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741A -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 Google Patents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741A
KR20120038741A KR1020100100360A KR20100100360A KR20120038741A KR 20120038741 A KR20120038741 A KR 20120038741A KR 1020100100360 A KR1020100100360 A KR 1020100100360A KR 20100100360 A KR20100100360 A KR 20100100360A KR 20120038741 A KR20120038741 A KR 2012003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nstrument panel
mold
manufacturing
blo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850B1 (ko
Inventor
조희수
곽성복
윤성현
문찬성
이한영
이상락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29C2045/1431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bonding by a fusion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0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the injected materials not being adhered or bond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구성하는 제1 수지가 주입되는 제1 수지주입부와 제2 수지가 주입되는 제2 수지주입부가 형성되도록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오버랩되어 제1 수지 및 제2 수지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색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종류의 수지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METHOD FOR MANUFACTURING OF INSTRUMENT PANEL AND RASIN BARRIER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종류의 수지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은 글러브 박스 등이 마련되며, 전방 충돌사고시에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판넬은 제조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금형 및 하부금형을 먼저 성형하고, 상부 금형 및 하부금형의 사이에 수지를 충진, 경화시키는 사출성형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일부를 다른 색으로 도색하는 이색(異色) 컬러(투톤 컬러)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색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I)은 오른쪽 중앙부분(A부분)에 다른 부분(B부분)과 구별되는 별도의 색상을 착색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판넬(I)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I)을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A부분에 별도의 부품을 조립하거나, A부분 및 B부분을 동일한 색으로 제조한 뒤 A부분에 부분적으로 페인팅하는 방법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A부분에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거나 인스트루먼트 판넬(I)의 제조완료 후 A부분에 별도의 도색작업을 해야하므로 인스트루먼트 판넬(I)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I)의 일부분에 별도의 도색작업을 하게 되면 페인트의 사용에 의해 환경오염이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종류의 수지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구성하는 제1 수지가 주입되는 제1 수지주입부와 제2 수지가 주입되는 제2 수지주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상단부 일측이 오버랩되는 바디부; 상기 제1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1 수지융착부; 및 상기 제2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2 수지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융착부에는,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지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유입홈은, 상기 제2 수지가 최초로 유입되는 확장홈; 및 상기 확장홈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상기 확장홈의 중앙 영역에서 함몰 형성되는 축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단부 일측이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후에, 경화된 상기 제2 수지의 상면에 필름과 같은 마감 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지차단 유닛에 상기 마감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는 각각, PPF(Polypropylene fiber) 또는 TPO(Thermoplastic olefin)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지가 주입되는 제1 수지주입부 및 제2 수지가 주입되는 제2 수지주입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 금형 또는 상기 제2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금형의 일측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상단부 일측이 오버랩되는 바디부; 상기 제1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1 수지융착부; 및 상기 제2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2 수지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융착부에는,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지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유입홈은, 상기 제2 수지가 최초로 유입되는 확장홈; 및 상기 확장홈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상기 확장홈의 중앙 영역에서 함몰 형성되는 축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단부 일측이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차단 유닛을 을 통해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종류의 수지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차단 유닛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다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감 부재가 부착된 수지차단 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모습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수지차단 유닛의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다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7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감 부재가 부착된 수지차단 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는 각각 PPF(Polypropylene fiber) 또는 TPO(Thermoplastic olefin)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S11)와,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S12)와, 수지차단 유닛에 마감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S13)와,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S11)는 제조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금형(20)을 사전에 성형하여 이를 준비하는 단계를 말한다.
제1 금형(20)은 제조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전체적인 외곽형상에 대응되도록, 또한 상단부가 수지차단 유닛(100)의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도 4 참조). 제1 금형(20)과 제2 금형(30) 사이에는 제1 수지(R1)가 주입되기 위한 제1 수지주입부(I1)와 제2 수지(R2)가 주입되기 위한 제2 수지주입부(I2)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S1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제1 금형(20)의 상부에 수지차단 유닛(100)을 결합하는 단계를 말한다.
본 실시예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한 번의 사출성형만으로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을 제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가 사출성형과정 중에 상호 혼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사출성형과정 도중 수지가 혼합되면 수지 상호 간의 경계면이 깨끗하게 구분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차단 유닛(100)이 마련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차단 유닛(100)은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1 수지융착부(120)와, 바디부(110)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2 수지융착부(13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A 선에 따른 도 3의 수지차단 유닛(100)의 개략적인 단면 모습을 알 수 있다.
바디부(110)는 수지차단 유닛(100)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단부 일측이 후술하는 제2 금형(30)의 하단부 일측에 오버랩(overlap)됨으로써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바디부(110)는 전체적으로 다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바디부(110)는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여 마련됨으로써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한다.
제1 수지융착부(120)는 바디부(110)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어 제1 수지주입부(I1)를 통해 주입되는 제1 수지(R1)가 수지차단 유닛(100)에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수지융착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테이퍼진 제1 수지융착부(120)의 형상에 따라 제1 수지주입부(I1)로부터 주입되는 제1 수지(R1)는 자연스럽게 제1 수지융착부(12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수지융착부(120)는 전술한 바디부(1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여 마련됨으로써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지융착부(120)는 하단부 일측이 단차지게 마련되는 단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1)는 제1 수지융착부(120)의 하단부 일측이 표면으로부터 함몰됨으로써 제1 수지융착부(120)의 일측면(S1)에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수지(R1)는 제1 수지주입부(I1)로부터 주입되기 시작하여 제1 수지융착부(120)의 테이퍼진 타측면(S2)을 따라 이동하며, 점차 단차부(1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채우게 된다.
단차부(1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까지 주입된 제1 수지(R1)는 경화됨에 따라 수지차단 유닛(100)에 견고하게 융착됨으로써 수지차단 유닛(100) 및 경화된 제1 수지(R1)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제2 수지융착부(130)는 바디부(110)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어 제2 수지주입부(I2)를 통해 주입되는 제2 수지(R2)가 수지차단 유닛(100)에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 수지융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U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수지융착부(130)의 중앙 영역에는 제2 수지(R2)가 주입되어 경화되기 위한 제2 수지유입홈(131)이 형성된다.
제2 수지유입홈(131)은 수지차단 유닛(100)을 따라 길게 연속적으로(도 3 참조) 또는 수지차단 유닛(100)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지유입홈(131)은 제2 수지융착부(130)의 U자 단면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확장홈(131a)과, 확장홈(131a)과 상호 연통되되 확장홈(131a)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확장홈(131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축소홈(131b)을 포함한다.
확장홈(131a)은 제2 수지주입부(I2)를 따라 주입되는 제2 수지(R2)가 최초로 유입되는 부분이며, 축소홈(131b)은 확장홈(131a)에 유입된 제2 수지(R2)가 재유입됨으로써 제2 수지(R2)가 수지차단 유닛(100)에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확장홈(131a) 및 축소홈(131b)을 포함하여 요철형상을 갖는 제2 수지유입홈(131)에 의해 제2 수지(R2)는 수지차단 유닛(100)에 견고하게 융착됨으로써 수지차단 유닛(100) 및 경화된 제2 수지(R2)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제2 수지융착부(130)의 재질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디부(110) 및 제1 수지융착부(120)의 재질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지차단 유닛에 마감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S13)는 제1 금형(20)에 수지차단 유닛(100)을 결합(S12)한 뒤, 제2 금형(30)을 제1 금형(20)에 결합(S14)하기 전에 수지차단 유닛(100)에 다양한 재질의 마감부재(D)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즉, 최근의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은 이색 컬러로 제조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의 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필름(Film) 또는 레자 등의 마감부재(D)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고급화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단계(S13)은 이러한 필름 또는 레자 등의 마감부재(D)가 부착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단계(S13)에 있어서 마감부재(D)는 수지차단 유닛(100)의 바디부(110)의 상면에 일단부가 부착되도록 사전에 준비된 후, 제2 수지(R2)의 주입 경화에 따라 제2 수지(R2)의 표면에 완전히 융착됨으로써 결국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표면 일부분을 덮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표면 일부분에는 마감부재(D)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단계(S13)는 꼭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S12) 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S12) 이전에 미리 준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는 수지차단 유닛(100)이 결합된 제1 금형(20)의 반대편에 제2 금형(30)을 결합하는 단계를 말한다.
제1 금형(20) 및 제2 금형(30)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주입부(I1) 및 제2 수지주입부(I2)가 각각 형성되며, 제1 수지주입부(I1) 및 제2 수지주입부(I2)를 따라서는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가 별개의 노즐을 통해 동시에 주입됨으로써 한 번의 사출성형만으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금형(30)의 하단부 일측은 수지차단 유닛(100)의 바디부(110)의 상단부 일측에 오버랩됨으로써 제1 수지(R1)와 제2 수지(R2)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에 있어서 제2 금형(30)은 수지차단 유닛(100)의 바디부(110)의 상면보다 약간 더 아래로 내려온 위치, 다시 말해 바디부(110)의 상면을 어느 정도 가압하는 지점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제1 금형(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2 금형(30)이 수지차단 유닛(100)에 오버랩됨에 따라 제1 수지(R1)는 바디부(110)의 상면을 거쳐 제2 수지(R2) 측으로 유동할 수 없게 되며, 마찬가지로 제2 수지(R2)는 바디부(110)의 상면을 거쳐 제1 수지(R1) 측으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의 혼합위험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이하에서는 전술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을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조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전체적인 외곽 형상 및 수지차단 유닛(10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 금형(20) 및 제2 금형(30)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S11)에 따라 사전에 제작된 제1 금형(20)을 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에 따라 제1 금형(20)의 상단부에 수지차단 유닛(100)을 결합 고정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S12) 후에 또는 전에 수지차단 유닛에 마감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S13)를 거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이 그 표면에 마감부재(D)가 부착된 상태로 완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에 따라 제2 금형(30)을 수지차단 유닛(100)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단계(S14)에서는 제2 금형(30)의 하단부 일측이 수지차단 유닛(100)의 바디부(110)의 상단부 일측에 오버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 상호 간의 혼합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S14)를 거치게 되면 제1 금형(20)과 제2 금형(3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제1 수지주입부(I1) 및 제2 수지주입부(I2)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제1 수지주입부(I1) 및 제2 수지주입부(I2)를 따라 노즐(미도시)을 삽입하고 제1 수지(R1) 및 제2 수지(R2)를 주입 경화시킴으로써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이 한 번의 사출성형만으로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모습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도 8에 적용되는 수지차단 유닛(100)을 기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색(異色) 컬러로 성형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어느 부분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은 제1 금형(20) 및 제2 금형(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차단 유닛(100)을 통해 이색(異色) 컬러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을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종류의 수지(R1, R2)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된 인스트루먼트 판넬(10)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인스트루먼트 판넬 20 : 제1 금형
30 : 제2 금형 R1 : 제1 수지
R2 : 제2 수지 I1 : 제1 수지주입부
I2 : 제2 수지주입부 D : 마감부재
100 : 수지차단 유닛 110 : 바디부
120 : 제1 수지융착부 121 : 단차부
130 : 제2 수지융착부 131 : 제2 수지유입홈
131a : 확장홈 131b : 축소홈

Claims (14)

  1.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제1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구성하는 제1 수지가 주입되는 제1 수지주입부와 제2 수지가 주입되는 제2 수지주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상단부 일측이 오버랩되는 바디부;
    상기 제1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1 수지융착부; 및
    상기 제2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2 수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융착부에는,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지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유입홈은,
    상기 제2 수지가 최초로 유입되는 확장홈; 및
    상기 확장홈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상기 확장홈의 중앙 영역에서 함몰 형성되는 축소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단부 일측이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 수지차단 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후에,
    경화된 상기 제2 수지의 상면에 필름과 같은 마감 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지차단 유닛에 상기 마감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는 각각, PPF(Polypropylene fiber) 또는 TPO(Thermoplastic olefin)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9. 제1 수지가 주입되는 제1 수지주입부 및 제2 수지가 주입되는 제2 수지주입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인스트루먼트 판넬을 제조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 금형 또는 상기 제2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금형의 일측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은,
    상기 제2 금형의 하단부 일측에 상단부 일측이 오버랩되는 바디부;
    상기 제1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1 수지융착부; 및
    상기 제2 수지가 융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 타측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제2 수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융착부에는,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지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유입홈은,
    상기 제2 수지가 최초로 유입되는 확장홈; 및
    상기 확장홈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상기 확장홈의 중앙 영역에서 함몰 형성되는 축소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융착부는,
    하단부 일측이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KR1020100100360A 2010-10-14 2010-10-14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KR10126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360A KR101260850B1 (ko) 2010-10-14 2010-10-14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360A KR101260850B1 (ko) 2010-10-14 2010-10-14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41A true KR20120038741A (ko) 2012-04-24
KR101260850B1 KR101260850B1 (ko) 2013-05-06

Family

ID=4613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360A KR101260850B1 (ko) 2010-10-14 2010-10-14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782A (ko) * 2019-03-22 2019-05-23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20190055306A (ko) * 2017-11-14 2019-05-23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55B1 (ko) 2019-09-24 2021-01-14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과 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201957B1 (ko) 2019-09-24 2021-01-12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과 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519A (ja) 1997-03-17 1998-09-22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CN1921997B (zh) * 2004-01-03 2014-08-13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车辆部件和用于制造车辆部件的方法
JP2007125700A (ja) 2005-11-01 2007-05-24 Nissan Motor Co Ltd 貼り合わせシート材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2008049603A (ja) * 2006-08-25 2008-03-06 Nishikawa Rubber Co Ltd 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306A (ko) * 2017-11-14 2019-05-23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20190055782A (ko) * 2019-03-22 2019-05-23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850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6313B (zh) 将气囊滑槽组件安装在车辆装饰部件内的系统和方法
KR101260850B1 (ko)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제조용 수지차단 유닛
EP2868526B1 (en) Method of molding a resin article with a stitch pattern
CN103269841B (zh) 用于制造纤维增强的、包括配件的机动车用内部装饰构件的方法和装置
CN101119833B (zh) 车辆部件和制造车辆部件的方法
CN103419312A (zh) 用于制造防震垫的装置和方法
US20030090035A1 (en) Method of molding a panel
JP6107569B2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6077773A1 (en) Vehicle trim component having cover and method for such manufacturing vehicle trim component via compression forming and injection molding
JPH0818345B2 (ja) 装飾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70264474A1 (en)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old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component
JP3722635B2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8030300A (ja) 2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CN109049507A (zh) 一种用于车灯零件的三色两工位注塑成型模具
KR101954954B1 (ko) 차량의 내장용 부품의 표면 코팅 방법
CN112549439B (zh) 一种多色注塑件及其注塑工艺
JP4591921B2 (ja) 多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2628032B2 (ja) 装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5403800B2 (ja) 多色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2007030291A (ja) 多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
JP2013107328A (ja) 多色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型、及び多色成形品
CN104252041A (zh) 部分上色的光学元件及其制造方法
CN220053695U (zh) 一种多彩字牌成型组件
JP7415599B2 (ja) 成形構造体
JP2008194984A (ja) 2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