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685A -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 Google Patents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685A
KR20120036685A KR1020100098488A KR20100098488A KR20120036685A KR 20120036685 A KR20120036685 A KR 20120036685A KR 1020100098488 A KR1020100098488 A KR 1020100098488A KR 20100098488 A KR20100098488 A KR 20100098488A KR 20120036685 A KR20120036685 A KR 2012003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dietary fiber
liquid
fermented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기윤
피영환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 속리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 속리바이오텍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 속리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0009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685A/ko
Publication of KR2012003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무청세척단계와, 상기 무청세척단계에서 얻어진 무청을 자연광 또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무청건조단계와, 상기 무청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하는 무청분쇄단계와, 상기 무청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무청발효단계와, 상기 무청발효단계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추출단계와, 상기 무청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무청여과단계와, 상기 무청여과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의 농축과정에서 시래기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95% 이상의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농축단계와, 상기 무청농축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포장용기에 자동 포장하고 순간멸균처리 후 냉각/건조하여 상온 보관하는 액상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청 시래기의 효소 분해과정을 통해 단당류로 전환하여 진공저온 추출, 농축 방법으로 시래기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 추출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Extract Method of Dietary Fiber of dried Radish Leaf and Extracted Dietary Fiber by This Method}
본 발명은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청 시래기의 효소 분해과정을 통해 단당류로 전환하여 진공저온 추출, 농축 방법으로 시래기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 추출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에 관한 것이다.
식이섬유(Dietary fiber)는 초식성 동물에게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사람에게 있어서는 오랫동안 비 영양소로 인식되어왔다가 Burkitt(1971)가 식이섬유 가설을 제출한 이후 다양한 보건 효과와 함께 장내 발효를 개재하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식이섬유는 사람의 소화효소의 작용을 받지 않은 식물 세포막의 구조 잔사로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의 합계로 식물세포내의 난소하성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보통 성인이 1일 20~35g 정도의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게실증(憩室症) 등의 예방이 가능하며, 50~60g 이면 당뇨병 예방이 가능하다.
한편, 산업의 발달과 경제성장과 더불어 채소를 위주로 하는 전통의 식생활이 육류를 위주로 하는 서구식으로 변화됨에 따라, 단백질이나 지방 열량의 섭취는 증가하고 있으나, 채소류 등의 섭취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식사의 불균형에 의하여 비만의 증가와 소화불량의 원인이 되고, 이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식이요법에 관한 내용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청 시래기의 효소 분해과정을 통해 단당류로 전환하여 진공저온 추출, 농축 방법으로 시래기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 추출하여 냄새를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추출한 액상은 여과 후 농축하여 액상으로 멸균, 포장하여 기능성 식이섬유 건강 음료 및 기타 건강식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결 건조하여 분말 포장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이섬유 제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무청세척단계와, 상기 무청세척단계에서 얻어진 무청을 자연광 또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무청건조단계와, 상기 무청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하는 무청분쇄단계와, 상기 무청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무청발효단계와, 상기 무청발효단계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추출단계와, 상기 무청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무청여과단계와, 상기 무청여과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의 농축과정에서 시래기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95% 이상의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농축단계와, 상기 무청농축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포장용기에 자동 포장하고 순간멸균처리 후 냉각/건조하여 상온 보관하는 액상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무청세척단계와, 상기 무청세척단계에서 얻어진 무청을 자연광 또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무청건조단계와, 상기 무청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하는 무청분쇄단계와, 상기 무청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무청발효단계와, 상기 무청발효단계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추출단계와, 상기 무청추출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무청여과단계와, 상기 무청여과단계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동결건조하는 무청동결건조단계와, 상기 무청동결건조단계를 거쳐 형성된 액상을 분말로 형성한 후 분말을 포장하는 무청분말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청 시래기의 효소 분해과정을 통해 단당류로 전환하여 진공저온 추출, 농축 방법으로 시래기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 추출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출한 액상은 여과 후 농축하여 액상으로 멸균, 포장하여 기능성 식이섬유 건강 음료 및 기타 건강식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결 건조하여 분말 포장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이섬유 제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을 나타낸 순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순차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을 나타낸 순차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순차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청은 배추, 고추 등과 함께 3대 채소라고 일컫는 무(Radish) 뿌리의 윗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푸른 무청을 말린 시래기가 각종 반찬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무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뿐만 아니라 뿌리에는 디아스타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김치, 깍두기, 무말랭이, 단무지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그 씨는 거담제 및 건위제로 약용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S100)은 무청세척단계(S110)와, 무청건조단계(S120)와, 무청분쇄단계(S130)와, 무청발효단계(S140)와, 무청추출단계(S150)와, 무청여과단계(S160)와, 무청농축단계(S170)와, 액상포장단계(S180)를 순차적으로 거쳐 형성된다.
첫 번째로 상기 무청세척단계(S110)는,
무 작업 후 남은 무청을 수거하여 상기 무청에 묻은 흙이나 이물질을 수돗물이나 정제된 물을 통해 없애도록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로 상기 무청건조단계(S120)는,
상기 무청세척단계(S110)를 거쳐 깨끗이 세척된 무청을 자연광이나 음지에서 건조한 후 보관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무청은 계절과 온도에 따라 2일에서 15일 정도 건조하고, 상기 무청의 수분 함량은 보관 중 무청의 색이 변하고 쉽게 상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최대 30%가 될 때까지 수행하도록 한다.
세 번째로 상기 무청분쇄단계(S130)는,
상기 무청건조단계(S120)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되, 상기 무청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로 상기 무청발효단계(S140)는,
상기 무청분쇄단계(S130)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무청가루를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로 상기 무청추출단계(S150)는,
상기 무청발효단계(S140)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무청발효단계의 무청 발효물은 33℃~43℃의 온도에서 30시간 이상 발효되도록 한다.
여섯 번째로 상기 무청여과단계(S160)는,
상기 무청추출단계(S15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60℃(-0.1/cmhg) 조건에서 60시간 이상 진공, 중탕, 가열하여 액상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 번째 상기 무청농축단계(S170)는,
상기 무청여과단계(S16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의 농축과정에서 시래기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95% 이상의 액상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덟 번째 상기 액상포장단계(S180)는,
상기 무청농축단계(S17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포장용기에 자동 포장하고 순간멸균처리 후 냉각/건조하여 상온 보관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인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S200)은 무청세척단계(S210)와, 무청건조단계(S220)와, 무청분쇄단계(S230)와, 무청발효단계(S240)와, 무청추출단계(S250)와, 무청여과단계(S260)와, 무청동결건조단계(S270)와, 무청분말포장단계(S280)를 순차적으로 거쳐 형성된다.
첫 번째로 상기 무청세척단계(S210)는,
무 작업 후 남은 무청을 수거하여 상기 무청에 묻은 흙이나 이물질을 수돗물이나 정제된 물을 통해 없애도록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로 상기 무청건조단계(S220)는,
상기 무청세척단계(S210)를 거쳐 깨끗이 세척된 무청을 자연광이나 음지에서 건조한 후 보관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무청은 계절과 온도에 따라 2일에서 15일 정도 건조하고, 상기 무청의 수분 함량은 보관 중 무청의 색이 변하고 쉽게 상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최대 30%가 될 때까지 수행하도록 한다.
세 번째로 상기 무청분쇄단계(S230)는,
상기 무청건조단계(S220)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되, 상기 무청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로 상기 무청발효단계(S240)는,
상기 무청분쇄단계(S230)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무청가루를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로 상기 무청추출단계(S250)는,
상기 무청발효단계(S240)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무청발효단계의 무청 발효물은 33℃~43℃의 온도에서 30시간 이상 발효되도록 한다.
여섯 번째로 상기 무청여과단계(S260)는,
상기 무청추출단계(S25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60℃(-0.1/cmhg) 조건에서 60시간 이상 진공, 중탕, 가열하여 액상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청동결건조단계(S270)는,
추출된 액상을 동결시키고 감압(減壓)함으로써 얼음을 승화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는 무청동결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무청분말포장단계(S280)는,
상기 무청동결건조단계(S270)를 거쳐 형성된 액상을 분말로 형성한 후 분말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 예1 >
1.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 3kg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2. 상기 무청을 직사광선이 받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10일간 자연건조한다.
3.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로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한다.
4. 상기 분쇄된 무청가루에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한다.
5. 상기 무청 발효물을 33℃~43℃의 온도에서 30시간 이상 발효하여 액상을 추출한다.
6. 상기 무청 발효물에서 추출된 액상을 60℃(-0.1/cmhg) 조건에서 60시간 이상 진공, 중탕, 가열하여 액상을 추출한 후 여과한다.
7. 추출된 액상의 농축과정에서 시래기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95% 이상의 액상을 추출한다.
< 실시 예2 >
1.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 3kg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2. 상기 무청을 직사광선이 받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10일간 자연건조한다.
3.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로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한다.
4. 상기 분쇄된 무청가루에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한다.
5. 상기 무청 발효물을 33℃~43℃의 온도에서 30시간 이상 발효하여 액상을 추출한다.
6. 상기 무청 발효물에서 추출된 액상을 60℃(-0.1/cmhg) 조건에서 60시간 이상 진공, 중탕, 가열하여 액상을 추출한 후 여과한다.
7. 추출된 액상을 동결시키고 감압(減壓)함으로써 얼음을 승화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는 무청동결건조한다.
상기한 실시 예를 통하여 얻어진 유산균 발효육의 산도, PH, 유산균수, 대장균군, 식이섬유소 함량 등을 측정하고 5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10 척도법을 관능검사로 실시하였다.
구분 산도 PH 유산균수 대장균군 식이섬유소
실시 예1 0.65 3.0 1.52×107cfu/ml 음성 1200mg/100g
실시 예2 0.75 3.8 1.32×107cfu/ml 음성 1320mg/100g
구분 풍미 조직감 냄새 색상 이취 기호도
실시 예1 9.4 8.8 8.0 9.2 8.4 8.1 8.6
실시 예2 9.2 9.0 8.8 8.4 8.8 8.6 9.0
구분: 10 : 매우좋다, 8 : 좋다, 6 : 보통이다, 4 : 나쁘다, 2 : 매우나쁘다.
S100 : 무청세척단계, S120 : 무청건조단계,
S130 : 무청분쇄단계, S140 : 무청발효단계,
S150 : 무청추출단계, S160 : 무청여과단계,
S170 : 무청농축단계, S180 : 액상포장단계.

Claims (4)

  1.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무청세척단계(S110)와,
    상기 무청세척단계(S110)에서 얻어진 무청을 자연광 또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무청건조단계(S120)와,
    상기 무청건조단계(S120)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하는 무청분쇄단계(S130)와,
    상기 무청분쇄단계(S130)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무청발효단계(S140)와,
    상기 무청발효단계(S140)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추출단계(S150)와,
    상기 무청추출단계(S15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무청여과단계(S160)와,
    상기 무청여과단계(S16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의 농축과정에서 시래기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95% 이상의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농축단계(S170)와,
    상기 무청농축단계(S17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포장용기에 자동 포장하고 순간멸균처리 후 냉각/건조하여 상온 보관하는 액상포장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2. 농업 부산물로 얻어진 무청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무청세척단계(S210)와,
    상기 무청세척단계(S210)에서 얻어진 무청을 자연광 또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무청건조단계(S220)와,
    상기 무청건조단계(S220)에서 건조된 무청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 메쉬로 분쇄하는 무청분쇄단계(S230)와,
    상기 무청분쇄단계(S230)에서 분쇄된 무청가루에 낙엽부엽토에서 채취하거나 자체 배양한 셀루라아제 및 헤미셀루아제의 발효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무청발효단계(S240)와,
    상기 무청발효단계(S240)를 거쳐 발효된 무청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는 무청추출단계(S250)와,
    상기 무청추출단계(S25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진공상태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무청여과단계(S260)와,
    상기 무청여과단계(S260)를 거쳐 추출된 액상을 동결건조하는 무청동결건조단계(S270)와,
    상기 무청동결건조단계(S270)를 거쳐 형성된 액상을 분말로 형성한 후 분말을 포장하는 무청분말포장단계(S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무청발효단계의 발효물은 33℃~43℃의 온도에서 30시간 이상 발효되도록 하고, 상기 무청추출단계의 추출물은 60℃(-0.1/cmhg) 조건에서 60시간 이상 진공, 중탕, 가열하여 액상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KR1020100098488A 2010-10-08 2010-10-08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KR20120036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88A KR20120036685A (ko) 2010-10-08 2010-10-08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88A KR20120036685A (ko) 2010-10-08 2010-10-08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85A true KR20120036685A (ko) 2012-04-18

Family

ID=4613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488A KR20120036685A (ko) 2010-10-08 2010-10-08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6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1483A (zh) * 2013-09-14 2013-12-11 戴加阳 萝卜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50120740A (ko) * 2014-04-18 2015-10-28 지수진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CN109602028A (zh) * 2018-12-02 2019-04-12 中国热带农业科学院南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菠萝皮渣可溶性膳食纤维的提取方法
CN110679960A (zh) * 2019-06-06 2020-01-14 湖北大学 一种萝卜叶膳食纤维粉的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1483A (zh) * 2013-09-14 2013-12-11 戴加阳 萝卜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50120740A (ko) * 2014-04-18 2015-10-28 지수진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CN109602028A (zh) * 2018-12-02 2019-04-12 中国热带农业科学院南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菠萝皮渣可溶性膳食纤维的提取方法
CN109602028B (zh) * 2018-12-02 2021-10-08 中国热带农业科学院南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菠萝皮渣可溶性膳食纤维的提取方法
CN110679960A (zh) * 2019-06-06 2020-01-14 湖北大学 一种萝卜叶膳食纤维粉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0013B (zh) 一种有机笋干的加工方法
CN105176757A (zh) 一种桃金娘果酒及其制作方法
CN103315255A (zh) 一种茶酱野菜的制作方法
KR20120036685A (ko) 무청 시래기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시래기 식이섬유
KR101123103B1 (ko) 건강성분을 강화한 발효식품 제조방법
CN102599565B (zh) 一种花生加工方法
CN107198222A (zh) 一种麻辣烫专用红薯粉丝的制备方法
KR101506735B1 (ko) 발효효소를 이용한 시래기 제조방법
CN104223259A (zh) 一种富含花青素的蔬菜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07884A (ko) 고구마와 산야초 추출액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1212718B1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CN102551118A (zh) 一种北美海蓬子胶囊的制作方法
CN105146430A (zh) 一种紫苏酱菜及其制备方法
KR20160078075A (ko) 곡물을 이용한 홍삼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4649A (ko) 매실추출물과 아가베시럽을 이용한 꼬막 육의 즉석식품 제조방법
CN107006777A (zh) 一种淮山米粉的生产方法
CN107981280A (zh) 一种腌制的韭菜根的制作方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70033707A (ko) 발효 쌀눈의 제조방법
CN112493455A (zh) 一种角豆提取物深加工提纯制造食用粉末香精的方法
KR20120013619A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1226756B1 (ko) 발효 비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지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20160007882A (ko) 고구마와 산야초 추출액이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JP3962585B2 (ja) ステビアエキ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