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320B1 - 지능형 보행 보조차 - Google Patents

지능형 보행 보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320B1
KR101592320B1 KR1020140131399A KR20140131399A KR101592320B1 KR 101592320 B1 KR101592320 B1 KR 101592320B1 KR 1020140131399 A KR1020140131399 A KR 1020140131399A KR 20140131399 A KR20140131399 A KR 20140131399A KR 101592320 B1 KR101592320 B1 KR 10159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caster
seat
ro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도영
김근우
심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to KR102014013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바와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보행 보조차를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특히 이용자의 앞을 가리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좌판과 손잡이를 링크 구조를 통해 이용자의 체형과 장애 정도에 맞게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지능형 보행 보조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캐스터의 회전 방향과 그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장해 정도와 재활 정도 그리고 보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가 보행할 때 그 보행을 보조하거나 경사로 등에서 이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의 상황에 맞춰 안전하게 보행 연습을 할 수 있게 한 지능형 보행 보조차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보행 보조차{INTELLIGENT ROLLATOR}
본 발명은 지능형 보행 보조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의 높이조절과 더불어 링크 구조를 통해 체형과 장애 정도 등에 맞게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캐스터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조절하여 장애인의 체형과 진행 정도에 맞게 속도 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노약자나 장애인의 보행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차는 장애 정도에 따라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구조로 제작한다.
특허문헌 1은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재활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관광단지 내에서 노약자들의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음이 가능하여 일반 승용차에 수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및 운반이 편리한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를 개시한 것으로, 전동식 보행 보조기에 전자식 방향 전환 기능은 물론 휠체어 기능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가 보조기에 의지하여 직진 이동을 할 때에 적은 힘으로도 전속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경사로나 돌출 또는 홈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곳에서 보행의 의지가 있으나 근육이 약화된 사용자들도 자유롭게 보행 보조기의 방향을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보행 보조의 역할과 보행 유도의 역할을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휠체어 기능을 통해 고령자나 하체가 불편한 신체장애인, 그리고 보행의 의지가 있으나 근육이 약화된 사용자들 모두가 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특허문헌 3은 보행 보조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 동작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상체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하체 보행 패턴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하체 보행 패턴에 기초하여 휠(wheel)의 이동 방향, 가속도,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하는 하체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신호와 상기 예측된 하체 보행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휠(wheel)의 이동 방향, 가속도,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와 상기 보상된 구동 정보에 따라 휠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4는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자립 보행을 할 수 없는 중증 환자의 가슴, 어깨, 팔 등의 상체를 받쳐 지지하며 전·후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편안하게 자립 보행할 수 있게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보조 보행기나 보조 보행장치와 같은 보행 보조차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의 보행 보조차 중에서 전동 방식을 채택한 경우 보행 보조차를 구동하게 하는 데 필요한 구동 장치를 장착해야 하므로 보행 보조차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그 전체 중량도 무거워진다.
(2) 보행 보조차는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보조차 이용자가 보행 연습을 하기 위해 사용하다 보면 지치거나 피곤한 경우 이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좌판을 구성한다. 하지만, 좌판은 그 높이가 고정식이므로 이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장애 정도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좌판 사용이 불편하고, 오랫동안 앉아 있기가 힘들다.
(3) 또한, 보행 보조차는 보행 연습을 위해 이용자가 손을 짚거나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손잡이를 구성한다. 하지만, 이 손잡이 또한 높이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 연습을 할 때는 편리하나 좌판에 앉은 경우 손잡이의 높이가 알맞은 위치에 있지 않아 손잡이를 사용하는 데 불편하다.
(4) 기존의 보행 보조차는 플레이트 형태나 빔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행 보조차를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하기 위해 접더라도 그 크기가 커서 자동차의 트렁크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싣거나 보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5) 보행 보조차를 수동 보조기와 같이 손으로 잡아서 보행 연습을 하는 경우 보행 보조차의 앞 부분이 이 보행 보조차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발 앞쪽을 가리기 때문에 보행 연습을 하는 데 불안하다.
(6) 특히, 이처럼 보행 보조차가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발 앞을 가려 시야를 방해하므로, 이용자는 보행 연습을 하는 동안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다.
(7) 또한, 노면이나 도로와 같이 표면이 평편하지 않거나 돌과 같이 돌출되거나 홈이 만들어진 곳에서 보행 연습을 하는 경우, 캐스터가 불완전하게 작동하거나 작동 기능을 상실하여 보행 보조차가 쓰러지거나 이용자가 무게 중심을 잃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49604호 (등록일 : 2012.05.17) 한국등록특허 제1124072호 (등록일 : 2012.02.28) 한국등록특허 제1224056호 (등록일 : 2013.01.14) 한국등록특허 제1306146호 (등록일 : 2013.09.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바와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보행 보조차를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특히 이용자의 앞을 가리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좌판과 손잡이를 링크 구조를 통해 이용자의 체형과 장애 정도에 맞게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지능형 보행 보조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캐스터의 회전 방향과 그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장해 정도와 재활 정도 그리고 보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가 보행할 때 그 보행을 보조하거나 경사로 등에서 이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의 상황에 맞춰 안전하게 보행 연습을 할 수 있게 한 지능형 보행 보조차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보행 보조차는, 양쪽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캐스터(110)를 가지고,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여 어느 한쪽을 지지대(120)로 연결하며 다른 한쪽에 각각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회전식의 발판(130)을 갖춘 한 쌍의 베이스 바(100);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 보게 위치한 한 쌍의 손 거치대(210) 및 이들 손 거치대(210)의 한쪽 끝을 연결하는 연결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바(100) 위에 겹쳐지게 설치하는 손잡이(200);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베이스 바(100)와 손잡이(200) 사이에 장착하여 이 손잡이(200)를 위아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 다단 링크(300); 상기 지지대(120)에 상기 베이스 바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게 장착한 좌판(400); 상기 지지대(120)에 장착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캐스터(110)를 전후로 회전시켜 주는 구동 수단(500); 및 상기 구동 수단(50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다단 링크(300)는, 한쪽이 상기 베이스 바(100)와 손잡이(200)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적어도 2개의 링크(310a,310b); 및 인접한 두 개의 링크(310a,310b)를 연결해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며 회전 위치를 고정해 주는 암 힌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링크(310a,310b)와 암 힌지(320)는, 상기 베이스 바(100)의 길이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회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400)은 상기 지지대(120)에 한쪽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암 힌지(410)의 다른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바닥면에는 탄성 스프링(4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스토퍼(420)를 갖추며, 상기 스토퍼(420)는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암 힌지(410)에 형성한 고정 구멍(411)에 끼워져서 좌판(4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 수단(500)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인 휠 모터((In-wheel Motor) 또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보행 보조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바와 링크 구조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보행을 보조하므로 전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보행 보조차를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하기 위해 접을 때에도 그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쉽고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3) 좌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장애나 체형에 맞게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보행 연습을 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 부분을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행 연습과 좌판을 앉음에 따라 달라지는 손의 위치에 알맞게 손잡이 부분의 높이를 쉽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특히, 이러한 손잡이 부분은 암 힌지(Arm Hinge)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손잡이를 보행 연습을 위한 위치나 좌판에 앉았을 때 손을 올려놓는 위치로 쉽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6)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캐스터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제어하고, 특히 그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용자의 장애 정도나 보행 연습 정도 등에 따라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조절해 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손잡이를 통해 전달된 이용자의 하중이 다단 링크를 통해 베이스 바에 전달되는 데, 다단 링크의 작동 범위가 이 베이스 바의 위쪽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므로, 이러한 이용자의 하중이 베이스 바의 길이 중간 부분을 누르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를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행 보조차가 넘어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접이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보행 보조차의 저면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는 구동 수단과 캐스터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보행 보조차는, 도 1 내지 도 5와, 바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베이스 바(100) 위에 한 쌍의 손 거치대(210)를 연결대(220)로 연결한 손잡이(200)가, 링크 구조를 이용한 다단 링크(300)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한 쌍의 상기 베이스 바(100)를 연결하는 지지대(120)에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좌판(400)을 설치함으로써, 보행 연습 중에 피곤하거나 힘들 경우 이용자의 체형이나 장애 정도 등에 따라 높이를 조절한 좌판(400)에 앉아서 편안하게 쉴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대(120)에 구동 수단(500)을 장착하고 제어기(6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각 베이스 바(100)에 장착한 캐스터(11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장애 정도나 보행 가능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보행 연습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바(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미리 정한 길이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한다.
특히, 이 한 쌍의 베이스 바(100)는 한쪽 끝을 지지대(120)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트인 한쪽을 통해 이용자의 발부분이 그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각 베이스 바(100)에는 양쪽에 각각 캐스터(110)를 구성한다. 이때, 캐스터(110)는 길이 방향으로 구를 수 있게 장착하며, 후술할 구동 수단(500)을 통해 전동식으로 구동하거나 수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게 선택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베이스 바(100)에는, 다른 한쪽에 각각 발판(130)을 더 구성한다. 각 발판(130)은, 휠체어의 발판과 같이, 베이스 바(100) 위쪽으로 젖혔다가 필요할 때 서로 마주 보게 펼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손잡이(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 쌍의 손 거치대(210)와 이들 손 거치대(210)를 연결하는 연결대(2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손 거치대(210)는 바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연결대(220)는 각 손 거치대(210)의 한쪽 끝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200)는 상술한 베이스 바(100)와 같거나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손잡이(200)를 상기 베이스 바(100) 위에 위치하게 설치하였을 때, 개방된 한쪽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이용자가 드나들 수 있게 하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연결대(220)는 손 거치대(210)를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후술할 좌판(400)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앉았을 때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가 좌판(400)에 안정적으로 앉아있을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11"은 후술할 제어기(600)를 통해 구동 수단(500)을 정역 방향의 회전 방향과 그 회전수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는 제어 다이얼을, "212"는 실질적으로 손을 쥐는 파지 부분을 각각 나타낸다.
다단 링크(3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쪽을 각각 베이스 바(100)와 손잡이(200)에 장착하여 이 손잡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상기 다단 링크(300)는 적어도 2개의 링크(310a,310b)와, 인접한 두 개의 링크(310a,310b) 사이를 연결하는 암 힌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310a,310b)는 미리 정한 길이의 바 형태로 형성하고, 특히 도 3과 같이 인접한 링크(310a,31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암 힌지(Arm Hinge)(320)는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고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암 힌지의 사용례로는 스위블 및 틸트의 확장성이 좋은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의료용 카트, 피부 치료용 광선 조사기 등 모바일형 의료기구에 유용한 제품이나, 모니터나 학생용 책상 등과 같이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링크(310a,310b)와 암 힌지(320)는 그 작동 범위에서, 상술한 베이스 바(100)의 길이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 바(100)를 지지하는 두 개의 캐스터(110) 사이에 다단 링크(300)를 구성하는 연결 부분, 즉 암 힌지(320)가 실질적으로 이들 캐스터(110) 사이의 위에 존재하게 함으로써, 손잡이(200)를 통해 다단 링크(300)에 전달된 하중이 마치 베이스 바(100)의 중간 부분을 누르는 것과 같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과 같이, 베이스 바(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링크(310a)의 힌지(311)는 두 개의 캐스터(110) 사이에 위치하게 장착하고, 손잡이(2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다른 링크(310b)의 힌지(312)는 상기 힌지(311) 위에 위치하게 장착하며, 상기 암 힌지(320)는 이 힌지(311)과 어느 하나의 캐스터(110) 사이의 위에 위치하게 구성함으로써, 도 3의 위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양쪽 캐스터(110)에서 분산시켜 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의 무게 중심이 안정되어 쉽게 넘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좌판(40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지지대(120)에 접을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좌판(400)은 한쪽이 지지대(12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암 힌지(410)의 다른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암 힌지(410)를 회전시키면 좌판(400)을 베이스 바(100)와 나란하게 접을 수 있다. 여기서, 암 힌지(410)는 상술한 암 힌지(320)와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암 힘지(410)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측면 상부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 구멍(411)을 형성한다. 이 고정 구멍(411)에는 후술할 스토퍼(420)가 끼워져서 좌판(400)을 고정하는 데 사용한다.
한편, 상기 좌판(400)은 아랫면에, 도 2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420)를 장착한다. 스토퍼(420)는 탄성 스프링(4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스토퍼(420)는 항상 탄성 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설치한다.
이에, 상기 스토퍼(420)는, 도 4와 같이, 항상 탄성 스프링(4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돌출한 부분이 상술한 고정 구멍(411)에 끼워져서 좌판(400)에 앉을 수 있게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420)를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고정 구멍(411)에서 이 스토퍼(420)가 빠지면서 좌판(400)이 접을 수 있게 된다.
구동 수단(5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캐스터(11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 수단(500)으로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인 휠 모터((In-wheel Motor)나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수단(500)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가 이용자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보행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거나, 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이용자가 이 보행 보조기의 움직임을 이겨내면서 보행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러한 구동 수단(50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를 전동 휠체어와 같이 이용할 때 전진과 후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구동 수단(500)은 전기 전원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전기 전원은 배터리 형태로 제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하여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 수단(500)은 각 캐스터(110)를 모두 구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는 보행 보조차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때 뒤쪽에 있는 2개의 캐스터(110)를 구동하도록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제어기(600)는,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어 다이얼(211)을 통해 입력받은 구동 수단(50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 수단(500)을 제어한다.
이때, 이용자나 보조자는, 이용자의 장애 정도나 보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 다이얼(211)로 제어기(600)에 입력하고, 제어기(600)는 이 회전 방향과 회전수에 맞게 구동수단(500)을 구동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600)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 수단(500)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어 다이얼(211)의 제어 신호로서 수동 방식, 즉 구동 수단(500)을 구동하지 않게 하여 이용자의 힘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차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링크 구조나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요소들을 제작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손잡이와 좌판을 이용자에게 알맞게 쉽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터의 회전 방향과 그 회전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보행 운동 얻을 수 있다.
100 : 베이스 바
110 : 캐스터
120 : 지지대
130 : 발판
200 : 손잡이
210 : 손 거치대
220 : 연결대
300 : 다단 링크
310a, 310b : 링크
320, 410 : 암 힌지
400 : 좌판
500 : 구동 수단
600 : 제어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양쪽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캐스터(110)를 가지고,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여 어느 한쪽을 지지대(120)로 연결하며 다른 한쪽에 각각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회전식의 발판(130)을 갖춘 한 쌍의 베이스 바(100);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 보게 위치한 한 쌍의 손 거치대(210) 및 이들 손 거치대(210)의 한쪽 끝을 연결하는 연결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바(100) 위에 겹쳐지게 설치하는 손잡이(200);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베이스 바(100)와 손잡이(200) 사이에 장착하여 이 손잡이(200)를 위아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 다단 링크(300);
    상기 지지대(120)에 상기 베이스 바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게 장착한 좌판(400);
    상기 지지대(120)에 장착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캐스터(110)를 전후로 회전시켜 주는 구동 수단(500); 및
    상기 구동 수단(50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60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400)은 상기 지지대(120)에 한쪽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암 힌지(410)의 다른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바닥면에는 탄성 스프링(4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스토퍼(420)를 갖추며,
    상기 스토퍼(420)는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암 힌지(410)에 형성한 고정 구멍(411)에 끼워져서 좌판(4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보행 보조차.
  5. 삭제
KR1020140131399A 2014-09-30 2014-09-30 지능형 보행 보조차 KR10159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399A KR101592320B1 (ko) 2014-09-30 2014-09-30 지능형 보행 보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399A KR101592320B1 (ko) 2014-09-30 2014-09-30 지능형 보행 보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320B1 true KR101592320B1 (ko) 2016-02-11

Family

ID=5535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399A KR101592320B1 (ko) 2014-09-30 2014-09-30 지능형 보행 보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83Y1 (ko) *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JP2007252888A (ja) * 2006-02-21 2007-10-04 Kawamura Cycle:Kk 歩行補助器兼用車いす
KR2012000237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보행 보조차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49604B1 (ko) 2010-10-01 2012-06-12 주식회사 마로로봇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20120126934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로보테크 지능형 보행 보조 로봇
KR101224056B1 (ko) 2011-06-27 2013-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306146B1 (ko) 2013-02-18 2013-10-02 주식회사 명진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83Y1 (ko) *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JP2007252888A (ja) * 2006-02-21 2007-10-04 Kawamura Cycle:Kk 歩行補助器兼用車いす
KR20120002374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보행 보조차
KR101149604B1 (ko) 2010-10-01 2012-06-12 주식회사 마로로봇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120126934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로보테크 지능형 보행 보조 로봇
KR101224056B1 (ko) 2011-06-27 2013-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306146B1 (ko) 2013-02-18 2013-10-02 주식회사 명진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0241B1 (en) Device for balance and body orientation support
US9248071B1 (en) Walk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JP2021037310A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US9839570B2 (en) Motorized walking and balancing apparatus
US20070173380A1 (en) Exercise, rehabilitation and mobilization device for paraplegic and motorically handicapped persons
KR10114960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JP2015504388A (ja) 輸送装置
ES2913124T3 (es) Dispositivo robótico para la verticalización y ayuda al movimiento de sujetos con discapacidades motrices severas
US20160158088A1 (en) Suspension-Based Walking Assistance Aide Apparatus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WO2018101823A1 (en) Walking aid assembly with moveable poles
KR101012734B1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1592321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KR20110121168A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KR101536932B1 (ko) 기립형 이동기기
KR20200066764A (ko) 전동 보행 보조기
KR101592320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
KR20150003508A (ko)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62013B1 (ko) 전동 보행 보조장치
JP2010246626A (ja) 起立補助装置
KR101734517B1 (ko) 관절형 다리를 갖는 보행보조장치
KR102043149B1 (ko) 이동 보조 시스템
Eguchi et al. Standing mobility vehicle with passive exoskeleton assisting voluntary postural ch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