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335A -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4335A KR20120034335A KR1020100095809A KR20100095809A KR20120034335A KR 20120034335 A KR20120034335 A KR 20120034335A KR 1020100095809 A KR1020100095809 A KR 1020100095809A KR 20100095809 A KR20100095809 A KR 20100095809A KR 20120034335 A KR20120034335 A KR 20120034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heels
- respect
- steering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30 mo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657 Ab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85 Gait spast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644 Neurologic Gai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6—Frequency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동시에 전동 휠체어로 사용이 가능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전방 바퀴와 한쌍의 보조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방 주행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후방 바퀴와, 이와 같은 후방 바퀴를 축전지 전원에 의해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 후방 주행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재활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하여 일반 승용차에 수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한 우수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재활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하여 일반 승용차에 수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한 우수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를 위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평상시에는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이 가능하여 이동과 근력운동 및 하체 재활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전동 휠체어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주행용 구동모터와 주행 및 방향 제어 조향장치, 스마트폰(Smart Phone)의 부착이 가능한 거치대(Cradle)와 장애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로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근거리 이동이 가능하며,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관람에 무리가 따르는 노약자가 간편하게 관람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은 상태에서는 차량내에 손쉽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 감소로 인해 활동의 폭이 제한된 노약자, 하체 근육의 재활이 필요한 환자 또는 일시적 질병 및 사고로 독립적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들이 사용되어지는 이동보조장치는 지팡이, 보행기(워커), 바퀴달린 보행기, 탁자형 보행기, 휠체어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노약자나 환자들은 주로 워커와 같은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보행 연습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행을 보조하기위한 종래의 이동보조장치는 단순히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경미한 하지근력손실이나 뇌졸중과 같은 스트로크 환자들의 편마비 보행을 보완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져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보조장치는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며 보행을 해야 하므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을 가져와 환자를 쉽게 지치게 하여 어느 정도 이상의 긴 보행을 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노약자 또는 환자들은 주변의 도움 없이 테마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장시간의 관람을 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관람 자체를 포기 하거나, 보행 보조기구, 지팡이 등을 이용하거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수동 휠체어를 이용하여 관람하거나,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여 스스로 관람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 휠체어는 보호자가 수반되어 관람을 하게 되기 때문에, 노약자 스스로 자유로운 관람에 부담을 가지게 되어 한정된 공간의 관람으로 끝나게 되며, 전동 휠체어는 자체의 부피가 커서 특수 장치를 하지 않은 차량에는 탑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돌발 상황에서의 순발력이 떨어지는 노약자의 경우 전동휠체어 등을 이용한 주행을 함에 있어서는, 순간의 조작 실수로 인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정보에 취약한 노약자는 사전에 관람지에 대한 안내 정보 등에 접속하기 힘들고, 관람을 하는 도중에 관람물의 정보에 접근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양질의 관람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평상시에는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이 가능하여 이동과 근력운동 및 하체 재활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전동 휠체어로 사용이 가능하여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근거리 이동이 가능하며,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관람에 무리가 따르는 노약자가 간편하게 관람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3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전동주행을 통해 관람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람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관람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방지하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해 일반 승용차에 수납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를 위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있어서,
노약자가 탑승 할 수 있는 발판 및 의자를 지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전방 바퀴와 한쌍의 보조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방 주행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후방 바퀴와, 이와 같은 후방 바퀴를 축전지 전원에 의해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 후방 주행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절첩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전방 주행부의 "∩"형 수직대가 위치되어 조향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는 축전지를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양측으로 각각 전방 바퀴들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절첩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상기 후방 주행부의 구동모터가 탑재되는 구동모터 장착대가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 장착대의 후방측으로 상기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후방 바퀴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절첩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발판 및 의자가 배치되며, 상기 발판은 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의자는 하부측의 지지대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가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상에 전방측으로 접음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고정할 수 있는 접음 레버를 일측에 구비하여, 프레임에 대해서 의자를 접은 상태 또는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주행부는 전방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축이 상기 프레임의 수직대 전방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조향축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가 상기 조향축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는 노약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팔거치대의 전방에는 복수의 조향 핸들이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향 핸들에는 브레이크 핸들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향축의 하단은 조향 링크를 통하여 한쌍의 전방 바퀴에 연결되어 노약자가 상기 조향 핸들을 회전시키면 조향축이 회전하면서 조향 링크를 통해서 한쌍의 전방 바퀴를 회전시켜서 방향 조작을 이루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주행부는 팔거치대상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구비하고, 그 전면에는 확대경이 배치되며, 구동모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와, 브레이크 작동시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에 마련된 브레이크 핸들은 와이어를 통하여 양측 전방 바퀴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를 전후진 동작시키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전방 바퀴에 인접하여 전방 바퀴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원판의 다수의 돌출부들에 대해 전후진함으로써 브레이크 원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에 대해서 걸려 브레이크 원판의 회전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방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주행부는 프레임의 "∩"형 수직대 하단 양측에 각각 보조바퀴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바퀴는 그 회전축이 만곡형의 한쌍의 장착대를 통하여 각각 상기 "∩"형 수직대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장착대는 그 상단이 힌지를 통하여 상기 "∩"형 수직대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장착대의 중간과 상기 "∩"형 수직대 하단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장착대를 "∩"형 수직대의 하부측으로 당겨 내림으로써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한쌍의 전방 바퀴와 함께 지면에 접촉되고, 상기 장착대에 마련된 스프링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서 전방 주행부의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주행부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기어박스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후방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가 위치된 프레임의 외측으로는 "∩"형의 걸고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고리에 인접하여 손잡이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형의 걸고리는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형 수직대의 상단에 마련된 검림홈에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음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고, 상기 손잡이는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전방측으로 들어 올릴때 사용자가 손으로 쥐도록 형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첩부는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의 받침대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는 고정홈이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인접한 받침대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에는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치고 전동 휠체어로 사용시에는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핀 상에 끼워져서 프레임과 슬라이더가 고정홈과 걸림핀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 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프레임을 하향 회전시켜서 슬라이더의 걸림핀으로부터 고정홈을 들어 올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핀을 전방으로 회피이동시킨 다음, 상기 프레임을 상향회전시켜서, 프레임의 전방 단부가 상기 회피이동된 슬라이더의 걸림핀 위치를 통하여 회동시켜서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도록 구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첩부는 전방 주행부의 받침대 후방 하부면에 제1 브라켓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 브라켓에는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전방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후방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간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제2 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친 상태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내장된 가스를 압축시킴으로써 가스압축식 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여 탄성 복귀력을 축적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쉽게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주행부는 팔거치대의 전면 및 하면에 다수의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여 주행 중에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스마트폰의 액정표시창에 경고표시로서 나타내며,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하는 한편, 구동모터를 강제 정지시켜서 사고를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관람지의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관람지의 지도를 미리 다운받아 효율적인 관람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관람지 정보를 액정 표시창에 표시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거나,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평상시에는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 가능하여 근거리 이동과 근력운동 및 하체 재활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전동 휠체어로 사용이 가능하여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근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재활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관람에 무리가 따르는 노약자가 간편하고, 편안하게 관람을 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제 3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전동주행을 통해 넓은 공간의 관람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람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관람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휠체어의 주행 중에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하여 일반 승용차에 수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한 우수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전동 휠체어로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전동 휠체어로 사용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행 보조기로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행 보조기로 사용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높이 조절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조향축의 높이 조절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접이식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가 세워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접이식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가 접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팔거치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크 원판과 브레이크 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전방 바퀴의 조향동작을 이루는 조향 링크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우측으로 향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전방 바퀴의 조향동작을 이루는 조향 링크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좌측으로 향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조 보행기로 사용되는 경우, 전방 바퀴들과 보조 바퀴들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조 보행기로 사용되는 경우, 보조 바퀴들의 완충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접음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주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주행부가 전방 주행부상에 결합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절첩부를 확대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바퀴들이 우측으로 틸팅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바퀴들이 좌측으로 틸팅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전동 휠체어로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전동 휠체어로 사용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행 보조기로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행 보조기로 사용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높이 조절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조향축의 높이 조절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접이식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가 세워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의자의 접이식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가 접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팔거치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크 원판과 브레이크 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전방 바퀴의 조향동작을 이루는 조향 링크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우측으로 향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전방 바퀴의 조향동작을 이루는 조향 링크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좌측으로 향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조 보행기로 사용되는 경우, 전방 바퀴들과 보조 바퀴들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가 수동식 보조 보행기로 사용되는 경우, 보조 바퀴들의 완충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접음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주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주행부가 전방 주행부상에 결합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구비된 절첩부를 확대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바퀴들이 우측으로 틸팅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의 후방 바퀴들이 좌측으로 틸팅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이하, 간단히 '사용자'라 함)를 위한 보행 보조장치로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거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사용자가 탑승 할 수 있는 발판(112) 및 의자(142)를 지탱하는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은 절첩부(250)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전방 주행부(120)의 "∩"형 수직대(122)가 위치되어 조향축(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직대(122)의 하부에는 축전지(132)를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134)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34)의 양측으로 각각 전방 주행부(120)의 전방 바퀴(140a)(140b)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프레임(110)은 상기 절첩부(250)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상기 후방 주행부(200)의 구동모터(220)가 탑재되는 구동모터 장착대(194)가 프레임(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 장착대(194)의 후방측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후방 바퀴(210a)(210b)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전방 바퀴(140a)(140b)들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며, 후방 바퀴(210a)(210b)들을 이용하여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후륜 구동방식의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은 절첩부(250)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발판(112) 및 의자(142)가 배치되며, 상기 발판(112)은 프레임(11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의자(14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측의 지지대(144)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대(144)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146)가 상기 지지대(144)의 중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의자(142)를 프레임(110)에 연결시키는 지지대(144)는 직경이 큰 외관(144a)과 상기 외관(144a)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내관(144b)을 구비하고, 이와 같은 외관(144a)에 대해서 내관(144b)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그 연결부분에는 잠금 클램프(146), 예를 들면 핀(미 도시)을 내장하여 상기 외관(144a)과 내관(144b)을 동시에 관통시켜서 끼우는 구조의 잠금 클램프(146)를 통하여 외관(144a)에 대해서 내관(144b)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대(144)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의자(14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4)의 하단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상에 전방측으로 접음이 가능하도록 힌지(148) 연결되고, 상기 힌지(148)를 고정할 수 있는 접음 레버(150)를 일측에 구비하여, 프레임(110)에 대해서 의자(142)를 접은 상태 또는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지지대(144) 하단은 프레임(110)의 중간 상부면에 힌지(148)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의자(142)를 전방측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의자(142)는 전방측으로 접힐 경우, 프레임(110)이 의자(142)의 전방 모서리로 삽입되어 접힘 상태의 크기를 더욱 축소시키기 위한 절개부(142a)를 의자(142)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대(144)는 하단 힌지(148)의 일측으로 접음 레버(15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접음 레버(150)는 일측에 캠면(미 도시)을 구비하여 접음 레버(150)를 세워서 캠면이 힌지(148)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힌지(148)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대(144)가 프레임(1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지만, 접음 레버(150)를 눕히고 캠면이 힌지(148)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접음 레버(150)를 젖히게 되면 상기 힌지(148)는 잠금상태로 유지되어 지지대(144)는 프레임(110)에 대해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로 잠궈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음 레버(150)를 통해서 의자(142)를 접은 상태 또는 세운 상태로 프레임(1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음 레버(150)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예를 들면 절첩식 자전거에서 자전거 프레임(미 도시)의 절첩시 사용되는 힌지 및 잠금 레버 구조와 같은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전방 바퀴(140a)(140b)와 한쌍의 보조바퀴(150a)(150b)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바퀴(140a)(140b)를 조향시키는 조향 핸들(162a)(162b)이 구비된 전방 주행부(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방 주행부(120)는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바퀴(140a)(140b)를 조향시키는 조향축(130)이 상기 프레임(110)의 수직대(122) 전방에 힌지(123)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13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조향축(13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156)가 상기 조향축(130)의 중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향축(130)도 지지대(144)와 유사하게 직경이 큰 외관(154a)과 상기 외관(154a)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내관(154b)을 구비하고, 이와 같은 외관(154a)에 대해서 내관(154b)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그 연결부분에는 잠금 클램프(156), 예를 들면 핀(미 도시)을 내장하여 상기 외관(154a)과 내관(154b)을 동시에 관통시켜서 끼우는 구조의 잠금 클램프(156)를 통하여 외관(154a)에 대해서 내관(154b)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130)의 상단에는 노약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대(160)가 일체로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팔거치대(160)의 전방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향 핸들(162a)(162b)이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향 핸들(162a)(162b)에는 브레이크 레버(174)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방 주행부(120)는 팔거치대(160)상에 스마트폰(S)을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164)를 구비하고, 그 전면에는 확대경(166)이 배치되며, 구동모터(22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68a)와, 브레이크 작동시 구동모터(220)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스위치(168b)를 그 상부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방 주행부(120)는 팔거치대(160)의 전면 및 하면에 다수의 초음파 센서(P)를 장착하여 주행 중에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스마트폰(S)의 액정표시창에 경고표시로서 나타내고, 스마트폰(S)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초음파 센서(P)가 장애물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게 되면, 구동모터(220)를 강제 정지시켜서 사고를 예방하게 되며, 상기 스마트폰(S)은 관람지의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관람지의 지도를 미리 다운받아 효율적인 관람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내장하고, 관람지 정보를 액정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사전에 각종 정보가 입력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스마트폰(S)은 사용자가 관람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보다 편리하게 관람지를 구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와 같은 스마트폰(S)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기술들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주행부(120)는 조향 핸들(162a)(162b)에 마련된 브레이크 핸들(172a)(172b)이 와이어(미 도시)를 통하여 양측 전방 바퀴(140a)(140b)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174)를 전후진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브레이크 핸들(172a)(172b)과 와이어(미 도시)는 예를 들면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미 도시)와 유사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브레이크 핸들(172a)(172b)을 쥐게 되면 와이어가 당겨져서 브레이크 레버(174)가 동작하는 구조이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17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바퀴(140a)(140b)에 인접하여 전방 바퀴(140a)(140b)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원판(176)의 다수의 돌출부(178)들에 대해 전후진함으로써 브레이크 원판(176)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78)들에 대해서 전진시, 즉 사용자가 브레이크 핸들(172a)(172b)을 쥐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174)가 돌출부(178)에 걸려서 브레이크 원판(176)의 회전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방 바퀴(140a)(140b)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주행부(120)는 사용자가 팔거치대(160)의 전방 상부측에 돌출한 복수의 조향 핸들(162a)(162b)을 조정하여 전방 바퀴(140a)(140b)의 조향을 이루게 된다.
즉 조향축(130)의 상단에는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약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대(160)가 일체로 고정되고, 조향축(130)의 하단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링크(180)를 통하여 한쌍의 전방 바퀴(140a)(140b)에 연결되어 노약자가 상기 조향축(130)을 중심으로 조향 핸들(162a)(162b)을 회전시키면 조향축(130)이 회전하면서 조향 링크(180)를 통해서 한쌍의 전방 바퀴(140a)(140b)를 회전시켜서 방향 조작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조향 링크(180)는 그 입력단(182)이 조향축(130)의 하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링크 부재(186)들을 통하여 출력단(184)이 전방 바퀴(140a)(140b)의 회전축(141a)(141b)에 연결되어 전방 바퀴(140a)(140b)의 회전축(141a)(141b)을 받침대(134)의 양측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이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4)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향축(130)을 중심으로 조향 핸들(162a)(162b)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30)과 조향 링크(180)는 받침대(134) 양측의 전방 바퀴(140a)(140b)들을 받침대(134)에 대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회동시키고, 사용자가 조향축(130)을 중심으로 조향 핸들(162a)(162b)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30)과 조향 링크(180)는 받침대(134) 양측의 전방 바퀴(140a)(140b)들을 받침대(134)에 대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동시켜서 조향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주행부(120)는 프레임(110)의 "∩"형 수직대(122) 하단 양측에 각각 보조바퀴(150a)(150b)를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바퀴(150a)(150b)는 도 3a, 도 3b 및 도 8a 및 도 8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축(192)이 만곡형의 한쌍의 장착대(194)를 통하여 각각 상기 "∩"형 수직대(122)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장착대(194)는 그 상단이 힌지(196)를 통하여 상기 "∩"형 수직대(122)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장착대(194)의 중간과 상기 "∩"형 수직대(122) 하단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198)이 장착되어 상기 장착대(194)를 "∩"형 수직대(122)의 하부측으로 당겨 내림으로써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한쌍의 전방 바퀴(140a)(140b)와 함께 보조바퀴(150a)(150b)들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대(194)의 하부면에는 돌기(199)가 형성되어 상기 "∩"형 수직대(12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프링(198)에 의해서 장착대(194)와 보조바퀴(150a)(150b)들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정해진 위치에서 하강을 멈추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194)에 마련된 스프링(198)은 보조바퀴(150a)(150b)의 주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서 인장되어 상기 장착대(194)가 도 8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회동하면서 지면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방 주행부(120)의 안정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후방 바퀴(210a)(210b)와, 이와 같은 후방 바퀴(210a)(210b)를 축전지(132) 전원에 의해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20)를 구비한 후방 주행부(2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후방 주행부(200)는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20)의 회전축(미 도시)이 기어박스(222)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후방 바퀴(210a)(210b)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222)가 위치된 프레임(110)의 외측으로는 "∩"형의 걸고리(23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고리(230)에 인접하여 손잡이(232)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후방 주행부(200)의 "∩"형의 걸고리(230)는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형 수직대(122)의 상단에 마련된 검림홈(234)에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음 상태로 고정 유지킨다(도 9c 참조).
또한 상기 손잡이(232)는 "∩"형의 걸고리(230)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으로서,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전방측으로 들어 올릴때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편리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부(250)는 도 10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252)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120)의 받침대(134)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 단부에는 고정홈(254)이 하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254)에 인접한 받침대(134)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260)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260)의 후단에는 걸림핀(262)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고정홈(254)이 결합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250)는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치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로 사용시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고정홈(254)이 상기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 상에 끼워져서 프레임(110)과 슬라이더(260)가 고정홈(254)과 걸림핀(262)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어서 보조 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을 하향 회전시켜서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으로부터 고정홈(254)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슬라이더(26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핀(262)을 전방으로 회피이동시킨 다음, 상기 프레임(110)을 상향회전시켜서, 프레임(110)의 전방 단부가 상기 회피이동된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 위치를 통하여 회동되도록 하여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이와 같은 절첩부(250)를 통하여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첩부(250)는 전방 주행부(120)의 받침대(134) 후방 하부면에 제1 브라켓(270)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 브라켓(270)에는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의 전방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의 후방단부는 상기 프레임(110)의 중간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제2 브라켓(274)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친 상태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의 내장된 가스를 압축시킴으로써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여 탄성 복귀력을 축적한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바퀴(210a)(210b)의 축(미 도시)을 중심으로 후방 바퀴(210a)(210b)들이 좌우로 틸팅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불규칙한 지형이나 장애물을 타고 넘을 때에 전방 바퀴(140a)(140b)와 후방 바퀴(210a)(210b)들이 모두 지면에 일정한 하중으로 접지하도록 함으로써 편하중이나, 후방 바퀴(210a)(210b)가 공중에 떠서 공회전되는 현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더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쉽게 수납할 수 있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절첩부(250)를 중심으로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치고, 상기 프레임(110)의 고정홈(254)이 상기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 상에 끼워져서 프레임(110)과 슬라이더(260)가 고정홈(254)과 걸림핀(262)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의자(142)의 지지대(144)를 세우고 접음 레버(150)를 통해서 고정하며, 의자(142)의 외관(144a)에 대해서 내관(144b)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그 연결부분에 마련된 잠금 클램프(146)를 통하여 외관(144a)에 대해서 내관(144b)을 고정시키고, 사용자는 의자(142)에 탑승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팔거치대(160) 상에서, 전원스위치(168a)를 누르면 구동모터(220)가 작동하여 후방 바퀴(210a)(210b)를 전진회전시킴으로써 전방 바퀴(140a)(140b)와 후방 바퀴(210a)(210b)는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전방 바퀴(140a)(140b)와 후방 바퀴(210a)(210b)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보조바퀴(150a)(150b)들은 이동 중에 지면으로부터 들려져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행 중에 방향 회전은 팔거치대(160)의 전방 상부측에 돌출한 복수의 조향 핸들(162a)(162b)을 조정하여 전방 바퀴(140a)(140b)의 조향을 이루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향축(130)을 중심으로 조향 핸들(162a)(162b)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30)과 조향 링크(180)는 받침대(134) 양측의 전방 바퀴(140a)(140b)들을 받침대(134)에 대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회동시키고, 사용자가 조향축(130)을 중심으로 조향 핸들(162a)(162b)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30)과 조향 링크(180)는 받침대(134) 양측의 전방 바퀴(140a)(140b)들을 받침대(134)에 대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동시켜서 조향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주행중에 팔거치대(160)의 전방 및 하부측에 장착된 다수의 초음파 센서(P)들은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미 도시)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스마트폰(S)의 액정표시창에 경고표시로서 나타내고, 스마트폰(S)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P)가 장애물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게 되면, 구동모터(220)를 강제 정지시켜서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임의로 주행 작동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168b)를 눌러서 구동모터(22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조향 핸들(162a)(162b)에 마련된 브레이크 핸들(172a)(172b)를 쥐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20)의 정지를 통해서 후방 바퀴(210a)(210b)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브레이크 핸들(172a)(172b)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하여 양측 전방 바퀴(140a)(140b)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174)가 동작하여 브레이크 원판(176)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78)들에 검림으로써 전방 바퀴(140a)(140b)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작동은 상기 브레이크 원판(176)을 디스크 브레이크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100)는 이와 같은 전돌 휠체어로 사용한 다음, 이를 접어서 차량에 수납하거나, 또는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평상시에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하여 근거리 이동과 근력운동 및 하체 재활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게 된다.
이때에는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42) 하부의 지지대(144) 하단 힌지(148)의 접음 레버(150)를 풀고서, 지지대(144)를 프레임(110)측으로 접게되며, 이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접음 레버(150)를 통하여 지지대(144)를 접은 상테로 프레임(110)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의자(142)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142a)의 내측에 프레임(110)이 위치되어 더욱더 작은 크기로 의자(142)를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의자(142)를 접은 다음에는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게 된다. 이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부(250)의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을 하향 회전시켜서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으로부터 고정홈(254)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슬라이더(26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핀(262)을 전방으로 회피이동시킨 다음, 상기 프레임(110)을 상향회전시켜서, 프레임(110)의 전방 단부가 상기 회피이동된 슬라이더(260)의 걸림핀(262) 위치를 통하여 회동되도록 하여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이 팽창됨으로써 가스압축식 스프링(272)이 상기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방 바퀴(210a)(210b)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손잡이(232)를 쥐고서 후방 주행부(200)를 들어 올리면 큰 힘을 들이 않고서도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은 다음에는, 후방 주행부(200)의 "∩"형의 걸고리(230)를 상기 "∩"형 수직대(122)의 상단에 마련된 검림홈(234)에 삽입시켜서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음 상태로 고정 유지킨다.
이와 같이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게되면, 후방 바퀴(210a)(210b)들이 상부측으로 들려서 지면으로부터 상승되는데, 이때에는 한쌍의 전방 바퀴(140a)(140b)들과 한쌍의 보조바퀴(150a)(150b)들이 지면에 접촉하여 전방 주행부(120)와 후방 주행부(20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보조바퀴(150a)(150b)는 스프링(198)이 장착되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서 이를 완충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거나, 전방 주행부(120)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200)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평상시에는 수동형(바퀴형) 보행보조기로서 사용 가능하여 근거리 이동과 근력운동 및 하체 재활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전동 휠체어로 사용이 가능하여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근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재활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관람에 무리가 따르는 노약자가 간편하고, 편안하게 관람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제 3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전동주행을 통해 넓은 공간의 관람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스마트폰(S)을 이용하여 관람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관람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의 주행 중에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P)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하여 일반 승용차에 수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110...... 프레임
120...... 전방 주행부 130..... 조향축
140a,140b.... 전방 바퀴 150a,150b...... 보조바퀴
160...... 팔거치대 162a,162b..... 조향 핸들
172a,172b..... 브레이크 핸들 174...... 브레이크 레버
198...... 스프링 200..... 후방 주행부
210a,210b..... 후방바퀴 220...... 구동모터
230...... 걸고리 232...... 손잡이
250...... 절첩부 P...... 초음파 센서
S...... 스마트폰
120...... 전방 주행부 130..... 조향축
140a,140b.... 전방 바퀴 150a,150b...... 보조바퀴
160...... 팔거치대 162a,162b..... 조향 핸들
172a,172b..... 브레이크 핸들 174...... 브레이크 레버
198...... 스프링 200..... 후방 주행부
210a,210b..... 후방바퀴 220...... 구동모터
230...... 걸고리 232...... 손잡이
250...... 절첩부 P...... 초음파 센서
S...... 스마트폰
Claims (10)
-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를 위한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있어서,
노약자가 탑승 할 수 있는 발판 및 의자를 지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전방 바퀴와 한쌍의 보조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방 주행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한쌍의 후방 바퀴와, 이와 같은 후방 바퀴를 축전지 전원에 의해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 후방 주행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쳐서 전동 휠체어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절첩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전방 주행부의 "∩"형 수직대가 위치되어 조향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는 축전지를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양측으로 각각 전방 바퀴들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절첩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상기 후방 주행부의 구동모터가 탑재되는 구동모터 장착대가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 장착대의 후방측으로 상기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후방 바퀴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절첩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발판 및 의자가 배치되며, 상기 발판은 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의자는 하부측의 지지대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가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상에 전방측으로 접음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고정할 수 있는 접음 레버를 일측에 구비하여, 프레임에 대해서 의자를 접은 상태 또는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주행부는 전방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축이 상기 프레임의 수직대 전방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조향축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클램프가 상기 조향축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는 노약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팔거치대의 전방에는 복수의 조향 핸들이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향 핸들에는 브레이크 핸들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향축의 하단은 조향 링크를 통하여 한쌍의 전방 바퀴에 연결되어 노약자가 상기 조향 핸들을 회전시키면 조향축이 회전하면서 조향 링크를 통해서 한쌍의 전방 바퀴를 회전시켜서 방향 조작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주행부는 팔거치대상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구비하고, 그 전면에는 확대경이 배치되며, 구동모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와, 브레이크 작동시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에 마련된 브레이크 핸들은 와이어를 통하여 양측 전방 바퀴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를 전후진 동작시키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전방 바퀴에 인접하여 전방 바퀴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원판의 다수의 돌출부들에 대해 전후진함으로써 브레이크 원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에 대해서 걸려 브레이크 원판의 회전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방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주행부는 프레임의 "∩"형 수직대 하단 양측에 각각 보조바퀴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바퀴는 그 회전축이 만곡형의 한쌍의 장착대를 통하여 각각 상기 "∩"형 수직대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장착대는 그 상단이 힌지를 통하여 상기 "∩"형 수직대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장착대의 중간과 상기 "∩"형 수직대 하단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장착대를 "∩"형 수직대의 하부측으로 당겨 내림으로써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한쌍의 전방 바퀴와 함께 지면에 접촉되고, 상기 장착대에 마련된 스프링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서 전방 주행부의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주행부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기어박스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후방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가 위치된 프레임의 외측으로는 "∩"형의 걸고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고리에 인접하여 손잡이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형의 걸고리는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가 전방측으로 접혀지면, 상기 "∩"형 수직대의 상단에 마련된 검림홈에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음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고, 상기 손잡이는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전방측으로 들어 올릴때 사용자가 손으로 쥐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 주행부의 받침대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는 고정홈이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인접한 받침대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에는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치고 전동 휠체어로 사용시에는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핀 상에 끼워져서 프레임과 슬라이더가 고정홈과 걸림핀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어서 보조 보행기로 사용하거나 차량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프레임을 하향 회전시켜서 슬라이더의 걸림핀으로부터 고정홈을 들어 올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핀을 전방으로 회피이동시킨 다음, 상기 프레임을 상향회전시켜서, 프레임의 전방 단부가 상기 회피이동된 슬라이더의 걸림핀 위치를 통하여 회동시켜서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전방 주행부의 받침대 후방 하부면에 제1 브라켓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 브라켓에는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전방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후방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간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제2 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펼친 상태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내장된 가스를 압축시킴으로써 가스압축식 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여 탄성 복귀력을 축적하고,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가스압축식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방 주행부에 대해서 후방 주행부를 쉽게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주행부는 팔거치대의 전면 및 하면에 다수의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여 주행 중에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접촉 및 연속되지 않은 바닥면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스마트폰의 액정표시창에 경고표시로서 나타내며,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하는 한편, 구동모터를 강제 정지시켜서 사고를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관람지의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관람지의 지도를 미리 다운받아 효율적인 관람을 도와주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관람지 정보를 액정 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5809A KR101149604B1 (ko) | 2010-10-01 | 2010-10-01 |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5809A KR101149604B1 (ko) | 2010-10-01 | 2010-10-01 |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4335A true KR20120034335A (ko) | 2012-04-12 |
KR101149604B1 KR101149604B1 (ko) | 2012-06-12 |
Family
ID=4613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5809A KR101149604B1 (ko) | 2010-10-01 | 2010-10-01 |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60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579B1 (ko) * | 2011-05-13 | 2013-06-25 | 주식회사 로보테크 | 지능형 보행 보조 로봇 |
KR101633215B1 (ko) * | 2015-02-13 | 2016-06-24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프트식 스마트 휠체어 |
KR20170021251A (ko) * | 2014-06-24 | 2017-02-27 | 벤트 아이피알 에이피에스 | 차량용 섀시 |
WO2018169302A1 (ko) * | 2017-03-16 | 2018-09-20 | 피플리안주식회사 | 스마트폰을 이용한 휠체어 고장 진단 및 알림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320B1 (ko) | 2014-09-30 | 2016-02-11 | 주식회사이지무브 | 지능형 보행 보조차 |
KR101592321B1 (ko) | 2014-09-30 | 2016-02-11 | 주식회사이지무브 |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
KR101644106B1 (ko) | 2015-04-20 | 2016-08-11 | 대한민국 |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
KR101967210B1 (ko) * | 2017-10-25 | 2019-04-09 | (주)휴비딕 | 전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기 |
KR102179942B1 (ko) * | 2019-05-15 | 2020-11-17 | 신병권 | 스마트 보행기 |
TWI731621B (zh) | 2020-03-17 | 2021-06-2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助行器 |
KR102526594B1 (ko) * | 2020-07-30 | 2023-04-28 |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 보행 보조 장치 |
KR102242506B1 (ko) | 2020-11-19 | 2021-04-20 | 유한회사 쿠미 |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09467B2 (ja) | 1996-07-17 | 1999-06-23 | 進二 小峯 | 座椅子式歩行器具 |
JP3544071B2 (ja) | 1996-08-22 | 2004-07-21 | 日野自動車株式会社 | 起立姿勢で運転可能な電動走行車 |
KR200441797Y1 (ko) | 2007-12-03 | 2008-09-05 |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보행보조기 |
KR101012734B1 (ko) * | 2008-10-23 | 2011-02-09 |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
-
2010
- 2010-10-01 KR KR1020100095809A patent/KR1011496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579B1 (ko) * | 2011-05-13 | 2013-06-25 | 주식회사 로보테크 | 지능형 보행 보조 로봇 |
KR20170021251A (ko) * | 2014-06-24 | 2017-02-27 | 벤트 아이피알 에이피에스 | 차량용 섀시 |
KR101633215B1 (ko) * | 2015-02-13 | 2016-06-24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프트식 스마트 휠체어 |
WO2018169302A1 (ko) * | 2017-03-16 | 2018-09-20 | 피플리안주식회사 | 스마트폰을 이용한 휠체어 고장 진단 및 알림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9604B1 (ko) | 2012-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604B1 (ko) |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 |
JP3697638B2 (ja) |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 |
US7841610B2 (en) | Foldable people-carrying vehicle | |
JP2015514539A (ja) |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 |
US20100126789A1 (en) | Personal Vehicles | |
KR102045427B1 (ko) |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 |
US20070278767A1 (en) | Electrical wheelchair for handicapped transportation with an attendant | |
JP7320192B2 (ja) | 電動車両 | |
KR102572254B1 (ko) | 전동식 보행 보조기 | |
EP3207908A2 (en) | Mobile chair apparatus comprising foot pedals | |
KR20130006902A (ko) | 이동 보조 시스템 | |
AU2014201496A1 (en) | A mobile support assembly | |
US9757288B1 (en) | Mobile chair apparatus comprising foot pedals | |
CN110916988A (zh) | 一种电动助行器 | |
KR101517292B1 (ko) | 보행보조 로봇 | |
KR101592321B1 (ko) |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 |
US20130341884A1 (en) | Orthopedic mobility device | |
KR100971472B1 (ko) | 보행 보조장치 | |
KR101888186B1 (ko) | 전동식 보조 보행기 | |
KR102636313B1 (ko) |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 |
US20230000698A1 (en) | Rear Side Entry Type Wheelchair | |
AU2014201493A1 (en) | A mobile support assembly | |
JP2001025488A (ja) | 身体障害者および高齢者用三輪式電動カート | |
US8523213B2 (en) | Orthopedic mobility device | |
KR200436310Y1 (ko) | 트렁크형 접이식 3륜 전동 스쿠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