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621A -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 - Google Patents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621A
KR20120048621A KR1020127003631A KR20127003631A KR20120048621A KR 20120048621 A KR20120048621 A KR 20120048621A KR 1020127003631 A KR1020127003631 A KR 1020127003631A KR 20127003631 A KR20127003631 A KR 20127003631A KR 20120048621 A KR20120048621 A KR 2012004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iping system
pipe
membrane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타카 하시모토
게이타로 스즈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6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with special wash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에서는, 여과 운전을 정지하고 인라인 세정을 행할 때에,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를 수면(FW)보다 위쪽에서 대기 개방하는 대기 개방 단계를 실행하고, 대기 개방 단계 후, 배관 내부의 기체를 빼면서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하며, 배관 내부가 봉쇄되어 기체 빼내기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하여 복수의 막 유닛(2)을 가압 세정하는 가압 세정 단계를 실행한다. 그 결과, 공급되는 약액(ML)은 원활하게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에 퍼져, 각각의 막 유닛(2)이나 중공 사막 모듈(31)에 균등하게 공급된다.

Description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METHOD FOR CLEANING IMMERSION MEMBRANE APPARATUS AND IMMERSION MEMBRANE APPARATUS}
본 발명은,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으로서, 원수(原水)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공사막에 의해 구성되는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원수를 흡상(吸上)하는 헤더 배관계를 구비하는 침지막 장치를 세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세정 방법에서는, 세정시에 헤더 배관계에 대하여 물을 역류시키고 약액을 역류시킴으로써, 중공사막 모듈을 세정하는 인라인 세정이 행해진다.
국제공개 제01/08789호 팜플렛
특허문헌 1에서는, 최근 원수를 저류하는 조(槽)가 대형화됨에 따라, 복수의 분리막 모듈을 유닛화하고, 또한 유닛화된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는 침지막 장치가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침지막 장치에 대해서, 종래의 방법으로 인라인 세정을 행한 경우, 약액의 압력의 관계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막 유닛 중, 헤더관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는 막 유닛에 약액이 공급되기 쉬워진다. 이로써, 헤더관의 상류측에 접속된 막 유닛과 하류측에 접속된 막 유닛의 사이에, 공급되는 약액의 양에 편중이 생긴다. 따라서, 하류측 막 유닛의 분리막 모듈이 막히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는, 막 유닛마다 약액의 양의 편중이 생길 뿐만 아니라, 막 유닛 중의 분리막 모듈마다 약액의 양의 편중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종래 기술에서 인라인 세정시에, 막 유닛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인라인 세정시에, 막 유닛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은, 원수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막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막 모듈과, 복수의 분리막으로부터 상기 원수를 흡인하는 헤더 배관계를 구비하고, 헤더 배관계가 분리막 모듈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원수를 흡인하여 원수를 여과하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으로서, 여과 운전을 정지하고 인라인 세정을 행할 때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원수의 수면보다 위쪽에서 대기 개방하는 대기 개방 단계를 실행하고, 대기 개방 단계 후, 배관 내부의 기체를 빼내면서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하며, 배관 내부가 봉쇄되어 기체 빼내기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하여 복수의 분리막을 가압 세정하는 가압 세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는, 원수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막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막 모듈과, 복수의 분리막으로부터 원수를 흡인하는 헤더 배관계와, 인라인 세정의 약액 공급 전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하는 개방 수단과, 인라인 세정에서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할 때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기체 방출 수단을 구비하고, 개방 수단 및 기체 방출 수단은, 헤더 배관계 중, 상기 원수의 수면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원수의 수면보다 위쪽에서 대기 개방함으로써, 대기압의 영향으로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에 채워져 있던 여과수의 수면이, 원수의 수면까지 저하된다. 이 상태에서 약액을 헤더 배관계에 공급하면, 약액에 의해 밀려나오는 공기가 배관 외부로 빠진다. 공기가 배관 외부로 빠짐으로써, 수면이 저하된 여과수보다 위쪽에서, 공급되는 약액은 원활하게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로 퍼진다. 빠지는 공기가 없어지면, 약액은 여과수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면서 각각의 막 유닛이나 분리막 모듈(예컨대 중공사막 모듈이나 평막 모듈)에 공급된다. 이때, 각 유닛이나 분리막 모듈에 공급되는 약액에는 균등하게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균등하게 약액이 공급된다. 이상에 의해, 인라인 세정시에, 막 유닛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헤더 배관계의 형태로서 여러 양태가 고려되고, 예컨대 수평인 헤더관에 대하여 지관(枝管)이 경사를 갖고 접속되는 형태, 수평으로 접속되는 형태, 또는 수직으로 접속되는 형태 등이 상정된다. 이러한 각종 형태는, 침지막 장치의 설치 장소의 요구에 따라 결정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의 형태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 내부가 봉쇄되어 기체 빼내기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분리막을 가압 세정할 수 있고, 따라서 분리막(예컨대, 중공사막이나 평막 등)의 내압(耐壓) 성능에 따라 최적의 압력을 부여하면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막에 대한 인라인 세정시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은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분리막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약액이 가득 채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 내부에 약액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함으로써, 인라인 세정 후에, 원활하게 여과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어, 인라인 세정에 기인한 여과 운전의 정지 시간을 극력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에서, 기체 방출 수단은,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기체의 흐름은 허용하고, 헤더 배관계의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기체의 흐름은 규제하는 공기 빼기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 방출 수단을 공기 빼기 밸브로 함으로써, 약액을 배관 외부로 누출시키는 일없이 공기만을 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빼기 밸브는,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액체와 헤더 배관계의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액체를 차단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빼기 밸브가,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와 배관 외부 사이에서 액체의 출입을 차단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관 외부로부터의 액체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리막 모듈로 구성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막 유닛의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을 가지며, 개방 수단 및 기체 방출 수단은, 제1 헤더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라인 세정시에, 각각의 막 유닛에 대하여 균등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리막 모듈로 구성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막 유닛의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을 가지며, 적어도 공기 빼기 밸브는, 제1 헤더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막 유닛에 대하여 균등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에 있어서, 헤더 배관계 중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헤더관에 공기 빼기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확실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리막 모듈로 구성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상기 막 유닛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과, 막 유닛에 장착되어 복수의 분리막 모듈 각각에 접속되는 제2 헤더관을 가지며, 기체 방출 수단은, 제1 헤더관에 설치되고, 제2 헤더관과 분리막 모듈의 접속부의 일부는, 각각 원수의 수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라인 세정시에, 각 분리막 모듈에 대하여 균등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막 유닛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의 형태에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헤더 배관계의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 또는 분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공기 빼기 밸브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중공사막 모듈 및 언더 서포트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침지막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는, 원수조(CB)의 원수(W)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막 유닛(2)과, 각각의 막 유닛(2)의 중공사막 모듈(분리막 모듈)(31)로부터 원수(W)를 흡상하는 헤더 배관계(3)와, 각각의 막 유닛(2)에 산기(散氣)용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배관계(4)와, 헤더 배관계(3)로 흡상한 여과수를 저류하는 여과수조(6)와, 인라인 세정시에 사용하는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조(17)와, 인라인 세정시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하는 자동 밸브(개방 수단)(7)와,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공기 빼기 밸브(기체 방출 수단)(9)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공급 배관계(4)는, 도시 생략된 외부의 공기 공급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유닛(2)은 완전히 원수(W) 속에 침지되어 있고, 수면(WF)은 제2 헤더관(1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헤더 배관계(3)는, 복수의 막 유닛(2) 각각에 접속되는 제1 헤더관(11), 각각의 막 유닛(2)에 장착되는 제2 헤더관(12), 및 제1 헤더관(11)과 제2 헤더관(12)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관(13, 14,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 헤더관(11)의 가장 하류측에 접속관(13)이 배치되고, 제1 헤더관(11)의 가장 상류측에 접속관(16)이 배치되며, 접속관(13)과 접속관(16)의 사이에 접속관(14)이 배치된다. 헤더 배관계(3)는, 여과수조(6)의 앞쪽에 배치된 펌프(18)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막 유닛(2)의 중공사막 모듈을 통해 원수조(CB) 내의 원수(W)를 흡상할 수 있다.
여과수조(6)는, 펌프(18)가 배치된 라인 L1에 의해, 헤더 배관계(3)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과수조(6)는, 라인 L1과는 다른 라인인 라인 L2에 의해서도 헤더 배관계(3)와 접속되어 있다. 라인 L2 상에는, 인라인 세정시에 여과수조(6)로부터 헤더 배관계(3)를 거쳐 각각의 막 유닛(2)으로 여과수를 역류시키기 위한 펌프(19)가 배치되어 있다.
라인 L2에는, 라인 L3을 통하여 약액조(1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라인 L3 상에는, 인라인 세정시에 약액조(17)로부터 라인 L2 및 헤더 배관계(3)를 거쳐 각각의 막 유닛(2)으로 약액을 흘리기 위한 펌프(21)가 배치되어 있다. 약액조(17)에 저류되는 약액으로서는, 중공사막 모듈이 유기물에 오염된 경우에는, 0.1% 정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에 0.4%의 가성 소다를 첨가한 것이 적용된다. 또한, 중공사막 모듈이 무기물에 오염된 경우에는, 0.5% 내지 1%의 옥살산, 시트르산, 염산, 황산 등이 적용된다. 또한, 이 세정 조건은, 원수(W)가 활성 오니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의 예이다.
자동 밸브(7)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이고, 원수(W)의 수면(WF)보다 위쪽인 제1 헤더관(11)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밸브(7)가 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가 대기 개방된다. 자동 밸브(7)는, 소정의 타이밍에 개폐를 행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라인 세정 시작시, 즉 여과 운전이 정지되어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최초의 타이밍에 개방되며, 약액이 유입되기 전에 폐쇄될 수 있다.
공기 빼기 밸브(9)는, 원수(W)의 수면(WF)보다 위쪽인 제1 헤더관(11)의 하류측 단부에서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 빼기 밸브(9)는,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공기(기체)를 통과(기체의 흐름을 허용)시킬 수는 있지만,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공기는 차단(기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물 등의 액체에 대해서는,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액체도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액체도 차단(액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공기 빼기 밸브는, 공기는 계외(系外)로 빠질 수 있지만, 물은 계외로 빠질 수 없고, 또한 공기ㆍ물 모두 계내에 들어갈 수 없는 밸브로 정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 빼기 밸브(9)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빼기 밸브(9)는, 제1 헤더관(11)에 연통하는 기립관(11a)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공기 빼기 밸브(9)는, 기립관(11a)에 연통하는 챔버(9a)와, 챔버(9a) 안에 수용된 플로트(9b)와, 챔버(9a)의 천정에 설치된 가스 빼기 관(9c)과, 가스 빼기 관(9c)에 설치된 체크 밸브(9d)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및 약액은, 기립관(11a)을 통해 챔버(9a)에 공급된다. 약액의 수위가 상승하면, 플로트(9b)도 상승하고, 플로트(9b)가 챔버(9a)의 천정에까지 도달하면, 가스 빼기 관(9c)의 입구를 막아, 공기 빼기 밸브(9)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헤더 배관계(3)는 봉쇄된 상태가 된다.
막 유닛(2)(도 1 참조)은,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31)을 유닛화하여 구성한 것이고, 원수조(CB)의 원수(W) 속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3개의 막 유닛(2)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수는 한정되지 않고, 원수조(CB)의 크기에 맞춰 증가시켜도 좋다. 또한, 하나의 막 유닛(2)에 포함되는 중공사막 모듈(31)의 수도 적절하게 증가ㆍ감소시켜도 좋다. 막 유닛(2)은,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31)과, 막 유닛(2)의 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32)과, 헤더 배관계(3)를 구성하고 프레임(32)의 상부에서 가로로 걸쳐 있는 제2 헤더관(12)과, 프레임(32)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중공사막 모듈(3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언더 서포트(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31)은, 상단측이 제2 헤더관(12)에 접속되고, 하단측이 언더 서포트(34)에 지지된다. 프레임(32)에 장착되는 중공사막 모듈(31)끼리의 설치 간격은, 복수의 중공사막(31a)의 원수 속에서의 흔들림을 고려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31)의 외경의 1.2배 이상 2배 이하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중공사막 모듈(31)끼리의 피치는 180 ㎜ 이상 300 ㎜ 이하 정도가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모듈(31)끼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 인접하는 중공사막(31a)끼리 맞부딪혀, 중공사막(31a)의 찰화(擦化)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중공사막(31a)의 흔들림의 폭이 억제되어, 오니의 부착 억제 효과가 손상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31)끼리의 설치 간격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31)의 외경의 1.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막의 일례로서 중공사막을 이용하고 있지만, 분리막으로서 평막을 이용하여도 좋고, 분리막 모듈로서 평막 모듈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3은, 중공사막 모듈(31) 및 언더 서포트(34)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모듈(31)은, 복수의 중공사막(분리막)(31a)과, 복수의 중공사막(31a)을 하측에서 결속하는 결속부(41)와, 결속부(41)에 부착된 스커트부(42)와, 복수의 중공사막(31a)을 상측에서 결속하는 결속부(43)와, 결속부(43)의 상단측에 부착된 캡 부재(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공사막(31a)은, 내부에 여과된 여과수의 유로가 형성된 튜브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측면은 원수(W)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막 표면에 있는 세공에 의해 고형분을 분리할 수 있다. 결속부(41)는, 중공사막(31a)의 하단에 고정된 원판형 부재이다. 중공사막(31a)의 하단측의 개구 부분은 결속부(41)의 상면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결속부(41)에는, 아래쪽에 배치된 언더 서포트(34) 내부에 배치된 산기관(散氣管)(46)으로부터의 폭기 공기를 위쪽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중공사막(31a)이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 제외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42)는, 상단측에 결속부(41)가 끼워 넣어진 원통형 부재이다. 이 스커트부(42)의 하단측은 언더 서포트(34)의 삽입 구멍(34a)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스커트부(42)는, 산기관(46)으로부터의 공기를 놓치지 않도록 복수의 중공사막(31a)과 언더 서포트(34)끼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 배관계(4)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프레임(32)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언더 서포트(34) 안의 산기관(46)에 공급된다.
중공사막 모듈(31)의 상단측의 결속부(43)는, 중공사막(31a)의 다발에 수지(결속부)를 함침시키는 것에 의해 포팅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사막(31a)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캡 부재(44)는 중공 원뿔대 형상 부재이며, 그 하단부에 결속부(43)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캡 부재(44)의 정상부로부터는 위쪽을 향해 접속관이 돌출되어 있고, 이 접속관과 제2 헤더관(12)은, 신축 가능한 신축 조인트(접속부)(4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침지막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18)를 작동시켜 헤더 배관계(3)로 원수(W)를 흡인함으로써, 원수(W)가 복수의 중공사막(31a)에서 여과되어 오니가 제거된 상태로 흡상된다. 흡상된 여과수는, 제2 헤더관(12), 접속관(13, 14, 16), 및 제1 헤더관(11), 라인 L1을 통과하여, 여과수조(6)에 저류된다. 한편, 산기관(46)의 산기 구멍으로부터 산기된 공기는, 위쪽을 향해 부상하고(도 3 참조), 결속부(41)의 관통 구멍(41a)을 통과하여 복수의 중공사막(31a) 주변을 통과한다. 이때, 중공사막(31a)은 산기된 공기의 영향으로 흔들림으로써, 막면에 퇴적된 퇴적물이 털어내어진다. 또한, 공기의 상향류는 조내 혼합액을 교반 혼합하고, 중공사막(31a)의 막면에 소류(掃流)로서 작용하여 막면을 세정한다. 이상이 여과 운전(여과 공정)에서의 수순이다.
다음에, 인라인 세정에 의한 침지막 장치(1)의 세정 방법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과 운전을 정지하고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경우, 최초에 자동 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수면(WF)보다 위쪽에서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한다(대기 개방 단계).
대기 개방 단계의 실행에 의해,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수위가 원수조(CB) 안의 원수(W)의 수위 정도까지 강하하면, 라인 L2를 개방하여 펌프(19)를 작동시킨다. 펌프(19)를 작동시킴으로써, 여과수조(6) 안의 여과수는, 라인 L2를 통하여 헤더 배관계(3)에 급송(給送)된다(도 1 참조). 또한, 펌프(19)의 작동에 맞춰 라인 L3을 개방하여 펌프(21)를 작동시킨다. 펌프(21)를 작동시킴으로써, 약액조(17) 안의 약액은 라인 L3을 통하여 라인 L2에 공급되고, 여과수와 합류하여 소정의 농도까지 희석된 후에 헤더 배관계(3)에 급송된다.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할 때는, 수면(WF)보다 위쪽에서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공기가 빠진다.
약액이 배관 내부에 가득 차면, 공기 빼기 밸브(9)가 폐쇄되어,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로 된다. 배관 내부가 봉쇄된 후에도 헤더 배관계(3)에의 약액의 공급은 계속 행해지고, 그 결과 헤더 배관계(3)에 급송된 약액은,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제2 헤더관(12)을 통과하여 각각의 막 유닛(2)의 각 중공사막 모듈(31)에 공급된다. 이로써, 약액에 의해 각 중공사막 모듈(31)의 가압 세정이 행해진다(가압 세정 단계).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 및 침지막 장치(1)의 세정 방법의 작용ㆍ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종래의 침지막 장치 및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침지막 장치(50)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여과시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b)는 인라인 세정시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침지막 장치(50)는, 헤더 배관계에 공기 빼기 밸브와 자동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종래의 침지막 장치(50)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은 여과수(FW)로 채워진다. 여과가 끝난 후에도, 대기압의 영향에 의해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 안이 여과수(FW)로 채워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 인라인 세정을 행하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의 압력의 관계에 의해, 복수의 접속관(13, 14, 16) 중, 가장 상류측의 접속관(16)에 약액이 흐른다. 가장 상류측의 막 유닛(2)에 약액이 흘러 각 중공사막 모듈이 세정됨으로써, 가장 상류측의 막 유닛(2)은, 중공사막 모듈에 오니가 부착된 상태인 다른 막 유닛(2)에 비해, 약액이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헤더관(11)의 상류측에 접속된 막 유닛(2)과 하류측에 접속된 막 유닛(2)의 사이에, 공급되는 약액의 양의 편중이 일어난다. 이것에 의해, 하류측 막 유닛(2)의 중공사막 모듈이 막히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은 여과수(FW)로 채워진다. 여과가 끝난 후에도, 대기압의 영향에 의해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 안이 여과수(FW)로 채워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초기 단계에서 자동 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한다. 자동 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헤더 배관계(3)의 제1 헤더관(11)과 접속관(13, 14, 16)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 안에 채워져 있던 여과수(FW)는, 원수조(CB)로 역류한다. 그리고, 접속관(13, 14, 16)의 배관 안에서, 여과수(FW)의 수면이 원수(W)의 수면(WF) 높이까지 내려간다.
접속관(13, 14, 16)의 배관 안에서의, 여과수(FW)의 수면 높이를 원수(W)의 수면(WF) 높이까지 내린 후, 자동 밸브(7)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 약액을 공급하면,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에 의해 밀려나온 공기는,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배관 외부로 빠진다. 공기가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빠짐으로써, 약액은 제1 헤더관(11) 안으로 원활하게 흐르고, 접속관(13, 14, 16) 안에 균등하게 유입된다. 제1 헤더관(11) 및 접속관(13, 14, 16) 안이 약액으로 채워지고,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빠지는 공기가 없어지면, 약액은 접속관(13, 14, 16) 안에서 여과수(FW)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면서 각각의 막 유닛(2)에 공급된다. 이때, 각 접속관(13, 14, 16)의 약액에는 균등하게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각각의 막 유닛(2)에는,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약액이 공급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 및 그 세정 방법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막 유닛(2)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더 배관계(3)의 형태의 일례를 소개했지만, 헤더 배관계(3)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수평인 헤더관에 대하여 지관이 경사를 갖고 접속되는 형태, 수평으로 접속되는 형태, 또는 수직으로 접속되는 형태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상정된다. 이러한 각종 형태는, 예컨대 침지막 장치(1)의 설치 장소의 요구에 의해 정해지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3)의 형태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2)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가 봉쇄되어 공기 빼기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중공사막(31a)을 가압 세정할 수 있고, 따라서 중공사막(31a)의 내압 성능에 따라 최적의 압력을 부여하면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중공사막(31a)에 대하여 인라인 세정시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은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중공사막(31a)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공사막(31a) 대신에 평막을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역세척에 의한 인라인 세정을 행할 때의 내압 성능이 낮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지만, 약액의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인라인 세정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의 세정 방법에서는,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약액이 가득 차고, 이 상태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함으로써, 인라인 세정 후에, 원활하게 여과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어, 인라인 세정에 기인한 여과 운전의 정지 시간을 극력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에 있어서, 개방 수단은, 자동 밸브(7)이고, 기체 방출 수단은, 공기 빼기 밸브(9)이다. 이와 같이, 개방 수단을 자동 밸브(7)로 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타이밍에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헤더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하고, 여과수의 수면을 저하시킨 후에는 폐쇄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헤더 배관 내부에 공급된 약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 방출 수단을 공기 빼기 밸브(9)로 함으로써, 약액을 배관 외부로 누출시키는 일 없이 공기만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는,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31)로 구성되는 막 유닛(2)을 복수 구비하고, 헤더 배관계(3)는, 복수의 막 유닛(2)의 각각에 접속되는 제1 헤더관(11)을 가지며, 적어도 공기 빼기 밸브(9)는, 제1 헤더관(11)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막 유닛(2)에 대하여 균등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에서, 헤더 배관계(3)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헤더관(11)에 공기 빼기 밸브(9)를 설치함으로써,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확실하게 빼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는, 제2 헤더관(12)과 중공사막 모듈(31) 사이의 접속부인 신축 조인트(47)의 일부가 원수(W)의 수면(WF)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주로 다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고, 원수조(CB)의 원수(W)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막 유닛(2)과, 각각의 막 유닛(2)의 중공사막 모듈(31)로부터 원수(W)를 흡상하는 헤더 배관계(3)와, 각각의 막 유닛(2)에 산기용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배관계(4)와, 헤더 배관계(3)로 흡상한 여과수를 저류하는 여과수조(6)와, 인라인 세정시에 사용하는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조(17)와, 인라인 세정시에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하는 자동 밸브(개방 수단)(7), 그리고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공기 빼기 밸브(기체 방출 수단)(9)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공급 배관계(4)는, 도시 생략된 외부의 공기 공급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헤더 배관계(3)는, 제1 헤더관(11)과, 제2 헤더관(12)과, 복수의 접속관(13, 14,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유닛(2) 중 중공사막 모듈(31)이 완전히 원수(W) 속에 침지되어 있고, 수면(WF)은 중공사막 모듈(31)과 제2 헤더관(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중공사막 모듈(31)과 제2 헤더관(12)을 접속하는 신축 조인트(47)의 일부가 원수(W)의 수면(WF)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제2 헤더관(12) 및 신축 조인트(47)는 여과수(FW)로 채워진다. 여과가 끝난 후에도, 대기압의 영향에 의해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제2 헤더관(12) 및 신축 조인트(47) 안이 여과수(FW)로 채워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초기 단계에서 자동 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한다. 자동 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제1 헤더관(11)과 접속관(13, 14, 16)과 제2 헤더관(12)과 신축 조인트(47)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제2 헤더관(12) 및 신축 조인트(47) 안에 채워져 있던 여과수(FW)는, 원수조(CB)로 역류한다. 그리고, 신축 조인트(47)의 배관 안에서, 여과수(FW)의 수면이 원수(W)의 수면(WF) 높이까지 내려간다.
신축 조인트(47)의 배관 안에서의, 여과수(FW)의 수면 높이를 원수(W)의 수면(WF) 높이까지 내린 후, 자동 밸브(7)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 약액을 공급하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에 의해 밀려나온 공기는,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배관 외부로 빠진다. 공기가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빠짐으로써, 약액은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및 제2 헤더관(12) 안으로 원활하게 흘러, 신축 조인트(47) 안에 균등하게 유입된다. 제1 헤더관(11), 접속관(13, 14, 16), 제2 헤더관(12), 신축 조인트(47) 안이 약액으로 채워지고, 공기 빼기 밸브(9)로부터 빠지는 공기가 없어지면, 약액은 신축 조인트(47) 안에서 여과수(FW)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면서 각 중공사막 모듈(31)에 공급된다. 이때, 각 중공사막 모듈(31)의 약액에는 균등하게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각 중공사막 모듈(31)에는,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약액이 공급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 및 그 세정 방법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중공사막 모듈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3)의 형태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2)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또한, 중공사막(31a)에 대하여 인라인 세정시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은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중공사막(31a)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0)의 세정 방법에서는,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약액이 가득 차고, 이 상태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함으로써, 인라인 세정 후에, 원활하게 여과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어, 인라인 세정에 기인한 여과 운전의 정지 시간을 극력 줄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빼기 밸브(9) 대신에, 공기 빼기 유닛(51)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다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빼기 유닛(51)은, 제1 헤더관(11)에 연통하는 약액 배출관(51a)과, 약액 배출관(51a)을 개폐하는 밸브(51b)와, 제1 헤더관(1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약액 배출관(51a)에 접속된 약액 저류 챔버(51c)를 구비한다. 약액 저류 챔버(51c)는 대기 개방되어 있다. 공기 빼기 유닛(51)은 기체 방출 수단에 상당한다.
침지막 장치(101)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라인 세정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대기 개방 단계가 실행된다. 대기 개방 단계 후, 약액을 헤더 배관계(3)에 공급할 때에는, 밸브(51b)를 개방하여 약액 배출관(51a)을 개방 상태로 한다. 그 결과,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에 가득 찬 약액은 약액 배출관(51a)을 통해 약액 저류 챔버(51c)에 배출된다. 약액 저류 챔버(51c)에 약액이 배출되면 밸브(51b)를 폐쇄하여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를 봉쇄 상태로 하고, 그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함으로써 각 중공사막 모듈의 가압 세정을 행한다(가압 세정 단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 및 그 세정 방법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중공사막 모듈(31)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3)의 형태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2)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또한, 중공사막(31a)에 대하여 인라인 세정시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은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중공사막(31a)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의 세정 방법에서는,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약액이 가득 차 있고, 이 상태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함으로써, 인라인 세정 후에, 원활하게 여과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어, 인라인 세정에 기인한 여과 운전의 정지 시간을 극력 줄일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침지막 장치(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침지막 장치(102)는, 침지막 장치(1)의 자동 밸브(4) 및 공기 빼기 밸브(9)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배관 봉쇄 유닛(52)을 구비하고 있다. 침지막 장치(102)의 그 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침지막 장치(1)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 봉쇄 유닛(52)은, 자동 밸브(4) 및 공기 빼기 밸브(9)의 각 기능을 겸용하는 요소이고, 제1 헤더관(11)에 연통하는 공기 및 약액 배출관(52a)과, 공기 및 약액 배출관(52a)을 개폐하는 밸브(52b)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 봉쇄 유닛(52)은 개방 수단 및 기체 방출 수단에 상당한다.
침지막 장치(102)에서 인라인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밸브(52b)를 개방하고,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한다(대기 개방 단계). 대기 개방 단계의 실행에 의해, 헤더 배관계(3)의 배관 내부의 수위가 원수조(CB) 안의 원수(W)의 수위 정도까지 강하한 후,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한다. 약액을 헤더 배관계(3)에 공급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밸브(52b)는 개방해 두고, 공기의 배기는 계속해서 행해진다. 그 후, 약액이 헤더 배관계(3) 안에 널리 두루 미치도록 밸브(52b)를 폐쇄하여 배관 내부의 봉쇄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약액이 배관 내부에 완전히 가득 차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헤더관(11)의 상부에는 공기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관 내부를 봉쇄 상태로 한 후에도 계속해서 헤더 배관계(3)에 약액을 공급함으로써 각 중공사막 모듈의 가압 세정을 행한다(가압 세정 단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2) 및 그 세정 방법에 의하면, 인라인 세정시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31)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침지막 장치(101)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약액의 양의 편중 등이 헤더 배관계(3)의 형태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각종 형태에 대하여, 막 유닛(2)마다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균등하게 하기에 유효하다. 또한, 중공사막(31a)에 대하여 인라인 세정시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은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중공사막(31a)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각 실시형태마다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개방 수단으로서의 자동 밸브(7)를 제1 헤더관(11)에 설치했지만, 제2 헤더관(12) 등에 설치하여도 좋고, 적어도 원수(W)의 수면(WF) 위이면 헤더 배관계(3)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방출 수단으로서 공기 빼기 밸브(9)를 이용했지만, 배관 안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고, 자동 밸브를 기체 방출 수단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자동 밸브는, 기체 방출 수단 및 개방 수단 모두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막 유닛(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하나의 막 유닛(2)뿐인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31)을 유닛화하였지만, 유닛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헤더 배관계는, 분리막 모듈의 상단부로부터 원수를 흡인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단부에 한하지 않고, 하단부로부터 흡인하여도 좋으며, 또는 상하 단부로부터 흡인하여도 좋다.
1, 100: 침지막 장치 2: 막 유닛
3: 헤더 배관계 7: 자동 밸브(개방 수단)
9: 공기 빼기 밸브(기체 방출 수단) 11: 제1 헤더관
12: 제2 헤더관
31: 중공사막 모듈(분리막 모듈) 31a: 중공사막(분리막)
47: 신축 조인트(접속부)
51: 공기 빼기 유닛(기체 방출 수단)
52: 배관 봉쇄 유닛(개방 수단, 기체 방출 수단)
W: 원수 WF: 수면

Claims (8)

  1. 원수(原水)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막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막 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리막으로부터 상기 원수를 흡인하는 헤더 배관계를 구비하고, 상기 헤더 배관계가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상기 원수를 흡인하여 상기 원수의 여과를 행하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으로서,
    여과 운전을 정지하고 인라인 세정을 행할 때에,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상기 원수의 수면보다 위쪽에서 대기 개방하는 대기 개방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대기 개방 단계 후, 배관 내부의 기체를 빼내면서 상기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하며, 배관 내부가 봉쇄되어 기체 빼내기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상기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막을 가압 세정하는 가압 세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가 봉쇄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상기 약액이 가득 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3. 원수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분리막 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리막으로부터 상기 원수를 흡인하는 헤더 배관계와,
    인라인 세정의 약액 공급 전에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를 대기 개방하는 개방 수단과,
    인라인 세정에서 상기 헤더 배관계에 약액을 공급할 때에,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기체 방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수단 및 상기 기체 방출 수단은, 상기 헤더 배관계 중, 상기 원수의 수면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방출 수단은,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기체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기체의 흐름은 규제하는 공기 빼기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빼기 밸브는,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내부로부터 배관 외부로 향하는 액체와 상기 헤더 배관계의 배관 외부로부터 배관 내부로 향하는 액체를 차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상기 막 유닛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을 가지며,
    상기 개방 수단 및 상기 기체 방출 수단은, 상기 제1 헤더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상기 막 유닛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공기 빼기 밸브는, 상기 제1 헤더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헤더 배관계는, 복수의 상기 막 유닛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헤더관과, 상기 막 유닛에 장착되어 복수의 상기 분리막 모듈 각각에 접속되는 제2 헤더관을 가지며,
    상기 기체 방출 수단은, 상기 제1 헤더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헤더관과 상기 분리막 모듈의 접속부의 일부는, 각각 상기 원수의 수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막 장치.
KR1020127003631A 2009-08-25 2010-08-20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 KR20120048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4337 2009-08-25
JP2009194337 2009-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21A true KR20120048621A (ko) 2012-05-15

Family

ID=4362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631A KR20120048621A (ko) 2009-08-25 2010-08-20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187043A1 (ko)
EP (1) EP2471590A1 (ko)
JP (1) JPWO2011024726A1 (ko)
KR (1) KR20120048621A (ko)
CN (1) CN102665876A (ko)
AU (1) AU2010287655A1 (ko)
CA (1) CA2771784A1 (ko)
WO (1) WO20110247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227A1 (en) * 2014-12-28 2016-07-07 Emefcy Ltd.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US11299412B2 (en) 2014-09-08 2022-04-12 Fluence Water Products And Innovation Ltd. Module, 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US20220111336A1 (en) * 2018-12-27 2022-04-14 Kubota Corporation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2367B (zh) * 2014-09-03 2016-03-02 昆明滇池水务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节水、节药膜组器的清洗方法及装置
JP2018507100A (ja) * 2015-01-06 2018-03-15 ナノストーン ウォー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端部キャップデバイスを伴う膜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170072344A1 (en) * 2015-09-10 2017-03-16 19346124 Ontar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watering solid particles in a contaminated liquid mixture
US20220001336A1 (en) * 2020-07-01 2022-01-06 Ovivo Inc. Methods of Cleaning Filter Membranes in Wastewater Treatment
CN115121121B (zh) * 2022-04-27 2023-10-31 浙江长兴求是膜技术有限公司 一种膜组件及其曝气装置和清洗方法及污水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19000A (en) 1999-07-29 2001-02-19 Zenon Environmental Inc. Maintenance cleaning for membranes
JP3554296B2 (ja) * 2001-07-18 2004-08-18 株式会社エステム ろ過分離膜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ろ過装置
JP4197669B2 (ja) * 2004-08-18 2008-12-17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浸漬型膜分離式汚水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EP1952879A4 (en) * 2005-10-24 2010-04-14 Kubota Kk MEMBRANE SEPARATION DEVICE WITH A LARGE SIZE
JP2007160234A (ja) * 2005-12-14 2007-06-28 Nikko Co 浸漬型膜モジュール
JP5096765B2 (ja) * 2007-02-28 2012-12-12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膜ろ過装置の逆洗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9412B2 (en) 2014-09-08 2022-04-12 Fluence Water Products And Innovation Ltd. Module, 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WO2016108227A1 (en) * 2014-12-28 2016-07-07 Emefcy Ltd.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US10633268B2 (en) 2014-12-28 2020-04-28 Emefcy Ltd.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US20220111336A1 (en) * 2018-12-27 2022-04-14 Kubota Corporation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4726A1 (ja) 2011-03-03
JPWO2011024726A1 (ja) 2013-01-31
CN102665876A (zh) 2012-09-12
CA2771784A1 (en) 2011-03-03
AU2010287655A1 (en) 2012-03-29
EP2471590A1 (en) 2012-07-04
US20120187043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8621A (ko) 침지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막 장치
US8894858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ze backwash
KR101115173B1 (ko) 역류
CN100421772C (zh) 改进的组件清洗方法
KR20010092783A (ko) 잠겨진 막 여과시스템 및 범람 과정
KR20110127123A (ko) 침수된 멤브레인 카세트 및 작동 방법
JP5326571B2 (ja) ろ過処理方法
JPH0634785U (ja) 膜脱気装置における結露水除去装置
JP2010234227A (ja) 膜分離装置
JP7073154B2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JP2015199024A (ja) 薬液洗浄方法、水処理システム、及び膜濾過装置
JP6411051B2 (ja) 浸漬型膜分離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6488368B2 (ja) 水処理設備
JP4386702B2 (ja) 薬液洗浄装置
JP2009112936A (ja) 濾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濾過装置
WO2009128119A1 (ja) 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CN201906565U (zh) 膜浸渍槽及膜处理装置
CN201400601Y (zh) 管式膜元件及一体式膜生物反应器
JP5388968B2 (ja) 膜分離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膜分離装置
JP2010119948A (ja) 膜分離装置、及びろ過処理運転方法
US6789285B1 (en) Pulp washing method and plant
AU2006284524B2 (en) An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se backwash
JP2006130392A (ja) ガス浄化装置
JP2011036808A (ja) 濾過ユニット
JPS6321400A (ja) 自動サイフオン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