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065A -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065A
KR20120035065A KR1020100096551A KR20100096551A KR20120035065A KR 20120035065 A KR20120035065 A KR 20120035065A KR 1020100096551 A KR1020100096551 A KR 1020100096551A KR 20100096551 A KR20100096551 A KR 20100096551A KR 20120035065 A KR20120035065 A KR 2012003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s
drying step
roasting
moisture
mai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규대
Original Assignee
용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혁중 filed Critical 용혁중
Priority to KR102010009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065A/ko
Publication of KR2012003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를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나무등을 재료로하여 이를 파쇄, 건조, 분쇄 및 압축 성형함으로서 연료용 펠릿을 제조하여 육류등을 익힐때 나무의 독특한 향을 육류에 베이게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타는 것을 지연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무 자체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기타 구이용 재료에 베이게 하여 육질의 부드러움을 물론이고 건강에 유익하도록 한 나무를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펠릿 제조시 선택되는 원재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다이스를 통하여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같은 량의 숯을 사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고 육류나 생선등을 조리시 원재료의 독특한 향을 육류에 베이게 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타는 것을 지연시킬수 있도록 하여 식생활 문화에 크게 기여하면서도 원재료 자체에 함유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생선을 구울때 베이게 함으로서 건강에 유익하고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이용함으로서 연소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Pellet manufacturing process and pellet of roasting}
본 발명은 나무나 기타 굴이나 조개등의 조폐류를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나무 또는 다양한 조폐류등을 재료로 하여 이를 파쇄, 건조, 분쇄 및 압축 성형함으로서 연료용 펠릿을 제조하여 육류등을 익힐때 나무의 독특한 향을 육류에 베이게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무 또는 조폐류 자체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기타 구이용 재료에 베이게 하여 육질의 부드러움을 물론이고 건강에 유익하도록 한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좋은 펠릿의 기준은 특별한 기준이 없지만 국립산림과학원에 제시한 “목재 펠릿의 품질 기준”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에 따른 기준으로 성형된 펠릿의 겉보기 밀도, 발열량, 함수율 등 여러 가지 조건을 언급하고 있다.
좋은 펠릿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지만, 펠릿에서 성형하기 위한 조건으로 온도, 함수량, 입자의 크기, 다음과 같이 세가지 조건을 모두 알맞게 조절 해야 한다.
1. 온도
원재료를 성형기 상부에서 투입하면 고정된 다이스 위에 롤러가 회전하면서 높은 압력으로 다이스의 구멍에 밀어 넣게 된다. 이때 롤러가 지나가려는 힘과 원재료의 저항으로 인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 마찰열로 인하여 펠릿 성형기 내부의 온도는 높아지려는 성향을 띄고 있다. 그리고, 온도는 펠릿 성형 생산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온도가 너무 높았을 때는 원료를 태울 수도 있지만, 그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낮추게 된다면 성형하는 과정에서 원료 수분증발까지 방지할 수 있다.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이유는 펠릿 성형이 된 후 펠릿 자체에는 열을 가지고 있다. 그 열이 식으면서 리그닌 성분이 굳어져 고형화가 되면서 성형된 펠릿이 더욱 단단해지는데, 펠릿 성형전에 원료에 열에 의해 수분 증발이 되어 수분이 없다면 펠릿 성형 후, 고형화가 잘 되지 않고, 성형되어 나오는 펠릿의 모양도 가루 형태 또는 잘 부스러지는 펠릿이 생산 되게 된다. 결국 수분 증발 방지는 좋은 펠릿을 얻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2. 함수율
원재료는 펠릿 성형에 필요한 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요한 함수율까지 건조하여야 한다. 즉 함수율의 조절은 원재료의 건조 과정부터 시작된다. 원료를 건조, 분쇄, 이송, 물분사, 스팀 분사, 등의 과정을 통하여 원료가 펠릿 성형에 알맞은 함수율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함수율은 펠릿 성형후, 굳어지는 과정에서도 알맞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함수율의 조절은 뭉칠려는 특성 그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다. 가령 수분이 많다면 리그닌 성분의 묽어져 성형된 다음 고형된 펠릿이 말랑말랑한 형태로 제작될 것이며, 또한 수분이 적다면 위에서 언급한 내용처럼 가루형태가 될 것이다.
좋은 펠릿을 위해 각각의 원료에 알맞은 함수율을 조절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3. 입자의 크기
6mm 펠릿 생산을 위한 원재료의 크기는 일반적인 빵가루보다 작고, 그 크기가 일정해야 한다. 분쇄 과정에서 너무 작은 크기로 분쇄되는 경우 섬유질 손실로 펠릿 성형이 안되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입자의 크기는 펠릿 성형시 롤러에 대한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결국 펠릿 성형기의 온도와의 관계로 이어질 수 있고, 펠릿의 밀도와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은 우드 펠릿은 선진국(유럽의 스웨덴, 독일, 덴마크, 오스트리아 등)에서 상용화된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이다. 발열량은 4,500kcal/kg 정도로서, 약 2kg의 목재 펠릿 연소시 발생하는 열량은 약 1 리터의 등유나 경유가 내는 열량과 같다. 또한,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석유의 1/20 이하로 매우 친환경적인 연료이다.
상기와 같은 우드 펠릿을 이용하여 육류나 기타 생선 등등을 굽게되면 기타 연료 예를들면 가스등을 사용시 수분 증발이 빨리되어 육류나 생선이 마르고 타며 육류를 구울때에도 육류자체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비린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무 자체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기타 생선 등등의 구이용 재료에 베이게 됨으로서 건강을 중요시하는 현대인의 취향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존의 가스 등을 이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류 또는 기타 생선 등의 구이용 재료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펠릿을 사용함으로서 육류나 생선이 마르고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구울때 발생되는 독특한 냄새 및 비린냄새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무 및 조폐류로 제조된 본 발명은 나무 자체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생선에 베이게 함으로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건강에 유익하면서 또한 기타 연료에 비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펠릿 제조시 선택되는 원재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다이스를 통하여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원재료는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톱밥형식으로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육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솔잎과 잔가지를 7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 20%,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톱밥 8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참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의 가지 80%, 잎 20%로 하거나 또는 원재료 100%로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0%, 밀도 1mm미만으로 유지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과 대나무가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볏짚과 소나무톱밥이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보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보리짚 100%로 하거나 또는 보리 50%와 소나무톱밥 5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갈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싸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뽕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칡넝쿨을 선택할 경우에는 칡넝쿨과 잎을 9: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쑥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쑥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50%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편백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편백나무와 소나무톱밥을 9 : 1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들깨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들깨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왕겨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은행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사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잔가지와 원목을 7 : 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무화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무화과나무 잎과 가지를 1 : 9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시호를 선택할 경우에는 시호와 소나무톱밥을 3 : 7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3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계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계피 5%, 소나무톱밥 95%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조폐류를 선택할 경우에는 조폐류와 참숯을 1 : 9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7%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아카시아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모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모과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탱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탱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유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유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치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치자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원재료를 참나무로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60℃의 온도를 갖는 다이스를 통하여 1톤의 압력으로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과,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10mm 미만으로 파쇄하고 건조시킨 다음 5mm미만으로 분쇄하고 성형기에서 고압축한후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과,
상기 절단 성형된 펠릿의 수분함수율을 0.8%~0.9%로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같은 량의 숯을 사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고 육류나 생선등을 조리시 원재료의 독특한 향을 육류에 베이게 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타는 것을 지연시킬수 있도록 하여 식생활 문화에 크게 기여하면서도 원재료 자체에 함유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생선을 구울때 베이게 함으로서 건강에 유익하고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이용함으로서 연소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재료에 대하여 대표적인 몇가지에 대한 효능을 설명하면,
편백나무는 스트레스 완화작용, 강력한 항균작용, 소취작용 및 유해물질 중화작용, 진정작용, 괘적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면역기능 증대 등의 좋은 점을 많이 가지고 있어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
다음, 대나무는 해열, 이뇨, 혈당증가, 구토, 소염, 경간, 주독, 유산, 익기, 객혈, 금창, 소담, 파상풍, 진통, 중풍, 발한등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독정물질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 칡넝쿨은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협심증, 두통완화, 피로회복, 숙취해소, 갈증해소, 소화불량, 변비, 설사, 해열, 음주량 감소, 조기감기, 위장과 간장보호, 중금속 배출, 폐경기지연, 골다공증예방,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아토피, 여드름, 피부미용, 당뇨환자에 효과가 있다.
다음, 싸리나무는 두통, 고혈압, 양기부족, 무기력증, 동맥경화, 무좀, 습진, 마른버짐, 갖가지 피부병, 폐열로 인한 기침, 부종, 요통, 소변이 안 나올때 등등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 들깨대는 몸을 덥게하고, 기를 내리며, 기침과 갈증을 그치게 하고, 간을 윤택하게 하여 속을 보하고, 정수 즉, 골수를 메워주며, 피부를 보호하며 윤택하게 하고, 변비, 중풍 예방을 하고, 리놀렌산은 오메가-3 지방산으로 필수 지방산 부족시 성장 저해, 피부질환 등 질병 방지 및 암세포 증식억제, 항암효과에 탁월하다.
다음, 참나무는 악창, 종기, 지형, 담낭결석, 신장, 요로, 방광결석, 만성설사 등에 좋다.
다음, 볏짚은 너무 가벼워 펠릿으로 성형하기 불편하나 왕겨와 소나무 톱밥을 혼합하여 성형이 가능한 것으로서 볏짚 삼겹살, 또는 된장을 만드는 메주를 띄울때 사용하고 있어 발효유산, 소화기능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구이용 펠릿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구이용 펠릿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파쇄단계]
본 단계는 본 발명의 첫단계로서 펠릿 제조시 선택되는 원재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단계로서,
상기 원재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건조단계]
상기 다수개의 원재료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10mm미만으로 파쇄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것으로서,
본 단계에서 원재료에 따라 그 조건이 상이한 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톱밥형식으로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육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솔잎과 잔가지를 7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 20%,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톱밥 8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참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의 가지 80%, 잎 20%로 하거나 또는 원재료 100%로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0%, 밀도 1mm미만으로 유지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과 대나무가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볏짚과 소나무톱밥이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보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보리짚 100%로 하거나 또는 보리 50%와 소나무톱밥 5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갈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싸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뽕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칡넝쿨을 선택할 경우에는 칡넝쿨과 잎을 9: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쑥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쑥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50%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편백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편백나무와 소나무톱밥을 9 : 1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들깨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들깨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왕겨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은행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사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잔가지와 원목을 7 : 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무화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무화과나무 잎과 가지를 1 : 9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시호를 선택할 경우에는 시호와 소나무톱밥을 3 : 7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3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계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계피 5%, 소나무톱밥 95%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조폐류를 선택할 경우에는 조폐류와 참숯을 1 : 9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7%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아카시아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모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모과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탱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탱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유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유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과,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치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치자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이다.
[분쇄단계]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건조단계를 거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이며,
[성형단계]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다이스를 통하여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재료를 참나무로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60℃의 온도를 갖는 다이스를 통하여 1톤의 압력으로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구이용 펠릿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10mm 미만으로 파쇄하고 건조시킨 다음 5mm미만으로 분쇄하고 성형기에서 고압축한후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 성형하여 이루어진 구이용 펠릿과,
상기 절단 성형된 펠릿의 수분함수율을 0.8%~0.9%로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과 그 구이용 펠릿은 같은 량의 숯을 사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고 육류나 생선등을 조리시 원재료의 독특한 향을 육류에 베이게 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타는 것을 지연시킬수 있도록 하여 식생활 문화에 크게 기여하면서도 원재료 자체에 함유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육류나 생선을 구울때 베이게 함으로서 건강에 유익하고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이용함으로서 연소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5)

  1. 펠릿 제조시 선택되는 원재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다이스를 통하여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는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톱밥형식으로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육송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솔잎과 잔가지를 7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 20%, 해송 또는 육송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톱밥 8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참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의 가지 80%, 잎 20%로 하거나 또는 원재료 100%로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0%, 밀도 1mm미만으로 유지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대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참숯과 대나무가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볏짚을 선택할 경우에는 볏짚과 소나무톱밥이 혼합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보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보리짚 100%로 하거나 또는 보리 50%와 소나무톱밥 50%로 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갈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싸리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뽕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칡넝쿨을 선택할 경우에는 칡넝쿨과 잎을 9: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쑥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쑥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50%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편백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편백나무와 소나무톱밥을 9 : 1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들깨대를 선택할 경우에는 들깨대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5%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왕겨를 선택할 경우에는 왕겨와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1%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은행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사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잔가지와 원목을 7 : 1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무화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무화과나무 잎과 가지를 1 : 9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시호를 선택할 경우에는 시호와 소나무톱밥을 3 : 7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32%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계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계피 5%, 소나무톱밥 95%로 혼합하여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조폐류를 선택할 경우에는 조폐류와 참숯을 1 : 9비율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7%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아카시아를 선택할 경우에는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28%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모과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모과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탱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탱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유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유자열매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원재료중 치자나무를 선택할 경우에는 치자 3%, 소나무톱밥 97%를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 대비 수분 14%로 유지 가능하게 건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를 참나무로 선택한 다음 파쇄기등을 이용하여 10mm 미만으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원재료를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7일간 건조하여 10% ~ 34%까지 수분이 유지토록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파쇄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5mm미만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이송할때 60℃의 온도를 갖는 다이스를 통하여 1톤의 압력으로 성형기의 온도가 30℃ ~ 80℃로 유지하면서 성형 고압축하여 수분함수율 0.8%~0.9%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제조방법.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
  34. 해송, 육송, 참나무, 대나무, 볏짚, 보리대, 갈대, 싸리대, 뽕나무, 칡넝쿨, 쑥대, 편백나무, 들깨대, 왕겨, 은행나무, 사과나무, 무화과나무, 시호, 계피나무, 조폐류, 아카시아, 모과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10mm 미만으로 파쇄하고 건조시킨 다음 5mm미만으로 분쇄하고 성형기에서 고압축한후 두께 6mm, 길이 2cm미만으로 절단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성형된 펠릿의 수분함수율을 0.8%~0.9%로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펠릿.
KR1020100096551A 2010-10-04 2010-10-04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5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51A KR20120035065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51A KR20120035065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65A true KR20120035065A (ko) 2012-04-13

Family

ID=4613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51A KR20120035065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0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98B1 (ko) * 2013-08-08 2015-04-07 고광수 도토리 찌개미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제조방법
KR20230019565A (ko) * 2021-08-02 2023-02-09 백태선 감귤류 부산물을 이용한 훈연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98B1 (ko) * 2013-08-08 2015-04-07 고광수 도토리 찌개미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제조방법
KR20230019565A (ko) * 2021-08-02 2023-02-09 백태선 감귤류 부산물을 이용한 훈연칩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8126B (zh) 一种机制炭及其制备方法
Aragón-Garita et al. Production and quality analysis of pellets manufactured from five potential energy crops in the Northern Region of Costa Rica
CN100500814C (zh) 熏食燃料及其制作方法
CN101307266A (zh) 一种生物质固体燃料及加工工艺
CN105265690A (zh) 一种青钱柳苦瓜茶及其制作方法
KR20210110569A (ko) 화학-기계적 셀룰러 폭발을 위한 공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 및 액체 제품
KR102332053B1 (ko)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CN101503642A (zh) 一种植物源药渣机制炭及其加工方法
JP2009073973A (ja) 固体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50143A (zh) 一种高热值机制炭及其制备方法
CN107151600A (zh) 一种酒曲及制备方法及用该酒曲酿制药酒的方法及药酒
KR20120035065A (ko) 구이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KR100701471B1 (ko) 죽염의 제조 방법
KR101096650B1 (ko) 식물질 성형탄의 제조방법
KR101668807B1 (ko) 한방 생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생강 환
CN109363476B (zh) 环保佛香及其制作方法
KR101335753B1 (ko) 한방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2037814B1 (ko) 잣 껍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압축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479786A (zh) 生物质成型燃料及生产方法
CN101307265A (zh) 生物质环保民用蜂窝煤
KR101066717B1 (ko) 팽화된 대나무분말을 이용한 뜸연소재 및 제조방법.
Quartey Briquetting agricultural waste as an energy source in Ghana
KR101793492B1 (ko) 커피원액을 이용한 커피 성형 숯의 제조방법
KR20100043115A (ko)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CN105876127A (zh) 一种促进羊肉风味的饲草砖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