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578A -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578A
KR20120040578A KR1020100102076A KR20100102076A KR20120040578A KR 20120040578 A KR20120040578 A KR 20120040578A KR 1020100102076 A KR1020100102076 A KR 1020100102076A KR 20100102076 A KR20100102076 A KR 20100102076A KR 20120040578 A KR20120040578 A KR 2012004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rgo
elevator
load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395B1 (ko
Inventor
박지영
유현정
캐서린 톰슨 메리
조지 브룩스 앤드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0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110); 및 상기 제 1 공간(110)과 분리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모두 포함하며, 사람 운송용 승강기에 화물 운송용 섹션을 결합시킴으로써 사람 운송과 화물 수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이용한 화물운송 시스템은 별도의 화물 수송용 승강기가 건물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에너지 효율 또한 우수하다. 더 나아가, 수직 이동뿐만 아니라 수평이동 시스템을 승강기 출구와 연결시킴으로써, 건물 내에서 화물의 수직/수평이동이 자유로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Elevator capable of moving freight, moving system and method for freigh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운송에 사용하는 승강기에 별도의 수화물 운송 공간을 구비시키고, 상기 운송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화물 운송 경로를 구비시킴으로써, 사람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화물을 운송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와 함께 집합 건물에서의 거주자 편의를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사람을 운송시키기 위한 승강기(elevator)가 건축물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이동 편의를 도모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송용 승강기는 고층건물에서 수직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승강기 설계에 있어 승강기로부터의 수화물 수평이동은 고려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소형 수화물을 사람 수송용 승강기 내에 채운 후 이동시키는 경우, 승강기의 활용 면적을 줄이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에 의하여 화물이 배송되는 경우, 배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낭비, 에너지 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사람에 의하여 목적지까지 운송된 화물이 수신되기 어려운 경우, 수송을 담당하였던 사람은 다시 이를 경비실 등의 별도 공간에 화물을 맡기거나 또 다른 시간에 방문하여야 한다. 이로부터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람과 수화물 수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승강기 및 이를 이용한 화물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물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110); 및 상기 제 1 공간(110)과 분리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포함하는 승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에는 각각 사람이 탑승하거나, 내리는 제 1 출입문(111) 및 화물이 적재, 하역되는 제 2 출입문(12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 높이의 합은 상기 승강기가 구비되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출입문(111) 및 제 2 출입문(121)의 개폐는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공간(110) 하부에는 상기 적재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110)와 상기 제 1 공간(110)과 분리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포함하는 승강기; 및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 제 2 공간(120)과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화물이송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에는 각각 사람이 탑승하거나, 내리는 제 1 출입문(111) 및 화물이 적재, 하역되는 제 2 출입문(12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 높이의 합은 상기 승강기가 구비되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출입문(111) 및 제 2 출입문(121)의 개폐는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공간(120) 하부에는 상기 적재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공간(120) 또는 화물이송수단(130)에는 상기 화물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이송수단은 상기 제 1 이동된 화물을 목적지까지 제 2 이동시키는 레일 시스템이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의 목적층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그 아래층으로 수송되는 화물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에 구비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승강기의 목적층 도달에 따라 상기 제 2 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된 화물이송수단에 제 1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이송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송된 화물을 목적지까지 제 2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기는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과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의 목적층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그 아래층으로 수송되는 화물을 분류하는 단계;상기 분류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에 구비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승강기의 목적층 도달에 따라 상기 제 2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 2 공간에 화물이 적재된 경우, 적재된 상기 화물을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된 레일 시스템에 제 1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이송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송된 화물을 상기 레일 시스템에 의하여 목적지까지 제 2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및 이를 이용한 화물운송 시스템은 사람 운송용 승강기에 화물 운송용 섹션을 결합시킴으로써 사람 운송과 화물 수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이용한 화물운송 시스템은 별도의 화물 수송용 승강기가 건물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에너지 효율 또한 우수하다. 더 나아가, 수직 이동뿐만 아니라 수평이동 시스템을 승강기 출구와 연결시킴으로써, 건물 내에서 화물의 수직/수평이동이 자유로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측면에 위치한 승강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부분 모식도이다.
도 6은 승강기 제 2 공간의 견인 롤러의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술한 화물운송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의 단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사람(승객) 운송용의 제 1 공간과 상기 사람 운송용 공간과 구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 수송용의 제 2 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에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출입문이 구비되며, 제 2 공간의 출입문을 통하여 적재된 화물이 나갈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는 사람이 타는 제 1 공간(110)과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에는 별도의 제 1 출입문 및 제 2 출입문(111, 121)이 구비된다. 상기 출입문들의 개방에 따라 사람의 출입 및 화물 적재/배출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출입물의 개방/폐쇄와 제 2 출입문의 개방/폐쇄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출입문과 제 2 출입문(111, 121)은 하나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시에 개방/폐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승강기의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상측에 위치하지만, 도 2에서는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하측에 위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은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의 높이 합이 실제 층간 높이와 동일하거나, 미만이 되게 구성함으로써, 사람이 실제 움직이는 공간과 화물이 자동으로 수평 이동하는 운송 시스템이 모두 같은 층에서 수행되게 한다.
도 3 및 4는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측면에 위치한 승강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출입문과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출입문은 서로 상이한 승강기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우측에, 도 4는 제 2 공간(120)이 제 1 공간(110)의 좌측에 구비된 승강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승강기(즉, 별도의 화물 수송 공간과 이에 대응하는 출입문을 구비한 승강기)와 수평으로 화물을 운송시키는 수단,(예를 들면, 레일, 컨베이어 벨트 등)을 결합시킨 하이브리드 형태의 승객/화물 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수화물 박스 자체가 로봇처럼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화물 박스에는 모터 등의 동력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부분 모식도이고, 도 6은 승강기 제 2 공간의 견인 롤러의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승강기, 즉, 화물 수송 공간인 제 2 공간(120)이 승객용 공간인 제 1 공간(110)의 상부에 위치한 승강기(100)가 도시된다. 특히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된 제 2 출입문(121) 바깥에는 수평 화물운송수단인 레일(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출입문(121)의 개방에 따라 상기 레일(130)로 제 2 공간(120)의 화물(F)이 제 1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의 제 2 공간(120) 하부에는 상기 제 1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견인 롤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들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공간에 적재된 화물이 외부의 레일 시스템으로 제 1 이동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2 공간(120)에는 화물 수송용 로봇이 구비되어, 레일 시스템(130)과 제 2 공간(120) 사이에서 화물의 제 1 이동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수단은 레일(130) 형태이나, 로봇이나 컨베이어 등의 다양한 수단이 상기 화물운송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 위쪽으로 배열되어,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과 구분될 수 있다.
레일(130)로 제 1 이동된 화물은 다시 원하는 목적지까지 제 2 이동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130)은 각 개별 주소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주소지까지 연장된 상기 레일(130)을 통하여 상기 제 2 공간(120)에서 제 1 이동된 화물은 상기 목적 주소지에 제 2 이동된 후, 다시 하역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목적 주소지에는 상기 레일(130)의 단부와 연결된 별도의 하역 공간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수화물 또는 수화물 박스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주소 입력태그, 예를 들면 RFID 태그, 바코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공간에는 이러한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 및 인식된 주소정보를 중앙 제어장치로 보내기 위한 통신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공간(120)에 연결된 화물이송수단(예를 들면 도 5에서는 레일) 에도 무게 센서, 시각 센서, RFID 센서, IR 센서 등의 센서가 구비되어, 제 2 공간 내에 화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상기 제 2 공간 내에도 무게 센서 등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제 2 출입문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중앙 제어장치로 하여금 화물의 이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화물 운송 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을 제공한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승객(P)은 원하는 목적층(도 7에서는 2층이 목적층임)을 승강기 시스템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시스템은 입력된 상기 목적층을 구분하고,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아래 층으로 운송되어야 하는 화물(F)을 상기 승강기(100)의 화물수송공간인 제 2 공간(120)에 적재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공간(120)에 연결된 레일, 컨베이어 벨트 등의 화물이송수단(13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물운송시스템은 또한 복수의 화물이 대기하는 별도의 대기 공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공간에는 복수의 화물이 목적층별로 분류된 상태로 적재되어, 상기 화물이송수단(130)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목적층으로 승강기(100)는 이동하며, 이때 제 1 공간(110)에는 승객이 탑승한 상태이고, 제 2 공간(120)에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목적층인 2층에 승강기(100)가 도달하면, 승객(P)은 제 1 출입문(111)을 통하여 승강기로부터 나오게 되며, 화물(F)은 별도의 출입문(121)을 통하여, 상기 제 2 공간(120)과 연결된 레일 시스템(130)으로 이동한다. 레일 시스템(130)으로 이동된 화물은 원하는 목적 주소지로 이동하며, 상기 레일 시스템(1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 존재 유무, 목적 주소지 식별 등을 위한 센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술한 화물운송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승강기의 목적층이 입력된다(S110). 상기 입력 수단은 승강기에 구비된 입력 콘솔 등이 될 수 있으며, 승객은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을 입력한다. 이후, 상기 화물운송시스템에 구비된 중앙처리부는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그 아래층으로 수송되는 화물을 분류하며(S120), 해당되는 화물을 화물이 적재되는 승강기의 제 2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지시한다. 즉, 사람의 승강기 이용과 함께 화물 운송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의 목적층 아래의 임의 층으로 사람과 함께 이동하는 승강기를 이용, 최대 근거리까지 화물을 운송시킨다. 이로써 하나의 층에서 모든 화물이 대기함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적재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운송되는 수화물의 중요도(예를 들면, 긴급하게 수송하여야 하거나, 위험한 화물인 경우 그 중요도는 타 화물의 중요도보다 높게 정의될 수 있다)에 따라 운송되는 층수를 달리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되는 어떤 수화물이 먼저 이송될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화물의 입고 순서에 따라 이송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화물 운송 순위의 결정은 사람이 결정되는 운송층을 기준으로, 최소의 이동 횟수로 수송되는 원칙을 기준으로도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람의 운송이 없는 최소 시간(예를 들면, 새벽)에 회물 운송 횟수를 최대화시키는 방식 등도 가능하다.
또한, 사람의 운송이 최우선인 경우라면, 화물 운송을 잠시 보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람은 승강기에 구비된 입력 콘솔을 통하여 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의 승강기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다.
이후, 해당 화물은 승강기의 제 2 공간과 연결된 화물이송수단(예를들면, 레일, 로봇)에 의하여 제 2 공간으로 이송된다(S130). 이후, 상기 승강기는 목적층까지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승강기가 목적층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2 공간에 적재된 화물은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된 화물이송수단으로 제 1 이송된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이송은 제 2 공간 하부에 구비된 견인 롤러와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롤러 시스템과 같은 화물이송수단으로 제 1 이송된 화물은 다시 목적지까지 제 2 이송된다(S140). 이를 위하여, 상기 화물이송수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물수평이송수단은 승강기의 제 2 공간의 출입문(제 2 출입문)과 연결되어, 목적지까지 연장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송방법은 제 2 공간에서의 화물적재여부를 제 2 이송 이전에 판단하며, 화물이 적재된 경우에만, 제 2 이송 이후의 단계가 진행된다. 화물적재여부의 판단을 위하여 제 2 공간 또는 화물이송수단에 무게센서, RFID 등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승강기
110: 제 1 공간
120: 제 2 공간
111: 제 1 출입문
121: 제 2 출입문
130: 레일
140: 견인 롤러

Claims (15)

  1.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110); 및
    상기 제 1 공간(110)과 분리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포함하는 승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에는 각각 사람이 탑승하거나, 내리는 제 1 출입문(111) 및 화물이 적재, 하역되는 제 2 출입문(1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 높이의 합은 상기 승강기가 구비되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입문(111) 및 제 2 출입문(121)의 개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110) 하부에는 상기 적재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6.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110)와 상기 제 1 공간(110)과 분리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120)을 포함하는 승강기; 및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 제 2 공간(120)과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화물이송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에는 각각 사람이 탑승하거나, 내리는 제 1 출입문(111) 및 화물이 적재, 하역되는 제 2 출입문(1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110) 및 제 2 공간(120) 높이의 합은 상기 승강기가 구비되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입문(111) 및 제 2 출입문(121)의 개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120) 하부에는 상기 적재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수송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120) 또는 화물이송수단(130)에는 상기 화물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송수단은 상기 제 1 이동된 화물을 목적지까지 제 2 이동시키는 레일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13. 승강기의 목적층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그 아래층으로 수송되는 화물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에 구비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승강기의 목적층 도달에 따라 상기 제 2 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된 화물이송수단에 제 1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이송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송된 화물을 목적지까지 제 2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송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사람이 탑승하는 제 1 공간과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송방법.
  15. 승강기의 목적층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적층과 동일하거나 그 아래층으로 수송되는 화물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화물을, 상기 승강기에 구비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제 2 공간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승강기의 목적층 도달에 따라 상기 제 2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 2 공간에 화물이 적재된 경우, 적재된 상기 화물을 상기 승강기 외부에 구비된 레일 시스템에 제 1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이송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송된 화물을 상기 레일 시스템에 의하여 목적지까지 제 2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운송방법.
KR1020100102076A 2010-10-19 2010-10-19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KR10133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76A KR101339395B1 (ko) 2010-10-19 2010-10-19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76A KR101339395B1 (ko) 2010-10-19 2010-10-19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78A true KR20120040578A (ko) 2012-04-27
KR101339395B1 KR101339395B1 (ko) 2013-12-10

Family

ID=4614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076A KR101339395B1 (ko) 2010-10-19 2010-10-19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642B1 (ko) 2019-11-01 2020-08-13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화물용 및 인화물용 승강기의 탑승카 기울기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2182983B1 (ko) 2020-04-16 2020-1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화물용 및 고하중용 초대형 승강기의 안티크리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655B1 (ko) 2021-03-02 2021-09-07 주식회사 나라엘리베이터안전관리 무인 자동운송 수단의 출입 유도가 가능한 승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31A (ja) * 1994-07-15 1996-01-30 Takenaka Komuten Co Ltd 垂直輸送装置
JP2002321886A (ja) 2001-04-27 2002-11-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04331261A (ja) 2003-05-01 2004-11-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642B1 (ko) 2019-11-01 2020-08-13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화물용 및 인화물용 승강기의 탑승카 기울기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2182983B1 (ko) 2020-04-16 2020-1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화물용 및 고하중용 초대형 승강기의 안티크리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395B1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153B2 (en) Distribution station for serving unmanned logistics distribution vehicles and distribution method
JP4296601B2 (ja) 搬送台車システム
JP5003573B2 (ja) 自律移動ロボットおよびそのエレベータ乗降方法
JP5556831B2 (ja) 自律移動ロボットのエレベータ乗降方法
JP6736698B2 (ja) 電車貨物配送システム
CN109422165A (zh) 智能并行电梯系统
JP2018122997A (ja) ロッカー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2012711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KR101339395B1 (ko)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WO2021009041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JP4089457B2 (ja) 物流システム
WO2020009371A1 (ko)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CN205971287U (zh) 一种客运站台
JP6729979B1 (ja) エレベータを用いた配達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07792082A (zh) 一种轨道交通站台
CN107776581A (zh) 一种轨道货运装卸系统
CN107839694A (zh) 一种轨道交通车辆站台
JP6936362B1 (ja) リフト装置
CN111738636B (zh) 多楼层建筑仓库及其生产方法、货梯和仓库管理系统
CN210312000U (zh) 一种物料运输线
CN107776582A (zh) 一种货运站台
CN107792081A (zh) 一种客运站台
KR102175872B1 (ko) 스마트 컨테이너 시스템
CN107128777B (zh) 一种医院用自动运送物品电梯
CN114096479B (zh) 用于在在建建筑物内部运输建筑材料、设备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