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964A -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 - Google Patents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964A
KR20120044964A KR1020127000034A KR20127000034A KR20120044964A KR 20120044964 A KR20120044964 A KR 20120044964A KR 1020127000034 A KR1020127000034 A KR 1020127000034A KR 20127000034 A KR20127000034 A KR 20127000034A KR 20120044964 A KR20120044964 A KR 2012004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 layer
fatty acid
ultraviolet curable
hard
hard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가키누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75Polyorganosiloxane-contai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표리 양면 또는 편면에 코팅된 하드 코트층으로 구성되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가 0.07 이상 3.3 이하인 수지 적층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 등의 하드 코트 특성이나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피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우수한 표면 보호용 수지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LAYERED RESIN PRODUCT AND IMAG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TV,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GPS(전지구 측위 시스템 : Global Positioning System), 터치 패널 등의 액정 표시부, 고글, CD(콤팩트 디스크)나 DVD(디지털 비디오디스크)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수지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 수지 적층체의 표면은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하드 코트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재의 사용 시는, 최표면의 하드 코트층과 피부가 접촉하므로, 피부로부터의 분비 성분인 피지나 땀 등에 의해 형성된 피지막의 부착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오렴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오염의 방지 기술로서, 불소계 화합물이나 실리콘계 화합물을 하드 코트층에 함유시킴으로써, 발수성, 발유성을 높여, 오염물을 부착시키기 어렵게 하는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그러나, 오염물의 부착을 완전히 방지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특히 피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어려우며, 오염물이 부착된 경우, 오염물의 접촉각이 높아져 반사광이 산란되어, 더욱 눈에 띄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문자나 모양 등의 인쇄에 의한 가식(加飾)을 실시하고자 하면, 인쇄 잉크가 튕겨져나와 버려, 스크린 인쇄나 그라비어 인쇄 등에서는 인쇄 가장(加裝)을 할 수 없으며, 용도가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334419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07-16076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 등의 하드 코트 특성이나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피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우수한 수지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는, 하기 (1)~(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1) 수지 기재(基材)와, 그 수지 기재의 표리 양면 또는 편면에 코팅된 하드 코트층으로 구성되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가 0.07 이상 3.3 이하인 수지 적층체.
(2) 상기 하드 코트층이,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더 포함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3)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가 0.0007 이상 0.15인 상기 (1) 또는 (2)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4) 상기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또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메틸알킬실록산인 상기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5)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가 0.08 이하인 상기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6)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가 0.03 이하인 상기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7) 상기 수지 기재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기재인 상기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
(8) 상기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를, 화상 표시체의 표시 부분에 이용하여 제작된 화상 표시체.
(9) 상기 (8)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체가 휴대전화인 화상 표시체.
(10) 상기 (8)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체가 액정 표시체인 화상 표시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 등의 하드 코트 특성이나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피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우수한 수지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표리 양면 또는 편면에 코팅된 하드 코트층으로 구성되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가 0.07 이상 3.3 이하인 수지 적층체이며, 이 수지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 등의 하드 코트 특성이나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피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우수한 수지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는,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드 코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은,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되는 화합물이고, 자외선 경화성의 올리고머 또는 자외선 경화성의 모노머이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또는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중 어느 하나, 혹은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와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의 조합이다. 자외선 경화성의 올리고머 또는 자외선 경화성의 모노머로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의 올리고머 또는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는, 하드 코트층에 필요한 여러 물성(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가공성, 유연성 등)을 담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환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본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를 얻고, 다음에, 그 양 말단의 수산기를 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는, 특히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며, 또한 고경도를 달성하기 위한 6관능 이상의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와, 유연성을 부여하는 3관능 이하의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조합이, 우수한 경도와 내충격성의 밸런스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의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3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10000이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의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로서는,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또는 그 다량체를 들 수 있다. 또,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은,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및 그 다량체와,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조합이어도 된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이,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또는 그 다량체인 것, 혹은,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또는 그 다량체와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조합임으로써, 하드 코트층에 필요한 여러 물성(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가공성, 유연성 등)이 높아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로서는, 상기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와, 3관능 이하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조합이, 우수한 경도와 내충격성의 밸런스를 달성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5관능 이상의 다관능의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또는 그 2량체 이상의 화합물로서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5관능」이란, 1분자 중의 자외선에 의해 중합 반응하는 관능기, 예를 들면,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비닐기 등의 기의 수가 5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를 이용하면,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가교 밀도 조정이나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 조정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하드 코트층과 수지 적층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모노머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환상 구조를 갖는 2관능 아크릴레이트가, 하드 코트층의 경도나 내열성을 높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하드 코트층은,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있는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은,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함유한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시놀산, 리놀산, 아라키딘산, 리그노세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모노글리세리드), 유기산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인산 에스테르, 에톡시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올레인, 레시틴 등을 들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모노글리세리드, 유산 모노글리세리드, 구연산 모노글리세리드, 디아세틸 주석산 모노글리세리드, 숙신산 모노글리세리드, 피마자유(리시놀산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테트라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경화 피마자유(수소 첨가 리시놀산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다이머디리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의 유도체는, 지방산의 측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메틸기로부터 다른 유기기로 치화한 구조의 화합물이다. 또, 지방산 에스테르의 유도체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측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메틸기로부터 다른 유기기로 치환한 구조의 화합물이다. 지방산의 유도체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유도체에 따른 유기기로서는, 폴리에테르기, 폴리알킬기, 아랄킬기, 폴리에스테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이어도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로서는,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테트라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다이머디리놀산 에스테르 등과 같이,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또는 그들의 유도체 중, 분자 내에 탄소수 12 이상의 탄화수소(직쇄 또는 환상)를 1개 이상, 또한, 반복 단위가 합계로 10 이상이 되는 폴리에테르쇄를 같은 분자 내에 갖는 구조의 것이 적합하며, 또한, 분자 내에 탄소수 16 내지 18의 직쇄의 탄화수소를 2개 이상, 또한, 반복 단위가 합계로 20 내지 80의 폴리에테르쇄를 같은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구조의 것이 특히 적합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가 0.07 이상 3.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 이하이다.
함유비[(Bs)/(As)]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피지막의 부착에 의한 오염이 눈에 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지고, 또한, 표면에 부착되는 피지막의 접촉각을 낮춰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나,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며, 또는,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지므로, 투과율의 저하나, 헤이즈의 상승 등에 의해 광학 특성의 열화도 발생하지 않고, 하드 코트층 자체의 성능도 유지되어,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가 표면에 석출되지 않으며, 외관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함유비[(Bs)/(As)]는 중량비이다. 또, 중량비[(Bs)/(As)]는,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가 1종 단독인 경우는, 그 1종의 함유량에 의거하여 산출되고, 또,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가 2종 이상의 조합인 경우는, 그들의 합계 함유량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또,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이란, 하드 코트층 중, 표면에서 100nm의 위치로부터 표면측의 부분(깊이 100nm까지의 부분)을 가리킨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이란, 하드 코트층 중, 표면에서 100nm의 위치로부터 수지 기재측의 부분(깊이가 100nm보다 깊은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는,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 TOF-SIMS(Time Of Fright-Secondary Ion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하드 코트층 표면으로부터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구하여, 얻어진 함유량의 값으로부터 산출된 값이다.
함유비[(Bs)/(As)]를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및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의 함유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해,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0.01~5중량부 배합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드 코트층의 두께나, 선정한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종류 또는 조합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가 0.08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0.01 이하이다.
함유비[(Br)/(Ar)]는,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식 (1) :
[수식 1]
Figure pct00001
At : 하드 코트층 전체의 (A) 성분의 함유량(중량)
Bt : 하드 코트층 전체의 (B) 성분의 함유량(중량)
t : 하드 코트층의 두께(μm)
As :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의 (A) 성분의 함유량(중량)
Bs: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의 (B) 성분의 함유량(중량)
또한, 하드 코트층 전체의 (A) 성분의 함유량이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포함되는 (A) 성분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A)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다. 동일하게, 하드 코트층 전체의 (B) 성분의 함유량이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포함되는 (B) 성분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B)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100nm까지의 부분에,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비해,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다.
상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가, 하드 코트층의 표면보다 깊은 부분까지 고농도로 함유된 경우, 표면에 부착되는 피지막의 접촉각을 낮춰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나,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는 얻어지지만, 투과율의 저하나, 헤이즈의 상승 등에 의해 광학 특성의 열화가 일어나는 경우나, 하드 코트층 자체의 성능이 저하하여 버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의 용도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하드 코트층은, 또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기본 구조로서 갖는 화합물이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측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메틸기로부터 다른 유기기로 치환한 구조의 것이다.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에 따른 유기기로서는, 폴리에테르기, 폴리알킬기, 아랄킬기, 폴리에스테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이어도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나,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메틸알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에 따른 유기기로서의 폴리에테르기는, 에틸렌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렌옥사이드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가, 0.0007 이상 0.15이하이며, 0.001 이상 0.1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0.05 이하이다.
함유비[(Cs)/(As)]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표면에 부착되는 피지막의 접촉각을 낮춰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나,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높아지며, 또는 내구성도 높아진다. 또한, 하드 코트층의 평활성이 얻어지기 쉬워지고, 하드 코트층 자체의 성능이 높아진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의 함유비[(Cs)/(As)]로 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함유량을 조정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해,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0.0001~0.3중량부 배합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피지막이란, 피지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지질과 땀샘으로부터 분비되는 땀이 혼합되어 피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막이다. 피지막의 성분은, 예를 들면 지방산 7.9~39.0%, 트리글리세리드 9.5~49.4%, 디글리세리드?모노글리세리드 2.3~4.3%, 왁스에스테르 22.6~29.5%, 콜레스테롤에스테르 1.5~2.6%, 콜레스테롤 1.2~2.3%, 스콸렌 10.1~13.9%와 같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지만, 85% 이상(스콸렌과 콜레스테롤 이외의 것은 모두)은 지방산, 혹은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트리글리세리드는, 글리세린과 3개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이고, 디글리세리드는 글리세린과 2개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 모노글리세리드는 글리세린과 1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이다. 왁스에스테르는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이다. 또, 콜레스테롤에스테르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이다.
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이,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포함하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의 단독 효과에 의해, 평활한 표면에서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이 충분한 적층체가 얻어지지만,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약간 향상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표면에 부착되는 피지막의 접촉각을 낮춰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나,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이, 피지막과 친화성이 있는 화합물로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와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동시에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피지막의 접촉각을 낮춰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가 높아지며, 또, 평활한 표면으로서,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피지막의 닦아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높아진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이, 하드 코트층 표면에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와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고농도로 포함함으로써, 이들의 효과가 높아진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50μm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자외선 조사에 의해 내부까지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으며, 또, 하드 코트층과 수지 적층체의 밀착성이 좋고, 도막의 경화 수축에 의한 크랙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하드 코트층은, 수지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공하고, 다음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수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하드 코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및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함유한다. 그리고,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및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에 더하여, 또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 및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의 함유량은, 함유비[(Bs)/(As)]또는 함유비[(Cs)/(As)]의 설치값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반응(중합)을 개시시키기 위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다.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 또는 벤조인알킬에테르류,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등의 방향족 케톤류, 벤질 등의 알파디카르보닐류,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등의 벤질케탈류, 아세토페논,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 등의 아세토페논류,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류, 2,4-디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류,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포스핀옥사이드류,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알파아실옥심류,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이소아밀 등의 아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표면 경화성에 우수한 것과 내부 경화성에 우수한 것,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표면 조정제, 희석 용제, 무기 또는 유기 필러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표면 조정제는, 도공 후의 도막을 평활하게 하여 우수한 외관을 얻기 위해 필요에 따라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소량의 불소계 화합물이나, 아크릴계 공중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성분이 용제에 분산 또는 용해된 분산액 또는 용액이어도 된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조제에 이용되는 용제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수지 적층체에 도공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메톡시프로필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메톡시프로판올, 에톡시프로판올, 메톡시부탄올 등의 글리콜계 용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도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기 (A), (B), (C), 광중합 개시제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표면 조정제, 희석 용제, 무기 또는 유기 필러 등의 각 성분을 칭량, 혼합하여, 균일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이 되도록 교반 혼합함으로써 제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혼합하여, 필요에 따라 가온(60℃ 이하가 바람직하다)하여, 디졸버 등의 교반기나, 볼밀 등의 분산 장치를 이용해 균일해질 때까지, 예를 들면 1~30분간 정도, 혼합 교반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따른 수지 기재로서는, 일반적인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의 용도로서는,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TV,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GPS(전지구 측위 시스템), 터치 패널 등의 액정 표시부, 고글, CD, DVD 등의 보호 커버가 있으며, 투명성, 가공성,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수지 기재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외, 수지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의 일반적인 투명 수지도 바람직하다.
수지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상기 용도에 필요해지는 성능(내충격성, 가공성 등)을 유지하면서, 소형화,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0.02mm 이상 2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롤 코트법, 플로우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코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수지 기재의 표리 양면 또는 편면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공하고, 다음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고, 희석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지 기재 및 분위기의 온도를 올려 충분히 희석 용제를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자외선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자외선 조사에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유전극형이나 무전극형의 고압 수은등이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100KeV 정도의 저전압의 전자선 조사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을 경화 수단으로 하는 경우는, 광중합 개시제는 불필요해진다.
수지 기재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공할 때,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도막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드 코트층으로서 실용적인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1μ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도막의 두께가 50μm를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내부까지 균일하게 경화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 하드 코트층과 수지 적층체의 밀착성에 문제점이 생기거나, 도막의 경화 수축에 의한 크랙 등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특히 상기 용도에 필요해지는 성능(내충격성, 가공성 등)을 유지하면서, 소형화, 박형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0.02mm 이상 2mm 이하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특히 보호 커버에 대해 유효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체란, 표시 부분을 갖는 화상 표시체이고, 상기 수지 적층체를 화상 표시체의 표시 부분에 이용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 액정 표시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
(A1) 6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상품명 : EB1290, 다이셀 사이텍사제)《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A2) 2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상품명 : EB8402, 다이셀 사이텍사제)《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A3)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상품명 : A-DPH, 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제)《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A4)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상품명 : A-TMMT, 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제)《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A5)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 A-BPE-4, 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제)《자외선 경화성 모노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
(B1)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상품명 : GWIS-110, 일본 에멀션사제)
(B2) 트리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상품명 : GWS320, 일본 에멀션사제)
(B3)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상품명 : GWIS-260EX, 일본 에멀션사제)
(B4)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상품명 : RWL-150, 일본 에멀션사제)
(B5)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상품명 : 에마렉스 RWIS-10, 일본 에멀션사제)
(B6)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상품명 : 에마논 460V, 카오사제)
(B7) 테트라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상품명 : 닛콜 GS460, 니코 케미컬즈사제)
(B8)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상품명 : C-40 일본 에멀션사제)
(B9)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상품명 : 에마논 CH-60, 카오사제)
(B10)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상품명 : 닛콜 BPS-10, 니코 케미컬즈사제)
(B11)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다이머디리놀산에스테르
(상품명 : 에마렉스 DICD-30, 일본 에멀션사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
(C1)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상품명 : SH28PA, 도레이?다우코닝사제)
(C2)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상품명 : 그라놀 400, 교에이샤 화학사제)
<광중합 개시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 이르가큐어 184, 치바?재팬사제)
<실시예 1>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EB1290/EB8402/A-TMMT/A-BPE-4를 40/10/40/10의 비율로 배합하여,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농도가 20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이소부틸알코올의 50/50 혼합 희석 용제로 희석하였다. 여기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 184를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비로 5중량% 첨가하였다. 이것에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로서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GWIS-110)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더하고, 배합액을 충분히 교반하여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로 한 후, 밀폐 용기에 보존하였다.
수지 기재로서, 두께 1.5mm의 아크릴 수지 기재(PMMA 스미토모 화학사제 「스미펙스 E」)를 준비하고, 바 코터를 이용하여, 웨트 막두께가 약 15μm가 되도록 상기 제작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였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한 수지 기재를 50℃의 열풍 순환형 오븐에 넣어, 10분간 건조한 후, 메탈 할라이드 램프(우시오 전기사제)를 이용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두께 3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1.1이었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2>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EB1290/EB8402/A-TMMT/A-BPE-4의 비율을 55/5/30/10으로 변경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트리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GWS32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3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9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3>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GWIS-260EX)로 변경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와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로서 SH28PA를,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첨가하고, 웨트 막두께를 약 25μm로 하여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1.0,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05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4>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중, EB1290을 A-DPH로 변경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RWL-150)로 변경하고,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로서 SH28PA를 첨가하고, 웨트 막두께를 약 25μm로 하여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2.1,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5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5>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RWIS-10)로 변경하고, 희석 용제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이소부틸알코올의 80/20 혼합 희석 용제로 변경하고, 수지 기재를 두께 0.5mm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기재(PC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사제「폴리카에이스」)로 변경하고, 건조 온도를 70℃로 변경하고 건조 시간을 5분간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3,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1이었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6>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로서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460VG)로 변경하고,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그라놀 400으로 변경하고, 수지 기재를, 두께 188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기재(PET 도요방사제 「코스모샤인 A430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1,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01이었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7>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A-DCP/EB8402/A-TMMT/A-BPE-4의 비율을 70/10/10/10으로 변경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테트라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GS460)로 변경하고,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그라놀 400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5,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05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8>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EB1290/A-DCP/EB8402/A-TMMT/A-BPE-4의 비율을 30/30/20/10/10으로 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C-40)로 변경하고, 웨트 막두께를 약 40μm로 하여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8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1.8,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3이었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9>
(A)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EB1290/A-DCP/EB8402/A-BPE-4의 비율을 25/30/25/20으로 하고,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CH-6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8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8,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15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10>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BPS-10)로 변경하고, 웨트 막두께가 약 15μm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3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1.5,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2였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실시예 11>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다이머디리놀산에스테르(DICD-3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3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2.3,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7이었다.
또,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하며, 0.08 이하였다.
<비교예 1>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인,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GWIS-110)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더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3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3.6이었다.
<비교예 2>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그들의 유도체인,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GWIS-260EX)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05,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005였다.
<비교예 3>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더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Cs)/(As)]는 0.005였다.
<비교예 4>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 및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4.3,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2였다.
<참고예 1>
(B)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와, (C)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막두께 5μm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함유비[(Bs)/(As)]는 0.5,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는 0.3이었다.
상기 제작한 수지 적층체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함유 비율([(Bs)/(As)] 및 [(Cs)/(As)])의 측정 방법>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의 부분의 측정은,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 TOF-SIMS(Time Of Fright-Secondary Ion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제작한 수지 적층체를 이용하여, 수지 적층체의 시료 표면으로부터 이온에 의한 스퍼터링을 행하면서 측정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100nm까지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미리 각 성분을 이용하여 고유 피크를 특정해 두고, 측정 피크로 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100nm까지의 부분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비율은 중량비로 하였다.
<외관, 표면의 흐려짐>
제작한 수지 적층체를 이용하여, 암실 내에서, 20W의 3파장형 형광등의 바로 아래 10cm의 거리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드 코트 표면의 흐려짐이나 석출물의 유무, 표면의 평활성을 확인하였다.
<광학 특성>
제작한 수지 적층체를 이용하여, 헤이즈미터(상품명 : NDH2000, 일본 덴쇼쿠공업사제)를 이용해, JIS K 7105에 준거하여, 전광선 투과율(Tt), 헤이즈(Hz)를 측정하였다.
<하드 코트성>
제작한 수지 적층체를 이용하여, 스틸 울 #0000을 직경 10mm의 유지구에 부착하고, 일정 하중(500g), 일정 속도(6000mm/min)로 100 왕복한 후, 시료 표면의 상처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 : 상처가 나지 않는다/실용상 우수하다
B : 몇 개의 상처가 난다/실용상 충분
C : 전체에 상처가 난다/실용상 떨어진다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 I(부착 오염물이 눈에 띄지 않음/보이기 힘듦)
피지 성분으로서 트리올레인을 집게손가락에 부착시키고, 그 손가락을 제작한 수지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일정 하중(1kg)으로 압착하여 재전사시켰다. 트리올레인을 전사시킨 하드 코트층 표면을 현미경(키엔스사제 VK9700)으로 배율 200배로 관찰하였다.
트리올레인의 부착 상태에 따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 : 지문형상으로 부착된 트리올레인이, 면적으로 70% 이상이 젖어 있는 상태(직경 100μm 이하의 액적이 아닌 상태)(지문이 매우 보이기 힘들다)
B : 지문형상으로 부착된 트리올레인이, 면적으로 50% 이상 70% 미만이 젖어 있는 상태(직경 100μm 이하의 액적이 아닌 상태)(지문이 보이기 힘들다)
C : 지문형상으로 부착된 트리올레인이, 면적으로 50%를 초과하고, 직경 100μm 이하의 액적 상태로 되어 있으며, 젖어 있지 않은 상태(지문이 보이기 쉽다)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 II(부착 오염물 닦아냄 시험 후의 눈에 띄지 않음/보이기 힘듦)
상기와 동일하게 트리올레인을 하드 코트층 표면에 전사시킨 후, 와이퍼(상품명 : 핸디 와이퍼, 구라레사제)를 직경 30mm의 유지구에 부착하고, 일정 하중(1kg), 일정 속도(6000m/min)로 50 왕복시켜, 그 시험체의 표면을 암실 내에서, 20W의 3파장형 형광등의 바로 아래 10cm의 거리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트리올레인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였다. 또, 헤이즈미터(상품명 : NDH2000, 일본 덴쇼쿠공업사제)를 이용해, JIS K 7105에 준거하여, 시험 전과 비교한 헤이즈의 증가(ΔH)를 측정하였다.
A : 피지막이 거의 완전히 닦아내어져 있으며, ΔH가 0.05% 미만
B : 피지막이 거의 닦아내어져 있으며, ΔH가 0.05% 이상 0.2% 미만
C : 피지막이 거의 닦아내어져 있지 않으며, 하얗게 흐려져 있고, ΔH가 0.2% 이상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지 적층체를 평가한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를 이용한 실시예 1~11에서는,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 성분)가 적성 범위에 함유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양호한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I)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는 (B) 성분에 더하여,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 성분)이 적성 범위에서 함유되어 있어, 양호한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I) 및, 또한 양호한 피지막의 부착 오염 방지성 부착 오염 방지성(II)을 나타내고 있으며, 충분한 피지막의 부착 오염의 방지 효과를 갖고 있었다. 또, 하드 코트성 및 외관,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도 실용 성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 실시예 1~11에 대해, 인쇄성의 평가를 실시하고, 인쇄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문제는 없으며 양호하였다.

Claims (10)

  1.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표리 양면 또는 편면에 코팅된 하드 코트층으로 구성되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s)의 함유비[(Bs)/(As)]가 0.07 이상 3.3 이하인, 수지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이,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을 더 포함하는, 수지 적층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까지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s)의 경화물에 대한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s)의 함유비[(Cs)/(As)]가 0.0007 이상 0.15 이하인, 수지 적층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실록산 화합물(C)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또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메틸알킬실록산인, 수지 적층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가 0.08 이하인, 수지 적층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nm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Ar)의 경화물에 대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유도체(Br)의 함유비[(Br)/(Ar)]가 0.03 이하인, 수지 적층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재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기재인, 수지 적층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를, 화상 표시체의 표시 부분에 이용하여 제작된, 화상 표시체.
  9.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 표시체가 휴대전화인, 화상 표시체.
  10.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 표시체가 액정 표시체인, 화상 표시체.
KR1020127000034A 2009-07-31 2010-04-30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 KR20120044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9248 2009-07-31
JPJP-P-2009-179248 2009-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964A true KR20120044964A (ko) 2012-05-08

Family

ID=4352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034A KR20120044964A (ko) 2009-07-31 2010-04-30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41695A1 (ko)
JP (1) JP5656028B2 (ko)
KR (1) KR20120044964A (ko)
CN (1) CN102472835B (ko)
WO (1) WO20110134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3936A1 (de) 2012-04-27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KR101664735B1 (ko) * 2015-08-13 2016-10-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KR20170099439A (ko) *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방지 필름용 하드코팅 조성물,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521A (ja) * 2011-02-16 2012-09-06 Sumitomo Bakelite Co Ltd 樹脂積層体および樹脂積層体を有する携帯用製品
JP6138755B2 (ja) * 2014-12-24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6700734B2 (ja) * 2015-11-17 2020-05-27 カナヱ塗料株式会社 肌荒れ防止光硬化性組成物
EP3524424B1 (en) 2016-10-07 2020-12-09 Nissan Motor Co., Ltd. Stain disappearing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component using said stain disappearing laminate
CN110049826B (zh) * 2016-12-15 2023-11-24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透明涂覆的聚碳酸酯部件、其制造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808A (ja) * 2000-06-13 2001-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汚れ目立ち防止被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タッチパネル、それらを用いた情報端末
TWI266306B (en) * 2001-12-07 2006-11-11 Asahi Glass Co Ltd Compact disk with lubricant hard coat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16031B2 (ja) * 2002-09-24 2009-01-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又はディスプレー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224241B1 (ko) * 2005-03-30 2013-01-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JPWO2007119566A1 (ja) * 2006-03-28 2009-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屈折率層を備えてなる光学積層体
US8422133B2 (en) * 2006-06-02 2013-04-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08108153A1 (ja) * 2007-03-08 2008-09-12 Kimoto Co., Ltd. ハードコート膜及び積層体
US8597780B2 (en) * 2007-08-10 2013-12-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JP2009075354A (ja) * 2007-09-20 2009-04-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263194B2 (ja) * 2008-08-19 2013-08-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表面保護用樹脂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3936A1 (de) 2012-04-27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KR101664735B1 (ko) * 2015-08-13 2016-10-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KR20170099439A (ko) *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방지 필름용 하드코팅 조성물,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6028B2 (ja) 2015-01-21
US20120141695A1 (en) 2012-06-07
CN102472835A (zh) 2012-05-23
WO2011013426A1 (ja) 2011-02-03
JPWO2011013426A1 (ja) 2013-01-07
CN102472835B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4964A (ko) 수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체
KR102269898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WO2009090803A1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積層体
EP2631068A1 (en) Laminat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96781A (ja) 高精細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並びにそれを備えた高精細ディスプレイ及び高精細タッチパネル
KR101405578B1 (ko) 하드코트막 및 적층체
JP5245666B2 (ja) 表面保護用シート
WO2008146935A1 (ja) 防眩性光透過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13298B2 (ja) 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JP5263194B2 (ja) 表面保護用樹脂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体
KR20130013881A (ko) 전자종이용 커버필름
KR100405305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JP636471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2012166521A (ja) 樹脂積層体および樹脂積層体を有する携帯用製品
CN105121524A (zh) 塑料薄膜
KR101813250B1 (ko)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코팅막 형성방법
JP4811051B2 (ja) 積層体
US20220033600A1 (en) Writing feel improving sheet
JP5577656B2 (ja) 紫外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KR101339964B1 (ko) 함몰구조의 패턴이 형성된 휴대폰 보호창의 제조방법
JP5861366B2 (ja) 樹脂積層体および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
WO2024071391A1 (ja) 表示装置用積層体、表示装置および支持板付き表示装置
CN108351436A (zh) 光学薄膜、图像显示装置以及光学薄膜的制造方法
Park et al. 70‐3: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Alumina Hybrid Hard Coatings with High Hardness on Plastic Substrate
JP656172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