 1997-04-25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ワークの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JP3476687B2 (ja) 1998-09-21 2003-12-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1148378A (ja) * 1999-11-22 2001-05-29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クラスターツールおよびプラズマ制御方法
JP2003181756A (ja) * 2001-12-19 2003-07-02 Tokyo Seimitsu Co Ltd ウェーハ加工装置用コンディショナー装置
JP4197884B2 (ja) * 2002-04-12 2008-12-17 仁 諏訪部 ポリシング装置
JP4399219B2 (ja) * 2003-09-19 2010-01-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上部電極ユニット
JP2004360028A (ja) * 2003-06-05 2004-12-24 Ebara Corp めっき装置
KR100614801B1 (ko) * 2004-07-05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막 형성방법
US20090194233A1 (en) * 2005-06-23 2009-08-06 Tokyo Electron Limited Component for semicondutor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6848B1 (ko) * 2008-05-28 2011-01-14 주식회사 코미코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10021510A (ja) * 2008-06-13 2010-01-28 Canon Anelva Corp 基板保持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5075793B2 (ja) 2008-11-06 2012-11-2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可動ガス導入構造物及び基板処理装置
JP5643528B2 (ja) * 2009-03-30 2014-12-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5292160B2 (ja) * 2009-03-31 2013-09-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ガス流路構造体及び基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00632B2 (ja) 2015-04-15
TWI540943B (zh) 2016-07-01
US9196461B2 (en) 2015-11-24
KR101892958B1 (ko) 2018-08-29
JP2012099715A (ja) 2012-05-24
CN102468155A (zh) 2012-05-23
TW201234935A (en) 2012-08-16
CN102468155B (zh) 2014-06-25
US20120111501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2686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US10699935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JP5188385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6435135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US73759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hucking a substrate
TWI490942B (zh) Plasma processing device
KR101850355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JP5591585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US7815767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JP4615464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用電極アッセンブリ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20120049137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20230238221A1 (en) Plasma source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US11587820B2 (en) Mounting tabl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2186223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5536890A (ja) 体積削減式プラズマ反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