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821A -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821A
KR20120039821A KR1020100101244A KR20100101244A KR20120039821A KR 20120039821 A KR20120039821 A KR 20120039821A KR 1020100101244 A KR1020100101244 A KR 1020100101244A KR 20100101244 A KR20100101244 A KR 20100101244A KR 20120039821 A KR20120039821 A KR 20120039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ifting
clamp
tension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335B1 (ko
Inventor
박지훈
최정호
김승원
백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0010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1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을 위한 바퀴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이 구비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들이 장착되는 수직체와, 상기 풀리에 감기면서 동력수단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크레인을 구성하되, 상기 승강 벨트와 적재함의 연결부분에는 승강 벨트의 작동이나 적재함의 이동시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 동기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류나 물건을 운반하는 크레인의 작동이나 이동시 시소의 원리를 이용하여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승강 벨트의 수명의 급격한 하락과 승강 벨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belt tension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류나 물건을 운반하는 크레인의 작동이나 이동시 적재함을 승?하강시키는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이 무거운 물건을 사람을 대신해서 운반 및 하역 및 적재를 하는 기기로서 건설 현장이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철근 및 철판을 운반하여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는 조선소나, 철을 녹여 필요로 하는 제품으로 생산하는 제철소등과 일반 회사에서도 중량물을 취급하는 회사에서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일반적으로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사용되는 크레인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10)은 이동을 위한 바퀴(21)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22)이 구비된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31)들이 장착되는 수직체(30)와, 상기 풀리(31)에 감기면서 동력수단(2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회전작동하고 외측 방향에는 무게추(41)가 장착되는 두 줄의 승강 벨트(40)와, 상기 수직체(30)과 수직체(30)의 사이에 장착되고 승강 벨트(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10)을 구성하는 동력수단(22)은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고, 상기 무게추(41)는 적재함(50)과 물류나 화물 등에 따라 다르게 장착된다.
즉, 상기 크레인(10)은 이동체(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적재함(50)에 물류나 화물을 적재한 다음, 동력수단(22)을 작동시키면 수직체(30)의 하부에 위치한 풀리(31)는 회전작동하고 이와 함께 승강 벨트(40)는 연동작동하여 적재함(50)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켜서 물류나 화물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10)은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40)가 이동이나 작동시 서로 다른 텐션을 가질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품을 분해한 후 다시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40)는 텐션이 서로 다를 경우 일측에 텐션이 집중적으로 전달되어 승강 벨트의 수명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느슨해진 승강 벨트는 작동중 수직체의 내부에 접촉하여 단기간에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류나 물건을 운반하는 크레인의 작동이나 이동시 시소의 원리를 이용하여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텐션 동기장치를 승강물, 벨트 클램프, 연결구, 샤프트 등으로 구성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을 위한 바퀴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이 구비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들이 장착되는 수직체와, 상기 풀리에 감기면서 동력수단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회전작동하고 외측 방향에는 무게추가 장착되는 두 줄의 승강 벨트와, 상기 수직체과 수직체의 사이에 장착되고 승강 벨트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벨트와 적재함의 연결부분에는 승강 벨트의 작동이나 적재함의 이동시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 동기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류나 물건을 운반하는 크레인의 작동이나 이동시 시소의 원리를 이용하여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승강 벨트의 수명의 급격한 하락과 승강 벨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줄 승강 벨트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텐션 동기장치를 승강물, 벨트 클램프, 연결구, 샤프트 등으로 구성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 - B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가 적용된 크레인을 나타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 - B선 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100)는 이동을 위한 바퀴(21)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22)이 구비된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31)들이 장착되는 수직체(30)와, 상기 풀리(31)에 감기면서 동력수단(2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회전작동하고 외측 방향에는 무게추(41)가 장착되는 두 줄의 승강 벨트(40)와, 상기 수직체(30)과 수직체(30)의 사이에 장착되고 승강 벨트(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50)으로 구성되는 크레인(10)의 승강 벨트(40)와 적재함(5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어 시소의 원리를 이용하여 승강 벨트(40)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즉, 상기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100)는 상기 승강 벨트(40)와 적재함(5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벨트(40)의 작동이나 적재함(50)의 이동시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40)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10)의 작동은 공지된 크레인과 유사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100)는 물류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5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물(110)과, 상기 승강 벨트(40)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벨트 클램프(120)와, 상기 승강물(110)과 벨트 클램프(120)의 사이에 장착되고 시소운동하는 연결구(130)와, 상기 승강물(110)과 연결구(130) 및 벨트 클램프(120)와 연결구(130)를 연결결합시키는 샤프트(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물(110)은 적재함(50)이 아닌 적재함(50)과 연결되는 연결구들과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적재함(5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물(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함(50)에 볼팅 또는 용접결합되고, 상?하부 끝단에는 각각 축 결합공(112)이 형성된 승강물 결합부(111)와 반원 형상의 회전홈(113)이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물(110)은 상부와 하부 끝단 수평선상에 연결구(130)와 결합되는 승강물 결합부(111)를 돌출형성하면서 외측이나 내측 수평선상에 반원 형상의 회전홈(113)을 함몰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물(110)은 상부 끝단 내측과 하부 끝단 외측에 승강물 결합부(111)를 형성하고 상부 끝단의 외측과 하부 끝단의 내측에 회전홈(113)을 형성하여 힘의 전달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효과적이다.
상기 승강 벨트(40)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벨트 클램프(120)는 내?외측 클램프(121, 122)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전?후 클램프(121, 122)의 내부 수용공간(123)에는 승강 벨트(40)가 삽입되면서 볼팅 결합되며, 일측 클램프(121, 122)에는 하부 방향으로 클램프 결합공(125)이 형성되는 클램프 결합부(124)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벨트 클램프(120)는 내?외측 클램프(121, 122)의 사이에 승강 벨트(40)를 삽입한 후 상기 내?외측 클램프(121, 122)를 볼팅 결합하여 승강 벨트(40)를 고정하여 일체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승강물(110)과 벨트 클램프(120)의 사이에 장착되고 시소운동하는 연결구(130)는 상기 승강물(110)과 벨트 클램프(120)의 사이에 분할장착되고, 양측에는 벨트 클램프(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승강물(110)과 결합되면서 하부가 상기 회전홈(113)에 삽입되어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 결합공(132)과 연결 결합부(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130)는 승강물(110) 및 벨트 클램프(120)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결합부(133)의 하부가 회전홈(113)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결합공(132)을 중심으로 회동작동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과 연결 결합공(132)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샤프트(14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 클램프(120)와 맞닿는 연결구(130)의 접촉면에는 상기 벨트 클램프(120)의 클램프 결합부(124)를 수용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수용홈(1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이 형성되는 부분을 클램프 결합부(124)의 크기에 맞춰 함몰형성하여 클램프 결합부(124)를 수용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승강물(110)과 연결구(130) 및 벨트 클램프(120)와 연결구(130)를 연결결합시키는 샤프트(140)는 상기 축 결합공(112)과 연결 결합공(132)에 삽입장착되면서 승강물(110)과 연결구(130)를 결합시키는 중앙 샤프트(141)와 상기 클램프 결합공(125)과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에 삽입장착되면서 벨트 클램프(120)와 연결구(130)를 결합시키는 측면 샤프트(1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샤프트(140)는 승강물(110)과 연결구(130)를 고정하는 중앙 샤프트(141)와 상기 벨트 클램프(120)와 연결구(130)를 고정하는 한 쌍의 측면 샤프트(142)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샤프트(141)와 측면 샤프트(142)는 고정을 위해 연장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핀 결합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핀 결합공(143)에는 핀(150)이 삽입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가 적용된 크레인을 나타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먼저, 이동을 위한 바퀴(21)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22)이 구비된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31)들이 장착되는 수직체(30)와, 상기 풀리(31)에 감기면서 동력수단(2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회전작동하고 외측 방향에는 무게추(41)가 장착되는 두 줄의 승강 벨트(40)와, 상기 수직체(30)과 수직체(30)의 사이에 장착되고 승강 벨트(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50)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10)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 벨트(40)와 적재함(50)의 연결부분에 텐션 동기장치(100)를 장착한다.
즉, 상기 적재함(50)의 양측으로 상?하부 끝단에는 각각 축 결합공(112)이 형성된 승강물 결합부(111)와 반원 형상의 회전홈(113)이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승강물(110)을 수직방향으로 장착한다.
그리고 절개부가 형성되는 두 줄 승강 벨트(40)의 끝단 각각에 내?외측 클램프(121, 122)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내?외측 클램프(121, 122)의 내부 수용공간(123)에는 승강 벨트(40)가 삽입되면서 볼팅 결합되며, 일측 클램프(121, 122)에는 하부 방향으로 클램프 결합공(125)이 형성되는 클램프 결합부(124)가 돌출형성되는 벨트 클램프(120)를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물(110)과 벨트 클램프(120)의 사이로, 양측에는 벨트 클램프(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과 클램프 수용홈(13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승강물(110)과 결합되면서 하부가 상기 회전홈(113)에 삽입되어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 결합공(132)과 연결 결합부(133)가 형성되는 연결구(1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축 결합공(112)과 연결 결합공(132)에 중앙 샤프트(141)를 삽입장착하고 상기 클램프 결합공(125)과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에 측면 샤프트(142)를 삽입장착하면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10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100)가 장착된 크레인(10)은 물류나 자동화창고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크레인(10)은 이동체(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적재함(50)에 물류나 화물을 적재한 다음, 동력수단(22)을 작동시키면 수직체(30)의 하부에 위치한 풀리(31)는 회전작동하고 이와 함께 승강 벨트(40)는 연동작동하여 적재함(50)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켜서 물류나 화물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존의 두 줄 승강 벨트(40)는 이동에 따른 진동과 적재함(50)에 적재는 물류나 화물의 중량 또는 작동과정에서 텐션의 장력이 편심될 수 있지만 텐션 동기장치(100)가 장착되는 승강 벨트(40)는 시소작동을 통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크레인(10)의 이동과 적재함(50)의 작동에 따라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40)의 텐션이 달라지면, 일측 승강 벨트(40)는 연결 결합공(132)을 중심으로 상부로 이동하고, 반대 측 승강 벨트(40)는 연결 결합공(132)을 중심으로 하부로 이동하여 처음과 같은 승강 벨트(40)의 텐션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승강 벨트(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130)의 연결 결합부(133)는 연결 승강물(110)과 결합된 연결 결합공(132)을 중심으로 회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크레인, 20 : 이동체,
30 : 수직체, 40 : 승강 벨트,
50 : 적재함, 100 : 텐션 동기장치,
110 : 승강물, 111 : 승강물 결합부,
112 : 축 결합공, 113 : 회전홈,
120 : 벨트 클램프, 121, 122 : 내?외측 클램프,
123 : 수용공간, 124 : 클램프 결합부,
125 : 클램프 결합공, 130 : 연결구,
131 : 연결구 측면 결합공, 132 : 연결 결합공,
133 : 연결 결합부, 140 : 샤프트,
141 : 중앙 샤프트, 142 : 측면 샤프트.

Claims (4)

  1. 이동을 위한 바퀴(21)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22)이 구비된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 상하에는 풀리(31)들이 장착되는 수직체(30)와, 상기 풀리(31)에 감기면서 동력수단(2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회전작동하고 외측 방향에는 무게추(41)가 장착되는 두 줄의 승강 벨트(40)와, 상기 수직체(30)과 수직체(30)의 사이에 장착되고 승강 벨트(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물류나 화물을 상부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적재함(50)으로 구성되는 크레인(10)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벨트(40)와 적재함(50)의 연결부분에는 승강 벨트(40)의 작동이나 적재함(50)의 이동시 두 줄로 구성되는 승강 벨트(4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 동기장치(1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 동기장치(100)는,
    상기 적재함(5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고, 상?하부 끝단에는 각각 축 결합공(112)이 형성된 승강물 결합부(111)와 반원 형상의 회전홈(113)이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승강물(110)과,
    내?외측 클램프(121, 122)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내?외측 클램프(121, 122)의 내부 수용공간(123)에는 승강 벨트(40)가 삽입되면서 볼팅 결합되며, 일측 클램프(121, 122)에는 하부 방향으로 클램프 결합공(125)이 형성되는 클램프 결합부(124)가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벨트 클램프(120)와,
    상기 승강물(110)과 벨트 클램프(120)의 사이에 분할장착되고, 양측에는 벨트 클램프(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승강물(110)과 결합되면서 하부가 상기 회전홈(113)에 삽입되어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 결합공(132)과 연결 결합부(133)가 형성되는 연결구(130)와,
    상기 축 결합공(112)과 연결 결합공(132)에 삽입장착되면서 승강물(110)과 연결구(130)를 결합시키는 중앙 샤프트(141)와 상기 클램프 결합공(125)과 연결구 측면 결합공(131)에 삽입장착되면서 벨트 클램프(120)와 연결구(130)를 결합시키는 측면 샤프트(142)로 구성되는 샤프트(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샤프트(141)와 측면 샤프트(142)는 연장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핀 결합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핀 결합공(143)에는 핀(150)이 삽입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램프(120)와 맞닿는 연결구(130)의 접촉면에는 상기 벨트 클램프(120)의 클램프 수용부(124)를 수용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수용홈(1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승강벨트 텐션 동기장치.
KR1020100101244A 2010-10-18 2010-10-18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KR101200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244A KR101200335B1 (ko) 2010-10-18 2010-10-18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244A KR101200335B1 (ko) 2010-10-18 2010-10-18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821A true KR20120039821A (ko) 2012-04-26
KR101200335B1 KR101200335B1 (ko) 2012-11-12

Family

ID=4613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244A KR101200335B1 (ko) 2010-10-18 2010-10-18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595A (ja) * 2006-08-08 2008-02-21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9107739A (ja) * 2007-10-26 2009-05-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昇降装置における昇降体吊垂支持用チェーンの切断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335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5790B2 (en) Self-driving steel coil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active steering
KR101966700B1 (ko) 다기능 체인유닛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CN211393561U (zh) 一种便于工字钢转运的安装结构
KR101200335B1 (ko) 크레인 승강 벨트 텐션 동기장치
EP3684721B1 (en) Trolley of a crane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US20140048343A1 (en) Multi-axis articulating crawler
CN209940360U (zh) 升降平台及自动售货机
KR100688392B1 (ko) 주보권 호이스트
CN206842349U (zh) 双驱胶带机机头
CN220502414U (zh) 龙门吊组件
KR200221716Y1 (ko) 분리형 중량물 터닝 시스템
CN218578940U (zh) 移载装置及输送系统
CN219858872U (zh) 一种高安全性动力传送带
LU504004B1 (en) Underhung crane with ultra-low end beam with double drive wheels for preventing deviation
CN211711996U (zh) 一种输送线夹持式过渡机构
KR102211560B1 (ko) 크린룸 전동 벨트 호이스트
CN221064409U (zh) 一种砂箱循环输送线
CN220703001U (zh) 一种可调式皮带吊装装置
CN114803528B (zh) 一种用于桁架楼层板的翻板机
CN217894194U (zh) 一种石英石皮带输送机
CN211255041U (zh) 一种矿井用液压提升机
KR100861054B1 (ko) 더블박스 타입의 호이스트
CN213922828U (zh) 一种焊接式高强度输送滚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