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086A -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 Google Patents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086A
KR20120035086A KR1020100097102A KR20100097102A KR20120035086A KR 20120035086 A KR20120035086 A KR 20120035086A KR 1020100097102 A KR1020100097102 A KR 1020100097102A KR 20100097102 A KR20100097102 A KR 20100097102A KR 20120035086 A KR20120035086 A KR 20120035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rod
perforated cylindrical
sealing member
perforat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10009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086A/ko
Publication of KR2012003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병마개 본체로부터 덮개(15)를 벗겨 낸 후에, 호스(07)와 결합된 연결대(25)를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입구에 장착한다. 연결대를 삽입하면 하부에 천공훅(23)이 설치된 '천공용 원통 막대의 나사선(18)과 연결대 나사선(26)이 결합하게 된다. 결합된 것을 확인한 후에 누름용 손잡이(27)을 손가락으로 쥐면서 아래 방향으로 지그시 누르면, '천공용 원통 막대(08)'는 연결부(19)의 상하 수직 이동에 의하여 용기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에 내용물 유출구가 구비된 천공 훅(23)이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실링 부재(11)를 천공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용기를 거치대에 거꾸로 걸고 사용한다. 사용자 쪽의 호스에 장착한 마우스피스를 환자의 구강에 밀어 넣고 조인트(32)와 결합된 호스를 구강 쪽으로 조인트 턱(33)이 마우스피스의 걸림턱(31)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으면 호스는 마우스피스(28)의 곡선 부위(29)를 따라 식도 관으로 안전하게 삽입하게 된다. 그 후 유량 조절기의 조절 롤을 조정하여 유입량을 증감시키며 사용하면 된다.

Description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1 Piece Jinny-Cap with Punch Function for Serious Patient}
음식물을 씹어서 삼킬 수 없는 환자나 노인들을 위하여, 용기에 담은 액상 내용물을 환자나 노인이 구강과 목을 통하여 용이하게 넘길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의 입구에 결합한 호스를 통해 더 수월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의 입구에 캡핑 하는 병마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이 병마개와 함께 사용되는 호스에도 마시기에 편리하고 안전한 새로운 방법을 추가하는 제품(병마개와 호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01)의 입구에 실링한 실링 부재(11)를 제거할 필요가 없이 새롭게 발명한 병마개의 천공 기능을 이용하여 용기 입구에 밀봉되어 있는 실링 부재(11)를 천공하고, 이 병 마개의 내용물 유출구의 입구에 호스(07)를 연결(결합)하여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환자 또는 사용자의 구강까지 편리하게 이동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은, 일반 병마개(04)와 기존 기능 병마개(03) 두 종류가 필요하다. 용기의 입구에 일반 병마개로 캡핑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제품을 마시려고 하는 경우에 일반 병마개를 용기 입구로부터 벗겨 낸 다음, 별도로 보관 중인 기능 병마개(03)로 캡핑한다. 그리고 호스의 입구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천공 기구를 이용하여 원통형 유출구 내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결합 동작에 의하여 상기 천공기구는 용기의 입구에 밀봉된 실링부재를 천공하기 때문에 용기의 내용물은 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여러 단계를 통해 환자의 입에 호스의 반대 부분을 삽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잡함을 그 동안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PCT No. WO2006062357의 청구항 78부터 86까지와 그림 54부터 56까지의 특허를 응용 하여 발명된 새로운 기능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실링 부재를 천공하는 기능을 자체에 추가한 새롭게 발명된 병마개를 사용하여 용기의 입구에 밀봉된 실링 부재를 천공케 하고 마우스피스를 장착한 호스를 결합하여 용기 내에 보관 중인 내용물을 환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1. 두 개의 캡의 사용을 하나로 합하였으므로 사용상의 단계를 줄일 수 있다.
2. 두 개의 캡을 캡 하나로 합하였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환자용 마우스피스(28)를 장착하여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기도 삽입 방지)
도 1(대표 도면)은 기능 병마개(기존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 병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새로운 병마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새로운 병마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새로운 병마개와 호스 부위가 결합하고 천공 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새로운 병마개와 호스 부위가 결합하고 천공 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유출구와 연결대가 결합 상태의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내용물 유출 경로 및 공기 유입 경로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9는 구강 삽입용 마우스피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호스를 삽입한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용기 02 : 내용물
03 : 기능 병마개(기존) 04 : 일반 병마개
05 : 나사선(병목 부) 06 : 나사선(병마개)
07 : 호스(Catheter) 08 : 천공용 원통 막대
09 : 유출구(내용물) 10 : 본체(병마개)
11 : 실링 부재 12 : 소비자 보호 밴드
13 : 본체 돌조 요홈(Knurl) 14 : 차단막(병 마개 상부면)
15 : 덮개 16 : 덮개 걸림턱
17 : 힌지 18 : 나사선(유출구)
19 : 연결부(얇은 막) 20 : 유출구 덮개
21 : 병마개(신제품) 22 : 공기 유입구
23 : 천공 훅 24 : 링 가스켓
25 : 연결대(호스 입구) 26 : 연결대 나사 선
27 : 누름용 손잡이 28 : 마우스피스(구강 삽입용)
29 : 곡선 부위 30 : 마우스 피스 출구
31 : 걸림 턱 32 : 조인트(Joint)
33 : 죠인트 턱 34 : 직선 부위
35 : 마우스 피스 입구 36 : 보호벽
37 : 분리 요홈(내용물 유출과 공기 유입의 분리)
38 : 연결대의 돌조 요홈(Knurl) 39 : 턱 걸림 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PCT No. WO2006062357의 Fig 54 ?56의 아이디어를 응용 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가하여 한 차원이 높은 신제품 병마개를 발명한 것이다. 이미 사용 중인 방법은, 내용물(02)이 담긴 용기 입구를 일반 병마개(04)로 캡핑하고 별도로 기존 기능 병마개(03)를 준비하여서, 사용 시에 일반 병마개를 벗겨 낸 후에 기존 기능 병마개(03)를 용기 입구에 캡핑하고 천공 기구가 연결된 호스(07)를 결합하여 내용물(02)을 유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문제점은 두 개의 캡을 준비하여야 하며 사용 시에 이 두 개의 캡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품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캡으로 상기 절차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특수 기능을 갖는 병마개(21)이다.
이 병마개(21)의 구조를 설명하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 입구의 병 목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천공용 원통 막대(08)'와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의 중앙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고, '천공용 원통 막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천공용 원통 막대의 주위에 보호벽(36)을 본체의 차단 막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이 보호벽과 덮개 간에는 나사선이나 언더컷을 이용하여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08)'를 손으로 누르면 연결부(19)의 탄성에 의하여 실링부재(11)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를 천공하는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내부 및 본체를 추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는 비어 있고 하부는 천공 훅(23)을 가지며 이 천공 훅(23)은 하나 이상의 내용물 유출구(09)를 갖는다. 연결대(25)를 '천공용 원통 막대(08)'에 결합 시에 내용물(02)의 유출과 공기 유입이 완벽하게 분리되도록 '분리 요홈(37)이 구비하며,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외주면과 본체 보호벽(3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천공용 원통 막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19)로 구성되고, '천공용 원통 막대'의 내부 적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22)를 갖는다. 또한 용기로부터 본체(10)의 개폐를 돕기 위하여 본체의 외부 측면에는 돌조 요홈(31)이 형성되며, 본체와 별도로 준비되는 연결대(25)는 몸통의 외부 면에 나사선(22)과 돌조 요홈(38) 또는 누름용 손잡이(27)을 가지며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링 가스켓(24)을 아울러 구비한다. 또한 '천공용 원통 막대(08)'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체형 덮개(15)는 병마개 보호벽(36)에 힌지(17)에 의하여 연결하고, 보호벽(36)의 높이는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천공용 원통 막대(08)'와 호스(07)를 연결하여 주는 연결대(25)는 호스의 입구에 구비되고, 내용물(02)을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 실링부재(11)와, 환자의 구강에 호스를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호스 출구에 결합한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28)의 내부 관을 통하여 호스의 출구를 수월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조인트(32)를 호스 출구에 함께 구비한다.
새로운 제품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병마개가 장착된 제품을 환자 또는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우선 병마개 본체(10)의 보호벽(36)으로부터 덮개(15)를 벗겨 낸 후에, 호스(07)와 결합한 연결대(25)를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입구에 장착한다. 호스가 결합한 연결대(25)를 삽입하면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나사선(18)과 연결대 나사선(26)이 결합하게 된다. 결합된 것을 확인한 후에 누름용 손잡이(27)을 손가락으로 쥐면서 아래 방향으로 지그시 누르면, '천공용 원통 막대(08)'는 연결부(19)의 상하 작용에 의하여 용기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에 '천공용 원통 막대(08)'의 하부에 설치된 천공 훅(23)이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실링 부재(11)를 천공하게 된다. 상기의 결합과 누르는 동작을 동시에 실시하면 더욱 편리하게 열결대를 '천공용 원통 막대(08)'에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용기를 거치대에 거꾸로 걸고 환자에게 사용한다. 환자 쪽의 호스 즉 호스 출구에 결합한 마우스피스(28)를 환자의 입을 벌리고 구강에 먼저 밀어 넣고 조인트(32)가 설치된 호스(07)를 구강 쪽으로 조인트 턱(33)이 걸림턱(31)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으면 호스는 마우스피스(28)의 곡선 부위(29)의 터널을 따라 식도 관으로 안전하게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 단계가 완성되면 이미 사용 중인 기존의 유량 조절기의 조절 바퀴를 손가락으로 조정하여 유입량을 증감시키며 사용하면 된다.

Claims (39)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 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2.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몸통의 상부가 비어 있고 내용물 유출구(09)를 제외하고 하부는 막혀 있는 '천공용 원통 막대'와;
3.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의 중앙부에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고,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를 천공하는 '천공훅'과;
4 '천공용 원통 막대'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천공용 원통 막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와;
5.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의 적정 부위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 시켜 주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구성되고;
6. '천공용 원통 막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와;
7. 내용물 보호를 위하여 용기 입구를 차단하는 실링 부재와;
8. '천공용 원통 막대'의 내부에 설치한 '분리 요홈'과;
9. 호스의 양 끝에 연결대와 마우스피스가 구비된 환자용 호스를 별도로 갖는 특수 기능의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의 원주를 따라 돌출로 걸림턱 또는 나사선을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와 결합하는 연결대(25)의 내외부면에 돌출로 걸림턱 또는 나사선을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대의 외부면에 돌조 요홈(38)을 구비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 또는 '천공용 원통 막대'의 일정 위치에 '링 가스켓(24)'을 장착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원통 막대'는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보호벽에 비해 같거나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청구항 6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몸통은 원통뿐만이 아니라 사각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여러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하단에 천공 훅(23)을 갖는 것
청구항 8에 있어서,
상하가 뚫린 '내용물 유출 구'를 하나 이상 갖는 것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22)를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요홈(37)을 원주 형태로 설치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와 '천공용 원통 막대'가 결합 시에 접촉하는 부위에 링 가스켓(24)을 장착하는 것
청구항 12에 있어서
공기는 통과 시키고 용액은 차단하는 재질 즉, 부직포 또는 고어텍스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마개 본체(10)의 하측부에 소비자 보호 밴드(12)를 구비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입구와 호스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대(25)를 호스 입구에 갖는 것.
제 1항에 있어서,
호스 출구 부위에 내부가 관통되고 턱걸림대(39)가 설치된 마우스피스(28)를 장착하는 것
청구항 16에 있어서,
몸통의 일부분이 휘도록 만들어 질 것
청구항 17에 있어서,
휘는 각도는 최소 15도 이상일 것
청구항 16에 있어서,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조인트가 걸리도록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
청구항 16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의 외부 형상은 원통형, 타원형 등의 모양을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호스의 출구에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
청구항 21에 있어서,
호스를 끼운 조인트를 마우스피스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끼워서 보관하는 것
청구항 21에 있어서,
조인트의 외부면에 스프링 성질을 갖는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
청구항 21에 있어서,
조인트의 외부면에 딱딱한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병마개 차단막의 상부면에 보호벽을 갖는 것
청구항 25에 있어서.
병마개 원주면과 천공용 원통 막대의 원주 사이에 설치되는 것
청구항 25에 있어서,
보호벽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나사선이나 언더컷으로 구비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천공용 원통 막대'를 완벽하게 덮을 수 있는 일체형 덮개를 갖는 것
청구항 28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덮개 걸림 턱'(16)을 갖는 것
청구항 28에 있어서,
덮개가 본체와 일체를 이루며, 덮개의 밑 부분이 본체의 차단막(14)에 연결되고, 덮개의 개폐를 돕기 위하여 차단막(14)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를 갖는 것
청구항 28에 있어서,
본체의 차단막(14)에 '천공형 원통 막대'를 보호하는 분리형 덮개를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는 병마개 본체와 분리형으로서, 나사선이나 언더컷이 구비된 일반 병마개를 사용하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내용물 보호를 위하여 한층 이상으로 구성된 실링 부재를 갖는 것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층은 부직포 또는 고어텍스로 구성하고, 하층은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하는 2개 층의 실링 부재를 갖는 것
청구항 33에 있어서,
실링 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강력 접착제를 도포한 실링부재에 관한 것
청구항 33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 실링 부재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는 두 개 층 사이가 쉽게 박리되도록 가장 윗면과 가장 아랫면에 코팅된 접착제보다 두층 간에 사용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코팅된 실링부재를 갖는 것
청구항 33에 있어서,
실링부재 상부면과 병마개 내부 면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단층으로 된 실링부재의 상부면에 강력 접착제를 도포(코팅)하고, 용기 입구와 강력 접착토록 하기 위하여 하부면에도 강력 접착제로 도포한 실링부재를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 또는 '천공용 원통 막대'의 접촉 부위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요홈을 갖는 것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용 원통 막대'의 몸통 내부 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평으로 차단하는 차단 박막을 갖는 것.
KR1020100097102A 2010-10-04 2010-10-04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KR20120035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02A KR20120035086A (ko) 2010-10-04 2010-10-04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02A KR20120035086A (ko) 2010-10-04 2010-10-04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86A true KR20120035086A (ko) 2012-04-13

Family

ID=4613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02A KR20120035086A (ko) 2010-10-04 2010-10-04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0751A (zh) * 2014-11-07 2015-05-06 珠海中富工业集团有限公司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0751A (zh) * 2014-11-07 2015-05-06 珠海中富工业集团有限公司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772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8502422A (ja) 容器用不正開封防止オーバーキャップ
JP3113430U (ja) 服薬用スポイトの構造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1791681B1 (ko) 고점도 화장료용 스포이트 용기
US20070215627A1 (en) Cap With Push Type Opener
MX2008000981A (es) Empaque con tapa de sellado y metodo para rellenar el empaque.
KR20200037282A (ko) 스파우트 캡, 스파우트 및 스파우트 부착 용기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KR20120035086A (ko) 펀치 기능을 갖는 환자용 1 피스 병마개
JPWO2013088970A1 (ja) 医療用器具
JP5925629B2 (ja) 注出キャップ及びそれを有する容器
CN206590303U (zh) 一种饮料瓶盖及饮料瓶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3579881B2 (ja) 閉鎖膜付チューブ容器
JP4800785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6052766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2019116318A (ja) キャップ
JP2005153950A (ja) スリット式逆止弁付き容器
KR20130087339A (ko) 두 물질을 혼합하는 버튼형 병마개
JP6429305B2 (ja) 流体容器の栓構造
JP52693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778806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ES1071783U (es) Envase para productos pastosos o semifluidos.
JP3143802U (ja) 鼻腔洗浄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