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226A - 한방약침용 약실 - Google Patents

한방약침용 약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226A
KR20120036226A KR1020100097981A KR20100097981A KR20120036226A KR 20120036226 A KR20120036226 A KR 20120036226A KR 1020100097981 A KR1020100097981 A KR 1020100097981A KR 20100097981 A KR20100097981 A KR 20100097981A KR 20120036226 A KR20120036226 A KR 2012003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lycolide
filament
thickness
polydioxa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396B1 (ko
Inventor
김은영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은영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10009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0Inorganic materials
    • A61L27/306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27/303 - A61L27/3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 형상의 약실을 제공함으로써,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미용 성형, 체형과 비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약실을 제공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금(Au)을 표면에 코팅처리함으로써 통증, 피부노화 지연과 피부 색조를 밝아지게 하는 효과 등의 기능이 향상된 약실을 제공할 수 있는 한방약침용 약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침용 약실은,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약실은 굵기가 0.03 내지 0.5㎜의 범위 이내이고, 강도가 0.5 내지 30N(Knot-Pull tensile strength, EP 1997:0666)의 범위 이내이고, 그리고 수분함유량이 10 내지 400ppm(USP 921)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방약침용 약실 {Pharmacothread for pharmacopuncture of Oriental medicine}
본 발명은 한방약침용 약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 형상의 약실을 제공함으로써,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미용 성형, 체형과 비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약실을 제공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금(Au)을 표면에 코팅처리함으로써 통증, 피부노화 지연과 피부 색조를 밝아지게 하는 효과 등의 기능이 향상된 약실을 제공할 수 있는 한방약침용 약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침은 종류에 따라 혈자리에 관계되어 수지침, 사혈침, 연자침 등과 직접 피부를 자극하거나 해당하는 부위를 찌르는 요법이 있으며, 이외 다양한 요법이 시술되고 있다.
그중 약침요법은, 경혈이나 압통점 같은 특정 부위에 정제된 액체 형태의 약(藥液)을 직접 주입하는 침법으로, 근육이나 혈관 등에 화학약물을 주입하는 양방의 주사와는 달리 약을 복용하기 어려운 환자나 응급환자에게도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침요법을 시술하는 한의사들은 그중 효과가 큰 질환으로 급만성 염증성 질환, 만성 소모성 질환, 각종 신경통, 관절통, 요통, 오십견 같은 근골격계 질환, 각종 호흡기 질환, 위십이지장염 등 소화기성 질환 및 비뇨기 질환, 신경쇠약, 만성두통 같은 신경정신계 질환, 각종 피부과 질환, 고혈압이나 종양 등을 꼽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약침요법은 한방 치료 점인 경혈을 자극함과 동시에, 고유의 약리효과를 가진 한약재 추출물의 피부삽입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다고 볼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요법 중의 하나이다.
약침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특히 약실을 사용하는 약침의 경우, 통상적인 주사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단이 창 형상으로 되면서 내경을 갖는 바늘과 이 바늘의 일단으로부터 약침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경통과, 상기 경통으로부터 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로 구성된다. 상기 경통을 통해서 치료목적의 약실을 바늘을 관통하도록 하고, 관통된 약실은 바늘 끝 부분의 외측에서 밀착, 유지되도록 스펀지볼이 바늘에 관통되어 약실을 홀딩하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를 이용한 바늘부위를 덮어 포장된다.
종래의 한방에서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으로 사용되었던 약실은 동물장기를 이용한 장선(Catgut(Plain and Chromic))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재료는 고양이의 장을 이용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소, 말, 양, 돼지 등이 함께 이용하게 되었다. 장선으로 이루어진 약실의 특징은 지역, 동물의 상태, 동물의 종류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광우병 발생에 따른 소비자의 거부감이 큰 관계로 동물의 장기 이용에 대해서 점차 사용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크롬처리 장선(Chromic Catgut)의 경우는 표면에 처리되어진 약품으로 인하여 피부조직 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 형상의 약실을 제공함으로써,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미용 성형, 체형과 비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약실을 제공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금(Au)을 표면에 코팅처리함으로써 통증, 피부노화 지연과 피부 색조를 밝아지게 하는 효과 등의 기능이 향상된 약실을 제공할 수 있는 한방약침용 약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침용 약실은,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약실은 굵기가 0.03 내지 0.5㎜의 범위 이내이고, 강도가 0.5 내지 30N(Knot-Pull tensile strength, EP 1997:0666)의 범위 이내이고, 그리고 수분함유량이 10 내지 400ppm(USP 921)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실을 구성하는 상기 필라멘트는 폴리디옥사논(PDO ; Polydioxanone),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PGCL ; Poly(glycolide-co-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 Polyglycolicacide),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PGLA ; poly(glycolide-co-L-lact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또는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티는 2 내지 3개의 필라멘트들을 합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사는 3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두께의 금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 형상의 약실을 제공함으로써,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미용 성형, 체형과 비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약실을 제공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금(Au)을 표면에 코팅처리함으로써 통증, 피부노화 지연과 피부 색조를 밝아지게 하는 효과 등의 기능이 향상된 약실을 제공할 수 있는 한방약침용 약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실로서 폴리디옥사논의 중량흡수 실험에서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금코팅된 필라멘트의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금코팅된 필라멘트의 표면 관찰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필라멘트에 코팅된 금코팅층의 두께측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들은 시술예 1로서 매선요법의 시술 전(도 5a)과 본 발명에 따른 금코팅된 폴리디옥사논 소재의 한방약침용 약실을 사용하여 매선요법을 시술한 후의 사진(도 5b)들이다.
도 6a 및 도 6b들은 시술예 2로서 매선요법의 시술 전(도 6a)과 본 발명에 따른 금코팅된 폴리디옥사논 소재의 한방약침용 약실을 사용하여 매선요법을 시술한 후의 사진(도 6b)들이다.
도 7a 및 도 7b들은 시술예 3으로서 매선요법의 시술 전(도 7a)과 본 발명에 따른 금코팅된 폴리디옥사논 소재의 한방약침용 약실을 사용하여 매선요법을 시술한 후의 사진(도 7b)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침용 약실은,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약실은 굵기가 0.03 내지 0.5㎜의 범위 이내이고, 강도가 0.5 내지 30N(Knot-Pull tensile strength, EP 1997:0666)의 범위 이내이고, 그리고 수분함유량이 10 내지 400ppm(USP 921)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분함유량이 상기 범위 이내가 되는 것이 포장하여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10ppm 미만으로 되거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약실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이라 함은 생체 내에서, 특히 체액 등과의 접촉에 의하여 경시적으로 분해되어 소멸되는 고분자물질을 의미하며, 이러한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들은 당업자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이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의 종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서 폴리디옥사논(PDO ; Polydioxanone),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PGCL ; Poly(glycolide-co-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 Polyglycolicacide),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PGLA ; poly(glycolide-co-L-lact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약실은 바람직하게는 굵기가 0.045 내지 0.3㎜의 범위 이내이고, 강도가 1 내지 12N의 범위 이내이고, 그리고 수분함유량이 200ppm 내지 10ppm의 범위 이내인 것이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실의 굵기가 0.03㎜ 미만이 되는 경우, 필라멘트(filament) 가공성 뿐만 아니라 물리적 성질의 저하에 따른 약실 가공성이 저하되고, 약실의 효능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0.5㎜를 초과하는 경우, 시술 시 너무 두꺼운 침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술에 따른 통증이 심화되어 한방에서 적절하게 시술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약실의 강도가 0.5N 미만이 되는 경우, 필라멘트의 물리적 성질이 조성물의 결합력과 비례하기 때문에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N을 초과하는 경우,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너무 높아 약실로서의 효과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실의 수분함유량은 10 내지 400ppm(USP 921)의 범위 이내인 것이 포장하여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10ppm 미만으로 되거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약실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약실을 구성하는 상기 필라멘트는 폴리디옥사논(PDO ; Polydioxanone),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PGCL ; Poly(glycolide-co-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 Polyglycolicacide),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PGLA ; poly(glycolide-co-L-lact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또는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약실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폴리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필라멘트들은 폴리디옥사논 또는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나 또는 폴리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필라멘트들 중 동종간의 필라멘트들, 이종간의 필라멘트들 또는 다종간의 필라멘트들 2 내지 3가닥을 합사한 필라멘트들이 될 수 있다. 2합의 필라멘트의 경우, 일정 간격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합사된 후의 필라멘트의 굵기는 0.05 내지 0.175㎜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사된 후의 필라멘트의 굵기가 0.05㎜ 미만이 되는 경우, 합사 시 끊어짐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합사 작업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0.175㎜를 초과하는 경우, 합사 후의 굵기가 너무 굵어져서 시술 시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합사된 후의 필라멘트의 굵기는 바람직하게는 0.075 내지 0.15㎜의 범위 이내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실은 폴리디옥사논 또는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폴리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생체 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따른 중량흡수(Mass Absorption)는 장선(catgut(plain & chromic))의 경우, 70 내지 90일, 폴리글리콜산이 약 90일,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가 80 내지 120일 그리고 폴리디옥사논이 180 내지 240일이며, 따라서 매선요법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폴리디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약실이 가장 긴 매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이종의 필라멘트들을 합사하는 것에 의하여 중량흡수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사는 3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두께의 금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원사의 금코팅층은 본 발명에 따른 약실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방법으로서, 인체에 극히 무해한 금(Au ; 순도 99.99%)을 이용하여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중량흡수 기간의 연장이 가능하며, 피부노화 지연과 피부 색조가 밝아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처리에 의하여 금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생체분해성 고분자 필라멘트를 선택하는 단계; 일정한 사이즈의 필라멘트를 지그에 장착하는 단계; 장착된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장착된 금타겟(gold target)에 일정한 전류를 가하는 단계; 및 금(Au) 입자가 필라멘트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쌓이도록 일정시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바에 의하여 수득되는 금코팅층이 형성된 필라멘트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판(Au target)이 장착된 챔버 내에서 분위기를 진공상태(수분과 산소를 제거)로 유지하고, 일정 전류를 일정 시간 통과시키면 챔버 내의 전자와 여러 이온들이 충돌하여 시료 표면에 쌓이게 되며, 금편에 가해지는 전류의 양에 따라 축적되는 금의 두께는 30 내지 500㎚의 범위의 두께로 쌓이게 된다. 이때, 필라멘트의 굵기가 가늘어서 진공도가 높을 경우, 챔버 내 온도가 상승하여 필라멘트가 수축, 용융 또는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공도가 낮을 경우 금입자의 분산성이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도, 전류의 세기, 통전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얇은 필라멘트 형상의 약실에 금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금코팅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코팅설비를 구입하여 제조업자의 매뉴얼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경험 등에 따라 적절히 금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필라멘트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금(Au)을 코팅하기 위한 조건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의 전류의 세기, 2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분의 전류 공급 시간(통전시간), 0.01 내지 0.3torr,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의 진공상태이다.
이상 본 발명은 한방약침용 약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상기 한방약침용 약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실의 경우, 양방에서 시술되고 있는 금사시술(Gold Lift)에 비하여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고, 그 시술방법 또한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양방에서의 금사시술은 0.1mm 두께의 금사를 폴리글리콜산 USP 3-0과 결합시켜 시술(금사와 폴리글리콜산 원사를 꼬아서 합사한 것을 사용하여, 수면마취 후, 시술 부위를 국부마취하여 시술하게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침용 약실의 경우, 이러한 국부마취를 요하지 않으며, 간편하게 한방에서 널리 수행되어 오던 침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술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여러 원사들에 대한 중량흡수(Mass Absorption)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원사들의 샘플조건은 필라멘트 직경 0.2㎜(± 0.025㎜)으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생물학실험에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인산염 완충 염액(PBS ; Phosphate Buffer Saline)를 이용하며, 시료를 침전시켜 중량손실을 측정하기 위한 조건은 pH 7.2 내지 7.4, 온도는 37℃를 유지하며, 이에 중량손실 %는 일반적인 무게 감량 계산식과 동일하게 계산하였다.
무게측정을 위한 시료의 건조는 진공건조기에서 3일간 건조시켰으며, 이때 온도는 재료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에서 건조시켜 중량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폴리디옥사논 모노필라멘트의 경시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무게감량 % = (처음 무게 - 나중 무게)/처음 무게 * 100
구분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시료 1 시료 2 시료 3 평균 시료 1 시료 2 시료 3 평균 시료 1 시료 2 시료 3 평균
1주 93 87 91 90.3 93 87 89 89.7 97 92 94 94.3
1달 66 58 57 60.3 82 68 73 74.3 93 86 88 89
2달 32 16 23 23.7 34 48 36 39.3 64 77 72 71
3달 3 0.1 0.8 1.3 13 9 6 9.3 58 53 47 52.7
4달 - - - - 0 0 3 1 37 32 33 34
5달 - - - - - - - - 16 13 11 13.3
6달 - - - - - - - - 8 11 6 8.3
7달 - - - - - - - - 2 0 0 0.7
8달 - - - - - - - - - - - -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디옥사논 원사는 180 내지 240일의 중량흡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선(catgut(plain & chromic))의 경우, 70 내지 90일, 폴리글리콜산 원사의 경우 약 90일,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원사가 80 내지 120일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중량흡수에 대한 실험결과 중량흡수에 대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된 필라멘트 직경 0.085㎜(± 0.014㎜)의 폴리디옥사논을 원사로 하여 금코팅을 수행하였다. 금코팅의 조건은 생체분해성 고분자 필라멘트로서 상기 폴리디옥사논 원사를 사용하고, 이를 지그에 장착한 후, 장착된 챔버 내를 0.1torr의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장착된 금타겟에 7㎃의 전류를 15분간 유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사의 표면에 금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수득된 금코팅된 약실은 대한민국 소재 나노소자특화펩센터에서 집속이온빔(FIB ; Focused Ion Beam)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금코팅된 상태 및 금코팅 두께, 측정 표면 등을 관찰하였다.
금코팅된 필라멘트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고, 금코팅된 필라멘트의 표면 관찰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필라멘트에 코팅된 금코팅층의 두께측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a는 코팅 전의 직경을 측정한 사진이고, 도 4b는 코팅 후의 직경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4의 측정결과들에 따라 금코팅의 두께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의 측정은 광학현미경(300배)을 이용하여 직경을 관찰한 사진들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B C D
129.58㎛ 136.62㎛ 7.04㎛ 3.52㎛
A : 코팅 전 직경, B : 코팅 후 직경, C : A - B, D : C/2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금코팅된 폴리디옥사논 소재의 한방약침용 약실을 사용하여 매선요법을 시술하고, 그 결과들을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기 전과 후의 실험결과들을 촬영하는 것으로 수행하였다. 시술은 대한민국 대구 소재 인토본한의원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시술예 1(도 5a(시술전), 도 5b(시술 후)), 시술예 2(도 6a(시술전), 도 6b(시술 후)) 및 시술예 3(도 7a(시술전), 도 7b(시술 후))들로 구분하여 시술 전과 시술 후로 구분하여 촬영하였다.
시술예 1 내지 3들로 표시되는 시술 전 및 후의 사진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기된 바의 매선요법에 의한 피부/미용 성형에서 유용하며, 특히 피부 색조에 영향을 주거나 밝아지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한방약침에서 사용되는 약실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는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약실은 굵기가 0.03 내지 0.5㎜의 범위 이내이고, 강도가 0.5 내지 30N(Knot-Pull tensile strength, EP 1997:0666)의 범위 이내이고, 그리고 수분함유량이 10 내지 400ppm(USP 921)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침용 약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을 구성하는 상기 필라멘트가 폴리디옥사논(PDO ; Polydioxanone),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PGCL ; Poly(glycolide-co-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 Polyglycolicacide),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PGLA ; poly(glycolide-co-L-lact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체분해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또는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침용 약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가 동종간, 이종간 또는 다종간 2 내지 3개의 필라멘트들을 합사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합사 후의 굵기가 0.05 내지 0.175㎜의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침용 약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가 3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두께의 금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약침용 약실.
KR1020100097981A 2010-10-07 2010-10-07 한방약침용 약실 KR10120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81A KR101200396B1 (ko) 2010-10-07 2010-10-07 한방약침용 약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81A KR101200396B1 (ko) 2010-10-07 2010-10-07 한방약침용 약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226A true KR20120036226A (ko) 2012-04-17
KR101200396B1 KR101200396B1 (ko) 2012-11-12

Family

ID=4613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981A KR101200396B1 (ko) 2010-10-07 2010-10-07 한방약침용 약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80B1 (ko) * 2013-05-02 2014-02-28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한방용 약실의 제조방법
KR20150137727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피부 미용 시술용 금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6212B1 (ko) * 2014-07-16 2016-01-18 주식회사엑스엘 피부 미용 시술용 금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39336A1 (ko) * 2015-09-03 2017-03-09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이 코팅된 고 기능성 봉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 기능성 봉합사
USD872118S1 (en) 2018-03-23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87B1 (ko) 2012-11-28 2014-06-13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침관용 생분해성 복합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18093B1 (ko) 2013-12-31 2014-07-10 조상완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299B1 (ko) * 2014-06-25 2016-07-20 김동진 금속 코팅 가시매선
KR101487452B1 (ko) * 2014-08-27 2015-01-29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진공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금 코팅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641298B1 (ko) 2014-12-02 2016-07-20 김동진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KR101655838B1 (ko) * 2014-12-24 2016-09-08 (주)오티앤티 성형 시술용 금 코팅실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92467B1 (ko) 2015-03-27 2017-01-03 김동진 엠보 형상을 갖는 시술용 실,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2849B2 (ja) 1996-12-10 2005-11-02 三井化学株式会社 分解性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776310B2 (en) 2000-11-16 2010-08-17 Microspherix Llc Flexible and/or elastic brachytherapy seed or strand
KR100803388B1 (ko)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80B1 (ko) * 2013-05-02 2014-02-28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한방용 약실의 제조방법
KR20150137727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피부 미용 시술용 금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6212B1 (ko) * 2014-07-16 2016-01-18 주식회사엑스엘 피부 미용 시술용 금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39336A1 (ko) * 2015-09-03 2017-03-09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이 코팅된 고 기능성 봉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 기능성 봉합사
CN108348660A (zh) * 2015-09-03 2018-07-31 株式会社真友生物 涂布透明质酸盐的高性能缝合线的制造方法及其高性能缝合线
US10695459B2 (en) 2015-09-03 2020-06-30 Jinwoo Bio 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functional suture yarn coated with hyaluronate and high-functional suture yarn prepared therefrom
US11617813B2 (en) 2015-09-03 2023-04-04 Jinwoo Bio 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functional suture yarn coated with hyaluronate and high-functional suture yarn prepared therefrom
USD872118S1 (en) 2018-03-23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396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96B1 (ko) 한방약침용 약실
Kuhbier et al. First investigation of spider silk as a braided microsurgical suture
EP1646410B1 (en) Synthetic,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s and implants
Byl et al. Pulsed microamperage stimulation: a controlled study of healing of surgically induced wounds in Yucatan pigs
US10463868B2 (en) Device for treating a body surface of a living body
Edlich et al. Physical and chemical configuration of sutures in the development of surgical infection.
AU2015307284B2 (en) Method of implantation of a medical device into neural tissue
KR20010090876A (ko) 콜라겐 지혈 섬유
JP2009507539A (ja) インプラント用のコーティングおよび骨結合が改良されたインプラント、および製造方法
Soufdoost et al. Surgical suture assembled with tadalafil/polycaprolactone drug-delivery for vascular stimulation around wound: validated in a preclinical model
EP2482864B1 (en) Antimicrobial/antibacterial medical devices coated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KR101180446B1 (ko) 한방용 약실 제조 방법
CN102596317B (zh) 电离放射线治疗用隔离体
CN108697417B (zh) 抗微生物伤口闭合材料,包括抗微生物缝合线,和使用所述材料闭合伤口的方法
BRPI0704047B1 (pt) Material de sutura cirúrgica com superfície antimicrobiano e processo para o revestimento antimicrobiano de material de sutura cirúrgica
Huh et al. Elastic net of polyurethane strands for sustained delivery of triamcinolone around silicone implants of various sizes
Afewerki et al. Polymers for surgical sutures
Gerritsen et al. The influence of impaired wound healing on the tissue reaction to percutaneous devices using titanium fiber mesh anchorage
Indhumathi et al. Application of antibacterial suture material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A3091617C (en) Self-fixing mesh implant based on titanium thread and bioresorbable polymers
KR20100058778A (ko) 세포재생 촉진용 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DE19718430A1 (de) Behandlung von Biomaterial
CN208464163U (zh) 一种医用缓释微粒缝合线
A. Danielsson, Lars Adolfsson, Lars B. Dahlin Different effect on axonal outgrowth of application of non-absorbable or absorbable tubes around a nerve repair
KR20060097916A (ko) 은 나노가 함유된 기능성 봉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