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567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567A
KR20120034567A KR1020110097002A KR20110097002A KR20120034567A KR 20120034567 A KR20120034567 A KR 20120034567A KR 1020110097002 A KR1020110097002 A KR 1020110097002A KR 20110097002 A KR20110097002 A KR 20110097002A KR 20120034567 A KR20120034567 A KR 2012003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late
insulating member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904B1 (ko
Inventor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에 제1 활물질이 코팅된 제1 활물질 코팅부와 제1 무지부로 구성된 제1 극판; 기재에 제2 활물질이 코팅된 제2 활물질 코팅부와 제2 무지부로 구성된 제2 극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극판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극판은 적층되어 정렬되고, 상기 제1 무지부는 제2 극판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이차 전지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고용량의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 단락 등이 발생하지 않은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극판 및 음극판의 얼라인 (align)이 용이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차 전지는 기재에 제1 활물질이 코팅된 제1 활물질 코팅부와 제1 무지부로 구성된 제1 극판; 기재에 제2 활물질이 코팅된 제2 활물질 코팅부와 제2 무지부로 구성된 제2 극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극판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극판은 적층되어 정렬되고, 상기 제1 무지부는 제2 극판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극판에서 제1 및 제2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 코팅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극판의 제1 활물질 코팅부에와 인접하는 제1 무지부에는 절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에는 제2 극판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무지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극판의 제1 무지부와 절연 부재는 라미네이트 구조 (laminated structur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는 셀룰로오스계 필름, PP 또는 PI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중 두가지 물질을 중량비로 7:3 또는 5:5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두가지 물질을 중량비로 7:3 내지 1:1로 포함하되, 7은 Al2O3 또는 TiO2이고 3은 BaTiO4 또는 SiO2일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는 탭 융착부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는 제1 활물질 코팅부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2 활물질 코팅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렬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판 및 음극판의 얼라인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적층형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10)는 기재에 제1 활물질이 코팅된 제1 활물질 코팅부 (112)와 제1 무지부 (111)로 구성된 제1 극판 (110); 기재에 제2 활물질이 코팅된 제2 활물질 코팅부 (122)와 제2 무지부 (121)로 구성된 제2 극판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극판 (110, 120)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극판 (110, 120)은 적층되어 정렬되고, 상기 제1 무지부 (111)는 제2 극판 (120)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 (50)가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 (1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무지부 (111, 121)는 제1 및 제2 극판 (110, 120)에서 제1 및 제2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 코팅부 (112, 12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 (100)는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는 전극 조립체 (100)의 일측에서 인출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이차 전지 (10)는 전지 케이스 (20)에 전해액 (미도시)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 (100)를 수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 (20)는 전극 조립체 (100)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를 덮는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측에는 밀봉부 (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이차 전지 (10)는 전극 조립체 (100)와 함께 전해액을 전지 케이스 (20)의 본체에 수용시킨 다음, 본체와 커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봉부 (21)를 열융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 (100)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 리드 (30, 40)는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과 융착부 (31, 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 리드 (30, 40)는 전지 케이스 (20)의 밀봉부 (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이차 전지 (2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 리드 (30, 40)는 리드 필름 (32, 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 (32, 42)는 각각의 전극 리드 (30, 40)가 전지 케이스 (20)의 밀봉부 (21)와 접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리드 필름 (32, 42)은 전지 케이스 (20)의 밀봉부 (21)를 열융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전극 리드 (30, 40)와 밀봉부 (21)와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밀봉부 (21)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전지 케이스 (20)의 외부로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 (20)에 수용되는 전해액 (미도시)은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리튬염과, 전기 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하는 비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 (1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극판 (110, 120)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기 화학적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전기 화학적 에너지는 전극 리드 (30, 40)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100)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극판 (110, 120)과,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극 조립체 (100)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 (100)는 이들을 제1 극판 (110) 및 제2 극판 (120)과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를 일 단위체로 하여 이러한 단위체가 복수개 적층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체는 하나의 제2 극판 (120)과 상기 제2 극판 (120)에 적층된 제1 극판 (110), 및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위체 위에 세퍼레이터 (130)를 개재하면서, 제2 극판 (120)과 제1 극판 (110)을 적층을 반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극판들의 적층 순서는 전극 조립체 (100)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극판 (110)은 양극판일 수 있다. 양극판은 기재에 양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제1 활물질 코팅부 (112)인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상기 양극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제1 무지부 (111)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재는 높은 도전성을 가진 물질로,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를 구성하는 양극 활물질은 리튬을 포함하는 층상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극판 (120)은 음극판일 수 있다. 음극판은 기재에 음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제2 활물질 코팅부 (122)인 음극 활물질 코팅부 (122)와 상기 음극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제2 무지부 (1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전도성의 금속일 수 있으며, 음극 활물질 코팅부 (122)에 구비되는 음극 활물질로는 흑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지부 (111, 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에서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음극 활무질 코팅부 (122)에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통상, 상기 제1 및 제2 무지부 (111, 121)는 각각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코팅부 (112, 122)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구비되어 사각형의 상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타발시킴으로써 일측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은 각각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코팅부 (112, 122)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은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의 일측을 금형 등을 이용하여 타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통상,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은 극판들의 제1 및 제2 무지부 (111, 121)를 타발하여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코팅부 (112, 122)에서부터 돌출된 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무지부 (111, 121)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극판들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 (111a, 121a)은 복수개의 적층된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을 동일한 종류의 극판들끼리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극판들의 제1 및 제2 전극 리드 (30, 40)와의 결함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전술한 형태 및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극 활물질을, 예컨대 흑연으로 사용한 경우, 음극판 (120)은 양극판 (110)과 같거나 또는 양극판 (110)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판 (120)을 양극판 (110)에 비하여 더 작은 면적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충방전시 양극 활물질에 포함되는 리튬이 석출되기 쉽고, 특히 이는 상기 이차 전지 (10)의 용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고율 충방전시에 이차 전지 (10)의 안전성을 급격히 열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이차 전지 (10)의 용량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음극판 (120)이 양극판 (110)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는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극판인 음극판 (120)에 비하여 더 크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 (130)는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극판들이 직접 대면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세퍼레이터 (130)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차 전지 (10)가 고온에 노출되면, 통상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세퍼레이터 (130)는 수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상기 세퍼레이터 (130)는,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의 면적보다 축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극판들의 일부가 노출되어 단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은 이들 극판들 사이에 세퍼레이터 (130)를 개재하면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 (10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130)에 의하여,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의 얼라인을 맞추면서 서로 대면하도록 극판들을 정렬하면서 적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극성이 다른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이 서로 직접 접촉하여 단락될 수 있는 데, 이때, 양극판 (110)의 제1 무지부 (111)측은 상기 양극판 (110)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음극판 (120)에 접촉하기 용이하여, 단락에 특히 취약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무지부 (111)에는 음극판 (120)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 (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지부 (111)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 (50)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에 있어서, 그 극판들에 구비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코팅부 (112, 122)는 단락 발생시 무지부에 비하여 더 큰 발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이차 전지 (10)를 발화 또는 폭발시킬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인접하는 부분은 세페레이터 (130)를 사이에 두고 음극 활물질 코팅부 (122)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므로, 상대적으로 단락에 더욱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무지부 (111)를 타발하여 제1 전극탭 (111a)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극탭 (111a)의 적어도 일부가 음극판 (120)과 대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 부재 (50)는 제1 전극탭 (111a)측에도 구비되어 상기 극판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판 (110)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극판 (110)은 기재 (113)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제1 무지부 (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 (111)에는 절연 부재 (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부재 (50)는 제1 무지부 (11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 (10)의 부피당의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양극판 (110) 및 음극판 (120)의 기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 모두에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코팅부 (112, 1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절연 부재 (50)가 제1 무지부 (11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면, 상기 절연 부재 (50)가 구비되지 않은 측은 양극판 (110)과 음극판 (120)이 대면하여 단락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 (50)가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절연 부재 (50)가 구비되어 있는 면과 상기 절연 부재 (5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면 사이에는 상기 절연 부재 (50)에 의한 두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극판들의 적층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지부 (111)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 (50)의 두께 (x)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이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기재 (113)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가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절연 부재 (50)의 두께 (x)는 절연 부재 (50)와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y)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절연 부재 (50)의 두께 (x)가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y) 초과이면, 절연 부재 (50)가 구비되는 곳은 상기 절연 부재 (50)와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차이만큼 상대적으로 더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극판들을 적층할 때, 균형을 맞추기가 쉽지 않고, 또 상기 적층된 극판들 사이의 얼라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극판들을 복수개를 적층하기 때문에, 각각의 양극판 (110)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 (50)의 누적된 두께에 의하여 전지 케이스 (20)의 밀봉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전해액의 누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 (113)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구비되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y)를 동일하게 하였으나, 상기 두께 (y)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y)가 상이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 (50)의 두께 (x)는 상기 기재 (113)의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의 두께 (y)이하로 구비될 것이다.
절연 부재 (50)는 박막의 절연성을 갖는 필름으로,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필름, PP 또는 PI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200)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제1 무지부 (111)를 구비한 양극판 (110)과, 상기 양극판 (110)에 적층되고, 음극 활물질 코팅부 (122)와 제2 무지부 (121)을 구비한 음극판 (120) 및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판 (120)과 대응하는 제1 무지부 (111) 및 제1 전극탭 (111a)에는 절연 부재 (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 (51)는 음극판 (120)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극판 (120)과 다른 극성을 갖고, 상기 음극판 (120)과 대면할 가능성이 높은 제1 무지부 (111) 및 제1 전극탭 (111a)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전극탭 (111a)는 탭 융착부 (31)를 포함할 수 있다. 탭 융착부 (31)는 상기 제1 전극탭 (111a)과 제1 전극 리드 (30)가 융착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 부재 (51)는 탭 융착부 (21)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탭 융착부 (31)에 절연 부재 (51)가 구비되면, 제1 전극탭 (111a)에 제1 전극 리드 (30)를 용접 등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경우, 절연 부재 (51)가 손상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전극 리드 (30)와 제1 전극탭 (111a)과의 융착이 불완전하게 형성되어,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전극 리드 (30)가 제1 전극탭 (111a)에서 떨어지기 쉽다. 따라서, 절연 부재 (51)는 제1 무지부 (111)와 제1 전극탭 (111a)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전극탭 (111a)과 제1 전극 리드 (30)가 융착하는 부분인 탭 융착부 (31)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 (300)는 양극 활물질 코팅부 (112)와 제1 무지부 (111)를 구비한 양극판 (110)과, 상기 양극판 (110)에 적층되고, 음극 활물질 코팅부 (122)와 제2 무지부 (121)을 구비한 음극판 (120) 및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130)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판 (120)과 대응하는 제1 무지부 (111)에는 절연 부재 (52)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절연 부재 (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극판 (110)의 제1 무지부 (111)와 절연 부재 (52)는 라미네이트 구조 (laminated structur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 (52)의 일부는 상기 제2 활물질 코팅부 (122)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절연 부재 (52)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필름, PP 또는 PI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고분자 필름에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전술한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두 가지 물질을 중량비로 7:3 또는 5:5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두가지 물질을 중량비로 7:3 내지 1:1로 포함하되, 7은 Al2O3 또는 TiO2이고 3은 BaTiO4 또는 SiO2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부재 (52)로는 통상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필름은 그 특성상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 부재 (52)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를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시킨 경우, 상기 절연 부재 (52)의 수축이 일어날 수 있다. 반면, 세라믹은 고온에서의 변형이 거의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절연 부재 (52)에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고온에서의 절연 부재 (52)의 열적 안전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차 전지 20: 전지 케이스
100, 200, 300: 전극 조립체 110: 양극판
120: 음극판 50, 51, 52: 절연 부재

Claims (20)

  1. 제1 활물질 코팅부와 제1 무지부로 구성되는 제1 극판;
    제2 활물질 코팅부와 제2 무지부로 구성되는 제2 극판; 및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이 적층되어 정렬되되,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지부는 제2 극판과 대응하는 부위에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지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 코팅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판의 제1 활물질 코팅부에 인접하는 제1 무지부에는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판의 제1 무지부와 절연 부재는 라미네이트 구조 (laminated structure)로 구비되는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무지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셀룰로오스계 필름, PP 필름 또는 PI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 상에 추가의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두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가지 물질은 중량비로 7:3 내지 5:5로 혼합되는 이차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는 제1 활물질 코팅부의 두께 이하인 것인 이차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제1 및 제2 전극탭, 제1 및 제2 전극 리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은 각각 제1 및 제2 극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각각 탭 융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탭 융착부는 상기 제1 전극탭과 제1 전극 리드가 융착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극탭과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융착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1 전극탭 상에 구비되는 이차 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탭 융착부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되는 이차 전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판은 양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극판은 음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탭은 양극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탭은 음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극판은 상기 제1 극판과 같거나 또는 상기 제1 극판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는 이차 전지.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의 폭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극판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이차 전지.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리드 필름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2 활물질 코팅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렬되는 이차 전지.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Al2O3, BaTiO4, TiO2 및 SiO2 중 두가지 물질을 중량비로 7:3 내지 1:1로 포함하되, 7은 Al2O3 또는 TiO2이고 3은 BaTiO4 또는 S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10097002A 2010-10-01 2011-09-26 이차 전지 KR101357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912310P 2010-10-01 2010-10-01
US61/389,123 2010-10-01
US13/213,929 2011-08-19
US13/213,929 US9490464B2 (en) 2010-10-01 2011-08-19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67A true KR20120034567A (ko) 2012-04-12
KR101357904B1 KR101357904B1 (ko) 2014-02-05

Family

ID=4472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002A KR101357904B1 (ko) 2010-10-01 2011-09-26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0464B2 (ko)
EP (1) EP2437330B1 (ko)
JP (1) JP5496978B2 (ko)
KR (1) KR101357904B1 (ko)
CN (1) CN10244708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609A (ko) * 2013-03-11 2014-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5080305A1 (ko) *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60023809A (ko) * 2013-06-24 2016-03-0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와 그 제조 방법
US9882193B2 (en) 2015-06-16 2018-01-3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5400A1 (en) * 2012-02-24 2014-11-13 Amita Technologies Inc Ltd. Lithium battery
JP5354056B2 (ja) 2012-05-01 2013-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6222742B2 (ja) * 2012-05-25 2017-11-01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正極電極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14123454A (ja) * 2012-12-20 2014-07-03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
DE102013202500A1 (de) 2013-02-15 2014-08-21 Robert Bosch Gmbh Galvanisches Element, Batteriesystem sowie Kraftfahrzeug
US9755213B2 (en) 2013-03-11 2017-09-05 Lg Chem, Ltd. Cathode including insulation layer on cathode tab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athode
KR101865891B1 (ko) * 2014-10-16 201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전극탭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59748A (ko) * 2014-11-19 2016-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4466097B (zh) * 2014-12-16 2017-10-10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片及含有该电极片的锂离子电池
WO2016121339A1 (ja) * 2015-01-29 2016-08-0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783447B1 (ko) * 2015-02-02 2017-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용량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0278A (ko) * 2015-09-09 2017-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63895B1 (ko) * 2015-09-14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탭을 포함하는 전극 적층 구조체 및 적극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
US20200303782A1 (en) * 2016-03-24 2020-09-24 Sanyo Electric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957837B2 (ja) * 2016-04-08 2021-11-0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CN109478631B (zh) * 2016-07-28 2021-12-2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6587157B2 (ja) * 2017-02-07 2019-10-09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
CN110168777A (zh) * 2017-02-27 2019-08-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ES2965857T3 (es) * 2017-10-19 2024-04-17 Aesc Japan Ltd Batería
WO2019135640A1 (ko) 2018-01-04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코팅층이 구비된 전극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7371957B2 (ja) * 2020-03-20 2023-10-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3370B2 (ja) 1992-04-14 2001-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US5585206A (en) 1994-03-08 1996-12-17 Morris; J. Lee Battery electrode interconnections
KR100277638B1 (ko) 1998-09-29 2001-02-01 김순택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및 이 전극 조립체를 이용한 전지
JP4366775B2 (ja) 1998-10-01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JP4366783B2 (ja) 1998-11-16 2009-11-18 株式会社デンソー 積層型電池及びその電極の製造方法
KR100326292B1 (ko) 2000-01-31 2002-03-08 김순택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것의 집전체
KR100381179B1 (ko) * 2001-02-0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조 용량 가변형 세탁기
JP4856815B2 (ja) 2001-05-02 2012-01-18 トータル ワイヤレス ソリューショオンズ リミテッド シート型電池
KR100449757B1 (ko) 2001-11-23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4617065B2 (ja) 2002-05-30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7335448B2 (en) * 2002-05-30 2008-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0483994B1 (ko) 2002-06-12 2005-04-18 주식회사 이글피쳐코캄 리튬 2차 전지용 크루드 셀의 전극탭 처리 방법 및 그에따른 크루드 셀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 전지
JP4144312B2 (ja) * 2002-10-08 2008-09-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KR100918408B1 (ko) 2002-10-22 2009-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443260B2 (ja) 2004-02-27 2010-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JP5034155B2 (ja) 2004-06-17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JP4711653B2 (ja) 2004-08-31 2011-06-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
KR100571269B1 (ko) 2004-09-22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624977B1 (ko) * 2004-09-22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627313B1 (ko) * 2004-11-30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649993B2 (ja) 2005-01-12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60838B2 (ja) * 2005-08-30 2013-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CN102820435A (zh) 2005-11-08 2012-12-12 株式会社Lg化学 具有高安全性的二次电池
JP5076464B2 (ja) * 2005-12-12 2012-11-21 Tdk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70087857A (ko) * 2005-12-29 2007-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1048225B1 (ko) 2006-02-23 2011-07-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고출력 전지용 단락 안전 장치
KR100947982B1 (ko) * 2006-03-28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80018471A (ko) 2006-08-24 2008-0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95765B1 (ko) 2006-11-06 2010-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탭-리드 결합부를 강화시킨 이차전지
JP5157337B2 (ja) 2007-03-30 2013-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タブ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1025277B1 (ko) * 2007-10-30 2011-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090106841A (ko) * 2008-04-07 2009-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US8628876B2 (en) 2008-06-20 2014-01-14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ame
KR101009517B1 (ko) * 2008-06-23 2011-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DE102010026093A1 (de) * 2010-07-05 2012-01-05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609A (ko) * 2013-03-11 2014-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60023809A (ko) * 2013-06-24 2016-03-0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와 그 제조 방법
US10090526B2 (en) 2013-06-24 2018-10-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80305A1 (ko) *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9350006B2 (en) 2013-11-27 2016-05-24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82193B2 (en) 2015-06-16 2018-01-3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0464B2 (en) 2016-11-08
KR101357904B1 (ko) 2014-02-05
CN102447088A (zh) 2012-05-09
CN102447088B (zh) 2014-12-10
JP5496978B2 (ja) 2014-05-21
US20120082891A1 (en) 2012-04-05
EP2437330A1 (en) 2012-04-04
EP2437330B1 (en) 2015-08-19
JP2012079696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904B1 (ko) 이차 전지
JP6608862B2 (ja) ナノ多孔性セパレータ層を利用するリチウム電池
JP5293938B2 (ja) 電極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0876268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925932B1 (ko) 이차 전지
JP2017199663A (ja) 電池
US20120321930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357931B1 (ko) 이차 전지
KR101514875B1 (ko) 이차 전지
US20230378603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for the same
KR101603087B1 (ko) 내부 단락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