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337A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337A
KR20120037337A KR1020110014051A KR20110014051A KR20120037337A KR 20120037337 A KR20120037337 A KR 20120037337A KR 1020110014051 A KR1020110014051 A KR 1020110014051A KR 20110014051 A KR20110014051 A KR 20110014051A KR 20120037337 A KR20120037337 A KR 20120037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ront wheel
tractor
frame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558B1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1001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5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한 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있어서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가지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농업 또는 건설 분야에서 각종 작업을 하는 작업용 자동차로서, 현재 농업용 트랙터는 전방에 전방 로더를 설치하여 그 로더에 각종 작업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운반, 내리기, 싣기 등의 각종 작업을 수행하고, 후방부에는 후방 링크를 통해 로터베이터 등을 장착하여 경운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농업용 트랙터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주행에 필요한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계 동력과, 트랙터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계 동력으로 구분된다. 상기 주행계 동력은 4륜 구동방식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이 평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엔진부의 동력을 우선 후륜 차축 쪽으로 상기 엔진부와 동일 선상으로 전달하고 후륜 차축에서 상기 엔진부의 아래로 지나 상기 전륜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엔진부의 설치 위치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높아지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며, 상기 전륜 차축의 높이가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 구조에서는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상기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할 수 없어 트랙터의 차체 크기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전륜 차축이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전륜이 어느 정도까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향되면 상기 전륜 차축에 간섭을 받아 더 이상 조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한 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랙터는 전륜이 선회할 때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은 후륜 차축 쪽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굴절 아암을 선회시키는 선회축이 설치되고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수용하는 프레임 박스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여 운행 중에 상기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륜 차축 쪽은 후방 링크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이 직접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방 프레임이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한 쌍의 결합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은 상기 후륜 차축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서 차동장치, 전륜 차축 및 후륜 차축을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차동장치 등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엔진부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부가 배치된 상부에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트랙터의 차체를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상기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트랙터의 운행 중에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후방 링크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을 직접 고정 설치함으로써, 트랙터 후방에서 상기 후방 링크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 장비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일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일실시예의 동력 시스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그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이 있는 운전캡(10)이 차체 프레임(30)의 상부 좌측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한 선회축(41)과 결합되어 선회할 수 있는 굴절 아암(40)이 상기 운전캡(10)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 배치되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상기 운전캡(10)은 트랙터의 전륜(21)과 후륜(22) 사이에 위치하면서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운전캡(10)의 측면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정 공간에 상기 굴절 아암(40)으로 작업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굴절 아암(40)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동력 시스템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4륜 구동형 트랙터로서 디젤 엔진 등의 엔진부(110)로부터 발생한 회전 동력이 클러치부(121)를 통하여 상기 엔진부(110)에서 발생한 동력을 변속하는 주변속기(122)로 전달되고, 상기 주변속기(122)의 후방에 부변속기(123)를 구비하여 상기 부변속기(123)의 측면으로 통해 전륜(21) 및 후륜(2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주변속기(122)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PTO와 부변속기(122)로 동력이 분배되고, 상기 부변속기(122)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중간 차동장치(130)로 전달된다.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는 유니버셜 조인트(133, 134)에 연결된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으로 동력을 분배하고 상기 전륜 추진축 (131)및 상기 후륜 추진축(132)은 각각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는 종감속 기어 및 차동 기어로 구성되는데 상기 종감속 기어는 상기 전륜 추진축 및 후방 추진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최종 감속(4-8 : 1)시켜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변환하여 각각 전륜 차축(53)과 후륜 차축(55)에 전달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전륜(21) 및 후륜(22)의 양쪽 바퀴의 회전수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요철 도로 및 선회할 때 무리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차동장치, 즉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를 구비함으로써 4륜구동(AWD, All Wheel Drive) 방식의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는 상기 전륜(21)이 최대 조향될 때 상기 전륜(21)이 상기 후륜(22)을 밀지 않도록 상기 전륜(21)의 양 바퀴 및 상기 후륜(22)의 양 바퀴 각각의 회전수 차이를 조절하고,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에서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구조 및 동력 시스템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30)은 상기 전륜 차축(53)과 후륜 차축(55) 사이에 배치되어 전방에는 상기 전륜 차축(53)이, 후방에는 후륜 차축(55)이 결합되고, 전륜 차축(53)이 고정 결합되는 전방 쪽에는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110)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륜 차축(53)은 상기 전륜(21)이 최대한 조향되었을 때 상기 전륜 차축(53)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후륜 차축(55)이 고정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후륜 차축(54)의 특정 위치에 좌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을 설치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은 상기 후륜 차축(55)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상기 후륜 차축(54)을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진 상기 결합 아암(3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륜 차축(55)이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은 정지 작업시 상하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전방에는 상기 트랙터가 운행 중에 장해물에 부딪쳤을 때 트랙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프레임(31)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의 조향 핸들(미도시)로부터 조향된 조향력을 유압으로 전달받아 상기 전륜(21)을 조향하는 조향 장치(70)가 상기 전륜 차축(53)의 전면과 상기 완충 프레임(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향 장치(70)는 본 발명의 특징부가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후방, 즉 상기 후륜 차축(55)이 설치된 후방에는 후방 링크 결합부(32a)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32)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고정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프레임(32)은 상기 후륜 차축(55)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후륜 차축(55)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방 링크(32)에는 경운 작업을 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기가 장착된다.
상기 후방 링크 결합부(32a)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32)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직접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후방 링크 결합부(32a)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 장비가 상기 후륜 차축(55)에 간섭받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 즉 차동장치는 상기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과 함께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차동장치,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일측에는 상기 엔진부(110)를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엔진부(110)의 설치 위치를 낮출 수 있어 그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또한 상기 전륜 차축(53)을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높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부(110)가 배치된 상부에는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10)을 배치하여 상기 운전캡(10)이 차체 프레임(3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전륜 차축(53)의 설치 높이는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높이 배치하고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에서 상기 전륜 차동장치(51)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추진축(131)은 상향 경사지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서 상기 전륜 추진축(131)이 지나가는 부분[도 6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우측 상단 부분]에 상기 전륜 추진축(131)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33a)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33)에서 상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부분은 휀다(fender)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트랙터가 운행 중에 전륜(21)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엔진부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는 상기 굴절 아암(40)을 선회시키는 선회축(41)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상부 일측에 선회축 설치공(6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선회축(41)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가진 프레임 박스(6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운전캡 21: 전륜
21a: 전륜 프레임 22: 후륜
22a: 후륜 프레임 30: 차체 프레임
31: 완충 프레임 32: 후방 프레임
32a: 후방 링크 결합부 33: 관통부
33a: 관통공 34: 결합 아암
40: 굴절 아암 41: 선회축
51: 전륜 차동장치 53: 전륜 차축
54: 후륜 차동장치 55: 후륜 차축
60: 프레임 박스 61: 선회축 설치공
70: 조향 장치 110: 엔진부
121: 클러치부 122:주변속기
123: 부변속기 130: 중간 차동장치
131: 전륜 추진축 132: 후륜 추진축
133, 134: 유니버셜 조인트

Claims (5)

  1. 트랙터에 있어서,
    전륜이 선회할 때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은 후륜 차축 쪽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굴절 아암을 선회시키는 선회축이 설치되고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수용하는 프레임 박스가 일체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여 운행 중에 상기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륜 차축 쪽은 후방 링크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이 직접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구조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한 쌍의 결합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은 상기 후륜 차축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110014051A 2011-02-17 2011-02-17 트랙터 KR10125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51A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1-02-17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51A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1-02-17 트랙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67A Division KR101029376B1 (ko) 2010-10-11 2010-10-11 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337A true KR20120037337A (ko) 2012-04-19
KR101258558B1 KR101258558B1 (ko) 2013-05-02

Family

ID=4613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51A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1-02-17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63B1 (ko) * 2022-10-18 2023-05-12 현대농기계(주) 4륜 구동형 승용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325B2 (ja) 1996-06-19 2001-07-1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
JP4532380B2 (ja) 2005-09-29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63B1 (ko) * 2022-10-18 2023-05-12 현대농기계(주) 4륜 구동형 승용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558B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8750A (ja) トラクターの操向装置
KR101029376B1 (ko) 트랙터
KR101029371B1 (ko) 트랙터
KR101258558B1 (ko) 트랙터
KR101195206B1 (ko) 트랙터
JP3566229B2 (ja) セミクローラ形走行装置
JP5289901B2 (ja) 歩行型移動農機
JP6794097B2 (ja) トラクタ
JP5205219B2 (ja) 歩行型移動農機
US10377425B2 (en) Work vehicle
US11772590B2 (en) Work vehicle
JP5336783B2 (ja) 4クローラ型作業車輌
JP3945667B2 (ja) 乗用型管理作業車
JP4083133B2 (ja) 四輪駆動型作業車の操向構造
KR20220040326A (ko) 승용관리기의 조향장치
JPH0338475A (ja) トラクタ等の移動農機
JP2022127262A (ja) 作業車
JPH0321521A (ja) 農作業機
JP4678745B2 (ja) 田植機
JP2017063657A (ja) 作業車両の作業機連結装置
JPH11115514A (ja) 乗用管理作業車の駆動装置
JPH08214645A (ja) 田植機
JPH0627462U (ja) 移動農機
JP2002335719A (ja) 田植機
JP2015116170A (ja) セミクローラ型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